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308B1 -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308B1
KR100244308B1 KR1019960031456A KR19960031456A KR100244308B1 KR 100244308 B1 KR100244308 B1 KR 100244308B1 KR 1019960031456 A KR1019960031456 A KR 1019960031456A KR 19960031456 A KR19960031456 A KR 19960031456A KR 100244308 B1 KR100244308 B1 KR 10024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rupt
signal
output
buzz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742A (ko
Inventor
도주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308B1/ko
Publication of KR98001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using generation of basic tones
    • G10H5/0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using generation of basic ton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s active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럽트(intA, intB)에 따라 임의의 출력 포트(B)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토글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초기 리셋시에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부저 전용 포트(A)를 통해 출력하는 4비트 마이콤(10)과, 상기 4비트 마이콤(10)의 출력 포트(B)와 부저 전용 포트(A)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게이트(20) 및, 상기 논리합 게이트(2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음을 생성하는 부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4비트 마이콤(10)에서 논리합 게이트(20)를 통해 부저(30)로 입력되는 신호를 인터럽트를 이용하여 토글시킴으로서 멜로디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4비트 마이콤(10)이 멜로디를 생성하는 도중에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본 발명은 마이콤을 이용한 맬로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인터럽트를 이용하여 임의의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토글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여 부저로 입력함으로서, 음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4비트 마이콤에서는 부저 전용 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마이콤이 다른 프로 그램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부저 전용 포트를 통해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부저로 입력하여 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4비트 마이콤에서는 초기 리셋시에 설정해주는 데이터에 의해 부저 전용 포트를 통해 부저로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되어지므로, 일정 높이의 한가지 또는 두가지의 음만을 출력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4비트 마이콤에서는 음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멜로디를 출력하기 위한 멜로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으나, 멜로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에 마이콤이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부저 전용 포트를 통해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부저로 입력하여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멜로디 소자나 하드웨어를 갖추어야만 하며, 4비트 마이콤만을 사용하여 음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멜로디를 생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저의 입력신호로 사용되는 4비트 마이콤의 출력 신호를 인터럽트를 이용하여 토글시킴으로써 원하는 주파수로 가변시켜 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는, 인터럽트에 따라 임의의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토글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초기 리셋시에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부저 전용 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4비트 마이콤과, 상기 4비트 마이콤의 출력 포트와 부저 전용 포트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게이트 및, 상기 논리합 게이트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음을 생성하는 부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의 개략도.
제2a도는 제1인터럽트에 의해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
제2b도는 제1인터럽트 및 제2 인터럽트에 의해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논리합 게이트
30 : 부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다른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는, 4비트 마이콤(10)과, 논리합 게이트(20) 및, 부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4비트 마이콤(10)은 제2인터럽트(intB)에 따라 제1인터럽트(intA)의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인터럽트(intA)에 따라 출력 포트(B)의 출력 신호를 토글시켜 상기 출력 포트(B)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논리합 게이트(2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인터럽트(intA)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타이머 인터럽트를 이용하고, 상기 제2인터럽트(intB)는 외부 인터럽트 또는 상기 제1인터럽트(intA)에 이용되는 타이머 인터럽트와는 다른 주기를 갖는 타이머 인터럽트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4비트 마이콤(10)은 초기 리셋시에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부저 전용 포트(A)를 통해 논리합 게이트(2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논리합 게이트(20)는 상기 4비트 마이콤(10)의 출력 포트 (B)와 부저 전용 포트(A)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부저(3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저(30)는 상기 논리합 게이트(20)에서 입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음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의 작용을 제2a,b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비트 