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052B1 -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광안정성 스크린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광안정성 스크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052B1
KR100244052B1 KR1019970012542A KR19970012542A KR100244052B1 KR 100244052 B1 KR100244052 B1 KR 100244052B1 KR 1019970012542 A KR1019970012542 A KR 1019970012542A KR 19970012542 A KR19970012542 A KR 19970012542A KR 100244052 B1 KR100244052 B1 KR 10024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thoxydibenzoylmethane
butyl
rubber
dibenzoylm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025A (ko
Inventor
이자벨 앙쎈느
샤반느 까린 드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97006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복사에 대해 피부 및/또는 모발의 광보호 목적을 갖는 화장용의 새로운 광안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에, UV-A-활성 스크린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상기 스크린제의 안정화제로서, 각 단위가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단당류 고리들을 함유하는 단위들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에 상응하는 광안정화 방법 그리고 자외선 복사의 효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의 보호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응용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광안정성 스크린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자외선 복사에 대해 피부 및/또는 모발의 광보호를 목적으로하는 신규한 화장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이하에 더욱 간단히 스크린 조성물이라함), 상기의 화장적 이용에 있어서의 그것들의 용도, 그리고 특정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에 의한 특정의 UV-A-활성 유기 썬스크린의 광안정화의 일반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화장 및/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에, UV-A-활성 유기 썬스크린으로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광안정화제인 상기 특정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와 배합한 상태로, 함유하는 UV-광안정 스크린 조성물,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상기 다당류 알킬 에테르에 의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80 nm 내지 400 nm 의 파장의 광(光)복사가 인체의 피부를 태울 수 있고, UV-B 광선으로 알려져 있는, 280 nm 내지 320 nm 의 파장의 광선은 피부 화상 및 홍반(紅斑)을 일으켜 (피부의) 햇볕타기 (tan)의 자연적인 현상에 해로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UV-B 복사는 차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피부가 타는 원인이 되는, 320 nm 내지 400 nm의 파장의 UV-A 광선이, 특히 예민한 피부나 태양 복사에 끊임없이 노출된 피부의 경우에서는, 피부에 해로운 변화들을 유발하기 쉽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UV-A 광선은 특히, 피부의 탄력 감소 및 주름살을 형성시켜 조로(早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것은 어떤 개인에서는 홍반성 반응의 유발을 촉진하거나 이 반응을 증폭시키며, 심지어 광(光)독성 반응이나 광(光)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UV-A복사를 차단시키는 일이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UV-A 스크린제의 특히 유리한 계열은 현재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 특히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높은 고유 흡수력을 나타낸다. 이들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은, 지금은 그 자체가 UV-A-활성 스크린제로서 잘 알려진 제품들이 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프랑스 특허출원 FR-A-제 2,326,405 호 및 FR-A-제 2,440,933 호, 뿐만 아니라 유럽 특허출원 EP-A-제 0,114,607 호에도 기술되어 있다. 게다가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은 현재 Givaudan 사에서 "Parsol 1789" 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불행하게도.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은 자외선 복사 (특히 UV-A) 에 비교적 민감한 제품임이, 즉, 더욱 정확하게는, 자외선 복사의 작용하에 비교적 빠르게 분해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질상 영향을 받게끔되어 있는, 자외선 복사에 대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의 이와 같은 광화학적 안정성의 실질적인 결핍은 햇볕에의 장시간 노출중의 지속적인 보호를 보증하여 주지 못하며, 그 결과 사용자들이 UV 광선에 대한 피부의 효과적 보호를 얻기 위하여는 짧은 일정시간 간격마다 반복 도포하여야 하고,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들에게는 구속이 가하여지게 된다.
UV 복사에 대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의 광안정화는, 현재로서는, 아직 전적으로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이다.
