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867B1 - 복합자기헤드 - Google Patents

복합자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867B1
KR100242867B1 KR1019920006508A KR920006508A KR100242867B1 KR 100242867 B1 KR100242867 B1 KR 100242867B1 KR 1019920006508 A KR1019920006508 A KR 1019920006508A KR 920006508 A KR920006508 A KR 920006508A KR 100242867 B1 KR100242867 B1 KR 10024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
core portion
metal thin
magnetic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275A (ko
Inventor
마꼬도 와다나베
세이이찌 오가다
요시도 이께다
규 간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2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코일권취홈이 형성된 제1 자기코어부와 제2 자기코어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고 이들 코어부의 접촉면 사이에 자기 간극이 형성되고 제1 자기코어부의 코일권취홈에 보조코어부가 설치된 자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위각이 상호 다른 자기간극을 가지고, 헤드이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밀접배치된 1쌍의 자기헤드와, 다른 자기헤드의 자기간극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는 상기 자기헤드의 1쌍의 면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 도체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자기헤드는 선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기록매체상에 기록된 기록패턴의 일부가 후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중복기록되도록 배치되고, 강자성금속박막은 대략 V형상으로 배치되고, 강자성금속박막의 접촉면의 선단부는 중복기록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복합자기헤드
제1도는 미소재생왜곡만을 발생하는 형태로 디지탈화상정보를 압축하는 신호처리회로의 기록회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그 신호저리회로의 재생회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제1도와 유사한 도면.
제3도는 블록코드화를 위한 블록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sub-lining)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록회로의 블록코드화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록회로의 채널인코더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재생회로의 채널디코더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제6도와 유사한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자기헤드를 자기헤드의 테이프접촉면측에서 본 개략정면입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복합자기헤드의 부분측단면입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된 복합자기헤드에 의해 디지탈화상정보와 오디오신호가 기록된 자기테이프의 테이프포맷을 나타낸 개략도.
제11도 내지 제18도는 제8도에 도시된 자기헤드 제조방법의 각기 다른 일련의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제19도는 3분할되어 그 중 하나가 보조코어부로서 작용하는 블록의 사시도.
제20도는 강자성 금속박막의 형성후 선택적으로 보조코어부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복합자기헤드를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측에서 본 개략정면입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복합자기헤드의 부분측단면입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복합자기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가 기록 및/또는 재생되는 경우의 상호간섭을 설명하는 도면.
제24도는 테이프접촉면측에서 본 종래의 복합자기헤드의 개략정면입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종래의 복합자기헤드에 의한 자기테이프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26도 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기헤드 제조방법의 각기 다른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기헤드를 자기기록매체접촉면측에서 본 정면입면도.
제30도 내지 제3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기헤드 제조방법의 변형예에 따른 각기 다른 일련의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제33도는 제32도의 변형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기헤드를 자기기록 매체접촉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입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기헤드가 그 자기헤드의 자기기록매체접촉면측에서 보아 헤드이송방향에서 대향관계로 밀접된 상태의 복합자기헤드를 나타낸 개략정면입면도.
제35도는 자기간극에 방위를 설정하는 종래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36도는 절단후 헤드칩의 단면의 기계가공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37도는 각각 자기간극과 나란한 단면을 갖춘 1쌍의 자기헤드가 자기기록매체접촉면측에서 보아 헤드이송방향에서 상호 대향 관계로 밀접된 상태의 복합자기헤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3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복합자기헤드의 개략측면입면도.
제39도는 강자성 금속박막이 복합자기헤드의 접촉면측에서 보아 트랙폭 방향으로 변위된 상태를 나타낸 제38도의 복합자기헤드의 개략적인 확대정면입면도.
제40도는 강자성금속박막이 제39도에서의 방향과 반대의 트랙폭방향으로 변위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제39도와 유사한 도면.
제41도는 자기간극이 자기헤드의 접촉면측에서 보아 강자성 금속박막의 경사막의 인접면사이에 형성된 상태의 자기헤드를 나타낸 개략정면입면도.
제42도는 1쌍의 자기헤드에 의한 자기테이프의 기록을 설명하는 도면.
제43도는 1쌍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자기테이프의 테이프포맷을 설명하는 제42도와 유사한 도면.
제44도는 트랙폭방향으로 변위된 강자성 금속박막의 접촉부에 의해 발생된 누설자속에 의해 소거되는 자기테이프측상에 기록된 트랙을 도시한 도면.
제45도는 강자성 금속박막이 접촉면측에서 보아 트랙폭방향으로 변위된 상태의 제41도의 자기헤드의 확대개략정면입면도.
제46도는 강자성 금속박막이 제45도와 반대의 트랙폭방향으로 변위된 상태의 제41도의 자기헤드를 나타낸 유사한 도면.
제47도는 제38도의 복합자기헤드를 그 접촉면측에서 본 개략정면입면도.
본 발명은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등에 사용되는 복합자기헤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아날로그컬러비디오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 디지탈신호를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상에 기록하기 위한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서는 콤포넌트형 D1포맷의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와 방송국용 복합(composite)형 D2포맷의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가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는 방송국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을 전제로 하여 설계되므로 화질에 최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는 각기 하나의 샘플을 8비트디지탈신호로 아날로그-디지탈변환하여 얻어지는 디지탈컬러 비디오신호를 실제 압축하지 않고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러한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의하면 데이터기록밀도가 약 20.4㎛2/비트정도이고, 19 mm폭의 자기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15시간정도의 재생시간만을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러한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는 가정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다.
그런데, 예를 들어 0.5㎛의 최단 파장신호가 5㎛폭의 트랙상에 기록되면, 1.25㎛2/비트의 기록밀도가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소재생왜곡만이 발생되는 형태로 기록정보를 압축하는 방법이 이용되면, 폭 8mm이하의 자기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장시간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각기 다른 방위각을 갖는 1쌍의 자기헤드가 회전드럼상에 상호 180도 만큼 벌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개별적으로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행하는 통상의 가정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서는 편심적으로 장착된 회전드럼에 의해, 선행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트랙과 후행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다른 트랙이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비정상적인 트랙패턴이 생기기 쉽고, 그러한 비정상적인 트랙패턴이 생기면, 선행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신호가 후행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신호에 의해 부분적으로 소거되므로 그와 같이 기록된 신호로부터 충분한 재생 출력을 얻을 수 없는 한편 비트에러율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그러한 경우에, 효과적인 해결방법으로는 상호 대향하는 방위를 갖는 1쌍의 자기헤드가 예를 들어 단일의 헤드베이스(head base)에 부착된 복합자기헤드를 사용하여 동시적인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2개의 자기헤드의 자기간극(magnetic gap)간 거리는 장시간의 재생과 차후의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 반드시 최소로 해야 한다. 또, 근접누화(crosstalk)를 고려하면 방위각도 반드시 크게 해야 하지만, 그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대향하는 자기헤드의 자기코어의 상호 대응부분의 폭은 예를 들어 최고 50㎛ 정도이므로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코어의 미소한 단면적에 의해 헤드효율이 낮고 비트에러율이 충분히 낮아질 수 없다.
또, 제24도에 도시된 그러한 2개의 자기헤드(101, 102)의 자기간극(g1, g2)사이의 거리(GL)가 좁으면, 각각 자기간극(g1, g2)을 형성하는 자기코어(104, 105 ; 106, 107)중 대향하는 코어(105, 107)사이의 거리(L)가 좁고, 그에 따라 누설자속의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예를 들어 자기간극(g1)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이 다른 자기간극(g2)에 유입되어 후자의 자기간극(g2)의 기록 또는 재생신호와 상호간섭(누화)을 일으키게 된다. 그 결과, 기록 또는 재생신호가 열화되어 양호한 기록 또는 재생이 실현될 수 없다.
그러한 문제의 종래의 해결방법은 자기헤드사이에 누설자속을 차단하기 위한 자기차단판을 배설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해결방법은 자기헤드상에 8자형상 구조로 코일을 권취하여 누설자속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성분이 그 8자형상코일에 의해 상호 역위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량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기헤드간 거리가 최소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소자기간극사이에 자기차단판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자기헤드상에 8자형상 코일을 권취하는 것도 곤란하게 된다.
또한, 장시간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1쌍의 자기헤드를 사용하여 자기테이프의 자기트랙상에서의 동시적인 기록 및/또는 재생을 동시에 행하고, 공공복지를 위한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서 이용되는 가드밴드(guard band)를 구비하지 않은 소위 고체기록(solid writing)의 방위기록을 채용하는 구성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폭 5㎛의 트랙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8mm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채용되어 인접트랙의 신호를 픽업하면서 재생시의 트랙킹을 수행하는 ATF(automatic tracking)시스템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자동트랙킹시스템을 채용하여 기록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ATF시스템을 채용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각기 다른 방위각을 갖는 자기간극(g1, g2)을 갖춘 1쌍의 자기헤드(101, 102)가 헤드이송방향에서 대향하는 관계로 소정의 간격거리(GL)를 두고서 상호 인접배치되고, 상기 자기간극(g1, g2)은 각각의 기록된 트랙이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트랙피치방향에서 소정거리로 배치된 위치로 배설된다. 5㎛기록트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자기헤드(101, 102) 각각의 트랙폭이 자동트랙킹을 고려하여 7㎛정도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된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패턴은 제4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의 자기헤드(102)에 의해 기록된 자기테이프(403)상의 기록트랙(404)의 일부분(406), 즉 제42도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후행의 자기헤드(101)에 의해 기록된 다른 기록트랙(405)에 의해 중복기록(overwriting)되고, 그에 따라 제4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의 트랙피치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부분(406)은 이하 중복기록부분이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이 높은 복합자기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헤드의 기록 또는 재생신호의 상호 간섭이 최소로 되어 양호한 기록 및 재생을 확보하도록 된 복합자기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방위를 갖는 자기헤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기헤드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간극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이 최소로 되어 측소거(side-erasing)에 의해 발생된 그레이대역(gray zone)의 발생을 억압하도록 된 복합자기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부에 코일 권취홈(66)이 형성된 반쪽의 제1 자기코어부(61); 상기 반쪽의 제1 자기코어부(61)와 결합되어 단일부재인 자기헤드(57)를 형성하는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여기서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와 상기 반쪽의 제1 자기코어부(61)의 결합 면 사이에 자기 간극(magnetic gap; g1)이 형성됨-; 및 상기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권취홈(66)에 수용되는 보조 코어소자(72)를 포함하는 자기헤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자기헤드에 따르면, 코일권취홈(66)에 수용된 보조 코어소자는 코일 권취홈(66)이 형성되지 않은 제2 자기코어부(64)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는 상호 고정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코어소자가 상기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의 상기 복수의 소자 중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자기코어부(64)는 상기 보조 코어소자로서 작용하는 제1 소자(72); 상기 제1 소자(72)의 일측에 고정되는, 전면 코어(front core)로서 작용하는 제2 소자(62); 및 상기 제1 소자의 대향 면에 고정되고, 후면 코어(back core)로서 작용하는 제3 소자를 구비하는 3개의 소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위각(θ1, θ2)이 상호 다른 자기 간극(g1, g2)을 가지고, 헤드 이송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여 밀접 배치된 1쌍의 자기헤드(557, 558); 및 자기헤드(557, 558)의 자기 간극(g1, g2)으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차단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상기 자기헤드(557, 558)의 1쌍의 면 중에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도체 박막(593, 594)을 포함하는 복합 자기헤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복합 자기헤드에 따르면, 다른 자기헤드의 자기간극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을 차단하기 위한 도체박막이 헤드 이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밀접 배치된 자기헤드의 1쌍의 대향면 중 최소한 하나의 면에 형성되므로, 다른 자기헤드로부터의 누설자속이 상기 도체 박막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도체 박막(593, 594)이 은, 크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비저항이 10-8Ω·cm 이하인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체 박막(593, 594)의 두께가 1㎛∼50㎛ 범위를 갖는다. 그에 따라, 자기헤드의 기록 또는 재생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이 감소되고, 양호한 기록 및 재생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1쌍의 헤드 코어 블록(156, 157) 상에 각각 트랙 제한홈(160, 16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랙 제한홈(160, 161)이 상호 정렬된 상태로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을 배치하여 헤드 코어 블록을 유리(glass; 162)로 상호 용융 결합하는 단계; 상기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이 상호 결합된 결합면으로부터 이격된 헤드 코어 블록의 1쌍의 면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조되는 자기헤드의 자기 간극(g1, g2)의 방위각(θ1, θ2)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홈(163)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홈(163)의 저면(163a)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을 절단하여 헤드 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기헤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코어 블록이 상호 결합된 결합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호 일체로 결합된 1쌍의 코어 블록의 1쌍의 면중 최소한 하나의 면에 홈이 형성되고, 하나의 자기간극이 다른 자기간극의 방위각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헤드칩이 상기 홈의 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므로, 홈의 저면은 자기간극과 나란하지 않게 된다. 상기 홈(163) 형성 단계에서, 상기 홈(163)이 결합면으로부터 이격된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의 각 표면에 상기 각도로 형성되고, 그 저면(163a)에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얻어진 자기헤드의 헤드 이송 방향에서의 단면은 자기간극과 나란하지 않고, 그에 따라 자기간극이 일정한 방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위각(θ1, θ2)이 상호 다른 자기 간극(g1,g2)을 각각 구비하고, 헤드 이송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여 밀접 배치시키는 1쌍의 자기헤드(457, 458); 및 상기 자기헤드(457, 458)의 자기 간극(g1, g2)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자기 간극(g1, g2)에 대해 상호 거의 대칭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자기헤드(457, 458)의 각각 배치된 1쌍의 강자성 금속박막(460, 463)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간극(g1, g2)은 각각 선단부를 갖는 강자성 금속박막(460, 463)의 접촉 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자기헤드(457, 458)는 그들 중 선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기록 패턴 부분이 후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중복기록되는 관계로 기록 또는 재생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460, 463)의 접촉 면에서의 선단부는 중복기록이 이루어지는 중복기록 측에 배치되는 복합 자기헤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복합 자기헤드에 의하면, 자기 간극에 대해 상호 대략 대칭적으로 접촉되는 강자성 금속박막의 접촉면에서의 선단부는 중복기록이 이루어지는 중복기록 측에 배치되고, 강자성 금속박막이 임의의 일측으로 트랙폭 방향으로 변위되고, 중복기록 측으로 변위된 강자성 금속박막과 이 강자성 금속박막에 대향하는 다른 강자성 금속박막은 그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복기록 측으로 변위된 강자성 금속박막의 에지로부터의 누설자계가 거의 없고, 측소거 부분에 의한 그레이 대역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같은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미소한 재생왜곡만을 발생하는 형태로 기록정보를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입력디지탈화상신호를 각각 복수의 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블록으로 변환하고, 그 블록의 데이터를 압축코드화하고, 이 압축코드화된 데이터를 채널코드화하고, 이 채널코드화된 데이터를 회전드럼상에 장착된 복합자기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방법을 수행하는 신호처리회로의 전체적인 기록회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기록회로는 입력단자(1Y, 1U, 1V)에서 각각 디지탈휘도신호(Y)와 디지탈색차신호(U, V)를 수취한다. 상기 디지탈휘도신호(Y)와 디지탈색차신호(U, V)는 3원색 신호(R, G, B)로부터 형성된다. 이 경우, 각 신호의 클록레이트는 D1포맷의 각 성분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특히 각 샘플링주파수는 13.5 MHz와 6.75 MHz이며, 샘플당비트수는 보통 8비트이다. 따라서, 입력단자(1Y, 1U, 1V)에 인가되는 신호의 데이터양은 약 216 Mbps이다. 이와 같은 양의 입력데이터는 블랭킹기간동안 신호의 데이터를 제거하여 유효범위의 정보만을 추출하는 유효정보추출회로(2)에 의해 약 167 Mbps로 압축된다.
