KR100244989B1 -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989B1
KR100244989B1 KR1019910006845A KR910006845A KR100244989B1 KR 100244989 B1 KR100244989 B1 KR 100244989B1 KR 1019910006845 A KR1019910006845 A KR 1019910006845A KR 910006845 A KR910006845 A KR 910006845A KR 100244989 B1 KR100244989 B1 KR 10024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composite video
signal
component
sy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399A (ko
Inventor
아담슨 라고니 윌리암
라인베리 로저리
Original Assignee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트먼 어윈 엠
Publication of KR91001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5Synchronising circuits with arrangements for extending range of synchronisation, e.g. by using switching between several time const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3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impulsive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텔레비젼 수상기는 영상 및 동기 펄스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가진 "원-칩" 텔레비젼 신호 처리 IC 200을 구비한다. 소위 "블랙-스트레치" 회로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처리되어져 있는 복합 비디오 신호(105)는 "원-칩" IC의 복합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원-칩" IC(200)의 동기 분리기(100)가 비선형적으로 처리되어진 복합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펄스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합 비디오 신호가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후 "원-칩" 텔레비젼 IC(200)에 연결되기 전에 보조 동기 분리기(113)를 구비하는 동기 보정 회로(111)가 복합 비디오 신호의 동기 펄스를 수정하도록 사용된다.

Description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비선형 처리전에 동기 분리가 일어나도록 배열된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럭선도.
제2a도는 "원-칩" 텔레비젼 IC를 지닌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를 사용한 수상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제2b도는 소니 CX20125비선형 화상 엔핸스먼트 IC의 접속도.
제3도는 동기 분리기의 블럭선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소니 CX20125와 같은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에 의해서 처리되어지기 전의 복합 휘도 신호에 대한 수평 및 수직 성분의 파형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수평 및 수직 귀선 소거 신호의 파형도.
제6a도 및 제6b도는 CX20125 IC에 의해서 처리되어진 후의 복합 휘도 신호에 대한 수평 및 수직 성분의 파형도.
제7도는 동기 보정 회로가 비선형 신호 처리 IC의 출력과 "원-칩"텔레비젼 IC의 결합된 휘도/동기 입력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선도.
제8a, 8b 및 8c도는 제7도에 도시된 동기 보정 회로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한 블록선도.
제8d, 8e 및 8f도는 제각기 제8a, 8b 및 8c도에서 블록도로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도.
제9a 및 9b도는 제7도에 도시된 보조 동기 분리기에 의해 발생된 수평 및 수직 동기 펄스의 파형도.
제10a 및 10b도은 제8a 및 8b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된 복합 휘도 신호에 대한 수평 및 수직 성분의 파형도.
제11a 및 11b도는 제7도에 도시된 동기 보정 회로의 출력에서 발생된 복합휘도 신호에 대한 수평 및 수직 펄스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튜너 80 : 색처리 회로
81 : 휘도 처리 회로 82 : 휘도-색 매트리스
90 : 휘도-색 분리기 100 : 동기 분리기
110 :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 120 : 수평 및 수직 주사 회로
본 발명은 복합 휘도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비선형 처리 회로에 의해서 동기 부분이 손상된 경우 복합 휘도 신호의 동기 펄스 성분을 보정하기 위한 장 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주관적인 매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종종 비선형 신호 처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블랙 스트레치(black stretch)" 회로 및 "화이트 스트레치(white stretch)" 회로는 각각 어두운 영상 영역과 밝은 영상 영역에서 신호 전달 함수의 모양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므로서 영상 콘트라스트비를 개선시키는데 사용된다. 