지금, 본 출원인은, 뜻밖에 놀랍게도,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다당류 알킬 에테르와 상기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을 배합하면, 이들 동일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의 광화학적 안정성 (혹은 광안정성)을 실질적으로 주목할 만한 방식으로 개선시킬 수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이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제 1 주제에 따라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복사에 대해 피부 및/또는 모발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조성물들이 이제 제안되었으며, 이들 조성물들은, 특히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에, 적어도 하나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함유하는 종류의 것으로서, 그것들은 적어도 두개의 상이한 단당류 고리들을 함유하는 단위들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또한 함유하고, 각 단위는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UV-A 및 UV-B 복사에의 장시간 노출 후에도, 특히 광안정성이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복사는 그 기원이 자연광 (태양)이거나 또는 인공광 (UV 램프) 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UV 복사에 대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의 안정화의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단당류 고리들을 함유하는 단위들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의 유효량을 상기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과 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위는 포화 탄화수소 알킬사슬로 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UV 광선에 대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각 단위가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단당류 고리들을 함유하는 단위들로 형성된 다당류 알킬 에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도체는 화장용의 스크린 조성물에 포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자외선 복사에 대해 피부 및/또는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화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거기에 본 발명에 따른 광안정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성, 양상 그리고 이점들은 다음에 나오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안정화시키고자 하는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은 그 자체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그리고 특히 상기한 문서들 FR-A-제 2,326,405 호, FR-A-제 2,440,993 호 및 EP-A-제 0,114,607 호에 기술되어 있는 제품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가 있는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 중, 다음의 것을 특히, 제한적이 아닌 방식으로, 언급할 수 있다 :
- 2-메틸디벤조일메탄
- 4-메틸디벤조일메탄
-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4-t-부틸디벤조일메탄
- 2,4-디메틸디벤조일메탄
- 2,5-디메틸디벤조일메탄
- 4,4'-디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메틸-5-이소프로필-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메틸-5-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4-디메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6-디메틸-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상기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 중,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특히 Givaudan 사에서 "Parsol 1789" 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특히 좋으며, 이 스크린제는 하기 화학식 1에 해당한다 :
Figure kpo00001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바람직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는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이며, 이 스크린제는 Merck 사에서 "Eusolex 8020" 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하기 화학식 2 에 해당한다 :
Figure kpo00002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또는 유도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조성물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일반적으로는 0.01 중량 % 내지 10 중량 % 범위의 함량,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 내지 5 중량 %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다당류 알킬 에테르는 분자량이 100,000 을 초과하며 바람직하게는 200,000 을 초과한 것이 좋다. 각 단위는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하나 내지 여섯 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둘 내지 네 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할 수 있다.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24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개 그리고 더욱 좋기로는 1 내지 5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사슬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한다. 특히, 알킬 사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및 n-펜틸 사슬들로부터 선택된다.
단당류 고리는 특히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푸라노오스, 람노오스 및 아라비노오스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알킬 에테르는 고무 그리고 더욱 특별하게는 사실상 이온성 기가 전혀 없는 완전 비이온성 고무의 알킬 에테르이다. 언급될 수 있는 적합한 고무들은, 예를 들면, 구아고무 (그것의 단위는 갈락토오스와 만노오스로 구성되어 있다), 캐럽 고무 (그것의 단위는 갈락토오스와 만노오스로 구성되어 있다), 카라야 고무 (그것은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갈락투론산의 복합 혼합물이다), 그리고 트라가칸트 고무 (그것은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갈락투론산의 복합 혼합물이다) 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다당류 에테르는 구아 고무 유도체, 더욱 특별하게는, 문헌 RD 95378007 호 (1995년 10월) 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환도가 약 2 내지 3, 특히 2.5 인 에틸 구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알킬 에테르의 유효량이라는 표현은 조성물에 포함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또는 유도체들의 광안정성에 있어 눈에 띨 만한 유의한 개선을 얻기에 충분한 양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한다. 안정화제의 최소 사용량은, 조성물을 위해 선택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성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 광안정도의 측정을 위한 표준 시험, 이를 테면 아래의 실시예들에 주어진 것 등을 통해 어려움 없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 범위의 양의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안정성의 스크린 화장 조성물들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 외에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친수성 또는 친지성 (親脂性)의 UVA- 및/또는 UVB- 활성 추가보충 썬스크린을 함유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UV-B 영역 (대략 280 nm 내지 320 nm 의 파장) 에서 활성적인 보충 썬스크린제의 존재는 그러므로 모든 UV 광선을 차단시킬 수가 있는 유효한 최종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케 해 준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또한, 특히, 지방질 물질,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농후제, 연화제, 항산화제, 불투명제, 안정화제, 피부연화제, 실리콘, α-히드록시산, 발포(發泡)억제제, 보습제, 비타민, 향료, 보존제, 표면활성제, 충전재, (유기 또는 무기)안료, 금속이온 봉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 또는 산성화제, 염료 또는 화장품, 특히 스크린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기타 어떠한 성분에서 선택된 표준 화장 및/또는 피부과학용 화장보조제
Figure kpo00003
를 함유할 수 있다. 분명,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는 모든 추가 성분들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에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발휘하는 광안정성 효과를 실질적으로 파괴한다거나 해로운 영향을 미치거나 하는 일이 없을 정도로 존재하여야 한다.
