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366B1 -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366B1
KR100243366B1 KR1019940035340A KR19940035340A KR100243366B1 KR 100243366 B1 KR100243366 B1 KR 100243366B1 KR 1019940035340 A KR1019940035340 A KR 1019940035340A KR 19940035340 A KR19940035340 A KR 19940035340A KR 100243366 B1 KR100243366 B1 KR 10024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sd
control signal
microprocessor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628A (ko
Inventor
서경렬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4003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366B1/ko
Publication of KR96002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의 효과적인 화면분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분할영역을 설정하고 분할화면을 이동시키며 OSD IC의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서 화면분할컨트롤신호를 출력하는 OSD IC와, OSD IC로부터 화면분할컨트롤신호를 받아서 선택화면의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하드웨어의 양을 줄이고 다수선택화면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선택화면의 이동도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제1도는 종래의 NTSC송수상방식에 의한 화면분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분할장치의 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컴퓨터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사용되어지는 OSD IC의 핀구성 및 그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사용되어지는 멀티플렉서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사용되어지는 OSD IC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컴퓨터 2 : OSD(On Screen Display) IC
3 : 멀티플렉서 4 : 버퍼 또는 증폭기
5 :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6 : 수평표시 위치레지스터
7 : 수직표시 위치레지스터 8 : 타이밍 제너레이터
9 : 폰트 ROM 10 : 문자출력제어회로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의 영상신호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출(Iris)제어나 역광보정 등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그 부분의 영상신호만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인 자동 카메라인 경우, 영상출력전압의 피크치 또는 평균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에 따라 조리개모터의 구동증폭기를 제어하고 조리개모터를 구동시켜 적정 노출을 얻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화면 분할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주변광에 의한 간섭에 기인하여 영상출력전압이 정확-정밀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NTSC 송수상 방식에 의한 화면(zone)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빗금친 중심화면을 선택하기 위해서 수평카운터(H.counter)와 수직카운터(V.counter) 회로를 이용하므로 하드웨어(Hardware)의 양이 커지게 된다. 수평카운터인 경우 15, 750회(63.5마이크로세컨드)에 상당하는 횟수를 세어야 하므로 하드웨어의 양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여기에 부수하여 회로구성상 많은 소자들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카운터의 기준 클럭펄스(Clock pulse) 조건을 벗어나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아울러 하드웨어적 회로 구성은 다수선택화면시스템(Multi-zone system) 또는 선택화면(zone)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효과적인 화면 분할이 이뤄지지 않으며,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와 자막정보표시문자용 칩(On Screen Display IC, 이하 OSD IC로 표시하기로 한다)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화면분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분할영역을 설정하고 분할화면을 이동시키며 OSD IC의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서 화면분할컨트롤신호를 출력하는 OSD IC와, OSD IC로부터 화면분할컨트롤신호를 받아서 선택화면(zone)영상신호만을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단일 화면선택인 경우, 제1도의 빗금친 화면은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OSD IC(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데 그 프로그래밍을 위한 흐름도가 제3도에 예시되어있다. OSD IC의 칩실렉트(Chip-Select)를 시행하고 (A1,B1) 포인트주소(point address)를 지정한 후, 수평쪽의 컨트롤은 n개의 데이터를 계속 입력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수직쪽의 컨트롤은 주소(address)의 변경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또한 다수선택화면시스템(Multi-zone system)의 경우에는 제3도의 Block A를 여러개 준비한 후 선택함에 의하여 가능하다.
선택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A1-An, B1-Bm의 주소를 이동(shift) 시킴에 의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OSD IC로써 LC74770을 사용하기로 한다. 제4도는 LC74770의 핀구성 및 사용되는 핀의 입출력관계를 나타낸다. 외부의 동기회로에서 수평, 수직 동기펄스를 받아 화면표시구역에 대한 출발점(start point)을 잡고 내부 포트에 입력된 데이터와 어드레스로 문자를 출력한다. 여기서 CHA1(Pin#15)은 본연의 OSD 기능을 하는데 사용하고 CHA2(Pin#17)은 화면분할을 조정하는 데 사용한다.