소위 감마 보정 회로는 또한 방송 스튜디오에 이용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비선형 특성 및 수상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선형 특성 사이의 차를 보상하도록 정적이든 동적이든, 비선형 방법으로 신호 전달 함수를 변화시킨다. 또한 "오토-페디스털(auto-pedistal)" 회로도 휘도 신호의 백-포치(back-porch) 영역동안 "블랙커-댄-블랙(blacker-than-black)" 가변 진폭 펄스를 삽입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휘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오토-페디스털" 함수는 "백-포치" 클램프의 클램핑 레벨과 클램프되는 비디오 신호의 레벨 사이의 관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휘도가 변하게 된다. 만약 비디오 신호의 동기 성분과 영상 성분이 함께 처리된다면, 이들의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 기술은 각각 동기 펄스 분리기의 능력에 영향을 미쳐 "블랙커-댄-블랙" 동기 펄스 및 영상 부분을 구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비선형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의 통상적인 응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예에 있어서, 안테나(60)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젼 신호는 튜너(65)에 의해 동조되며 IC 섹션(70)에 의해 복조되어 베이스밴드 비디오 신호(75)를 발생시킨다. 상기 신호는 휘도-색분리기(90)에 의해 영상 및 동기 펄스 성분들 포함하는 복합 휘도 신호(104)와 색 신호(85)로 분리된라. 상기 색 신호는 처리 회로(80)에 의해 처리되어 색차 신호(86)를 발생한다. 색차 신호(86)는 휘도-색 매트릭스(82)에서 휘도 처리기(81)에 의해 발생된 휘도 신호(87)와 매트릭스되어 수상관(83)에 공급하기에 적합한 원색신호(88)를 발생한다. 비선형 "화상 엔핸스먼트"회로(110)는 휘도 처리 회로(81)앞에 위치하여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휘도 신호(105)를 공급 한다. 휘도-색 분리기(90)에 의해 발생된 복합 휘도 신호(104)는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110)와 동기 분리기(100)에 병렬 방식으로 연결된다. 분리된 동기 신호(115)는 편향 신호(89)를 편향 유니트(84)에 차례로 제공하는 수평 및 수직 주사 처리 회로(120)에 인가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비선형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110)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동기 분리기(100)가 복합 휘도 신호(104)로부터 복합 동기 신호를 유도하는 양호한 특징을 갖는다. 1984년 12월 18일 오까다에게 허여되어 소니 주식회사에 양도된 된 미합중국 특허 제4,489,349호의 도면 제12도에 대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흔히 도시바 TA8680 등의 "원-칩" 텔레비젼 IC 라고 하는 조합된 텔레비젼 처리기 집적 회로(IC)와 결합하여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기 분리기(100)에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110)의 출력 신호로부터 유도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TA 8680과 같은 IC 내에서, 동기 분리기(100)와 휘도 처리 회로(81)의 입력이 IC 내에 함께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억세스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1도 및 제2a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블랙-스트레치" 및 "오토-페디스털" 기능을 제공하는 IC의 일례로서 소니 CX20125 다이나믹 화상 IC를 들 수 있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CX20125 IC는 각 입력에 복합 휘도 신호(104), 복합 수평 및 수직 귀선 소거 신호(101) 및 수평 "백-포치" 클램핑 펄스 신호(102)를 수신하고, 응답시에는, "블랙-스트레치" 함수에 따라 비선형석으로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105)를 제공한다. 또한, "오토-페디스털" 펄스가 복합 휘도 신호의 "백-포치"에 추가된다. 클램핑 펄스 신호는 "오토-페디스털" 펄스의 발생을 돕는 이외에 자체의 신호 처리를 위해 백-포치 클램핑을 제공하는데에 사용된다. CX20125 IC는 수평 및 수직 귀선 소거 간격동안 블랙-스트레치를 억제하기 위해 복합 귀선 소거 신호를 사용한다. 비선형 처리 시스템에 대한 공급을 억제하는 이러한 귀선 소거 간격이 또한 상술한 오까다 특허의 제11도에 대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제2b도의 장치가 사용될 때 복합 동기 신호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복합 휘도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 펄스를 분리하는 동작을 관찰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설명에 대해서는 제3도를 참조한다. 통상적인 동기 분리기 장치는 동기 펄스의 피크를 기준 전압(106)에 클램핑함으로서, 캐패시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AC 연결된 후, 복합 휘도 신호의 DC 레벨을 회복시키도록 클램프(103)를 구비한다. 그와같이 회복된 신호는 클램프(103)의 기준 전압(106)에 연결되는 기준 전압(109)을 가진 레벨 비교기(108)에 인가된다. "백-포치" 레벨 및 기대된 동기 팁(tip) 레벨 사이의 중간 레벨이 되도록 비교기(108)의 기준 전압(109)을 선택함으로써, 영상 관련 비디오 신호의 어떠한 조작없이도 복합 수평 및 수직 동기 펄스 신호가 비교기(108)의 출력(115)에서 발생된다.