상기 유효정보추출회로(2)의 출력중 휘도신호(Y)는 샘플링주파수가 13.5 MHz의 3/4으로 변환되는 주파수변환회로(3)에 인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변환회로(3)로서는 중첩왜곡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첨멸(尖滅)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주파수변환회로(3)의 출력신호는 블록화회로(5)에 인가되어 휘도데이터의 순서가 블록의 순서로 변환된다. 상기 블록화회로(5)의 후단에는 블록코드화회로(8)가 설치된다.
제3도는 코드화를 위한 데이터블록의 상세한 블록구조를 나타내는 바, 이 구조는 3차원블록의 형태이고, 예를 들어 2프레임에 걸치는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라인×4화소×2프레임)의 다수의 단위블록이 형성된다. 제3도에서 실선은 기수필드의 라인을 나타내는 반면, 점선은 우수필드의 라인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유효정보추출회로(2)의 출력중 2종의 색차신호(U, V)는 샘플링주파수가 6.75 MHz의 1/2로 변환되는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sub-lining)회로(4)에 인가되고, 2종의 디지탈컬러신호가 각 라인마다 선택되어 채널데이터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회로(4)로부터 라인순차디지탈색차신호가 얻어진다. 상기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회로(4)에 의한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 된 신호의 화소구조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제4도에서은 제1 색차신호(U)의 서브샘플링된 화소를 나타내고, △는 제2 색차신호(V)의 서브샘플링된 화소를 나타내며, X는 서브샘플링에 의해 첨멸된 화소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회로(4)의 라인순차출력신호는 다른 블록화회로(6)에 인가되고, 이 블록화회로(6)에서 텔레비전신호의 스캐닝순서의 색차데이터가 상기 블록화회로(5)에서와 같이 블록순서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블록화회로(6)는 상기 색차데이터를 상기 블록화회로(5)와 마찬가지로 (4라인×4화소×2프레임)의 블록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블록화회로(5, 6)의 출력신호는 결합회로(7)에 인가된다.
상기 결합회로(7)에서, 블록순서로의 변환후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는 1채널용 데이터로 변환되고, 상기 결합회로(7)의 출력신호는 블록코드화회로(8)에 인가된다. 후술하는 각 블록용 다이나믹레인지(dynamic range)에 대해 채용된 코드화회로(이하 ADRC라 함)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ing)회로등이 상기 블록코드화회로(8)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블록코드화회로(8)의 출력신호는 프래임화회로(9)에 인가되어 프레임구조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프래임화회로(9)에서 화소계 클록으로부터 기록계 클록으로의 변환이 행해진다.
상기 프래임화회로(9)의 출력신호는 에러정정코드용 패리티가 발생되는 에러정정코드용 패리티발생회로(10)에 인가되고, 이 패리티발생회로(10)의 출력신호는 채널인코더(11)에 인가되어 기록데이터의 저주파수대역부분을 저감시키는 채널코드화가 수행되고, 상기 채널인코더(11)의 출력신호는 1쌍의 기록증폭기(12A, 12B)와 로터리트랜스포머(도시되지 않음)을 통에 1쌍의 자기헤드(13A, 13B)에 인가되어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되며, 상기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는 상호 별개로 압축코드화되어 채널인코더(11)에 인가된다.
상기한 신호처리의 결과로서 216 Mbps의 입력데이터양은 유효주사기간동안만의 추출에 의해 약 167 Mbps로 감소된 다음 서브샘플링 및 서브라이닝 뿐만 아니라 주파수변환에 의해 84 Mbps로 더 감소된다. 상기 데이터는 블록코드화회로(8)에 의한 압축부호화에 의해 약 25 Mbps로 압축되고, 그 후에 기록데이터의 양은 패리티, 오디오신호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의 부가에 따라 31.56 Mbps정도로 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처리회로의 재생회로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재생회로는 상기한 기록회로에 의해 기록된 자기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헤드(13A, 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기헤드(13A, 13B)로부터의 재생신호는 각각 로터리트랜스포머와 1쌍의 재생증폭기(14A, 14B)를 경유하여 채널디코더(15)에 인가된다. 상기 채널디코더(15)에서 상기 재생채널코드화신호의 복호화가 수행되고, 그 채널디코더(15)의 출력신호는 TBC(time base correcting)회로(18)에 인가된다. 상기 TBC회로(16)에서 재생신호의 타임베이스 가변성분이 제거되고, 상기 TBC회로(16)로부터의 재생데이터는 ECC회로(17)에 인가되어 에러정정코드를 사용하여 에러정정 및 에러수정이 수행되며, 상기 ECC회로(17)의 출력신호는 프레임분리회로(18)에 인가된다.
상기 프레임분리회로(18)에 의해 블록코드화데이터의 각 성분이 상호 분리됨과 더불어 기록계의 클록으로부터 화소계 클록으로의 변환이 수행된다. 상기 프레임분리회로(18)에 의해 분리된 각 데이터는 블록복호화회로(19)에 인가되어 원데이터에 상당하는 상기 프레임분리회로(18)로부터의 재기억데이터가 각 블록에 대해 복호화되고, 그 복호화데이터가 분배회로(20)에 인가된다. 이 분배회로(20)에서는 상기 복호화데이터가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는 각각 1쌍의 블록분리회로(21, 22)에 인가된다.
상기 블록분리회로(21, 22)는 상기 기록회로의 블록화회로(5, 6)와는 반대로 상기 블록순서의 복호화데이터를 라스터스캐닝순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블록분리회로(21)로부터의 복호화휘도신호는 보간회로(23)에 인가되고, 이 보간회로(23)에서 휘도신호의 샘플링속도가 3fs에서 4fs(4fs=13.5 MHz)로 변환되며, 상기 보간회로(23)로부터의 디지탈휘도신호(Y)는 출력단자(26Y)를 통해 취출된다.
한편, 상기 블록분리회로(22)로부터의 디지탈색차신호는 상기 분배회로(24)에 인가되어 라인순차디지탈색차신호(U, V)가 각각 디지탈색치신호(U, V)로 분리된다. 상기 분배회로(24)로부터의 디지탈색차신호(U, V)는 보간회로(25)에 인가되어 개별적으로 보간된다. 상기 보간회로(25)는 재기억된 화소데이터를 사용하여 첨멸된 라인 및 화소데이터를 보간하고, 샘플링속도가 4fs인 디지탈색차신호(U, V)가 보간회로(25)로부터 얻어져서 각각 출력단자(26U, 26V)를 통해 취출된다.
그런데, 상기한 블록코드화회로(8)로서는 ADRC(Adaptive Dynamic Range Coding)인코더가 채용되고, 그러한 ADRC는 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최대치(MAX)와 최소치(MIN)를 검출하고 그 최대치(MAX)와 최소치(MIN)로부터 블록의 다이나믹레인지(DR)를 검출하여 그 다이나믹레인지(DR)에 적합한 코드화를 수행하는 동시에 원화소데이터의 비트수보다 작은 비트수로 재양자화를 행한다. 이와 달리, 블록코드화 회로(8)는 먼저 각 블록의 화소데이터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가 수행되고, 그 DCT에 의해 얻는 계수데이터가 양자화된 다음, 그 양자화데이터가 실행길이후프만(Huffman)코드화 되어 압축코드를 얻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면, ADRC인코더를 채용하고 있으면서 멀티더빙(multi-dubbing)에 의해서도 화질의 열화가 발생되지 않는 인코더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5도에 도시된 인코더는 입력단자(27)에서 상기 결합회로(7)로부터 디지탈비디오신호, 즉 예컨대 하나의 샘플이 8비트로 양자화되는 디지탈색차신호를 수취하고, 상기 입력단자(27)로부터의 블록화데이터는 최대 및 최소치 검출회로(29)와 지연회로(30)에 인가된다. 상기 최대 및 최소치검출회로(29)는 각 블록에 대한 최소치(MIN)와 최대치(MAX)를 검출하고, 상기 지연회로(30)는 상기 입력데이터를 상기 최대치 및 최소치의 검출에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시키고, 상기 지연회로(30)로부터의 화소데이터는 1쌍의 비교기회로(31, 32)에 인가된다.
상기 최대 및 최소치검출회로(29)로부터의 최대치(MAX)는 감산회로(33)에 인가되고, 상기 최소치(MIN)는 가산회로(34)에 인가된다. 이 경우 비에지매칭양자화가 4비트고정길이로 수행되는 경우 양자화 단계폭의 값(△=1/16DR)이 비트시프트회로(35)로부터 상기 감산회로(33)와 가산회로(34)에 인가된다. 상기 비트시프트회로(35)는 1/16의 제산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다이나믹레인지(DR)를 4비트만큼 시프트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산회로(33)로부터는 (MAX-△)의 임계치가 출력되는 반면, 상기 가산회로(34)로부터는 (MIN+△)의 다른 임계치가 출력된다. 상기 감산회로(33)와 가산회로(34)로부터의 임계치는 각각 상기 비교기회로(31, 32)에 인가된다. 상기 임계치들을 결정하는 값(△)은 양자화단계폭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잡음레벨에 대응하는 고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비교기회로(31)의 출력신호는 앤드(AND)게이트(36)에 인가되는 반면, 상기 비교기회로(32)의 출력신호는 다른 앤드게이트(37)에 인가된다. 또, 상기 지연회로(30)로부터의 출력데이터는 양 앤드게이트(36, 37)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비교기회로(31)의 출력신호는 입력데이터 즉, 지연회로(30)로부터의 출력데이터가 상기 감산회로(33)로부터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하이레벨을 나타낸다. 따라서, (MAX∼MAX-△)의 최대레벨범위에 포함된 입력데이터의 화소데이터는 상기 앤드게이트(36)의 출력단자에서 추출된다. 반면에, 상기 비교기회로(32)의 출력신호는 상기 입력데이터가 상기 가산회로(34)로부터의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하이레벨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MIN~MIN+△)의 최소레벨영역에 포함된 입력데이터의 화소데이터가 상기 앤드게이트(37)의 출력에서 추출된다.