지방질 물질은 오일이나 왁스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 그것들은 또한 지방산, 지방족 알코올 그리고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오일은 동물유, 식물유, 광유(鑛油) 또는 합성유 그리고 특히 액체 광유, 액체 파라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유, 이소파라핀, 폴리-α-올레핀, 플루오로 오일 및 퍼플루오로 오일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왁스들로 그 자체가 알려져 있는 동물, 화석, 식물, 미네랄 또는 합성 왁스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유기 용매들 중에는 8 개 미만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코올 및 폴리올들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알킬 에테르 이외의 다른 농후제들은 특히 교차결합 폴리아크릴산들 및 부분변형 또는 무변형 셀룰로오스들 이를 테면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들은, 특히, 오일 또는 단순 또는 복합 유탁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O/W, W/O, O/W/O 또는 W/O/W).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오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조성물이 유탁액인 경우, 그것의 수성상은 공지의 방법들 [뱅엄 (Bangham), 스탠디쉬(Standish) 그리고 와트킨스 (Watkins), 분자생물학저널 (J. Mol.Biol.) 제 13 권, 제 238 페이지 (1965년), FR 제 2,315,991 호 및 FR 제 2,416,008 호] 에 따라 제조되는 비이온성의 소포 (vesicle) 분산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성 화장 조성물들은 자외선 복사에 대해 인체 피부 또는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스크린 조성물 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들이 UV 광선에 대한 인체 피부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것들은 용매 혹은 지방질 물질들의 현탁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 비이온성 소포 분산액의 형태 또는 이와는 달리, 유액, 바람직하게는 수중유(oil-in-water) 형, 이를테면 크림 또는 밀크 등의 형태, 또는 연고, 겔, 고형 스틱, 스틱, 에어로졸 폼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들이 모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것들은 샴푸, 로션, 겔, 유액, 비이온성 소포 분산액 또는 헤어래커 (lacquer for the hair) 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머리감기 전후, 염색 혹은 블리칭(bleaching) 전후, 머리의 퍼머 혹은 스트레이트 동안이나 전후에 사용되는 린스제 조성물, 스타일링 혹은 트리트먼트용 로션이나 겔, 헤어 드라이어용 혹은 머리-세트용 로션이나 겔 또는 머리를 퍼머, 스트레이트, 염색 혹은 블리칭하는 용도의 조성물 등도 될수 있다.
상기 조성물들을 속눈썹, 눈썹 또는 피부를 위한 메이크업 제품, 이를테면 피부-치료용 크림,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새도, 연지, 마스카라 혹은 아이-라이너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은 무수 혹은 수성, 고형 혹은 페이스트(paste) 형, 예를 들면 분말,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액, 비이온성 소포 분산액 혹은 현탁액 등이 될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구체적인, 그러나 제한하는 것은 결코 아닌, 실시예들을 하기에 기재한다.