통상적인 복합 휘도 신호의 수평 및 수직 성분은 제4a 및 4b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복합 휘도 신호의 영상 성분(280)은 귀선 소거 레벨(204)로부터 피크 화이트 레벨(205)까지 확장되는 반면에, 수평 동기 펄스(206) 및 수직 동기 펄스(207)는 귀선 소거 레벨(204) 이하에서 동기 팁 레벨(208)까지 확장된다. NTSC 텔레비젼 표준은 귀선 소거 레벨(204) 및 동기 팁 레벨(208) 사이의 진폭이 귀선 소거 레벨(204) 및 피크 화이트 레벨(205)간의 진폭의 40%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동기 진폭관계는 동기 분리기의 어떤 부정확에 대해 적당한 마진을 제공하며 동기 성분이 영상 성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CX20125로 되어 있는 비선형 처리 IC에 의해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의 수평 및 수직 성분은 제6a 및 6b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4a도의 파형에 비하여, 제6a도의 파형은 수평 동기 펄스(206) 다음의 백-포치 간격동안 삽입된 펄스(211)를 갖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상기 삽입된 펄스는 가변 진폭 "오토-페디스털" 펄스이다. 오토- 페디스털 펄스의 진폭은 일반적으로 귀선 소거 레벨(204)로 부터 최대 레벨(212)까지 변한다. 레벨(212)은 동기 팁 레벨(208) 및 귀선 소거 레벨(204) 사이의 진폭의 약 50%이다.
제4a도에 도시된 파형은 활성 주사 시간동안 어두운 부분(210)을 구비한다. 상기 어두운 영상 영역은 "블랙커-댄-블랙" 귀선 소거 레벨(204)보다 더 "화이트"인 레벨(209)까지 확장된다. 만약, 어두운 영상 영역의 총 존속 기간이 필드 동안 비교적 크다면, "블랙-스트레치" 처리는 레벨(209)을 블랙 레벨 또는 블랙커-댄-블랙 귀선 소거 레벨(204)까지 확장된다. 제6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랙-스트레치" 처리는 비교적 단기간동안 어두운 레벨(209)을 귀선 소거 레벨(204) 이하의 레벨(213)까지 연장한다.
수평 및 수직 귀선 소거 간격은 제5a 및 5b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a도와 제5a도의 파형을 비교 하면, 수신된 신호의 수평 귀선 소거 간격(214) 및 귀선 소거 간격(216)이 거의 일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4b도와 제5b도의 파형을 비교하면, 수직 귀선 소거 간격(217)은 수신된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간격(215)보다 상당히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경제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문제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수상기 설계에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CX20125 IC와 같은 IC를 사용 하는 수상기에서는, 짧은 수직 귀선 소거 간격은 "블랙-스트레치" 처리가 수신된 신호의 귀선 소거 간격(215)의 개시와 귀선 소거 간격(217)의 개시 사이의 간격(218)동안에 억제되지 않기 때문에 제6b도에 도시된 응답으로 된다. 제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격(218)동안에 발생하는 수평 트레이스 부분은 표준 레벨(204)로부터 블랙커 -댄-블랙 레벨(213)까지 신장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간격(218)동안 발생 하는 수평 등화 펄스(282)는 레벨(208)에서 레벨(281)까지 신장될 수 있다. 상기에 대하여, 등화 펄스가 신장되는 반면, 간격(218)동안 일어나는 수평 펄스는 "블랙-스트레치" 처리가 수평 귀선 소거 간격동안 억제되기 때문에 신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a도에 도시된 블랙 영역(210)이 때로는 영상 영역의 총 듀티 사이클에 따라서 신장되듯이, 간격(218)동안 발생하는 수평 트레이스 영역은 귀선 소거 레벨(204)로 유지되거나 또는 장면 내용의 변화에 따라 최대 연장 레벨(213 또는 281)쪽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동기 분리기 비교 기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마진은 수평 동기 펄스에 대해 동기 팁 레벨(208)과 하부 레벨(212 또는 213) 사이가 되며, 수직 동기 펄스에 대해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비교기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선형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에 의해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의 동기 펄스 성분의 손상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여 이것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복합 신호는 비선형 영상 처리 회로와 보조 동기 분리기 회로에 병렬 방식으로 연결된다. 