상기 앤드게이트(36)의 출력신호는 평균화회로(38)에 인가되는 반면, 상기 앤드게이트(37)의 출력신호는 다른 평균화회로(39)에 인가된다. 상기 평균화회로(38, 39)는 각 블록에 대한 평균치를 계산하고, 블록구간의 리세트신호가 단자(40)로부터 상기 양 평균화회로(38, 39)에 인가된다. (MAX∼MAX-△)의 최대레벨레인지에 속하는 화소데이터의 평균치(MAX′)는 평균화회로(38)로부터 얻어지는 반면, (MIN∼MIN+△)의 최소레벨영역에 속하는 화소데이터의 다른 평균치(MIN′)는 상기 평균화회로(39)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평균치(MIN′)는 감산회로(41)에 의해 상기 평균치(MAX′)로부터 감산되어 다이나믹레인지(DR′)가 얻어진다.
상기 평균치(MIN′)는 다른 감산회로(42)에도 인가되어 지연회로(43)를 통해 수취된 입력데이터로부터 감산회로(42)에 의해 감산됨으로써 최소치제거후의 데이터 PDI가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PDI)와 변경된 다이나믹레인지(DR′)는 양자화회로(44)에 인가된다. 상기한 블록코드화회로(8)는 양자화에 할당된 비트수(n)가 0비트(코드신호가 비전송), 1비트, 2비트, 3비트 및 4비트이고, 에지메칭양자화가 수행되는 가변길이 ADRC인코더의 형태이다. 상기 할당비트수(n)는 각 블록에 대해 비트수결정회로(45)에 의해 결정되고, 비트수(n)의 데이터는 양자화회로(44)에 인가된다.
상기 가변길이 ADRC인코더는 다이나믹레인지(DR′)가 비교적 적은 블록에서 상기 할당비트수(n)를 감소시키는 반면 다이나믹레인지(DR′)가 비교적 큰 다른 블록에서 상기 할당비트수(n)를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의 코드화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트수(n)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는 T1~T4(T1 〈T2 〈T3 〈T4)이고, 이때 다이나믹레인지가 DR′ 〈 T1인 블록에서 코드신호는 전송되지 않는 반면, 다이나믹레인지(DR′)의 정보만이 전송되고, 다이나믹레인지가 T1≤DR′≤T2인 블록에서 상기 할당비트수(n)는 n=1로 설정되며, 다이나믹레인지가 T2≤DR′ 〈T3인 블록에서 상기 할당비트수(n)는 n=2로 설정되고, 다이나믹레인지가 T3≤DR′ 〈T4인 블록에서 상기 할당비트수(n)는 n=3으로 설정되며, 다이나믹레인지가 DR′≥T4인 블록에서 상기 할당비트수(n)는 n=4로 설정된다.
그러한 가변길이 ADRC인코더에서 발생될 정보량은 상기 임계치(T1-T4)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소위 버퍼링(buffering))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길이 ADRC인코더는 1필드당 또는 1프레임당 발생될 정보량을 일정한 값으로 하는 데 필요한 본 발명의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와 같은 전송라인에 적용될 수 있다.
생성될 정보량을 일정한 고정값으로 하기 위한 임계치(T1∼T4)를 결정하는 버퍼회로(46)에 있어서는, 임계치(T1, T2, T3, T4)의 복수셋트, 예컨대 32셋트가 미리 준비되고, 이들 임계치셋트는 파라미터코드(Pi ; i = 0, 1, 2, …, 31)에 의해 상호 구별된다. 이 임계치셋트는 파라미터코드(pi)의 번호 i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될 정보량이 단조적으로 감소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생성된 정보량이 감소함에 따라 재기억된 화상의 화질이 왜곡되게 된다.
버퍼회로(46)로부터의 임계치(T1∼T4)는 비교회로(47)에 공급되는 반면 다이나믹레인지(DR′)는 지연회로(48)를 경유하여 비교회로(47)에 공급된다. 지연회로(48)는 버퍼회로(46)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치셋트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만큼 다이나믹레인지(DR′)를 지연시킨다. 비교회로(47)에서 블록의 다이나믹레인지(DR′)와 각각의 임계치가 상호 비교되고, 그 비교출력은 블록의 비트수(n)가 결정될 때 비트수결정회로(45)에 공급된다. 양자화회로(44)에서, 지연회로(49)를 경유하여 수취된 최소치의 제거후 데이터(PDI)는 다이나믹레인지(DR′)와 할당된 비트수(n)를 사용하는 에지 매칭양자화(edge-matching quantization)에 의해 코드신호(DT)로 변환된다. 이 양자화회로(44)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된다.
변경된 다이나믹레인지(DR′)와 평균치(MIN′)는 각각 지연회로(48, 50)를 경유하여 출력되고, 더욱이 임계치의 셋트를 표시하는 코드신호(DT) 및 파라미터코드(Pi)가 출력된다. 본 블록코드화회로(8)에서는 한번도 에지 매칭양자화되지 않은 신호가 다이나믹레인지정보에 따라 새롭게 에지 매칭양자화되어 더빙에 의한 화상왜곡이 감소된다.
이어서, 상기 채널인코더(11)와 채널디코더(1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인코더(11)는 패리티발생회로(10)의 출력이 공급되는 적응스크램블회로의 형태로 복수, 즉 M시퀀스의 스크램블회로(51)를 갖추고 있다. 채널인코더(11)는 입력신호에 적어도 고주파성분 및 dc성분이 관련된 경우에 출력으로부터 M시퀀스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1/(1-D2)(D는 단위지연회로)의 계산은 각 적응스크램블회로(51)에 접속된 부분응답등급 4검출시스템용 프리코더(pre-coder)(52)에서 수행된다. 프리코더(52)의 출력은 제1도에 나타낸 기록증폭기(12A, 12B)를 경유하여 자기헤드(13A, 13B)에 의해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된 신호로부터 자기헤드(13A, 13B)의 재생출력은 제2도에 나타낸 재생증폭기(14A, 14B)에 의해 증폭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디코더(15)는 부분응답등급 4의 재생측에 연산회로(53)를 포함한다. 연산회로(53)는 재생증폭기(14A, 14B)의 출력에 대해 1+D의 연산을 수행한다. 더욱이, 연산회로(53)에 접속된 비터비(viterbi)복호화회로(54)에서 잡음에 강한 데이터의 복호화가 데이터의 상관관계, 확률등을 사용하는 연산회로(53)의 출력에 대한 재산에 의해 수행된다. 비터비복호화회로(54)의 출력은 디스크램블회로(55)에 공급되어 기록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스크램블처리에 의해 재배열된 데이터가 원데이터의 재기억을 위해 본래의 시이퀀스로 복귀된다. 본 채널디코더(15)에 사용된 비터비복호화회로(54)에 의해 재생 C/N변환은 3 dB로 각 비트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하는 다른 경우에 비해 향상되었다.
제8도 및 제9도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자기헤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복합자기헤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채널복호화된 데이터를 자기테이프로 기록하거나 그 자기테이프로부터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이 도시된 복합자기헤드는 대체로 상호 다른 방위각을 갖는 자기간극을 갖춘 1쌍의 자기헤드수단에 의해 낮은 비트에러율로 폭이 8㎛ 이하인 미세 자기테이프에 대해 장시간동안 10㎛ 이하의 트랙폭으로 0.5㎛의 단파장에서 1.25㎛2/비트의 높은 기록밀도로 디지탈화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폭이 8mm 이하의 작은 폭을 갖는 자기테이프에 대해 장시간 동안 디지탈화상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해, 자기테이프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자기헤드(57, 58)에 의해 동시적으로 수행되도록 자기헤드(57, 58)쌍은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서 소정의 위치관계로 이송되게 된다. 이 자기헤드(57, 58)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자기헤드(13A, 13B)에 대응하는 것이다.
우선, 자기헤드(57)에 대해 설명한다. 자기헤드(57)는 제1 자기코어부(61)와 제2 자기코어부(64)를 갖추고 있고, 제1 자기코어부(61)는 강자성 산화물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부(59)와 진공박막형성법을 사용하여 자기코어부(59)상에 형성되는 강자성 금속박막(60)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자기코어부(64)는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부(62)와 강자성 금속박막(63)을 갖추고 있다.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61, 64)는 강자성 금속박막(60, 63)에 의해 제공되는 그 인접면에서 용융결합글래스(65)에 의해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자기코어부(61)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59)는 예컨대 Mn-Zn페라이트나 Ni-Zn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산화물로 구성되고, 강자성 금속박막(60)과의 대향면에 자기테이프에 기록신호를 공급하거나 그 테이프로부터 재생신호를 취하기 위한 코일(도시되지 않음)을 감기 위한 구면(矩面)의 코일권취홈(66)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글래스홈(67)이 자기코어부(59)의 강자성금속박막(60)과의 대향면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61, 64)사이를 더욱 확실하게 결합하기 위해 용융결합글래스(65)가 그 글래스홈(67)에 채워져 있다. 코일권취홈(66)은 자기테이프와의 접촉면으로서 제공되는 자기코어부(59)의 자기기록매체접촉면(68)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자기헤드(57)의 자기간극(g1)의 깊이는 자기기록매체접촉면(68)과 인접한 코일권취홈(66)의 경사면(66a)에 의해 제한된다. 그리고, 글래스홈(67)은 자기기록매체접촉면(68)으로부터 떨어진 자기코어부(59)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측면에 얕은 장홈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자기코어부(59)의 강자성금속박막(80)과의 대향부는 칩의 폭방향으로 그 양단부가 절단되고, 대략 중앙부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남는다. 자기코어부(59)의 대향부가 절단된 1쌍의 절단부(70, 71)는 자기헤드(57)의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을 제한하는 트랙폭제한홈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절단부(70,71)에 의해 형성되는 긴 코어부(59a)는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하, 상기 긴 코어부(59a)를 금속박막형성부라 한다. 이 금속박막형성부(59a)는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해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으로 경사져 있다.
강자성금속박막(60)은 금속박막형성부(59a)의 강자성금속박막(60)과의 대향면을 따라 자기기록매체접촉면(68)측으로부터 대향면(69)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강자성금속박막(60)은 경사면(66a)을 제외한 코일권취홈(66)과 글래스홈(67)내에 있는 금속박막형성부를 제외한 금속박막형성부(59a)의 전체 대향면상에 형성된다.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갖고 연자기특성이 우수한 강자성재료가 강자성금속박막(60)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강자성재료로는 Fe-Al-Si합금, Fe-Al합금, Fe-Si-Co합금, Fe-Ni합금, Fe-Al-Ge합금, Fe-Ga-Ge합금, Fe-Si-Ge합금, Fe-Co-Si-Al합금, 또는 Fe-Ga-Si합금등의 강자성금속재료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상기 열거된 Fe-Ga-Si금속의 내부식성이나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Fe, Ga, Co (Fe부분을 Co로 대체한 것을 포함) 또는 Si를 기본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여기에 Ti, Cr, Mn, Zr, Nb, Mo, Ta, W, Ru, Os, Rh, Ir, Re, Ni, Pb, Pt, Hf 및 V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추가한 합금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Fe, Ni, Co의 하나이상과 P, C, B, Si의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진 합금 또는 이와 같은 합금중 임의의 것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Al, Ge, Be, Sn, In, Mo, W, Ti, Mn, Cr, Zr, H, Nb등을 포함하는 합금등의 금속-반금속 비정질합금, 또는 Co, Hf이나 Zr과 같은 전이원소, 희토류원소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금속-금속 비정질합금등의 강자성 비정질합금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거한 강자성재료중에 포화자속밀도가 14 kG보다 높은 재료가 선택되는데, 이는 14 kG이상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재료가 1.25㎛2/비트이상의 높은 기록밀도가 가능하기 때문이고, 예를 들어 14.5 kG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Fe-Ga-Si-Ru합금이 적당하다. 또한, 포화자속밀도가 높은 강자성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자기포화없이 높은 항자력을 갖는 자기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예컨대 기상증착법, 스퍼터링법 또는 이온플레이팅법과 같은 진공박막형성법이 상기 열거한 소정의 강자성재료에 대한 막형성기술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기코어부(64)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62)는 상술한 자기코어부(59)와 마찬가지로 Mn-Zn페라이트나 Ni-Zn페라이트등의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자기코어부(62)는 제8도에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이송방향으로 두께가 얇고 단면형상이 평행사변형인 바(bar)형상의 코어로 형성된다. 보조코어부(72)는 제1 자기코어부(61)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59)상에 형성된 코일권취홈(66)에 대응하는 자기코어부(62)의 부분에 제공되어, 자기코어부(62)의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특히, 보조코어부(72)는 코일권취홈(66)의 형상과 같은 구면(矩面)을 갖는 돌출부로서 형성됨과 더불어, 코일권취홈(66)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코어부(52)의 대향면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따라서, 자기코어부(62)의 단면적은 보조코어부(72)의 단면적에 의해 증가되게 된다. 또, 강자성금속박막(63)이 형성된 상면의 대향측상에 있는 자기코어부(62)의 측면(62b)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의 수직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강자성금속박막(63)은 자기코어부(62)의 대향면(62a)을 따라 형성됨과 더불어, 자기기록매체접촉면(68)측으로부터 이와 이격된 대향면(69)으로 연장된다. 특히 강자성금속박막(63)은 보조코어부(72)의 대향면(72a)을 제외한 자기코어부(62)의 전체 대향면(62a)상에서 코일권취홈(66)의 저면(66b)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61, 64)는 강자성금속박막(60, 63)에 의해 형성된 그 인접면에서 상호 인접되고, 그 강자성금속박막(63)과 절단부(70, 71)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용융결합글래스(65)가 채워짐으로써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자기코어부(61, 64)는 사이에 간극막이 삽입될 강자성금속박막(60, 63)사이의 계면에서의 트랙폭이 TW1인 자기간극(g1)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자기간극(g1)은 제8도에 화살표 Y로 나타낸 트랙피치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방위각(θ1)을 가지고 설치된다.