마이콤(10)에서는 타이머 인터럽트인 제1인터럽트(intA)를 사용하여 출력 포트(B)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부저(30)에서 생성되는 음의 높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4비트 마이콤(40)은 타이머 인터럽트인 제1인터럽트(intA)가 생성되면 출력 포트(B)에서 출력되는 '하이' 신호를 '로우'신호로 반전시켜 논리합 게이트(30)로 출력하고, 다시 제1인터럽트(intA)가 생성되면 '로우' 신호를 '하이'신호로 반전시켜 논리합 게이트(2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1인터럽트(intA)는 타이머 인트럽트이므로, 일정 시간 마다 생성되어,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비트 마이콤(10)의 출력 포트(B)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일정 주파수값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4비트 마이콤(10)의 출력 포트(B)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값(f)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1]
그러나, 상기와 같이 타이머 인트럽트인 제1인터럽트(intA)만을 사용하여 출력 포트(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토글시킬 경우에는 일정 주파수값을 가지는 신호밖에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제2인터럽트(intB)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인터럽트(intA)의 주기를 선택함과 더불어 선택된 주기로 제1인터럽트(intA)가 생성되는 시간을 결정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 포트(B)를 통해 논리합 게이트(20)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터럽트(intB)가 제1인터럽트(intA)의 주기를 바꾸고, 일정 시간후 다시 제2인터럽트(intB)가 주기가 바꾸어진 제1인터럽트(intA)의 주기를 바꾸어주므로, 4비트 마이콤(10)의 출력 포트(B)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음의 높이) 및 음의 길이(제2인터럽트의 입력 간격)가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음(435Hz)을 2초가 발생시킬 경우에는 첫 번째 제2인터럽트(intB)가 제1인트럽트(intA)가 1/870초의 주기를 갖도록 하고, 두 번째 제2인트럽트(intB)가 첫 번째 제2인터럽트(intB)가 입력된 후 2초 후에 입력되면 라음이 2초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인터럽트(intB)는 일정한 주기로 갖는 타이머 인터럽트 또는 외부인터럽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인터럽트(intA) 및 제2인터럽트(intB)는 4비트 마이콤(10)의 메인 루틴에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결정하여 음 발생 유/무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4비트 마이콤에서 부저로 입력되는 신호를 인터럽트를 이용하여 토글시킴으로써 멜로디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4비트 마이콤이 멜로디를 생성하는 도중에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제2인터럽트에 따라 제1인터럽트의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제1인터럽트에 따라 임의의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토글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초기 리셋시에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부저 전용 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4비트 마이콤과; 상기 4비트 마이콤의 출력 포트와 부저 전용 포트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게이트 및; 상기 논리합 게이트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음을 생성하는 부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럽트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타이머 인터럽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럽트는 외부 인터럽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럽트가 일정한 주기를 갖는 타이머 인터럽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KR1019960031456A 1996-07-30 1996-07-30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KR10024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456A KR100244308B1 (ko) 1996-07-30 1996-07-30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456A KR100244308B1 (ko) 1996-07-30 1996-07-30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742A KR980010742A (ko) 1998-04-30
KR100244308B1 true KR100244308B1 (ko) 2000-02-01

Family

ID=1946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456A KR100244308B1 (ko) 1996-07-30 1996-07-30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3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841A (ko) * 1990-03-22 1991-11-05 이헌조 캠코더와 티브이의 화상 인터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841A (ko) * 1990-03-22 1991-11-05 이헌조 캠코더와 티브이의 화상 인터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742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964A (ko) 분할비율이 변화될 수 있는 주파수 분할회로
KR100244308B1 (ko) 마이콤을 이용한 멜로디 생성 장치
JPH08139575A (ja) パルス出力回路
JPH0362611A (ja) クロック発生回路
JP2803704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KR930005643A (ko) 저주파 치료기의 시간조절장치 및 방법
JPH044482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KR930020250A (ko) 클럭 변환장치
KR970066859A (ko) 피엘씨 인터럽트 모듈의 노이즈 제거장치
KR100227281B1 (ko) 알람 발생장치
Cook et al. Square Waves
KR930018352A (ko) 시스템 콘트롤라의 클럭 재발생 회로
KR970013690A (ko) 글리치에 무관한 제어신호 발생회로
KR950015987A (ko) 클럭신호 선택방법 및 그 회로
KR920017354A (ko) 엣지 검출 기능을 갖는 펄스 발생회로
KR970072668A (ko) 펄스발생기
KR920019098A (ko) 주파수 카운터 제어회로
JPH032898A (ja) 電子楽器における楽音発生装置
KR970062900A (ko) Dsp 프로세서의 인터럽트 오류 방지방법 및 인터럽트 오류 방지장치
JPH06350417A (ja) 波形生成回路
KR950028317A (ko)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주파수 분주기
JPS6468798A (en) Effect adder
KR970059926A (ko) 엠씨유 출력단의 글리치 신호 출력 방지회로
KR950026122A (ko) 프로그래머블 분주기
KR850002624A (ko) 교류전기 신호에 나타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