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909B1 -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4909B1 KR100244909B1 KR1019970014182A KR19970014182A KR100244909B1 KR 100244909 B1 KR100244909 B1 KR 100244909B1 KR 1019970014182 A KR1019970014182 A KR 1019970014182A KR 19970014182 A KR19970014182 A KR 19970014182A KR 100244909 B1 KR100244909 B1 KR 1002449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nger
- distribution
- chamber
- pressure equalizing
-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8—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 F02M41/1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 F02M41/12—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 F02M41/123—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varying fuel delivery or injection timing
- F02M41/125—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 F02M41/126—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valves bein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djustable sleeves slidably mounted on rotary pist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8—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 F02M41/1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 F02M41/12—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0—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분배통로를 챔버에 개방하는 균압구를 2개 이상의 분배통로가 같은 시기에 챔버에 개방되도록 플런저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균압구를 플런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였고, 이 여러개의 균압구를 2개 이상의 분배통로에 걸쳐서 플런저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분배형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플런저의 회전속도에 관계없이 분배통로내의 잔류압력을 분사 사이클 마다 균일하게 유지하여 분사량의 일치성이 없음에 의한 엔진 토오크의 변동을 회피하고, 분배통로 사이에 잔류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른바 VE펌프나 VR펌프 등과 같이 회전하는 플런저의 배출구에서 여러개의 분배통로에 압축연료를 순차 압송하도록 한 분배형 연료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배형 연료분배장치에 있어서, 디이젤 엔진의 배기가스 규제에 대처하는 관점에서 분사연료의 고압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분사를 차단하는 순간에 있어서는 분사노즐에 통하는 경로내의 연료압이 단숨에 저하하므로 경로내의 압력분포가 흐트러져서 이 경로내에 반사파가 발생하고, 이 반사파에 의하여 2차 분사가 또는 감쇠밸브로 하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하여 검토되고 있으나, 반사파가 완전히 없어 질이는 없고, 또 경로의 일부를 이루는 분사장치의 분배통로의 성형(成型)오차등에 의하여 분사 사이클 마다 분배통로내의 잔류압력이 균일하게 없어지게 되어 안정한 분사량을 제공할 수 없어 엔진 토오크의 변동을 유발하는 염려가 있었다.
분사 사이클 마다의 잔류압력의 불균형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2-140433호 공보의 VE펌프에서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공정의 종료후에 분배통로를 챔버에 개방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이 VE펌프에서 사용되는 플런저는 캠디스크(cam disk)에 의하여 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엔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것이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플런저(1)에는 플런저 배럴(3)과의 미끄럼 접합부분에 도면에 없는 작동실에서 압축된 연료를 기통수에 대응하여 형성된 분배통로(14)에 순차 압송하는 배출구(12)와, 압송공정을 종료한 다음에 분배통로(14)를 챔버에 개방하는 균압구(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균압구(40)는 배출구에 대하여 180°위상이 이동하여 1개 형성되어 있었다.