여기서, 방위각(θ1)은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설치된 다른 자기헤드(58)의 자기간극(g2)으로부터의 누화를 저감시키기 위해 10도 이상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실제적으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 있어서,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은 20도로 설정된다. 또한,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은 자기테이프상의 트랙피치(P)보다 +0㎛ ~ +3㎛정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 한바, 이는 ATF(automatic tracking)에 있어서, 기록이나 재생은 인접한 트랙의 신호를 픽업하는 동안 수행되기 때문이다. 만일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이 지나치게 크면, 재생시 인접누화가 크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범위가 가장 적당하다. 특히, 트랙피치(P)는 10㎛ 이하로 설정되므로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은 10㎛ 내지 13㎛ 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 있어서, 트랙폭(TW1)은 자기테이프상의 트랙피치(P)를 5㎛로 하기 위해 7㎛로 설정된다.
다른 자기헤드(58)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3 자기코어부(75) 및 제4 자기코어부(78)를 갖춘다. 제3 자기코어부(75)는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부(73)와 이 자기코어부(73)상에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74)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제4 자기코어부(78)는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부(76)와 강자성금속박막(77)으로 구성된다. 제3 및 제4 자기코어부(75, 78)는 강자성금속박막(74, 77)에 의해 형성된 그 인접면에서 용융결합글래스(78)에 의해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자기레드(58)에는 상술한 자기헤드(57)와 마찬가지로 칩의 폭방향에서 그 양단이 절단되고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부가 가늘고 길게 남도록 자기코어부(73)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74)과 대향하는 부분이 형성됨과 더불어, 자기코어부(73)의 대향부가 절단된 1쌍의 절단부(80, 81)는 자기헤드(58)에서의 자기간극(g2)의 트랙폭(TW2)을 제한하기 위한 트랙폭제한홈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절단부(80, 81)에 의해 형성되는 긴 코어부(73a)는 자기간극(g2)의 트랙폭(TW2)과 동일한 폭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긴 코어부(73a)를 금속박막형성부로 한다. 이 금속박막형성부(73a)는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해 자기간극(g2)의 방위각(θ2)과 동일한 각을 가지면서 상술한 금속박막형성부(59a)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자기헤드(58)에서, 코일권취홈(82)과 글래스홈(83)은 강자성금속박막(74)에 대향하는 자기코어부(73)의 대향면상에 형성되고, 보조코어부(84)는 자기코어부(76)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면을 갖는 돌출부의 형태로 코일권취홈(82)에 대응하는 자기코어부(76)부분에 설치된다. 강자성금속박막(77)으로부터 떨어져서 보조코어부(84)상에 설치되는 자기코어부(76)의 측면(76b)은 상술한 자기헤드(57)의 자기코어부(62)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또한, 강자성금속박막(74, 77)은 진공박막형성법을 사용하여 강자성재료를 공급함으로써 형성되어 금속박막형성부(73a)의 대향면과 자기코어부(76)의 대향면(76a)을 따라 자기코어부(73)의 자기기록매체 접촉면(85)으로부터 이로부터 이격된 자기코어부(73)의 다른 면(86)까지 연장된다.
자기헤드(58)에서 제3 및 제4 자기코어부(75, 78)는 강자성금속박막(74, 77)에 의해 형성되는 그 인접면에서 인접됨과 더불어, 강자성금속박막(77)과 절단부(80, 81)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용융결합글래스(79)를 채움으로써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트랙폭이 TW2인 자기간극(g2)이 강자성금속박막(74, 77)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자기간극(g2)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방위각(θ2)을 갖는다. 요약하면, 여기서 자기간극(g2)의 방위는 상술한 자기헤드(57)에서의 자기간극(g1)의 방위방향과 역방향이고, 자기간극(g2)의 방위각(θ2)은 상술한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설정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구성된 자기헤드(57, 58)는 그 경사진 대향면(62b, 76b)이 상호 인접하도록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소정위치관계로 고정배치된다. 자기헤드(57, 58)는 제8도에 화살표Y로 나타낸 트랙피치방향으로 자기헤드(57, 58)에 의해 제10도에 나타낸 자기테이프(87)상에 기록된 트랙의 피치(P)와 대략 동일한 단차(D)를 갖고 배치된다. 여기서, 단차(D)는 트랙폭방향으로 헤드베이스(56)에 인접한 자기헤드(57, 58)에서의 자기간극(g1, g2) 종단사이의 트랙피치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특히, 자기헤드(57)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D)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88)상에 배치됨과 더불어 헤드베이스(56)상에 장착된다. 그 결과, 헤드베이스(56)상에 직접 장착된 자기헤드(57)의 자기간극(g1)의 종단부화 자기헤드(58)의 자기간극(g2)의 중단부사이의 트랙폭방향의 거리는 단차(D)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88)상에 배치된 자기헤드(57)의 자기간극(g1)은 헤드베이스(56)상에 직접 배치된 자기헤드(58)의 자기간극(g2)에 대해 단차(D)를 가지고서 헤드베이스(56)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자기테이프(87)상의 트랙피치(P)는 10㎛ 이하이므로, 단차(D)는 10㎛ 이하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실제적으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 있어서 트랙피치(P)가 5㎛이었으므로 단차(D)는 5㎛로 상호 같게 되었다. 따라서, 스페이서(88)의 두께도 마찬가지로 5㎛였다.
더욱이, 자기헤드(57, 58)는 제8도에 화살표X로 나타낸 헤드스캐닝방향에서 자기테이프(87)상의 인접한 트랙사이의 단차(d)와 동일한 단차(GL)를 갖고 배치된다. 여기서, 트랙사이의 단차(d)는 헤드스캐닝방향에서 기록영역의 인접한 기록트랙(89, 90)의 종단간 거리를 나타낸다. 또, 단차(GL)는 헤드스캐닝방향에서 자기헤드(57, 58)에서의 자기간극(g1, g2)의 트랙폭(TW1, TW2)의 중심간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차(GL)는 화상신호용 기록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선택되는데, 이는 예컨대 500㎛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만일, 단차(GL)가 500㎛ 보다 크게 되면 화상신호영역이 지나치게 좁아져서 재생에 장시간이 걸리는 불합리함이 있게 된다. 반면에, 단차(GL)가 지나치게 작게 되면 대향하는 자기코어부(62, 76)의 두께가 축소되고, 그 코어의 단면적의 축소에 의해 헤드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장을 고려하여 실제로 단차(GL)는 200㎛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자기코어부(62, 76)의 두께가 작은 경우에도 자기헤드(57, 58)의 자기코어부(62, 76)의 단면적이 자기코어부(62, 76)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보조코어부(72, 84)에 의해 증가되므로 헤드효율이 전혀 저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복합자기헤드는 헤드베이스(56)와 함께 회전드럼(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된다. 이 회전드럼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패턴이 회전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송되는 자기테이프(87)상에 자기헤드(57, 58)에 의해 형성되도록 스캔하기 위해 회전된다. 본 예에서 자기테이프(87)의 이송비와 자기헤드(57, 58)의 단위시간당 회전속도는 헤드스케닝방향의 자기헤드(57, 58)사이의 단차(GL)와 자기테이프(87)상의 인접트랙사이의 단차(d)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된다.
제10도에서, 자기테이프(87)상의 기록트랙(89, 90)은 헤드스캐닝방향에서 자기헤드(57, 58)쌍간의 단차(GL)와 동일한 단차(d)를 갖는 자기헤드(57, 58)에 의해 기록된다. 따라서, 자기헤드(57, 58)는 각각 기록트랙(89, 90)의 화상영역(89a, 90a)이나 오디오영역(89b, 90b)의 종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후에 기록되는 오디오신호가 임의의 다른 신호의 영향없이 용이하게 기록되게 된다. 더욱이, 기록 및/또는 재생은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배치된 2개의 자기헤드(57,58)에 의해 동시적으로 수행되므로, 8mm 이하의 테이프폭을 갖는 자기테이프(87)에 대해 기록이나 재생을 1.25㎛2/비트이상의 기록밀도로 실행하는 경우에도 디지탈화상신호의 장시간동안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비정상적인 트랙패턴에 기인하는 비트에러율의 증가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호 다른 방위각을 갖는 2개의 자기헤드가 회전헤드상에 180도의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8mm폭의 자기테이프(87) 상에 1.25 ㎛2/비트이상의 기록밀도로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경우에는 180도의 각도로 이격배치된 선행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하나의 트랙과 후행의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다른 트랙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비정상적인 트랙패턴이 편심상태등으로 장착된 회전드럼에 의해 발생된다. 그 결과, 선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신호부분이 후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신호에 의해 부분적으로 소거되어 충분한 재생출력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비트에러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복합자기헤드에 있어서는 2개의 자기헤드(57, 58)가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배치되므로 회전드럼이 예컨대 편심상태로 장착되는 경우에도 자기헤드(57, 58)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트랙(89, 90)은 다른 기록트랙과 겹쳐지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재생출력이 얻어지고 비트에러율이 높아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 있어서, 파장이 0.3㎛인 신호를 표준모드(SP)에서 테이프폭이 8mm인 자기테이프에 10㎛의 트랙피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했을 때 기록시간이 3시간이었다. 그리고, 상기 신호를 2배속 모드(LP)에서 5㎛의 트랙피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했을 때 기록시간은 6시간이었다.
상술한 자기헤드(57, 58)는 다음 방법으로 제조된다.
우선,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Mn-Zn페라이트로 이루어진 평면판형상의 블록(91)을 준비한다.
이어서,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블록(91)의 주표면(91a)상에 코일권취홈(66)과 글래스홈(67)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블록(91)을 글래스홈(67)과 나란하게 절단하여 2개의 블록(92, 93)으로 분할한다. 이때 블록(92)상에는 코일권취홈(66)과 글래스홈(67)이 갖추어지는 반면, 다른 블록(93)상에는 아무것도 형성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 블록(92, 93)의 주표면(92a, 93a)에 대해 경면가공을 수행한다. 이후,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라이트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구면을 갖는 보조코어부(72)가 금결합(gold joining)에 의해 상기 블록(93)의 주표면(93a)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블록(93)의 주표면(93a)상에 Cr이나 Ti로 이루어진 기저층을 형성하고, 이 기저층에 Au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코어부(72)의 결합면상에 Cr이나 Ti로 이루어진 기저층을 형성하고, 이 기저층상에 Au층을 얇게 피복한다. 이때 Au층은 상호 접촉됨과 더불어 열적으로 확산되어 블록(93)과 보조코어부(72)를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Au를 이용한 열확산결합은 150∼300도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므로 자기특성의 열화와, 열팽창에 의한 왜곡영향 및 산화확산반응등이 없이 유효하게 된다. 특히, 이 열확산결합은 비정질합금이 강자성금속박막으로 채용되는 경우 유리하고, 또한 열확산온도가 결정화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결정화에 의한 연자기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Cr이나 Ti로 이루어진 층이 기저층으로서 제공되므로 높은 결합강도가 보장되게 된다.
보조코어부(72)는 코일권취홈(65)에 수용되어 그 안에 코일을 감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코일권취홈(5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최소치수로 정한다.
이어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92, 93)의 주표면(92a, 93a)상에 강자성재료를 스퍼터링하여 강자성금속박막(60, 63)을 형성한다.
본 예에서, 강자성금속박막(60)은 블록(92)상에 형성된 경사면(66a) 이외의 코일권취홈(66)과 글래스홈(67)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강자성금속박막(63)은 다른 블록(93)상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코어부(72)의 표면(72a)상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블록(93)의 주표면(93a)에 수직으로 연장되게 된다.
