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54Y1 -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54Y1
KR200217154Y1 KR2019980010124U KR19980010124U KR200217154Y1 KR 200217154 Y1 KR200217154 Y1 KR 200217154Y1 KR 2019980010124 U KR2019980010124 U KR 2019980010124U KR 19980010124 U KR19980010124 U KR 19980010124U KR 200217154 Y1 KR200217154 Y1 KR 200217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horizontal
clamping
sand castle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626U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0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54Y1/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개시된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표시기기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의 출력 단자가 음성신호, 색신호 및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디코더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샌드 캐슬 펄스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펄스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는 튜너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의 출력단자가 없는 디코더가 구비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블랭킹 펄스에 따라 작업자가 듀티를 조정하며 조정된 듀티에 따라 클램핑 펄스를 발생시키는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와,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혼합 블랭킹 펄스를 출력하는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와,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와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클램핑 펄스와 혼합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샌드 캐슬 펄스를 출력하는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디코더 선정시 활용폭이 매우 커지게 되고, 샌드 캐슬 펄스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 개발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
본 고안은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SCP : Sand Castle Pulse)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표시기기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의 출력 단자가 음성신호, 색신호 및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디코더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샌드 캐슬 펄스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펄스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표시기기에서 귀선이란 음극선관에서 전자빔이 한 개의 주사선에서 다음의 주사선으로 또는 한 개의 필드 끝 위치에서 다음 필드의 처음 위치로 옮길 때 전자빔에 의해 그려지는 궤적으로서 플라이백 선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귀선 소거란 귀선 기간 동안에 영상펄스의 펄스 레벨을 떨어뜨리거나 음극선관에서 전자빔의 방출을 억제시켜 화면상에 귀선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이 기간을 귀선 소거 기간 또는 블랭킹 기간이라고 하며 영상 펄스중 동기펄스와 동기펄스 앞뒤의 포오치(Porch) 부분을 합한 기간을 말한다.
또한 귀선 소거 펄스란 귀선의 소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펄스를 말하는데, 블랭킹 기간과 일치하는 펄스의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블랭킹 펄스라고도 하며 수평 블랭킹 펄스와 수직 블랭킹 펄스가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R, G 및 B 색신호를 음극선관에 충실하게 재현시켜 표시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프리앰프의 컷오프 제어단자의 전위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영상신호의 페데스탈 레벨을 일정 전위로 가지런하게 하기 위해 클램핑 펄스(Clamping Pulse)가 사용된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음성신호, 색신호 및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디코더(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출력되는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H-BLK)(V-BLK)와 클램핑 펄스가 제어용 집적회로(1)로 출력되어 각각 처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가 각각 입력되는 제어용 집적회로를 선정하는데 있어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제품의 회로를 설계하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표시기기에서는 집적회로의 핀 수 및 회로 설계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 샌드 캐슬 펄스는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신호처리부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블랭킹 신호와 수직 블랭킹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평/수직 블랭킹 신호를 혼합하여 발생시킨 신호로서, 이 신호에 동기된 영상신호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샌드 캐슬 펄스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2)에서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따른 샌드 캐슬 펄스(SCP)가 발생되어 제어용 집적회로(3)로 출력된다.
이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2)는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의 음성신호, 색신호 및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디코더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는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음성신호, 색신호 및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디코더에 샌드 캐슬 펄스를 발생하는 출력단자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디코더 선정시 활용폭이 매우 적어지며, 고정된 샌드 캐슬 펄스가 출력될 뿐 펄스의 폭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표시기기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의 출력 단자가 음성신호, 색신호 및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디코더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샌드 캐슬 펄스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펄스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샌드 캐슬 펄스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 11 :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12 : 듀티 조정부
20 :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
30 :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 H-BLK : 수평 블랭킹 펄스
V-BLK : 수직 블랭킹 펄스 SCP : 샌드 캐슬 펄스
VR1, VR2 : 가변 저항 C1, C2 : 콘덴서
Q1∼Q4 : 트랜지스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는 튜너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의 출력단자가 없는 디코더가 구비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블랭킹 펄스에 따라 작업자가 듀티를 조정하며 조정된 듀티에 따라 클램핑 펄스를 발생시키는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와,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혼합 블랭킹 펄스를 출력하는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와,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와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클램핑 펄스와 혼합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샌드 캐슬 펄스를 출력하는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10)는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블랭킹 펄스(H-BLK)에 따라 작업자가 듀티를 조정하며, 조정된 듀티에 따라 클램핑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10)는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 블랭킹 펄스를 인가받아 클램핑 펄스를 발생시켜 후술되는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로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monostable multivibrator)(11)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1)의 듀티를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 블랭킹 펄스(H-BLK)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가변 저항(VR1)(VR2)과 콘덴서(C1)(C2)로 이루어진 듀티 조정부(12)로 구성된다.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20)는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H-BLK)(V-BLK)를 혼합하여 혼합 블랭킹 펄스를 출력한다.