보조 동기 분리기에 의해 발생된 복합 수평 및 수직 동기 펄스는, 본 발명의 다른 여러가지 특징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의 손상된 동기 펄스를 증가시키거나 치환하는데 사용된다. 그 결과의 복합 비디오 신호는 보정된 동기 성분을 가지며, "원-칩" 텔레비젼 IC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평 및 수직 동기 펄스는 확실하게 영상 성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 번호가 첨부 도면에 기입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참조 번호는 같거나 유사한 소자를 나타낸다. 제1, 2a, 2b, 3, 4a, 4b, 5a, 5b, 6a, 및 6b도는 이미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7도를 참조하면, 휘도-색 분리기(90)에 의해 유도된 복합 취도 신호(104)가 예컨대, 소니 CX20125 IC를 포함하는 비선형 처리 회로(110)와 동기 보정 회로(111)에 병렬 방식으로 인가된다. 역시 동기 보정 회로(111)는 비선형 처리 회로(110)의 출력에서 발생된 비선형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105)를 수신한다. 복합 휘도 신호(105)는 상기에서 언급한 제6a 및 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상된 동기 부분을 포함한다. 동기 보정 회로(111)의 출력에서 발생왼 복합 휘도 신호(112)는 제11a 및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정된 동기 부분을 갖는다. 그 결과, 예컨대, 도시바 TA 8680을 포함하는 "원-칩" 텔레비젼 IC 200 또는 이와 유사한 IC의 동기 분리기(100)는 복합 휘도 신호(112)로부터 복합 동기 펄스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동기 펄스는 주사 처리 회로(120)에 연결된다.
제8a, 8b 및 8c도는 동기 보정 회로(111)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각각의 동기 보정 회로는 비선형 처리 회로(110)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복합 휘도 신호(104)를 수신하는 보조 동기 분리기(113)를 구비한다. 보조 동기 분리기(113)는 제9a 및 9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손상되지 않은 복합 동기 신호(117)를 발생 시키도록 제3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보조 동기 분리기(113)에 의해 유도된 복합 동기 신호(117)는 제8a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 동기 및 등화 펄스가 발생하는 시간 간격동안 증폭기(114)의 이득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증폭기(114)의 입력 신호는 손상된 동기 펄스를 가진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105)이다. 증폭기(114)의 출력 신호(116)는 제10a 및 1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증폭된 수평 동기 및 등화 펄스를 갖는 복합 휘도 신호이다. 증폭기(114)의 출력에 연결된 네거티브 피크 제한기(118)는 제11a 및 1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모든 수평 동기 및 등화 펄스가 동일 진폭을 가지도록 한다.
제8b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 동기 신호(117)는 가산기(170)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105)에 가산된다. 복합 신호(116)는 제10a 및 1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확장된 수평 및 등화 펄스를 지닌 복합 휘도 신호이다. 복합 휘도 신호(116)는 동기 보정된 복합 휘도 신호(112)를 제공하는 네거티브 피크 제한기(118)에 의해 네거티브 피크가 제한된다.
제8a 및 8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거티브 피크 제한기(118)는 각각 제8a도의 실시예의 이득 제어된 증폭기(114)와 제8b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산기(170)에 의해서 발생된 복합 동기 신호(116)가 상이한 진폭을 가진 펄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제10a도 및 10b도에 나타나 있다. IC 200의 동기 분리기(100)(제3도 참고)의 임계 비교기(108)보다 앞에 위치한 DC 복귀 클램프(103)는 입력 신호의 피크를 클램프하도록 동작되므로, 비교되어진 진폭 영역 또는 마진은 입력 신호의 피크 진폭의 함수가 된다. 이 때문에 동기 분리기(100)의 동작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네거티브 피크 제한기는 복합 휘도 신호(112)의 모든 펄스가 동일 진폭을 가지도록 하므로 상기 문제점이 해결된다.