균압구(40)는 그 형성위치가 배출구(12)에 대하여 반드시 180°의 위치에 없어서는 아니되는 것은 아니나, 개구부분이 캠각도로 하여 90°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7과 같이 4기통(A통~D통)에 대응하여 분배통로(14)가 4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통에는 플런저가 1회전(캠각도로 360°)할 때마다 압송공정과 균합공정이 1회씩 하게 된다. 더욱이, 여기서 압송공정(또는 균압공정)이라 함은 배출구(또는 균압구)가 물리적으로 분배통로(14)와 연통하고 있는 기간을 가리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균압구의 구성에서는 플런저의 저속회전시(예컨대, 아이들 회전시)에 있어서는 균압구가 분배통로와 연통하고 있는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각 분배통로의 잔류압력을 분사 사이클 마다 같게 할 수 있으나. 플런저의 고속회전시(예컨대, 2000rpm)에 있어서는 균압구가 분배통로와 연통하고 있는 시간이 짧아져서 분배통로내가 충분히 균압되지 않으며, 분배통로의 잔류압력이 사이클 마다 달라져버리는 폐단이 있었다. 그 결과, 고속회전시에는 1사이클 마다의 분사량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실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라고 하지만 엔진 토오크의 변동의 우려가 의연히 걱정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런저의 회전속도에 상관없이 분배통로내의 잔류압력을 사이클 마다 균일하게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분사량의 불균형에 의한 엔진 토오크의 변동을 피할 수 있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사이클 마다의 분사량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분배통로 사이에 잔류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균압구가 분배통로와 연통하고 있는 시간을 종래보다 길게 하면 고속회전시에서도 분배통로의 잔류압력이 사이클 마다 변동하는 일이 없게 되고, 또 여러개의 분배통로를 동시에 균압구에 연통시켜서 동일 공간에 개방시키면, 분배통로 사이에서 잔류압력이 달라져 버리는 불합리를 피할 수 있는 등의 식견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볼 발명에 관한 분배형 연료분사장치는, 엔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플런저와 기통수에 대응한 여러개의 분배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플런저를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삽입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분배통로의 일단이 삽입구멍에 접속하여 플런저의 원주면에 면하며, 분배통로의 타단이 개구하고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분배통로의 타단에 부착되어 분사노즐에 통하는 통로와 분배통로를 접속하는 송출밸브와, 하우징내에 형성된 챔버로부터 연료를 흡입하여 이 연료를 압축하는 작동실과, 플런저 및 하우징에 형성되어 이 플런저의 회전에 따라서 여러개의 분배통로에 순차 연통하여 작동실에서 압축된 연료를 분배통로에 순차 배출하는 배출경로와, 배출경로를 피하도록 플런저와 형성되어 분배통로중에서 배출경로와 연통상태에 있지 않는 2개 이상의 분배통로를 챔버에 대하여 같은 시기에 개방하는 균압경로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하우징이라 함은 분사장치의 케이스 본체나 케이스 본체에 굳게 장착된 부재를 의미하며, 하우징에 삽입구멍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예컨대 케이스 본체에 별개체인 플런저 배럴을 굳게 장착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송출밸브로서는 반사파를 좋은 효율로 흡수하기 위하여 등압밸브 또는 감쇠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를 압축하는 작동실은 VE펌프라면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플런저 단부와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VR펌프라면 플런저 자체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 2개 이상의 분배통로를 같은 시기에 챔버에 개방하는 균압경로로서는 플런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이 여러개의 균압 경로를 각기 다른 분배통로에 대하여 같은 타이밍에서 연통하는 것이였어도, 배출경로와 연통상태에 있지 않는 2개 이상의 분배통로에 걸쳐서 플런저의 둘레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였어도 좋다.
균압경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플런저의 둘레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 플런저의 축방향에 잇따라서 뻗는 여러개의 균압구와, 플런저와 형성되어 각 균압구와 접속하는 링형상 홈과, 하우징에 형성되어서 링형상 홈에 일단이 개구하고, 타단이 챔버에 개구하는 연통로 등으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배출경로와 연통상태에 있지 않는 2개 이상의 분배통로에 걸쳐서 플런저의 둘레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균압구와, 플런저와 형성되어서 균압구와 연속하는 링형상 홈과, 하우징에 형성되어서 링형상 홈에 일단이 개구하고, 타단이 챔버에 개구하는 연통로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전자의 구성이라면 균압구를 90°마다 위상을 위치 차이지게 하여 형성한다거나, 후자이라면 균압구의 형성범위를 원주각으로 하여 180°이상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의 회전에 의하여 배출구와 균압구는 위상을 위치 차이지게 하면서 여러개의 분배통로에 순차 연통하지만, 균압구는 2개 이상의 분배통로와 같은 시기에 연통하므로 압송공정이 종료하고 나서 다음의 압송공정이 개시되기까지 동안에 각 분배통로와 챔버의 연통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어떤 분배통로가 균압구와 연통하는 경우에는 다른 분배통로는 균압구로부터 벗어나서 연통이 두절되어 버리는 것이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떤 분배통로와 균압구와의 연통상태가 다른 분배통로와 균압구와 연통시기에도 확보되기 때문에, 분배통로가 챔버에 개방되어 있는 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배이상으로 길게 할 수 있다. 또, 2개 이상의 분배통로가 같은 시기에 챔버에 개방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것들 분배통로가 챔버라고 하는 동일 공간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분배통로 사이에 잔류압력이 변화하지 않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분배형 연료분사장치의 플런저와 그 주변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에서 사용하는 플런저를 나타낸 외형도.