[실시예 1]
다음의 조성물들이 준비되었다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
-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Parsol 1789) 2 %
-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Stearineries Dubois 에서 상표명 "Finsilv TN" 으로 시판) 4 %
- 치환도가 약 2.5 인 에틸 구아 x %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적량 100 %
각종 조성물을, x의 값에 따라, 하기 표 1에서 대비하였다.
Figure kpo00004
조성물들은 약 60 ℃까지 가열된 구성요소들의 단순 혼합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들 조성물의 각각에 대하여, 전체 UV 스펙트럼 (280 - 400 nm) 에 의한 조사 후의 잔류성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백분율이 다음의 절차에 따라 결정되었다 : 각 조성물에 대하여, 네 개의 대조표준 샘플들과 네 개의 시험 샘플들이 준비되었다. 사전에 물로 린스하여 이후 건조시켰던, 동결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플레이트상에 2 × 4 cm2의 표면에 펼쳐진 조성물 16 mg 을 위치시켰다. 이 플레이트들은 이후 모두 어둠 속에서 반 시간 그대로 두었다. 이어서, 플레이트들에 전체 UV 스펙트럼 (Heraeus Suntest CPS) 으로 30 분간 조사시켰고, 대조표준 플레이트들은 다른 플레이트들의 조사 시간 동안 어둠속에 그대로 두었다.
샘플들은 이후 다음의 방식으로 분석평가되었다 : 각 플레이트를 50 g 의 이소프로판올에 담가서 스크린제를 용해시켜 스크린제를 추출하였다. 이 플레이트들과 스크린제를 함유하고 있는 용매를 이후 초음파로 5 분간 처리하여 교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잔류성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농도는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흡광 최대치 (355 nm)에서 분광광도측정에 의해 측정되었다.
그 결과들은,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초기 농도에 대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잔류 농도 백분율로서,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5
이들 결과는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Parsol 1789) 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 내의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안정성이 상당히 증가됨을 분명히 보여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썬 오일의 구체적인 예가 아래에 주어져 있다. 그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표현된다.
썬 오일 :
-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Parsol 1789) 1.25 %
- 2-에틸헥실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BASF사에서 상표명 "Uvinul N 539" 으로 시판) 3.75 %
- 치환도가 약 2.5 인 에틸 구아 4 %
- Stearineries Dubois 의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적량 100 %
- 염료 적량
- 향료 적량
상기 조성물은 약 60 ℃ 까지 가열된 구성요소들의 단순 혼합에 의해 제조되었다.
상기 썬 오일은 특히 광안정적이며 전(全) 범위의 UV 복사에 대한 보호를 확실히 하여 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UV-A 및 UV-B 복사에의 장시간 노출 후에도, 특히 광안정성이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2)

  1. 자외선에 대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안정화시키는 둘 이상의 상이한 단당류 고리들을 함유하는 단위들로 형성되고, 각 단위가 포화 탄화수소 알킬사슬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복사로부터 피부, 모발, 또는 그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각 단위가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둘 내지 네 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이 1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이 1 내지 5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알킬 사슬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 사슬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단당류 고리들이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로코오스, 푸라노오스, 람노오스 및 아라비노오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구아 고무, 캐럽 고무, 카라야 고무, 트라가칸트 고무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고무의 알킬 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2 내지 3 의 치환도로 에틸 사슬을 함유하는 구아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분자량이 200,000 을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20 중량 % 범위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 내지 10 중량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 2-메틸디벤조일메탄
    - 4-메틸디벤조일메탄
    -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4-t-부틸디벤조일메탄
    - 2,4-디메틸디벤조일메탄
    - 2,5-디메틸디벤조일메탄
    - 4,4'-디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메틸-5-이소프로필-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메틸-5-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4-디메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6-디메틸-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13. 제12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3 내지 5 중량 % 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화장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오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광안정성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둘 이상의 상이한 단당류 고리들을 함유하는 단위들로 형성되고, 각 단위가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다당류 알킬 에테르의 유효량과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들과 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V 복사에 대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안정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각 단위가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로 치환된 둘 내지 네 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이 1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포화 탄화수소 알킬 사슬이 1 내지 5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알킬 사슬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 사슬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단당류 고리가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푸라노오스, 람노오스 및 아라비노오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구아 고무, 캐럽 고무, 카라야 고무, 트라가칸트 고무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고무의 알킬 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2 내지 3 의 치환도로 에틸 사슬을 함유하는 구아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다당류 알킬 에테르가 분자량이 200,000 을 초과함을 특징으로 방법.