제8c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 동기 신호(117)의 동기 펄스는 비선형으로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105)의 손상된 동기 펄스를 기준 전압(172)으로 치환하는 스위치(171)를 동작하는데 사용된다. 기준 전압(172)은 확장된 진폭 동기 펄스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모든 펄스가 기준 전압으로 치환되므로, 출력 신호(112)는 네거티브 피크 제한기를 필요로 함이 없이 동일한 진폭의 펄스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복합 동기 신호(112)의 펄스의 결과 진폭은 충분히 크게되며, 실제로 NTSC 표준 동기 보다도 크기 때문에 동기 분리 비교기 기준 전압은 제11a 및 1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최대 블랙 확장 레벨(212 또는 213)과 복합 휘도 신호(112)의 확장된 동기 팁 레벨(284)사이의 마진내의 레벨에서 신뢰할 수 있는 스위칭을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8d도는 제8a도로부터 블록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득 제어된 증폭기(114)는 단위량 보다 큰 이득을 갖는 피드백 전압 폴로워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220 및 222)를 포함한다. 증폭기(114)의 폐루우프 이득 (A)은 저항기(223, 224 및 225)에 의해 설정된 피드백 비율에 의해 결정되고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된다.
즉, A=1+R222/(R224+R225)
보조 동기 분리기(113)의 출력 신호의 펄스는 단락 저항기(225)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증폭기(114)의 이득을 증가시킨다. 에미터 저항기(231)와, 트랜지스터(229 및 230)가 배치된 비교기와 저항기(232 및 233)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회로망은 네거티브 피크 제한기(118)를 형성한다.
제8b도에 블록선도 형태로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는 제8e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8e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합 휘도 신호(104)는 보조 동기 분리기(113)와 제8e도에 도시된 회로에서 CX20125 IC를 포함하는 비선형 처리 회로(110)에 병렬 방식으로 인가된다. 캐패시터 (142)는 DC 블록킹 및 IC(110)내의 입력 클램프용 클램핑 기억 소자로 작용한다. 저항기(147)와 캐패시터(148)는 CX20125 IC의 "블랙-스트레치"기능을 위한 시정수를 제공한다. 저항기(144) 및 캐패시터(145)는 CX20125 IC의 "오토-페디스털" 기능을 위한 평균화 필터를 포함 한다. 저항기(143)는 CX20125에 의해 요구된 "백-포치" 클램프 펄스 입력 신호에 대한 전류 제한을 제공하고 저항기(146)는 복합 귀선 소거 펄스 입력에 대해 동일 기능을 제공한다.
트랜지스터(160)와 저항기(130, 131, 132 및 133)는 보조 동기 분리기(113)의 증폭기를 형성한다. 저항기 (134) 및 캐패시터(138)는 보조 동기 분리기(113)의 잡음 여유도를 개선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한다. 보조 동기 분리기(113)는 수평 및 수직 동기 분리 둘다를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듀얼 시정수를 가진 종래의 설계로 한다. 수평 시정수는 저항기(140) 및 캐패시터(139)에 의해 결정되고, 수직 시정수는 캐패시터(136) 및 다이오드(137)와 저항기(135) 및 저항기(140)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141)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복합 휘도 신호(104)로부터 복합 동기 펄스를 분리하기 위한 비교기로서 작용한다. 복합 동기 신호(117)는 트랜지스터(141)의 콜렉터에 나타난다.
가산 증폭기(170)는 공통 베이스단으로 배치된 트랜지스터(154)를 구비한다.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은 저항기(150 및 153)와 Vcc 공급 라인에 연결된 필터 캐패시터(152)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회로망에 의해 제공된다. 트랜지스터(154)의 에미터는 IC(110)에 의해 발생된 비선형 처리된 복합 휘도 신호(105)와 보조 동기 분리기(113)에 의해 발생된 복합 동기 신호(117)를 위한 가상 접지 가산 노드를 형성한다. 신호(105 및 117)는 저항기(149 및 155)에 의해 전류로 각각 변환된다. 상기 전류는 트랜지스터(154)의 에미터에서 합산된다. 공통 베이스 증폭기의 출력 전압은 부하 저항기(159) 양단의 트랜지스터(154)의 콜렉터에서 발생되고, 에미터 폴로어 배치된 트랜지스터(156)에 의해 버퍼된다. 보정된 동기 펄스를 가진 출력 복합 휘도 신호(112)는 부하 저항기(157)양단의 트랜지스터(156)의 에미터에서 일어난다.