제3도는 배출구, 균압구, 분배통로의 관계를 나타낸 플런저와 플런저 배럴의 단면도로서, 제3a도는 균압구를 여러개 설치하였을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제3b도는 균압구를 여러개의 분배통로와 연통하도록 일정한 원주영역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한 구성예.
제4도는 분배통로에 마련된 송출밸브의 단면도로서 제4a도는 등압밸브를 나타내고, 제6b도는 감쇠밸브를 나타냄.
제5도는 각 기통(A통~D통)에 대한 압송공정과 균압공정을 나타낸 선도로서, 제3a도에서 나타낸 균압구의 구성을 사용하였을 경우를 나타냄.
제6도는 각 기통(A통~D통)에 대한 압송공정과 균압공정을 나타낸 선도로서, 제3b도에서 나타낸 균압구의 구성을 사용하였을 경우를 나타냄.
제7도는 배출구, 균압구, 분배통로의 관계를 나타낸 종래의 플런저와 플런저 배럴의 단면도.
제8도는 각 기통(A통~D통)에 대한 압송공정과 균압공정 등을 나타낸 선도로서의 제7도에서 나타낸 종래의 균압구의 구성을 사용하였을 경우를 나타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런저(plunger) 2 : 케이스 본체
3 : 플런저 배럴 8 : 작동실
11 : 챔버 13 : 송출밸브
13b : 감쇠밸브(damping valve) 14 : 분배통로
16 : 분사노즐 40 : 균압구(均壓口)
41 : 링형상 홈 42 : 연통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분배형 연료분사장치로서, 예컨대 VE형 연료분사펌프의 플런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플런저(1)는 그 일단측이 케이스 본체(2)(하우징)에 굳게 장착된 플런저 배럴(3)에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타단측이 캠디스크(4)에 고정되어 있다. 캠디스크(4)는 로울러 호울더에 지지된 로울러(5)위에 재치되어 도면에 없는 커플링을 개재하여 엔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또, 캠디스크(4)에는 로울러(5)와 접촉하는 면이 기통수에 대응한 요철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엔진을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구동축이 회전되면 캠디스크(4)가 로울러(5)위를 회전함과 동시에 플런저 배럴(3)을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1)에는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축방향으로 잇따라서 플런저 배럴(3)에 삽입한 일단으로부터 세로구멍(6)(배출경로)이 형성됨과 동시에, 플런저 배럴(3)에서 돌출한 부분에 세로구멍(6)에 접속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1)의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차단구(7)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구멍(6)이 개구하는 플런저(1)의 일단과 플런저 배럴(3)에 의하여 포위된 밀폐공간에는 작동실(8)이 형성되어 있고, 또 플런저(1)에는 작동실(8)로 면하는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뻗은 흡입홈(9)이 기통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플런저(1) 및 케이스 본체(2)에 형성된 흡입통로(10)에 흡입홈(9)이 연통하면 펌프내의 챔버(11)로부터 흡입통로(10), 흡입홈(9)을 개재하여 연료가 작동실(8)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랜저(1)에는 세로구멍(6)(배출경로)에 일단이 접속하여 있고, 타단이 플런저 배럴(3)의 삽입부분의 원주면에 개구하는 배출구(12)(배출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배럴(3) 및 케이스 본체(2)에는 일단이 배럴에 개구하여 있고, 타단이 외부에 개구된 분배통로(14)가 기통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플런저(1)의 회전에 따라서 배출구(12)가 분배통로(14)에 순차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들 분배통로(14)는 예컨대 4기통이라면 도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배럴(3)에 90°의 위상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분배통로(14)의 외부에 개구하는 개구부(18)에는 송출밸브(13)가 부착되어 있으며, 분사노즐(16)에 통하는 파이프(15)가 이 송출밸브(13)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플런저(1)가 도 1에서 왼쪽으로 이동(travel)하는 과정에서는 챔버(11)의 연료가 흡입통로(10)에서 플런저 선단의 흡입홈(9)의 하나를 통하여 작동실(8)로 공급되며, 플런저(1)가 도 1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흡입통로(10)와 흡입홈(9)이 분리되어 펌프실내에서 압축된 연료가 플런저(1)의 세로구멍(6)을 거쳐 배출구(12)로부터 분배통로(14)의 하나에 압송되어 송출밸브(13)에서 파이프(15)를 통하여 분사노즐(16)에 보내지며, 이 분사노즐(16)에서 엔진의 기통내에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1)에는 차단구(7)를 커버하는 컨트롤 슬리이브(17)가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바깥쪽으로 끼워맞춤(external fit)되어 있다. 이 컨트롤 슬리이브(17)는 도면에 없는 작동기에 의하여 플런저(1)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어 컨트롤 슬리이브(17)를 플런저 배럴(3)측으로 이동하는만큼 분사기간을 길게 하여 분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구(12)가 분배통로(14)와 연통하여 압축연료가 압송되고 있는 공정중에 플런저(1)의 차단구(7)가 컨트롤 슬리이브(17)의 측연으로부터 벗어나서 챔버(11)에 개구하면, 압축된 연료가 챔버(11)에 유출하므로 분배통로내의 연료압이 분사노즐(16)의 분사밸브 개시압력을 단숨에 밑돌아서 분사가 종료한다.