다음에,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폭제한홈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부(70, 71)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취홈(66)과 글래스홈(67)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블록(92)의 주표면(92a)상에 형성한다.
본 예에서, 절단부(70,71)는 코일권취홈(66)의 경사면(66a)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 절단부(70, 71)는 블록(92)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거리에서 하나의 블록(92)에서 제조되는 헤드수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 종단에 강자성금속박막(60)을 갖춘 긴 금속박막형성부(59a)가 절단부(70, 71)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금속박막형성부(59a)의 두께는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과 동일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블록(92, 93)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사이에 게재된 소정두께의 간극막을 갖고서 강자성금속박막(60, 63)에 의해 형성된 그 인접면에서 상호 인접되고, 이어, 용융결합글래스(65)가 글래스홈(67)과, 각 블록(92, 93)상에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63)과 절단부(70, 71)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다.
따라서, 블록(92, 93)은 코일권취홈(66)에 수용되는 보조코어부(72)와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또 자기간극(g1)이 강자성금속박막(60,63)사이에 형성된다.
이어서, 결합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그에 대향하여 결합되어 일체화된 블록(92, 93)의 면은 코일권취홈(66)이 형성된 블록(92)의 폭(W1)이 750㎛로 되고 다른 블록(93)의 폭(W2)이 50㎛로 될 때까지 평탄하게 연마된다.
이어서, 상술한 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결합블록(94, 95)을 일체적으로 결합된 블록(92, 93)과 유사하게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일체적으로 결합된 블록(92, 93 ; 94, 95)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일치된 간극위치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사다리꼴의 양변과 같은 대향관계로 배치된다. 수직선과 일체적으로 결합된 블록(92, 93 ; 94, 95)의 대향면사이에 형성되는 각(θ1, θ2)은 자기간극(g1, g2)의 방위각에 따라서 20도로 한다.
이어서, 상기 블록(92, 93 ; 94, 95)은 이 상태로 고정되고, 칩의 두께가 0.2mm로 되도록 제18도의 A-A선 및 B-B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절단된다.
그 결과, 상술한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다른 방위각(θ1, θ2)을 갖는 1쌍의 자기헤드(57, 58)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블록(92, 93 ; 94, 95)으로부터 얻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의 복합자기헤드는 상술한 상태에서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자기헤드(57, 58)를 배치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공정에서 보조코어부(72)는 금결합에 의해 블록(93)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한편, 보조코어부(72)는 예컨대 블록(93)으로부터 기계가공함으로써 블록(93)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는,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코어부(72)상에 제1 블록(96)이 설치되고 전면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블록(97)과 후면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제3 블록(98)이 분리 형성되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술한 보조코어부(72)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금속박막(63)이 블록(93)상에 형성된 후에 강자성금속박막(63)에 금결합등에 의해 결합된다.
제21도 및 제22도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복합자기헤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자기헤드는 대체적으로 상호 다른 방위각(θ1, θ2)을 갖는 자기간극(g1, g2)을 갖춘 1쌍의 자기헤드(557, 558)가 공통헤드베이스(556)상에 상호 대향하는 관계로 밀접되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자기테이프에 대해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자기헤드(557, 558)는 상술한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자기헤드(13A, 13B)에 대응한다.
우선, 자기헤드(557)에 대해 설명한다. 자기헤드(557)는 제1 자기코어부(561)와 제2 자기코어부(564)를 갖추고 있다. 제1 자기코어부(561)는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부(559)와 진공박막형성법을 사용하여 자기코어부(559)상에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5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자기코어부(564)는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부(562)와 강자성금속박막(563)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561, 564)는 강자성금속박막(560, 563)에 의해 형성되는 그 인접면에서 용융결합글래스(565)에 의해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제1 자기코어부(561)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559)는 예컨대 Mn-Zn이나 Ni-Zn페라이트등의 강자성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강자성금속박막(560)과의 대향면에는 자기테이프로 기록신호를 공급하거나 그 테이프로부터 기록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그 내부에 권취되는 코일권취홈(566)이 갖추어져 있다. 더욱이, 글래스홈(567)은 자기코어부(559)의 강자성금속박막(560)의 대향면상에 형성되고, 이 글래스홈(567)에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561,564)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용융결합글래스(565)가 채워지게 된다. 코일권취홈(566)은 자기테이프와의 접촉면으로서 작용하는 자기코어부(559)의 자기기록매체접촉면(568)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의 깊이는 자기기록매체접촉면(568)과 인접한 코일권취홈(566)의 경사면(566a)에 의해 제한된다. 그리고, 글래스홈(567)은 자기기록매체접촉면(568)으로부터 떨어진 자기코어부(559)의 면에 근접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측면입면이 얕은 장홈의 형상을 갖는다.
자기코어부(559)의 강자성금속박막(560)과의 대향부는 칩의 폭방향으로 그 양단이 절단되고,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따라 중앙부분이 대체적으로 가늘고 길게 잔존되도록 형성된다. 자기코어부(559)의 대향부가 절단된 1쌍의 절단부(570, 571)는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을 제한하기 위한 트랙폭제한홈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절단부(570, 571)에 의해 한정된 확장코어부(559a)는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과 동일한 폭을 갖게 된다. 이하, 긴 코어부(559a)를 금속박막형성부로 칭하기로 하는 바, 상기 금속박막형성부(559a)는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한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강자성금속박막(560)은 자기기록매체접촉면(568)측으로부터 대향면(569)까지 금속박막형성부(559a)의 강자성금속박막(560)에 대한 대향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때 강자성금속박막(560)은 코일권취홈(566)의 내부 및 글래스홈(567)의 내부를 제외한 금속박막형성부(559a)의 대향면전체에 형성된다. 여기서,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가지면서 연자기특성이 우수한 강자성물질이 상기 강자성금속박막(560)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강자성물질로는 Fe-Al-Si합금, Fe-Al합금, Fe-Si-Co합금, Fe-Ni합금, Fe-Al-Ge합금, Fe-Ga-Ge합금, Fe-Si-Ge합금, Fe-Co-Si-Al합금 또는 Fe-Ga-Si합금등의 강자성금속물질이 사용되고, 또 상기한 Fe-Ga-Si합금의 내부식성 또는 내침식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 Fe, Ga, Co (Fe를 Co로 대체하는 것도 포함), Si를 기본성분으로 포함하면서 Ti, Cr, Mn, Zr, Nb, Mo, Ta, W, Ru, Os, Rh, Ir, Re, Ni, Pb, Pt, Hf, V의 원소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되는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강자성 비정질합금(ferromagnetic amorphous alloys), 예컨대 금속-반금속 비정질합금 Fe, Ni, Co중 하나이상의 원소와 P, C, B, Si중 하나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합금 또는 이러한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Al, Ge, Be, Sn, In, No, W, Ti, Mn, Cr, Zr, H, Nb 등을 포함하고 있는 합금등의 금속-반금속 비정질합금이나, 희토류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면서 Co, Hf, Zr등의 전이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금속-금속 비정질합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 1.25㎛2비트 이상의 높은 기록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강자성재료중 특히 14kG 이상의 포화자속밀도(saturation flux density)를 갖는 재료, 예컨대 14.5 kG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Fe-Ga-Si-Ru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강자성재료를 이용하면, 항자력이 큰 자기테이프상에 자기포화를 발생하지 않고 기록을 실행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한 강자성재료를 박막화시키는 기술로는,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또는 이온플레이팅법(ion plating method)등의 진공박막형성법이 이용된다.
한편, 제2 자기코어부(564)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562)는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으로의 두께가 작으면서, 이미 언급한 자기코어부(559)와 마찬가지로 Mn-Zn페라이트 또는 Ni-Zn페라이트등의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기코어부(562)의 강자성금속박막(563)에 대향하는 부분은 칩의 폭방향에서 양단이 절단되어 형성되는데, 대체로 중심부분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따라 길고 가늘게 남게 된다. 상기 자기코어부(562)의 대향부가 절단된 1쌍의 절단부(572, 573)는 이미 설명한 자기코어부(559)와 마찬가지로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을 제한하는 트랙폭제한홈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572, 573)에 의해 그 형태가 정해지는 가늘고 긴 코어부(562a)는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과 같은 폭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가늘고 긴 코어부(562a)를 금속박막형성부로 칭하기로 하는 바, 금속박막형성부(562a)는 상기한 금속박막형성부(559a)와 마찬가지로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상술한 금속박막형성부(559a)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강자성금속박막(563)은 금속박막형성부(562a)의 대향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자기기록매체의 접촉면(568)측으로부터 이 자기기록매체의 접촉면(568)과 멀리 떨어져 있는 대향면(569)까지 연속막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강자성금속박막(560)과 같은 종류의 강자성재료가 상기 강자성금속박막(563)으로 채용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561, 564)는 강자성금속박막(560, 563)에 의해 형성된 그 인접면에서 상호 인접되어 대향절단부(570, 572)의 사이와 대향절단부(571, 57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용융결합글래스(565)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561, 564)는 강자성금속박막(560, 563)사이에 삽입된 용융결합글래스(565) 또는 간극스페이서(gap spacer)에 의해 상기 강자성금속박막(560, 563)간의 경계면에서 트랙폭(TW1)을 갖는 자기간극(g1)을 형성한다. 이때, 자기간극(g1)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방위각(θ1)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위각(θ1)은 상기 공통헤드베이스(556)상의 다른 자기헤드(558)의 자기간극(g2)으로부터의 누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10도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복합자기헤드에서는 복합자기헤드안에서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이 20도로 설정되었다. 한편,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은 ATF인 경우 인접트랙의 신호를 픽업하는 동안 기록 또는 재생이 실행되기 때문에 자기테이프상의 트랙피치(P)보다도 +0㎛ ~ +3㎛ 정도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때,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이 지나치게 커지면 재생시의 인접누화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예컨대, 트랙피치(P)가 10㎛ 또는 그 보다 작게 설정되면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은 10㎛ ~ 13㎛ 정도로 된다. 실제로 제조된 상기 복합자기헤드에서는 자기테이프상의 트랙피치(P)를 5㎛로 하기 위해 트랙폭(TW1)을 7㎛로 설정하였다.
특히, 상기 자기헤드(557)에는 다른 자기헤드(558)의 자기간극(g2)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을 차단하기 위한 도체박막(593)이 자기헤드(557)와 대향하여 인접배치된 다른 자기헤드(558)에 대한 대향면, 즉 제2 자기코어(564)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562)의 대향면(562b)에 형성된다. 상기 도체박막(593)은 낮은 전기적 저항률(ρ)을 갖는 도체박막, 예컨대 전기적 저항률(ρ)이 10-6Ω·cm보다 작은 Ag, Cr, Al로 이루어진 박막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체박막(593)은 예컨대 습식 또는 건식플레이팅기술등의 박막제조공정에 의해 상기 자기코어부(562)의 대향면(562b)전체에 형성된다. 도체박막(593)의 막두께는 상기 다른 자기헤드(558)로부터의 누설자속을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해 1㎛ ~ 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만약 도체박막(593)의 막두께가 1㎛보다 작으면 누설자속을 확실하게 차단시키기가 어렵게 되는 반면, 막두께의 상한이 50㎛ 이상으로 되면, 그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대향관계로 배치된 자기헤드(558)로부터의 거리만큼 제한된다.
상기 도체박막(593)이 설치되면, 상기 다른 자기헤드(558)로부터의 누설자속이 자기헤드(557)로 유입되려할 때 상기 도체박막(593)내에서 상기 자속의 변화율에 따라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외부자장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자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 다른 자기헤드(558)로부터의 누설자속이 도체박막(593)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상기 다른 자기헤드(558)는 자기헤드(557)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3 자기코어(576)와 제4 자기코어(579)를 포함하고 있다. 제3 자기코어(576)는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진 자기코어부(574)와 이 자기코어부(574)상에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575)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4 자기코어(579)는 마찬가지로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진 자기코어부(577)와 강자성금속박막(5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및 제4 자기코어(576, 579)는 강자성금속박막(575, 578)에 의해 형성된 인접면에서 용융결합글래스(58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자기헤드(558)에서도 강자성금속박막(575, 578)에 대한 자기코어부(574, 577)의 대향부가 각각 상기한 자기헤드(557)에서와 마찬가지로 칩의 폭방향으로 양단이 절단되면서 대체로 중앙부분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남도록 형성된다. 자기코어부(574, 577)의 대향부가 절단된 2쌍의 절단부(581, 582 ; 583, 584)는 자기헤드(558)의 자기간극(g2)의 트랙폭(TW2)을 제한하는 트랙폭제한홈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긴 코어부(574a, 577a)는 상기 절단부(581, 582 ; 583, 584)에 의해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2)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긴 코어부(574a, 577a)를 금속박막형성부라 칭하기로 한다.