  29. 제20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
    - 2-메틸디벤조일메탄
    - 4-메틸디벤조일메탄
    -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4-t-부틸디벤조일메탄
    - 2,4-디메틸디벤조일메탄
    - 2,5-디메틸디벤조일메탄
    - 4,4'-디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메틸-5-이소프로필-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메틸-5-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4-디메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 2,6-디메틸-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 제29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되는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또는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광안정성 화장 조성물.
KR1019970012542A 1996-04-05 1997-04-04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광안정성 스크린 조성물 KR100244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4361 1996-04-05
FR9604361A FR2747038B1 (fr) 1996-04-05 1996-04-05 Composition filtrante photostable comprenant un derive de dibenzoylmethane et un alkylether de polysaccharide et ses utilis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5A KR970069025A (ko) 1997-11-07
KR100244052B1 true KR100244052B1 (ko) 2000-03-02

Family

ID=949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542A KR100244052B1 (ko) 1996-04-05 1997-04-04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광안정성 스크린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993788A (ko)
EP (1) EP0804922B1 (ko)
JP (1) JP2996627B2 (ko)
KR (1) KR100244052B1 (ko)
CN (1) CN1092514C (ko)
AR (1) AR006490A1 (ko)
AT (1) ATE171862T1 (ko)
AU (1) AU683201B1 (ko)
BR (1) BR9700493A (ko)
CA (1) CA2201959C (ko)
DE (1) DE69700035T2 (ko)
DK (1) DK0804922T3 (ko)
ES (1) ES2125735T3 (ko)
FR (1) FR2747038B1 (ko)
HU (1) HU220447B1 (ko)
MX (1) MX9702479A (ko)
PL (1) PL186345B1 (ko)
RU (1) RU2137466C1 (ko)
ZA (1) ZA972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5799B1 (fr) * 1997-07-08 1999-08-27 Oreal Composition brillante contenant des huiles aromatiques epaissies par un alkylether de polysaccharide
US6444195B1 (en) 2001-06-18 2002-09-0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 dibenzoylmethane derivative
FR2857663B1 (fr) 2003-07-17 2007-12-21 Bioderma Lab Nouveau composes derives de dibenzoylmethane, utilisation en tant que filtres solaires photoactivables et compositions cosmetiques les contenant
FR2886144B1 (fr) * 2005-05-27 2007-06-29 Oreal Procede de photostabilisation d'un derive de dibenzoylmethane par un derive sulfone de merocyanine ; compositions cosmetiques photoprotectrices contenant cette associaton.
TWI440926B (zh) 2010-12-31 2014-06-11 Hongda Liu 液晶顯示裝置
WO2016096344A1 (en) * 2014-12-15 2016-06-23 Unilever Plc Compositions for providing improved sunscreen prot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21A (ko) * 1987-07-01 1989-04-07 원본미기재 벤즈아제신 유도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90101C (nl) * 1978-11-13 1993-11-01 Givaudan & Cie Sa Dibenzoylmethaanverbinding en tegen licht beschermend preparaat.