더욱이 송출밸브(13)로서는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등압밸브(13a)나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감쇠밸브(13b)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들 송출밸브 자체는 공지된 것이며, 등압밸브(13a)에 있어서는 호울더(20)의 관통구멍(21)에 밸브 시이트(valve seat)(22)를 체결하여 호울더(20)와 밸브 시이트(22) 등으로 포위된 공간에 릴리이프 밸브(24)를 수납하고, 이 릴리이프 밸브(24)를 밸브 시이트(22)의 관통구멍(23)에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이 릴리이프 밸브(24)를 밸브 시이트(22)에 형성된 밸브 시이트에 스프링(25)으로 강압하고, 밸브 시이트(22)에 삽입된 릴리이프 밸브(24)의 단부에는 이 릴리이프 밸브(24)의 관통구멍(26)을 개폐하는 보올밸브(27)가 릴리이프 밸브(24)의 가압방향과 역방향으로 스프링(28)에 의하여 가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분배형 분사펌프에는 이것들 등압 밸브(13a)나 감쇠밸브(13b)가 사용되는 일은 없었으나, 이번의 VE펌프로 이것들 등압밸브(13a)나 감쇠밸브(13b)를 사용하도록 한 것은 분배통로내의 연료가 단숨에 저하하는 분사종료시에 분배통로내에 발생하는 반사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함이다.
분사종료시의 반사파의 저감에도 불구하고 분배통로(14)의 형성시의 흩어짐이나 통로저항의 흩어짐 등의 제요소에 의하여 분사 사이클 마다 분배통로내의 잔유압력이 다르다는 사실이 걱정된다. 그래서, 플런저(1)에 잔류압력을 조정하는 균압구(40)을 형성하고, 각 분배통로(14)를 배출구(12)와 접속하지 않는 기간을 이용하여 챔버(11)에 개방하도록 한다.
그 구체적 구성은 도 1~도 3(a)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플런저(1)에 분배통로(14)와 순차 연통하는 균압구(40)(균압경로)를 둘레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4기통의 경우를 상정하면, 배출구(12)에 대하여 90°, 180°, 270° 위상을 변동하여 3개소에 균압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 플런저(1)에는 배출구(12)와 간섭하지 않는 플런저(1)의 바깥둘레, 즉 배출구(12)와 흡입홈(9)과의 사이에 각 균압구(40)와 접속하는 링형상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플런저 배럴(3)에는 일단이 챔버(11)에 개구하였고, 타단이 플런저(1)의 링형상 홈(41)에 면하는 연통로(42)가 형성되어, 균압구(40)가 링형상 홈(41) 및 연통로(42)를 통하여 챔버(11)에 항상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배통로(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가 1회전하는 동안에 배출구와 3개의 균압구가 순차 연통하므로 배출구와의 연통후에 분배통로내의 잔류압력이 안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분배통로가 챔버에 대하여 3회 개방되는 동안에 분배통로의 잔류압력을 챔버의 연료압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분배통로와 하나의 균압구와의 연통시간이 균압을 충분히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지 않을 경우에도 3회의 연통시간을 맞춘다면 연통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플런저의 고속회전시에 있어서도 분배통로의 잔류압력을 분사 사이클 마다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분배통로가 챔버에 개방하는 시간을 단순히 길게 하였을 뿐만아니라 균압구(40)와 분배통로(14)를 같은 위상 마다 (90°마다) 형성하였으므로, 어떤 분배통로가 균압구를 개재하여 챔버에 개방된 시점에서는 다른 2개의 분배통로도 챔버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챔버(11)를 개재하여 3개의 분배통로(14)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분배통로 사이에서 잔류압력이 변동되는 일이 없고, 예컨대 작동실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였을 경우에도 각 통 사이의 분사상태에서 변동이 없게 된다.