금속박막형성부(574a, 577a)는 상기한 금속박막형성부(559a, 562a)의 방위각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해 자기간극(g2)의 방위각(θ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한편, 코일권취홈(585)과 글래스홈(586)은 강자성금속박막(575)에 대한 자기코어부(574)의 대향면상에 형성되고, 금속박막형성부(577a)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자기코어부(577)의 측면(577b)은 상기한 자기헤드(557)의 자기코어부(562)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 상기 강자성금속박막(575, 578)은 강자성재료를 진공박막형성법에 의해 증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자기코어부(574)의 자기기록매체접촉면(587)으로부터 이 자기기록매체접촉면(587)과 멀리 떨어진 자기코어부(574)의 다른 면(588)까지 금속박막형성부(575, 578)의 대향면을 따라 연장된다.
자기헤드(558)에서는 제3 및 제4 자기코어(576, 579)가 강자성금속박막(575, 578)에 의해 형성되는 인접면에서 인접되어 대향절단부(570, 572)의 사이와 대향절단부(571, 57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용융결합글래스(580)에 의해 채워짐에 따라 상호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트랙폭(TW2)을 갖는 자기간극(g2)은 강자성금속박막(575,578)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서 자기간극(g2)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방위각(θ2)을 갖는다. 즉, 자기간극(g2)의 방위각은 상기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의 방위각방향과 반대방향이고, 자기간극(g2)의 방위각은 상기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자기헤드(558)에도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을 차단하는 도체박막(594)이 상기 자기헤드(55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기헤드(558)의 자기헤드(557)에 대한 대향면 즉, 제4 자기코어(579)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577)의 대향면(577b)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헤드(558)에 대향하는 자기헤드(557)로부터의 누설자속이 도체박막(594)에 의해 확실히 차단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자기헤드(57, 58)는 공통헤드베이스(556)상에서 도체박막(593, 594)에 의해 형성된 그 대향면이 인접하여 소위 이중방위복합자기헤드를 구성하도록 밀접배치된다. 상기 자기헤드(557, 558)는 제10도에 도시된 자기테이프(87)상에 제21도의 화살표(Y)로 나타낸 트랙피치방향으로 자기헤드(57, 58)에 의해 기록된 트랙의 피치(P)와 대체로 동일한 단차(D)를 갖고 배지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D)는 트랙폭방향의 헤드베이스(556)에 인접한 자기헤드(557, 558)의 자기간극(g1, g2)의 종단사이의 트랙피치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특히, 자기헤드(557)는 단차(D)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590)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베이스(556)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단부와 헤드베이스(556)상에 직접 장착된 자기헤드(558)의 자기간극(g2)의 단부사이의 트랙폭방향거리는 단차(D)와 동일하게 되고, 따라서 스페이서(88)상에 장착된 자기헤드(557)의 자기간극(g1)은 헤드베이스(556)상에 직접 배치되어 있는 자기헤드(558)의 자기간극(g2)에 대해 단차(D)를 갖고서 헤드베이스(556)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자기테이프(87)상의 트랙피치(P)가 10㎛ 또는 그 이하이기 때문에 그에 따라 단차(D)도 10㎛ 또는 그 이하로 설정된다. 실제로 제조된 상기 복합자기헤드는 트랙피치(P)가 5㎛이었으므로 단차(D)도 5㎛이었고, 따라서 스페이서(590)의 두께도 마찬가지로 5㎛로 하였다.
더욱이, 자기헤드(557, 558)는 제21도에서 화살표 X로 나타낸 헤드스캐닝방향에서 자기테이프(87)상의 인접트랙간의 단차(d)와 동일한 단차(GL)를 갖고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트랙간의 단차(d)는 헤드스캐닝방향의 기록영역에서 인접한 기록트랙(89, 90)의 단부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단차(GL)는 헤드스캐닝방향에서 자기헤드(557, 558)의 자기간극(g1, g2)의 트랙폭(TW1, TW2)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단차(GL)는 화상신호의 기록영역을 보장하기 위해 선택되고, 500㎛ 이하로 설정된다. 예컨대 단차(GL)가 500㎛ 보다 커지면 화상신호영역이 지나치게 좁아져서 장시간의 재생에 불리해지게 된다. 반면, 단차(GL)가 지나지게 작으면 대향하는 자기코어부(562, 577)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고, 또 코어단면적의 감소에 의해 헤드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실제로 제조된 자기헤드에서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단차(GL)를 200㎛로 설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복합자기헤드는 헤드베이스(556)와 함께 회전드럼(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드럼은 회전하면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패턴이 복합자기헤드에 의해 회전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자기테이프(87)상에 형성되도록 스캔한다. 이 예에서는 단위시간당 자기테이프(87)의 이송속도 및 자기헤드(557, 558)의 회전속도는 헤드이송방향에서의 자기헤드(557, 558)간의 단차(GL)와 자기테이프(87)상의 인접트랙간의 단차(d)가 서로 같게 되도록 결정된다.
제10도에서는 자기테이프(87)상의 기록트랙(89, 90)이 복합자기헤드의 자기헤드(557, 558)에 의해 헤드이송방향으로 자기헤드(557, 558)사이의 단차(GL)와 동일한 단차(d)를 가지면서 1쌍으로 기록된다. 따라서, 자기헤드(557, 558)는 각각의 기록트랙(89, 90)의 화상영역(89a, 90a) 또는 오디오영역(89b, 90b)의 단부에 위치하고, 그 결과 오디오신호가 나중에 기록되는 후기록이 다른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실행된다.
더욱이, 기록 및/또는 재생이 공통헤드베이스(556)상에 일체로 배치된 2개의 자기헤드(557, 558)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므로, 기록 또는 재생이 8mm 또는 그 보다 작은 테이프폭을 갖는 자기테이프(87)상에 1.25㎛2/비트 또는 그 이상의 기록밀도로 수행되더라도 비정상적인 트랙패턴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트에러율을 증가시키지 않고 장시간의 디지탈화상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서로 다른 방위각을 갖는 2개의 자기헤드가 회전드럼상에 180°의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8mm폭의 자기테이프(87) 및/또는 8mm폭의 자기테이프(87)로부터 1.25㎛2/비트 또는 그 이상의 기록밀도로 동일하게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경우, 180°의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된 선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트랙과 후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다른 트랙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비정상적인 트랙 패턴이 편심상태로 장착된 회전드럼에 의해 발생된다. 그 결과, 선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신호부분이 후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신호에 의해 부분적으로 소거되어 충분한 재생출력을 얻을 수가 없고, 또 비트에러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복합자기헤드는 공통헤드베이스(556)상에 2개의 자기헤드(557, 558)가 배치되므로, 회전드럼이 예컨대 편심상태로 장착되더라도 자기헤드(557, 558)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트랙(89, 90)이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다른 기록트랙과 겹쳐지는 것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재생출력을 얻을 수가 있고, 또 비트에러율이 높아지지도 않게 된다.
파장이 0.3㎛인 신호가 상기한 실제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를 이용하여 표준모드(SP)에서 테이프폭이 8mm인 자기테이프상 및/또는 자기테이프로부터 10㎛의 트랙피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되었을 때, 기록시간은 3시간이었다. 또, 상기 신호가 2배속모드(LP)에서 5㎛의 트랙피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되었을 때에는 기록시간이 6시간이었다.
더욱이, 이 예에서는 자기헤드(557, 558)간의 상호간섭(누화)을 측정하였는 바, 제23도에 도시한 곡선(20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간섭이 매우 낮은 레벨로 감소되었다. 한편, 도체박막(593, 59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제23도의 곡선(201)으로 도시함)에는 상호간섭이 놓은 레벨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23도는 두께가 10㎛인 Cu박막을 도체박막(593, 594)으로서 이용했을 때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자기헤드에서는 도체박막(593, 594)이 2개의 자기헤드(557, 558)의 대향면상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2개의 자기헤드(557, 558)중 어느 하나에 도체박막(593)을 형성하여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누설자속의 차단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8자형 코일을 자기헤드(557, 558)에 권취하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기헤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Mn-Zn페라이트, Ni-Zn페라이트등으로 구성된 자성산화물로 각각 만들어진 평판형태의 1쌍의 헤드코어블록(156, 157)의 주표면상에 강자성재료를 스퍼터링하여,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강자성금속박막(158,15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강자성물질로는 Fe-Al-Si합금, Fe-Al합금, Fe-Si-Co합금, Fe-Ni합금, Fe-Al-Ge합금, Fe-Ga-Ge합금, Fe-Si-Ge합금, Fe-Co-Si-Al합금, 또는 Fe-Ga-Si합금등과 같은 강자성금속재료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한 Fe-Ga-Si합금의 내부식성 또는 내마모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 Fe, Ga, Co(Fe를 Co로 대체하는 것도 포함) 또는 Si를 기본구성으로 포함하면서 적어도 Ti, Cr, Mn, Zr, Nb, Mo, Ta, W, Ru, Os, Rh, Ir, Re, Ni, Pb, Pt, Hf 및 V중 어느 하나를 첨가한 합금을 사용한다.
이에 대해, 예컨대 Fe, Ni, Co중 하나 또는 그 이상과 P, C, B, Si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합금 또는 이러한 합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면서 Al, Ge, Be, Sn, In, Mo, W, Ti, Mn, Cr, Zr, H, Nb등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금속-반금속 비정질합금 또는 Co, Hf, Zr등의 전이원소나 희토류원소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금속-금속비정질합금등의 강자성비정질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1.25㎛2/비트 또는 그 이상의 높은 기록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강자성재료중 특히 14 kG이상의 포화자속밀도를 나타내는 것, 예컨대 14.5 kG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Fe-Ga-Si-Ru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강자성재료를 사용하면 항자력이 큰 자기테이프상에 자기포화를 일으키지 않고 기록이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강자성재료를 박막으로 형성하는 기술로는 기상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또는 이온플레이팅법(ion plating method)등의 진공박막형성법이 이용된다.
이어서, 자기테이프의 트랙폭을 제한하는 트랙폭제한홈(160, 161)이 헤드코어블록(156, 157)상의 강자성금속박막(158, 159)에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트랙폭제한홈(160, 161)은 헤드칩의 절단길이로 제조될 헤드의 수와 일치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그 결과, 트랙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강자성금속박막(158, 159)이 각각 트랙폭제한홈(160, 161)사이에 남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코어블록(156, 157)이 상호 상대적으로 위치된 트랙을 가지고서 서로 인접하게 되고, 용융결합글래스(162)가 서로 대향하는 트랙폭제한홈(160, 161)사이의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헤드코어블록(156, 157)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헤드코어블록(156, 157)이 서로 결합될 때 그 헤드코어블록(156, 157)의 강자성금속박막(158, 159) 사이에는 간극막이 게재된다.
그 결과, 트랙폭(TW)을 갖는 자기간극(g1)이 상기 대향하는 강자성금속박막(158, 159)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자기간극(g1)에 주어지는 방위각과 동일한 각도(θ1)를 갖는 홈(153)이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금속박막(158, 159)의 결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헤드코어블록(156)의 면(156a)상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홈(163)은 헤드칩의 절단길이로 제조될 헤드의 수와 일치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각 홈(163)은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간극(g1)에 주어지는 방위각과 동일한 각도(θ1)로 기울어진 구면의 회전연마석을 이용하여 강자성금속박막(158, 159)의 결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헤드코어블록(156)의 면(156a)상에 깊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각 홈(163)의 저면(163a)은 자기간극(g1)에 주어진 방위각과 같은 각도(θ1)를 갖는 경사면을 이루게 되고, 상기 저면(163a)과 직각인 각 홈(163)의 측벽(163b)과 저면(163a)의 교차점은 상기 트랙폭제한홈(160)의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헤드칩두께가 확보되도록 상기 헤드코어블록(156, 157)이 상기 각 홈(163)의 저면(163a)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28도의 E-E선 및 F-F 선을 따라 절단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기헤드(164)는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Y로 나타낸 트랙피치방향에 대해 각도(θ1)로 기울어진 방위각(θ1)을 이루는 자기간극(g1)을 갖는 한편, 화살표 X로 나타낸 헤드이송방향의 단면(163a ; 전단계에서 형성된 홈(163)의 저면(163a))은 상기 자기간극(g1)에 대한 방위각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룬다.