제8b도에 관해서 언급된 피크 제한기(118)의 기능은 트랜지스터(154)의 동기 펄스(117)의 소정의 레벨에서 차단하도록 트랜지스터(154)의 베이스의 바이어스를 설정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베이스 바이어스는 저항기(150 및 153)에 의해 결정된다. 증폭기(170)의 이득은 동기 펄스(117)에 응답하여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상기 이득은 저항기(155 및 159)에 의해 설정된다.
제8f도는 제8c도에 블록 형태로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171)는 트랜지스터(236 및 240)와 저항기(237)를 포함하는 직렬 차단 스위치와, 트랜지스터(238) 및 저항기(239)를 포함하는 에미터 폴로어 증폭기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는 비선형 처리 회로(110)의 출력과 동기 보정 회로의 출력(112)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는 보조 동기 분리기(113)에 의해 발생된 복합 동기 신호(117)에 의해 제어된다. 복합 동기 신호(117)는 저항기(227 및 228)를 구비하는 회로망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26)와 부하 저항기(241)를 구비하는 증폭기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226)는 복합 동기 신호(117)를 반전시킨다. 반전된 신호는 저항기(234) 및 다이오드(235)를 구비하는 회로망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40)의 베이스에 연결 된다. 기준 전압(172)은 트랜지스터(236)의 에미터에 인가된다. 동기 펄스간에, 보조 동기 분리기(113)에 의해 발생된 복합 동기 신호(117)는 공급 전압 Vcc에 가까운 전압 레벨을 갖는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240)는 비도통되고 트랜지스터(236)은 도통하여, 비선형으로 처리된 휘도 신호(105)가 출력(112)에 연결된다. 네거티브-고잉 펄스가 보조 동기 분리기(113)의 출력(117)에 존재하면, 트랜지스터(240)가 도통되어 베이스 전압이 도통 트랜지스터(240)를 통하여 에미터에 연결된 기준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36)가 역바이어스된다. 따라서, 복합 휘도 신호(112)는 전압(172)에서 복합 동기 신호(117)의 펄스 간격동안 트랜지스터(238)의 베이스-에미터 포텐셜을 뺀 값과 같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블랙-스트레치" 비선형 처리 및 "오토-페디스털" 비선형 처리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소니 CX20125 IC와 같은 비선형 화상 엔핸스먼트 회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비선형 처리 기능중 단지 하나만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동기 펄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비선형 처리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는 것이 기술적으로 숙련된 사람에게 이해될 것이다. 더우기, 동기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휘도 신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색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비디오 신호와 같은, 동기 성분을 포함하는 어떠한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Claims (8)

  1. 영상 성분과 동기 펄스 성분을 포함하는 입력 복합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90)과, 상기 영상 성분 및 동기 펄스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상기 복합 비디오 신호(104)를 비선형적으로 처리하여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영상 성분 및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동기 펄스 성분을 포함하는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105)를 생성하는 수단(110)을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동기 성분은 비선형 처리에 의해 왜곡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상기 입력 복합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기 펄스 성분을 분리하여 왜곡되지 않는(undistorted) 동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분리 수단(113)과,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영상 성분 및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동기 성분을 갖는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와, 상기 분리 수단(113)에 의해 제공된 상기 왜곡되지 않은 동기 펄스 신호 모두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동기 성분을 보정하고, 상기 왜곡되지 않은 동기 펄스 신호에 응하여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영상 성분 및 왜곡되지 않은 동기 펄스 성분을 갖는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수단(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복합 신호의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영상 성분과 상기 왜곡되지 않은 동기 성분을 분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수단(200)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처리 수단(200)은 비디오 신호 처리부(81) 및 동기 펄스 분리기(100)의 입력에 결합되는,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112)를 갖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111)은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와 상기 왜곡되지 않은 동기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111)은 상기 출력 신호의 피크 진폭을 제한하여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111)은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의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동기 펄스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 신호(11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111)은 상기 출력 신호의 피크 진폭을 제한하여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복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111)은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의 상기 비선형적으로 처리된 동기 펄스 성분의 펄스를 치환하는 수단(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 성분 보정 장치.