또한, 분배통로가 챔버에 개방하는 시간이 길므로, 종래의 송출밸브가 사용되었다 하여도 분사 사이클 마다의 잔류압력의 분산은 충분히 억제된다고 생각되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송출밸브에 등압밸브 또는 감쇠밸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분사종료시에 발생하는 반사파를 등압밸브 감쇠밸브에 의하여 충분히 억제하면서 잔류압력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고, 분사 사이클 마다의 잔류압력의 분산이나 분배통로 사이의 잔류압력의 분산을 종래의 송출밸브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도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3(b)에 균압구(4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구성과 다른 점은, 균압구가 여러개의 분배통로에 걸치도록 일정한 원주영역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의 외주에 180°보다 얼마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적어도 2개의 분배통로가 동시에 연통하여 회전방향 전단이 어떤 분배통로에 당도하면 그 분배통로를 포함하여 3개의 분배통로가 동시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밖의 형상은 상기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개소에 동일 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 이상으로 분배통로를 챔버에 개방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분사 사이클 마다의 잔류압력의 분산이나 분배통로 사이의 잔류압력의 분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 형성된 균압구를 2개 이상의 분배통로를 같은 시기에 챔버에 개방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분배통로와 균압구와의 연통시간이 종래에 비하여 길어져서 분배통로내의 잔류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안정시킬 수 있으며, 분사 사이클 마다 분배통로내의 잔류압력이 변동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2개 이상의 분배통로가 같은 시기에 챔버에 개방되기 때문에 이 여러개의 분배통로는 챔버를 개재하여 서로 연통하게 되어 작동실에서의 연료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분배통로 사이에서 잔류압력이 변동하는 일이 없게 된다.
그위에, 여러개의 분배통로가 같은 시기에 연통하는 균압구를 예컨대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균압구나, 2개 이상의 분배통로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균압구로써 구성하는 경우에는 종전의 플런저에 다시금 가공을 가하는 것만으로 끝내고, 새로운 분사장치를 설계함이 없이 현행의 분사장치를 있는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 연료가 수용되는 챔버(11)가 형성된 하우징(2)과, 이 하우징(2)에 장착되는 플런저배럴(3)과, 이 플런저배럴(3)에 슬립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엔진에 동기(同期)하여 회전하는 플런저(1)와, 이 플런저(1)가 슬립이 자유롭게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1)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챔버(11)내의 연료가 흡입되어 압축되는 작동실(8)과, 상기 하우징(2) 및 상기 플런저배럴(3)에 상기 엔진의 기통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플런저(1)의 주면에 면함과 동시에 타단이 외부에 개구(開口)되는 여러개의 분배통로(14)와, 이 분배통로(14)의 타단에 부착되어, 분사노즐(16)을 통하는 통로(15)와 상기 분배통로(14)를 접속하는 송출밸브(13)와, 상기 플런저(1)에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1)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여러개의 분배통로(14)와 상기 작동실(8)을 차례로 연통하여 상기 플런저(1)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압축된 연료를 상기 분배통로(14)에 차례로 배출하는 배출경로(6, 12)를 구비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로(6, 12)가 1개의 분배통로(14)와 연통할 경우에, 상기 배출경로와 연통하지 않은 2개 이상의 분배통로(14)와 상기 챔버(11)를 연통하는 균압경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경로는, 플런저(1)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균압구(40)로 되었으며, 이 여러개의 균압구(40)는 배출경로(6, 12)와 연통하지 않은 나머지 분배통로(14)와 챔버(11)를 같은 타이밍에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경로는, 플런저(1)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플런저(1)의 축방향에 따라서 뻗은 여러개의 균압구(40)와, 상기 플런저(1)에 형성되고, 상기 균압구(40)의 각각의 일단과 연통하는 링형상홈(41)과, 플런저배럴(3)에 형성되고, 상기 링형상홈(41)과 상기 챔버(11)를 연통하는 연통로(42)에 따라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구(40)는, 플런저(1)의 둘레방향에 