자기간극(g1)에 주어진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홈(163)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헤드코어블록(156)상에 미리 형성된다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헤드칩을 절단한 후에 고정밀기술을 이용한 단면처리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적용하면 자기간극(g1)과 나란하지 않은 단면을 갖는 자기헤드를 쉽게 제조할 수가 있어 생산성면에서 현저한 개선을 달성할 수 있고, 또 생산원가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저가의 자기헤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제조방법에서는 자기헤드(164)의 단면(163a)만이 자기간극(g1)에 대해 경사지게 되어 있지만, 그 단면에서의 누설자속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축 단면도 자기간극(g1)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자기헤드(164)의 대향단면을 자기간극(g1)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기헤드는 헤드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코어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앞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기헤드(164)의 코어두께보다 조금 두꺼운 코어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먼저,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강자성금속박막(158,159)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헤드코어블록(156,157)은 상기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상호 상대적으로 위치될 트랙을 가지고서 서로 인접해 있고, 용융결합글래스(162)가 서로 대향하는 트랙폭제한용 홈(160,161)사이의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상기 헤드코어블록(156, 157)이 상호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이어서, 자기간극(g1)에 주어진 방위각과 동일한 각도(θ1)를 갖는 홈(163, 165)이 강자성금속박막(158, 159)의 결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30도에 도시한 헤드코어블록(156, 157)에 일체로 결합된 면(156a, 157a)상에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163, 165)은 상기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홈(163, 165)의 저면(163a, 165a)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홈(163a, 165a)의 측면(163b, 165b)이 상호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헤드코어블록(156, 157)은 헤드칩두께가 확보되도록 상기 홈(163, 165)의 저면(163a, 165a)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32도의 G-G선 및 H-H선을 따라 절단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기헤드(180)는 제3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Y로 나타낸 트랙피치방향에 대해 각도(θ1)로 기울어진 방위각(θ1)을 이루는 자기간극(g1)을 갖는 한편, 화살표 X로 나타낸 헤드이송방향의 대향단면(163a, 165a) (전단계에서 형성된 홈(163, 165)의 저면(163a, 165a))은 상기 자기간극(g1)에 대한 방위각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룬다. 따라서, 자기테이프의 기록이 자기헤드(166)에 의해 실행될 때, 헤드이송방향의 단면(163a, 165a)이 자기간극(g1)에 대해 경사졌기 때문에 상기 단면(163a, 165a)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이 전혀 나타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자기테이프상에 누설자속이 남지 않으므로 신호재생이 열화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47도 및 제3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또 다른 복합자기헤드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복합자기헤드는 대체로 서로 다큰 방위각(θ1, θ2)을 이루는 자기간극(g1, g2)을 갖는 1쌍의 자기헤드(457, 458)가 공통헤드베이스(456)상에서 대향하는 관계로 밀접배치되어 자기테이프에 대한 기록 및 자기테이프로부터의 재생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기헤드(457, 458)는 상기한 제1 도 및 제2도의 자기헤드(13A, 13B)에 각각 대응된다.
먼저, 자기헤드(457)에 대해 설명하는 바, 자기헤드(457)는 제1 자기코어(461)와 제2 자기코어(464)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기코어(461)는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진 자기코어부(459) 및 진공박막형성법에 의해 상기 자기코어부(459)상에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460)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2 자기코어(464)도 마찬가지로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진 자기코어부(462) 및 강자성금속박막(46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기코어(461, 464)는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의 인접면에서 용융결합글래스(465)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제1 자기코어(461)를 구성하는 상기 자기코어부(459)는 예컨대 Mn-Zn페라이트 또는 Ni-Zn페라이트등의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져 있으면서, 제2 자기코어(464)에 대한 대향면상에 자기테이프로부터 재생신호를 취출하거나 또는 자기테이프에 기록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코일(도시되지 않음)을 귄취하기 위한 코일권취홈(466)을 갖추고 있다. 이 코일권취홈(466)은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면으로서 기능하는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에 인접한 자기코어부(459)의 일부에 구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헤드(457)의 자기간극(g1)의 깊이는 상기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에 인접한 코일권취홈(466)의 경사면(466a)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자기코어부(459)의 제2 자기코어(464)에 대향하는 부분은 칩의 두께방향으로 양단을 절단함으로써 뾰족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자기코어부(459)의 대향면은 자기간극(g1)을 향한 자기코어부(459)의 측면(459a)으로부터 경사진 제1 절단부(468) 및 자기코어부(459)의 다른 측면(459b)으로부터 칩두께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구면형태로 절단하는 제2 절단부(469)에 의해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때, 자기코어부(459)의 선단부(459c)는 자기코어부(459)의 칩두께의 중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자기코어부(459)이 측면(459b)상에 형성된 제2 절단부(469)의 경사면(469a)은 제47도의 화살표 X로 나타낸 헤드이송방향에 대해서는 자기간극(g1)에 주어지는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θ1)로 형성된다.
한편, 강자성금속박막(460)은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에서 자기코어부(459)의 측면(459a)상에 형성된 제1 절단부(468)의 경사면을 따라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면(470)까지 소정의 막두께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강자성금속박막(460)은 코일권취홈(466)에서 절단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에서부터 후면(470)까지 연장된다. 자기간극(g1)을 형성하는 강자성금속박막(460)의 대향면은 자기간극(g1)이 방위각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제47도의 화살표(Y)로 나타낸 트랙피치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각도(θ1)만큼 기울어져 있다. 그에 따라 자기간극(g1)이 방위각을 형성하게 된다.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가지면서 연자기특성이 우수한 강자성재료가 강자성금속박막(460)으로서 이용되는데, 상기한 강자성물질로는 Fe-Al-Si합금, Fe-Al합금, Fe-Si-Co합금, Fe-Ni합금, Fe-Al-Ge합금, Fe-Ga-Ge합금, Fe-Si-Ge합금, Fe-Co-Si-Al합금 또는 Fe-Ga-Si합금 등의 강자성금속재료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한 Fe-Ga-Si합금의 내부식성이나 내마모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Fe, Ga, Co(Fe를 Co로 대체하는 것도 포함), Si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면서 Ti, Cr, Mn, Zr, Nb, Mo, Ta, W, Ru, Os, Rh, Ir, Re, Ni, Pb, Pt, Hf, V중 적어도 한 원소가 첨가되어 있는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강자성 비정질합금으로서 예컨대 Fe, Ni, Co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와 P, C, B, Si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합금 또는 상기한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Al, Ge, Be, Sn, In, Mo, W, Ti, Mn, Cr, Zr, H, Nb등을 포함하고 있는 합금등의 금속-반금속 비정질합금, 또는 Co, Hf, Zr등의 전이원소나 희토류원소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금속-금속비정질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1.25 ㎛2/비트 또는 그 이상의 높은 기록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강자성재료중 특히 14 kG이상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것, 예컨대 14.5 kG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Fe-Ga-Si-Ru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강자성재료를 사용하면 항자력이 큰 자기테이프상에 자기포화를 일으키지 않고 기록을 실행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강자성재료를 박막으로 형성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기상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또는 이온플레이팅법등의 진공박막형성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자기코어(464)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부(462)는 제1 자기코어(461)보다 헤드이송방향에서의 두께가 작으면서, 상기한 자기코어부(459)와 마찬가지로 Mn-Zn페라이트, Ni-Zn페라이트등의 강자성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기코어부(462)의 제1 자기코어(461)에 대향하는 부분은 자기간극(g1)에 대한 상기 자기코어부(459)의 대향부의 형태와 대칭인 형태로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자기코어부(462)의 대향부는 자기간극(g1)을 향해 자기코어부(462)의 측면(462a)으로부터 경사진 제3 절단부(471) 및 상기 자기코어부(462)의 다른 측면(462b)으로부터 칩두께방향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구면형태로 절단되는 제4 절단부(472)에 의해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때, 자기코어부(462)의 선단부(462c)의 끝위치는 상기한 자기코어부(459)의 선단부(459c)의 끝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더욱이, 제4 절단부(472)의 경사면(472a)은 상기 자기코어부(459)상에 형성된 절단부(469)의 경사면(469a)과 마찬가지로 자기코어부(472)의 다른 측면상에서 헤드이송방향에 대해 자기간극(g1)에 주어지는 방위각(θ1)과 동일한 각도(θ1)로 형성된다.
한편, 강자성금속박막(463)은 소정의 막두께를 갖는 연속막으로 형성되어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측으로부터 자기코어부(462)의 측면(462a)상에 형성된 절단부(471)의 경사면을 따라 자기기록매체접촉면(46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면(470)으로 연장된다. 또한 자기간극(g1)을 형성하는 강자성금속박막(463)의 양면은 상기한 강자성금속박막(460)과 동일한 트랙피치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각도(θ1)만큼 경사진다. 상기 강자성금속박막(463)에는 상기한 강자성금속박막(460)과 유사한 강자성재료가 채용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제1 및 제2 자기코어부(461, 464)는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에 의해 형성된 인접면에서 인접되어 대향하는 제2 절단부(469)와 제4 절단부(472)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대향하는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사이에 형성되는 또 다른 공간에 용융결합글래스(465)가 채워짐에 따라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자기헤드(457)를 자기기록매체접촉면(457)으로부터 보면, 자기간극(g1)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이 그 사이에 개재된 자기간극(g1)과 대체로 대칭적으로 인접되고, 그 인접형상면은 대체로 V자 형상이다. 또,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은 트랙폭방향에 대해 동일측상의 위치, 즉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의 인접면에서의 선단부(473)의 종단위치보다 제47도의 상위측 위치에 형성된다. 반대로 보면,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은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에서의 선단부(473)의 종단위치보다 제47도의 하위측 위치에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및 제4 절단부(469, 472)의 접촉형상면은 대체로 채널(channel)형상을 가진다.
도시되지 않은 간극막은 트랙폭(TW1)을 갖는 자기간극(g1)이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의 인접면사이에 형성되도록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의 인접면사이의 경계에 개재된다. 자기간극(g1)은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의 접촉면이 각도(θ1)로 경사지므로 시계방향에서 각도(θ1)만큼 경사진 방위를 갖는다. 자기간극(g1)에 적용되는 방위각(θ1)은 바람직하게는 공통헤드베이스(456)상에 설치되는 다른 자기헤드(458)의 자기간극(g2)으로부터의 누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10도 또는 그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복합자기헤드가 실제로 제조되었고, 그 복합자기헤드에서 자기간극(g1)의 방위각(θ1)은 20도로 설정되었다.
한편, ATF(automatic tracking)의 경우에, 인접트랙의 신호를 픽업하는 동안 기록 또는 재생이 수행되기 때문에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은 바람직하게는 자기테이프상의 트랙피치(P)보다 +0㎛ ~ +3㎛ 정도 더 크게 설정된다.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이 너무 큰 경우, 재생시 인접누화가 크므로 상기한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트랙피치(P)가 10㎛ 정도 또는 그 이하로 설정되므로, 자기간극(g1)의 트랙폭(TW1)은 10㎛~13㎛이다. 상기한 실제로 제조되는 복합자기헤드에서 트랙폭(TW1)은 5㎛의 자기테이프상에 트랙피치(P)를 형성하기 위해 7㎛로 설정된다.
다른 자기헤드(458)는 상기한 자기헤드와 유사한 구조이고, 제3 자기코어부(476)와 제4 자기코어부(479)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자기코어부(476)는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진 자기코어부(474)와 이 자기코어부(474)상에 형성된 강자성금속박막(475)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4 자기코어부(479)는 강자성산화물로 만들어진 자기코어부(477)와 강자성금속박막(47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및 제4 자기코어부(476, 479)는 강자성금속박막(475, 478)에 의해 형성되는 인접면에서 용융결합글래스(480)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본 자기헤드(458)에서 자기코어부(474, 477)의 대향하는 부분의 형상은 상기한 자기헤드(457)에서와 마찬가지로 자기간극(g2)에 대해 대체로 대칭이다. 특히, 자기코어부(474, 477)의 대향부분은 각각 자기간극(g2)을 향해 자기코어부(474, 477)의 측면(474a, 477a)으로부터 경사진 제5 및 제5 절단부(481, 482)와 다른 측면(474a, 477b)으로부터 칩의 두께방향으로 평면이 대략 구형상으로 절단되는 제7 및 제8 절단부(483, 484)에 의해 각각 뾰족하게 형상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4 자기코어부(479)에 대한 자기코어부(474)의 대향면상에 코일권취홈(485)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간극(g2)의 깊이는 코일권취홈(485)의 경사면(485a)에 의해 제한된다.
한편, 강자성금속박막(475, 478)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막두께로 형성되어 자기기록매체접촉면(486)측으로부터 제5 및 제6 절단부(481, 482)의 경사면을 따라 자기기록매체접촉면(486)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면(487)까지 연장된다. 상기한 자기헤드(457)에 채용된 어떠한 재료도 강자성금속박막(475, 478)에 사용하기 위한 강자성재료로 적용된다.