JPS57171907A (en) * 1981-04-15 1982-10-22 Kanebo Ltd Alcohol-containing emulsified cosmetic for make-up
JPS62114905A (ja) * 1985-11-12 1987-05-26 San Ei Chem Ind Ltd 香粧品
EP0412710B1 (en) * 1989-08-07 1995-07-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ehicle systems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US5229104A (en) * 1991-04-29 1993-07-20 Richardson-Vicks Inc. Artificial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sitively charged paucilamellar vesicles
JP2986966B2 (ja) * 1991-06-26 1999-12-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H0532521A (ja) * 1991-07-25 1993-02-09 Max Fuakutaa Kk ゲル状化粧料
JP3220953B2 (ja) * 1992-03-19 2001-10-22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H0834719A (ja) * 1994-07-26 1996-02-06 Kao Corp 化粧料
US5618522A (en) * 1995-01-20 1997-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mulsion compositions
JPH08225431A (ja) * 1995-02-22 1996-09-03 Shiseido Co Ltd 香料組成物
JP3461405B2 (ja) * 1995-05-12 2003-10-27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3579778B2 (ja) * 1995-12-28 2004-10-20 株式会社コーセー サンケア化粧料
JP3549995B2 (ja) * 1996-03-12 2004-08-04 株式会社資生堂 W/o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21A (ko) * 1987-07-01 1989-04-07 원본미기재 벤즈아제신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1959A1 (fr) 1997-10-05
DE69700035T2 (de) 1999-02-25
JPH1036245A (ja) 1998-02-10
PL319292A1 (en) 1997-10-13
CN1173324A (zh) 1998-02-18
EP0804922B1 (fr) 1998-10-07
RU2137466C1 (ru) 1999-09-20
AU683201B1 (en) 1997-10-30
ZA972871B (en) 1997-10-02
FR2747038A1 (fr) 1997-10-10
JP2996627B2 (ja) 2000-01-11
BR9700493A (pt) 1998-11-03
ES2125735T3 (es) 1999-03-01
ATE171862T1 (de) 1998-10-15
US5993788A (en) 1999-11-30
KR970069025A (ko) 1997-11-07
HUP9700712A2 (hu) 1998-05-28
PL186345B1 (pl) 2003-12-31
AR006490A1 (es) 1999-08-25
HU220447B1 (hu) 2002-02-28
HU9700712D0 (en) 1997-05-28
HUP9700712A3 (en) 1999-07-28
DK0804922T3 (da) 1999-06-21
DE69700035D1 (de) 1998-11-12
FR2747038B1 (fr) 1998-05-22
CN1092514C (zh) 2002-10-16
MX9702479A (es) 1998-04-30
EP0804922A1 (fr) 1997-11-05
CA2201959C (fr)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0339B2 (ja) ジベンゾイルメタンから誘導されたサンスクリーン剤の光安定化方法、これによって得られた光安定性化粧品サンスクリーン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0269995B1 (ko) 디벤조일메탄유도체,1,3,5-트리아진유도체및아미드화합물을함유하는조성물,및그의용도
KR100308442B1 (ko)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1,3,5-트리아진유도체및알킬(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를함유하는조성물및이의용도
KR100269994B1 (ko) 디벤조일메탄유도체,1,3,5-트리아진유도체및벤잘말로네이트작용기함유규소유도체를함유하는조성물,및그의용도
JP3226484B2 (ja) ジベンゾイルメタン誘導体、1,3,5−トリアジン誘導体及びベンザルマロン酸ジアルキル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BRPI0516174B1 (pt) Usos de agentes estabilizantes
US6569409B1 (en) Method for providing dibenzoylmethane derivatives with light stability
KR100244052B1 (ko)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당류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광안정성 스크린 조성물
JP2008513369A (ja) 紫外線抑制系
PL185638B1 (pl) Zastosowanie 2-etyloheksylo alfa-cyjano-beta,beta-difenyloakrylanu w celu ulepszenia stabilności kompozycji kosmetycznych zawierających p-metylobenzylidenokamforę w połączeniu z pochodną dibenzoilometanu oraz sposób ulepszania stabilności tych kompozycji kosmetycznych
MXPA97002479A (en) Photostable filtering composition comprising a derivative of dibenzoylmethane and a polyacaride alkileter and its ut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