90°마다 위상을 차이지게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류분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경로는, 플런저(1)의 둘레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배출경로(6, 12)와 연통하지 않는 2개 이상의 분배통로(14)가 동시에 연통하는 균압구(40)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경로는, 플런저(1)의 둘레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배출경로(6, 12)와 연통하지 않은 2개 이상의 분배통로(14)가 동시에 연통하는 균압구(40)와, 상기 플런저(1)에 형성되어서 상기 균압구(40)와 접속하는 링형상홈(41)과, 상기 플런저배럴(3)에 형성되고, 상기 링형상홈(41)과 상기 챔버(11)를 연통하는 연통로(42)에 따라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구(40)는, 상기 플런저(1)의 둘레방향에 180°이상의 범위에 걸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밸브(13)에는 등압밸브 또는 감쇠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120972A JPH09287535A (ja) | 1996-04-18 | 1996-04-18 | 分配型燃料噴射装置 |
JP96-120972 | 1996-04-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0521A KR970070521A (ko) | 1997-11-07 |
KR100244909B1 true KR100244909B1 (ko) | 2000-03-02 |
Family
ID=1479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4182A KR100244909B1 (ko) | 1996-04-18 | 1997-04-17 |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H09287535A (ko) |
KR (1) | KR100244909B1 (ko) |
DE (1) | DE19716957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37170A (en) * | 1984-02-28 | 1985-08-27 | Diesel Kiki Co., Ltd. | Distribution type fuel injection pump |
-
1996
- 1996-04-18 JP JP8120972A patent/JPH09287535A/ja active Pending
-
1997
- 1997-04-17 KR KR1019970014182A patent/KR1002449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4-17 DE DE19716957A patent/DE19716957A1/de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37170A (en) * | 1984-02-28 | 1985-08-27 | Diesel Kiki Co., Ltd. | Distribution type fuel injection pu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9287535A (ja) | 1997-11-04 |
DE19716957A1 (de) | 1997-11-20 |
KR970070521A (ko) | 1997-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2221672A (ja) | 燃料噴射装置 | |
JPS6134345A (ja) | 燃料ポンプ装置 | |
JP3353916B2 (ja) | 燃料噴射ポンプ | |
JPH0343657A (ja) | 燃料噴射ポンプ | |
EP0073410B1 (en) | Distribution type fuel injection pump | |
US5431142A (en) |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US4469069A (en) | Fuel injection device | |
KR100244909B1 (ko) | 분배형 연료분사장치 | |
US5613839A (en) | Variable rate pump | |
US5639229A (en) | Fuel injection pump having a two piston spill valve arrangement | |
US5685275A (en) | Fuel injection pump with spill and line pressure regulating systems | |
US4499884A (en) | Fuel injection pumps | |
US4393826A (en) | Liquid fuel injection pumping apparatus | |
US4458649A (en) |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US5947707A (en) | Fuel pump with a cam having first and second plunger displacement regions | |
US5129380A (en) | Fuel injection pump | |
KR100328646B1 (ko) | 분배형연료분사펌프와이것을사용한연료분사시스템 | |
GB2190711A (en) | Liquid fuel pumping apparatus | |
EP0471436B1 (en) | Fuel pumping apparatus | |
KR19980042724A (ko) | 분배형 연료 분사펌프 | |
EP0721065B1 (en) | Fuel pump | |
KR200204917Y1 (ko) | 디젤엔진용 분배식 연료분사펌프의 플런져 작동부 균압형상 개선구조 | |
JPH05126008A (ja) | インナカム式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 |
JPH08177672A (ja) | インナカム式燃料噴射ポンプ | |
JPH02146254A (ja) |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