KR1019910006845A 1990-04-30 1991-04-29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KR100244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6,152 1983-07-21
US07/516,152 US5210606A (en) 1990-04-30 1990-04-30 Apparatus for correcting distorted sync in a composite video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399A KR910019399A (ko) 1991-11-30
KR100244989B1 true KR100244989B1 (ko) 2000-02-15

Family

ID=2405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845A KR100244989B1 (ko) 1990-04-30 1991-04-29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210606A (ko)
EP (1) EP0455128B1 (ko)
JP (1) JP2896944B2 (ko)
KR (1) KR100244989B1 (ko)
CN (1) CN1030744C (ko)
CA (1) CA2039782C (ko)
DE (1) DE69120465T2 (ko)
ES (1) ES2090168T3 (ko)
MY (1) MY106069A (ko)
SG (1) SG63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341A (en) * 1994-08-05 1996-08-2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with non-linear processing selectively disabled during display of multi-image video signal
US5841563A (en) * 1996-08-21 1998-11-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optical transmission of NTSC video
US7352406B2 (en) * 2002-08-07 2008-04-01 Thomson Licensing Signal acquisition following transient signal interrup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7050A (en) * 1937-02-18 1940-12-31 Emi Ltd Television transmitting or receiving system
GB941731A (en) * 1959-04-03 1963-11-13 British Broadcasting Corp Improvements in electrical circuits having non-linear transfer characteristics
JPS56107674A (en) * 1980-01-31 1981-08-26 Sony Corp Gradation correcting device of video signal
JPS59211388A (ja) * 1983-05-17 1984-11-30 Toshiba Corp ゴ−スト除去装置
DE3400674C1 (de) * 1984-01-11 1985-03-2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Schaltung zur Versteilerung der Flanken eines Videosignals
JPS61295766A (ja) * 1985-06-24 1986-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期信号波形整形装置
JPH0533103Y2 (ko) * 1988-11-19 1993-08-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0465T2 (de) 1997-03-20
CA2039782C (en) 1995-10-24
ES2090168T3 (es) 1996-10-16
EP0455128B1 (en) 1996-06-26
SG63557A1 (en) 1999-03-30
CN1056199A (zh) 1991-11-13
EP0455128A3 (en) 1992-03-18
DE69120465D1 (de) 1996-08-01
KR910019399A (ko) 1991-11-30
US5210606A (en) 1993-05-11
CN1030744C (zh) 1996-01-17
JP2896944B2 (ja) 1999-05-31
CA2039782A1 (en) 1991-10-31
JPH04229775A (ja) 1992-08-19
MY106069A (en) 1995-03-31
EP0455128A2 (en) 199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9757C1 (ru)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US5339114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luminance signal clamped offset and re-clamped prior to contrast control for preventing black level changes with contrast control changes when displaying luminance signals having elevated black level
CA1159948A (en) Controlled output composite keying signal generator for a television receiver
JPH07114475B2 (ja) 画像再生装置の電流変更装置
US5206728A (en) Television system having an ultrablack video signal blanking level for an on-screen character display
US4354202A (en) Television receiver on-screen alphanumeric display
KR100244989B1 (ko)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PL118290B1 (en) System for regulation of blanking level
US4316214A (en) Keying signal generator with input control for false output immunity
US3955047A (en) D.C. reinsertion in video amplifier
CA1163360A (en) Keying signal generator with false output immunity
US4207591A (en) Gated automatic beam current limiter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4612577A (en) Video signal processor with selective clamp
US4337478A (en) Composite timing signal generator with predictable output level
US4523233A (en) Automatic bias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ed sense point
KR100253030B1 (ko) 울트라 블랙 비디오 신호소거 레벨을 갖는 온-스크린 문자 디스플레이용 텔레비젼 시스템
US3862361A (en) Video amplifier circuit for use with synchronous detectors
KR20030014731A (ko) 텔레비전 신호 처리 디바이스에서 샌드캐슬 신호 발생을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910005801Y1 (ko) Tv의 백폭 제한 회로
JPH0317505Y2 (ko)
KR900008273Y1 (ko) 약전계 지역에서의 텔레비죤 화면 자동 조정회로
KR200217154Y1 (ko)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JP2002112070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5935542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直流分再生装置
JPH09909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