본 자기헤드(458)에서, 제3 및 제4 자기코어부(476, 479)는 강자성금속박막(475, 478)에 의해 형성되는 인접면에서 인접되어 대향하는 강자성금속박막(475, 478)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제7 및 제8 절단부(483, 484)사이에 형성된 또 다른 공간이 용융결합글래스(480)로 채워짐으로써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자기헤드(458)에서 자기간극(g2)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강자성금속박막(475, 478)이 인접형상면은 대제로 V형상이고, 트랙폭방향에 대해 동일방향에서 변위된다. 강자성금속박막(475, 478)의 인접면에서의 선단부(488)의 위치는 상기한 자기헤드(457)의 강자성금속박막(460, 463)에서의 선단부(473)의 종단위치보다 제47도에서 하위측에서 단차(D)만큼 변위된 위치로 설정된다.
자기간극(g2)은 상기한 자기헤드(457)의 자기간극(g2)의 방위방향과 반대 즉, 시계반대방향에서 각도(θ2)만큼 경사진다. 한편, 자기간극(g2)이 트랙폭(TW2)은 자기헤드(457)의 트랙폭(TW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실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서 자기간극(g1, g2)의 양 트랙폭(TW1, TW2)은 7㎛로 설정된다. 또, 제7 및 제8 절단부(483, 484)의 경사면(483a, 484a)은 헤드이송방향에 대해 방위각(θ2)과 동일한 각도로 동일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자기헤드(457, 458)쌍은 헤드이송방향과 대향관계로 밀접하게 배치되므로 선행자기헤드(458)에 의해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되는 기록패턴의 일부가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해 후행자기헤드(457)에 의해 중복기록된다. 특히, 자기헤드(457, 458)쌍은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475, 478)의 선단부(473, 488)가 중복기록된 중복기록측상에 배치되도록 공통헤드베이스(456)상에 설치된다. 그 결과, 자기간극(g1, g2)의 트랙위치는 트랙피치방향에서 변위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자기헤드(457, 458)쌍이 공통헤드베이스(456)상에 배치되는 경우, 그 자기헤드쌍에 의해 기록되는 1쌍의 트랙중의 하나가 다른 트랙과 단차(D)의 간격으로 중복된다.
여기서, 단차(D)는 자기간극(g1, g2)의 트랙폭방향의 헤드베이스(456)에 인접하는 트랙피치방향에서의 자기헤드(457, 458)의 종단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자기테이프(87)상의 트랙피치(P)가 10㎛ 이하이므로, 그에 따라 상기 단차(D)는 10㎛ 이하로 된다. 상기한 실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서, 자기테이프상의 트랙피치(P)가 5㎛이므로, 그에 따라 단차(D)는 5㎛로 한다.
자기헤드(457, 458)는 헤드이송방향에서 제10도에 도시된 자기테이프(87)상의 트랙사이의 단차(D)와 동일한 단차(GL)를 갖고서 대향관계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트랙사이의 단차(D)는 헤드이송방향에서 기록영역에서의 기록트랙(89, 90)의 종단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단차(GL)는 헤드이송방향에서 자기헤드(457, 458)의 자기간극(g1, g2)의 트랙폭(TW1, TW2)의 중심부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단차(GL)는 화상신호를 위한 기록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선택되고, 예를 들어 500㎛ 이상인 경우에는 화상신호영역이 너무 협소해져서 장시간의 재생에 불리함이 있다. 반대로, 단차(GL)가 너무 작을 경우, 대향하는 자기코어부(562, 577)의 두께가 감소하고, 코어의 단면적의 감소에 의해 헤드효율이 저하된다. 상기한 실제 제조된 복합자기헤드에서, 상기 단차(GL)는 화상영역의 확보와 헤드효율을 고려하여 200㎛로 설정한다.
자기헤드(457, 458)가 상기한 바와 같이 공통헤드베이스(456)상에 장착되는 복합자기헤드에서, 상기 자기헤드는 헤드베이스(456)와 함께 회전드럼(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드럼은 회전하여 제10도에 도시된 기록형태가 그 회전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송되는 자기테이프(87)상의 복합자기헤드에 의해 형성되도록 스캔하고, 이 경우에 단위시간당 자기테이프(87)의 이송속도 및 자기헤드(457, 458)의 회전속도는 헤드이송방향의 자기헤드(457, 458)사이의 단차(GL) 및 상기 자기테이프(87)상의 인접트랙사이의 단차(d)가 상호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자기테이프(87)상의 기록트랙(89, 90)은 선행자기헤드(458)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트랙(89)의 일부가 후행자기헤드(457)의 기록트랙(91)에 의해 중복되도록 상기한 복합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다. 그 결과, 기록트랙(89, 90)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피치 P=5 ㎛로 기록된다. 이 경우 자기헤드(457, 458)의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 475, 478)의 인접위치가 예를 들어 제39도 또는 제4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폭방향에서 변위되면 중복기록될 중복기록측으로 변위된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 475, 478)의 인접위치의 에지로부터 누설자속이 나타난다. 그러나, 본 복합자기헤드의 자기헤드(457, 458)에 따르면, 자기간극(g1, g2)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 475, 478)은 트랙폭방향에 대해 그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 475, 478)측이 트랙폭방향으로 변위되는 측과 트랙폭방향에 대해 동일측상에 형성되므로, 중복기록측으로 변위되는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 475, 478)의 간극과 자기코어부(459, 462 ; 474, 477)의 대형간극에 의해 형성된 각도(θ3, θ4)는 예각을 이루지 않는다. 따라서, 강자성금속박막(460, 463 ; 475, 478)의 에지로부터의 누설자속이 약화되어 측소거그레이대역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충분히 높은 S/N비가 얻어질 수 있다.
또, 자기테이프(87)상의 기록트랙(89, 90)은 헤드스캐닝방향에서 자기헤드(57, 58)쌍사이의 단차(GL)와 동일한 단차(d)를 가지는 복합자기헤드의 자기헤드(57, 58)에 의해 기록된다. 따라서, 자기헤드(57, 58)는 각 기록트랙(89, 90)의 화상영역(89a, 90a) 또는 오디오영역(89b, 90b)의 종단부에 위치한다. 그 결과, 오디오신호가 나중에 기록되는 후기록이 다른 신호의 영향없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또, 기록 및/또는 재생은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배치된 2개의 자기헤드(57, 58)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므로, 기록 또는 재생이 8mm이하의 테이프폭을 갖는 자기테이프(87)쌍에 1.25 ㎛2/비트 이상의 기록 밀도로 수행되는 경우에도 장시간의 디지탈화상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은 비정상적 트랙패턴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트에러율의 증대없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호 다른 방위각을 갖는 2개의 자기헤드가 회전헤드상에 180도의 각도로 이격배치되어 폭 8mm의 자기테이프(87)에 대해 1.25 ㎛2/비트 이상의 기록밀도로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경우에, 180도의 각도로 이격배치된 선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트랙과 다른 후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다른 트랙이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비정상트랙패턴이 편심상태로 장착된 회전드럼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선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신호의 일부가 후행자기헤드에 의해 기록된 신호에 의해 부분적으로 소거되므로, 충분한 재생출력을 얻을 수 없고 비트에러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복합자기헤드에 의하면 2개의 자기헤드(57, 58)가 공통헤드베이스(56)상에 배치되므로, 회전드럼이 예를 들어 편심상태로 장착되는 경우, 자기헤드(57, 58)에 의해 기록된 기록트랙(88, 90)은 동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다른 기록트랙과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있고 비트에러율이 높아지지 않는다.
상기한 실제 제조되는 복합자기헤드에서, 0.3㎛의 파장신호가 표준모드(SP)에서 테이프폭 8mm의 자기테이프에 대해 10㎛의 트랙피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되는 경우, 기록시간은 3시간이었고, 이러한 신호가 2배속 모드(LP)에서 5㎛의 다른 트랙피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되는 경우, 기록시간은 6시간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해 충분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요지 및 사상으로부터 일탈함없이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해당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Claims (10)

  1. 자기헤드(57)에 있어서, a) 상부에 코일 권취홈(66)이 형성된 반쪽의 제1 자기코어부(61); b) 상기 반쪽의 제1 자기코어부(61)와 결합되어 단일부재인 자기헤드(57)를 형성하는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여기서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와 상기 반쪽의 제1 자기코어부(61)의 결합면 사이에 자기간극(magnetic gap; g1)이 형성됨-; 및 c) 상기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권취홈(66)에 수용되는 보조 코어소자(72)를 포함하는 자기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코어소자(72)는 상기 제2 자기코어부(64)와 일체로 형성되는 자기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64)는 상호 고정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코어소자가 상기 반쪽의 제2 자기코어부의 상기 복수의 소자 중 하나로 형성되는 자기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코어부(64)는 a) 상기 보조 코어소자로서 작용하는 제1 소자(72); b) 상기 제1 소자(72)의 일측에 고정되는, 전면 코어(front core)로서 작용하는 제2 소자(62); 및 c) 상기 제1 소자의 대향면에 고정되고, 후면 코어(back core)로서 작용하는 제3 소자를 구비하는 3개의 소자로 이루어지는 자기헤드.
  5. a) 방위각(θ1, θ2)이 상호 다른 자기 간극(g1, g2)을 가지고, 헤드 이송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여 밀접 배치된 1쌍의 자기헤드(557, 558); 및 b) 자기헤드(557, 558)의 자기 간극(g1, g2)으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차단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상기 자기헤드(557, 558)의 1쌍의 면 중에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도체 박막(593, 594)을 포함하는 복합 자기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박막(593, 594)이 은, 크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비저항이 10-8Ω·cm 이하인 도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자기헤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박막(593, 594)의 두께가 1㎛~50㎛ 범위인 복합 자기헤드.
  8. a) 1쌍의 헤드 코어 블록(156, 157) 상에 각각 트랙 제한홈(160, 161)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트랙 제한홈(160, 161)이 상호 정렬된 상태로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을 배치하여 헤드 코어 블록을 유리(glass; 162)로 상호 용융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이 상호 결합된 결합면으로부터 이격된 헤드 코어 블록의 1쌍의 면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조되는 자기헤드의 자기 간극(g1, g2)의 방위각(θ1, θ2)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홈(163)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163)의 저면(163a)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을 절단하여 헤드 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헤드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163) 형성 단계에서, 상기 홈(163)이 결합면으로부터 이격된 헤드 코어 블록(156, 157)의 각 표면에 상기 각도로 형성되고, 그 저면(163a)에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자기헤드의 제조 방법.
  10. a) 방위각(θ1, θ2)이 상호 다른 자기 간극(g1, g2)을 각각 구비하고, 헤드 이송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여 밀접 배치시키는 1쌍의 자기헤드(457, 458); 및 b) 상기 자기헤드(457, 458)의 자기 간극(g1, g2)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자기 간극(g1, g2)에 대해 상호 거의 대칭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자기헤드(457, 458)의 각각 배치된 1쌍의 강자성 금속박막(460, 463)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간극(g1, g2)은 각각 선단부를 갖는 강자성 금속 박막(460, 463)의 접촉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자기헤드(457, 458)는 그들 중 선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기록 패턴 부분이 후행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중복기록되는 관계로 기록 또는 재생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460, 463)의 접촉면에서의 선단부는 중복기록이 이루어지는 중복기록 측에 배치되는 복합 자기헤드.
KR1019920006508A 1991-04-19 1992-04-18 복합자기헤드 KR100242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1113831 1991-04-19
JP91-113,831 1991-04-19
JP91-123,032 1991-04-26
JP2091123032 1991-04-26
JP2091124628 1991-04-30
JP91-124,628 1991-04-30
JP2091131648 1991-05-08
JP91-131,648 1991-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75A KR930022275A (ko) 1993-11-23
KR100242867B1 true KR100242867B1 (ko) 2000-02-01

Family

ID=7365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508A KR100242867B1 (ko) 1991-04-19 1992-04-18 복합자기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8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75A (ko) 199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6651A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digital data
EP0614173B1 (en) Magnetic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EP0201255B1 (en) Magnetic head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EP04838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recording digital video signals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therefor
US6014291A (en) Composite magnetic head having thin conductor film
KR100229240B1 (ko) 자기헤드 및 디지탈 기록 자기헤드
EP0483873B1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digital data
KR100333418B1 (ko) 자기기록재생방법
KR100242867B1 (ko) 복합자기헤드
EP0563640B1 (en) Magnetic tape guide apparatus
JP3189338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H05166116A (ja) 複合型磁気ヘッド
JPH04319506A (ja) 磁気ヘッド
JPH04332904A (ja) 複合型磁気ヘッド
JPH04302808A (ja) 複合型磁気ヘッド
JPH0536020A (ja) 磁気ヘツ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82820A (ja) 多チャンネル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28308A (ja) 複合型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43925A (ja) 磁気ヘツ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6038A (ja) 複合型磁気ヘツド
JPH05159211A (ja) 複合型磁気ヘッド
JPH05135321A (ja) 磁気ヘツドの製造方法
JPH04307412A (ja) 磁気ヘッド
JPH05234023A (ja) 複合型磁気ヘッド
JPH04328309A (ja) 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