제6도는 OSD IC의 내부 블럭도이다. 내부의 동작과정을 살펴 보면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어드레스와 데이터를 SIN(pin#9), SCLK(pin#8)를 통해 직렬(serial)로 입력받아서 수평(6), 수직(7) 표시위치레지스터에 로딩(loading)시킨다. 여기에서 출력된 값들은 타이밍 제너레이터(8)를 통해서 위치가 설정되게 되며, 한편으로 데이터값에 맞는 문자가 폰트ROM(9)에서 출력되어 문자출력제어부(10)로 보내지게 된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멀티플렉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여기에서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5)인 4066이나 4053이 사용되었다. OSD IC로부터 출력된 화면 분할 조정신호와 프로세스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Y신호)는 이곳 멀티플렉서를 거치게 되어 최종적으로 선택화면에 해당되는 영상신호만이 출력되어진다. 이 영상신호는 자동노출제어(Auto Iris), 역광보정 등에서 더욱 정확한 입력으로 작용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면분할장치는 기존의 NTSC 송수상방식에 의한 화면분할장치에 비해, 하드웨어의 양이 줄어들고 또한 다수선택화면체계 (Multi-zone system)를 구축할 수 있으며 선택화면의 이동도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화면분할영역을 설정하고 분할화면을 이동시키며 OSD IC의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서 화면분할컨트롤신호를 출력하는 OSD IC와, OSD IC로부터 화면분할컨트롤신호를 받아서 선택화면(zone)영상신호만을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래밍이 단일 화면 선택인 경우, 상기 OSD IC의 칩실렉트(Chip-Select)를 시행하고 (A1,B1) 포인트주소(point address)를 지정한 후, 수평쪽의 컨트롤은 n개의 데이터를 계속 입력시킴으로써 수행되는 한편, 수직쪽의 컨트롤은 주소(address)의 변경에 의하여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래밍이 다수선택화면시스템(Multi-zone system)인 경우, 상기 단일 화면을 여러개 준비한 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IC로써 LC74770의 CHA1(Pin#15)은 본연의 OSD 기능을 하는데 사용하고 CHA2(Pin#17)은 화면분할을 조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KR1019940035340A 1994-12-20 1994-12-20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KR10024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340A KR100243366B1 (ko) 1994-12-20 1994-12-20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340A KR100243366B1 (ko) 1994-12-20 1994-12-20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28A KR960024628A (ko) 1996-07-20
KR100243366B1 true KR100243366B1 (ko) 2000-02-01

Family

ID=1940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340A KR100243366B1 (ko) 1994-12-20 1994-12-20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3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28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218A (en) Source electrode driving circuit for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P0847194A2 (en) Periphal frame-portion display control in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339898B1 (ko) 영상표시장치
KR970019490A (ko) 복수화면영상신호표시장치
EP0765078A2 (en) Liquid-crystal display
KR920015356A (ko) 전자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시 화면편집장치
SK21792A3 (en) Circuit arrangement for information processing by lcd module and by lcd cell
KR19980081010A (ko) 평면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0243366B1 (ko) 디지탈 카메라의 화면분할장치
KR970019491A (ko) 2개 이상의 화상 시퀀스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US4608603A (en) Microprocessor driven video generator
WO2000077769A1 (en) Increasing color purity in color-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KR0120574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방법 및 회로
JPH08331486A (ja) 画像表示装置
KR100556384B1 (ko) 영상기기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KR0173715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소구동회로
KR100490933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및영상신호를디스플레이시스템에공급하는방법
KR100200365B1 (ko) 엔티에쓰씨/팔 겸용 행 구동 회로
KR970001402B1 (ko) 시퀀셜 스위쳐시스템의 데이타 세팅방법
RU2006942C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JPH10161612A (ja) マルチ画面液晶表示装置
KR100274392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분할 화면 출력 장치
KR0157481B1 (ko) 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직확대개선회로
KR970049401A (ko) 듀얼 영상 표시 장치
KR100861629B1 (ko) Lcos 컬럼 메모리 효과 축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