이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20)는 1H인 경우 10.5∼11.5㎲, 2H인 경우 4.5∼5.5㎲인 수평 블랭킹 펄스가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고, 인가된 수평 블랭킹 펄스에 따라 온/오프되어 이미터 단자로 수평 블랭킹 펄스와 동일한 펄스가 출력되는 버퍼용 제 1 트랜지스터(Q1)와, 1ms인 수직 블랭킹 펄스가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고, 인가된 수직 블랭킹 펄스에 따라 온/오프되어 이미터 단자로 수직 블랭킹 펄스와 동일한 펄스가 출력되는 버퍼용 제 2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가 혼합된 후 후술되는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로 출력된다.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는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10)와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20)에서 각각 출력되는 클램핑 펄스와 혼합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샌드 캐슬 펄스(SCP)를 출력한다.
이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는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20)에서 출력되는 혼합 블랭킹 펄스가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고, 콜렉터 단자가 후술되는 제 4 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 단자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로 혼합 블랭킹 펄스가 출력되는 버퍼용 제 3 트랜지스터(Q3)와,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10)에서 출력되는 클램핑 펄스가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고, 인가된 클램핑 펄스에 따라 온/오프되어 이미터 단자로 클램핑 펄스와 동일한 펄스가 출력되는 버퍼용 제 4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되며,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Q3)(Q4)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혼합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가 혼합된 후 샌드 캐슬 펄스(SCP)가 출력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영상표시기기의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블랭킹 펄스가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10)의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1)로 인가된다.
이렇게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1)로 수평 블랭킹 펄스가 인가되면, 작업자는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 블랭킹 펄스에 따라 복수개의 가변 저항(VR1)(VR2)과 콘덴서(C1)(C2)를 조정하고, 조정된 듀티에 따라 클램핑 펄스가 발생되어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의 제 4 트랜지스터(Q4)로 출력된다.
즉,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1)로 수평 블랭킹 펄스가 인가되면, EB티 조정부(12)의 가변 저항(VR1)(VR2)과 콘덴서(C1)(C2)의 CR 시정수에 의해 펄스폭이 조절된 클램핑 펄스가 생성된다.
또한,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가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20)의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 단자로 각각 인가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단자로 인가된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에 따라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는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각각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와 동일한 펄스가 출력된다.
이처럼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는 혼합된 후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의 제 3 트랜지스터(Q3)로 출력된다.
이제,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10)와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20)에서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30)의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 단자로 각각 인가된 혼합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따라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Q3)(Q4)는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각각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혼합 블랭킹 펄스 및 클램핑 펄스와 동일한 펄스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Q3)(Q4)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혼합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가 혼합된 후 샌드 캐슬 펄스(SCP)가 발생된다.
1H 주기 및 1V 주기로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SCP)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랫부분의 펄스가 혼합 블랭킹 펄스이고, 윗부분의 펄스가 클램핑 펄스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윗부분의 클램핑 펄스는 듀티 조정부(12)의 CR 시정수에 의해 펄스폭이 조절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에 의하면, 수평/수직 블랭킹 펄스와 클램핑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샌드 캐슬 펄스 출력단자가 디코더에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샌드 캐슬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코더 선정시 활용폭이 매우 커지게 되고, 샌드 캐슬 펄스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 개발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블랭킹 펄스에 따라 작업자가 듀티를 조정하며, 조정된 듀티에 따라 클램핑 펄스를 발생시키는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혼합 블랭킹 펄스를 출력하는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 및
    상기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와 수평 및 수직 블랭킹 펄스 혼합회로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클램핑 펄스와 혼합 블랭킹 펄스를 혼합하여 샌드 캐슬 펄스를 출력하는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펄스 발생회로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 블랭킹 펄스를 인가받아 클램핑 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부로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듀티를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평 블랭킹 펄스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듀티 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샌드 캐슬 펄스 발생회로.
KR2019980010124U 1998-06-13 1998-06-13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KR200217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24U KR200217154Y1 (ko) 1998-06-13 1998-06-13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24U KR200217154Y1 (ko) 1998-06-13 1998-06-13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26U KR20000000626U (ko) 2000-01-15
KR200217154Y1 true KR200217154Y1 (ko) 2001-04-02

Family

ID=6951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124U KR200217154Y1 (ko) 1998-06-13 1998-06-13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26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231B1 (ko) 텔레비젼 신호 처리 회로
JP2968609B2 (ja) テレビジョン・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CA1055150A (en) Tv receiver raster expansion system
KR200217154Y1 (ko) 영상표시기기의샌드캐슬펄스발생회로
US5523789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monitor for displaying video images reproduced from normal standard video signals
KR960008390B1 (ko) 비디오 표시 장치용 동기 펄스 분리기
KR100244989B1 (ko)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US6377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lor component focusing in a rear-projection television set
KR200183058Y1 (ko) 오에스디 수직블랭킹신호 분리회로
JPH029078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317505Y2 (ko)
JPS643431B2 (ko)
US3414669A (en) Blanking circuits for television receivers
JP3009903U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1146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이트밸런스 조정장치
KR930003485B1 (ko) Tv의 블랭킹 펄스 조정회로
KR930002692B1 (ko) 더블스캔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직편향 스위칭회로
KR920005199B1 (ko) 2개의 전자총을 이용한 고화질 텔레비젼
JP294438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30969Y1 (ko) 텔레비전 화면의 수직확대시 확대율 보정장치
JPH02228179A (ja) 互換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35561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
KR100265037B1 (ko) 텔레비젼의표준신호레벨검출라인발생방법및그장치
KR100211460B1 (ko) Tv 수상기의 부신호 화이트밸런스 조정장치
KR19990013440U (ko) 음성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텔레비전 화면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