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058B1 -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058B1
KR100242058B1 KR1019950066751A KR19950066751A KR100242058B1 KR 100242058 B1 KR100242058 B1 KR 100242058B1 KR 1019950066751 A KR1019950066751 A KR 1019950066751A KR 19950066751 A KR19950066751 A KR 19950066751A KR 100242058 B1 KR100242058 B1 KR 10024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luid
changing
accordan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179A (ko
Inventor
임채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058B1/ko
Publication of KR97004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058B1/ko

Links

Landscapes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각 해당 마운팅으로 공급되는 유압 상태를 변화시켜 마운팅의 댐핑 계수를 변화시키므로 주행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를 변화시켜 유체의 공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밸브의 개도 상태가 변화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밸브 수단과; 상기 제1밸브 수단의 개도 상태에 따른 유체의 공급 또는 해제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화하는 제2밸브 수단과; 상기 제2밸브 수단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유로 상태가 변화하여 댐핑 계수가 변화하는 마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마운팅의 정면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마운팅의 단면도이고,
제4(a)(b)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밸브의 상태 변화도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이나 변속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마운팅의 댐핑(damping) 계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동작을 위한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엔진이나 자동 변속기 등이 작동할 경우, 작동하는 '엔진이나 자동 변속기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발생 빈도가 각각 상이한 진동 상태를 고려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가장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댐핑 계수를 설정하여 엔진이나 자동 변속기의 마운팅을 설계한다.
그러므로 상기 마운팅의 상태는 초기 설계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각 주행 상태에 따라 발생 빈도가 상이한 진동을 능동적인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으므로, 진동의 발생 정도가 설정된 댐핑 계수를 초과하면 마운팅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 동작을 위해 작동하는 각 해당 장치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어 자동차의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각 해당 마운팅으로 공급되는 유압 상태를 변화시켜 마운팅의 댐핑 계수를 변화시키므로 주행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를 변화시켜 유체의 공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밸브의 개도 상태가 변화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밸브 수단과; 상기 제1밸브 수단의 개도 상태에 따른 유체의 공급 또는 해제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화하는 제2밸브 수단과; 상기 제2밸브 수단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유로 상태가 변화하여 댐핑 계수가 변화하는 마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운전자에 의해 작동 상태가 변화하는 가속 페달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접속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아이들 스위치(SW1)와,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탱크(10)와, 상기 저장 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각 해당 경로로 공급하기 위해, 엔진의 동작과 동시에 작동하는 펌프(20)와, 상기 펌프(2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 상태를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30)와, 상기 동작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밸브의 개도 상태가 변화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도 상태에 따른 유체의 공급 또는 해제 상태에 따라 밸브의 위치가 변화하는 스위칭 밸브(50)와, 상기 스위칭 밸브(50)의 동작 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양이 변화하여 댐핑 계수가 변화하는 유체 마운팅(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가 주행 중일 경우, 유체 마운팅(6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경로를 설명한다.
엔진의 회전 동작이 시작되면, 펌프(2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져, 저장 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각 해당 경로로 펌핑된다.
따라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을 시작하면, 동작 제어부(30)는 아이들 스위치(SW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1), 자동차의 주행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
판단된 자동차의 주행 상태가 아이들 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주행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솔레노이드 밸브(40)를 개도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13,S14).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도 상태는 비작동 상태일 경우, 유체의 공급 도관(IN)과 스위칭 밸브(50)와 연결되어 있는 도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도 상태를 변환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도 상태를 변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4(a)도와 같이 도통된 도관을 통해 스위칭 밸브(50)로 유체가 공급되므로, 상기 스위칭 밸브(50)의 밸브 스풀(51)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유압에 의한 상기 밸브 스풀(51)의 이동 동작에 의해 유체 마운팅과 연결되어 있는 제1유로(A)가 폐쇄되고 제2유로(B)가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12)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주행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30)는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도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5).
따라서 상기 동작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의 상태가 변환되어, 유체 공급 도관(IN)은 폐쇄되고 스위칭 밸브(50)와 연결되어 있는 도관과 배출 도관(OUT)가 서로 도통된다.
그러므로 스위칭 밸브(50)로 공급되던 유체가 도통되어 있는 배출 도관(OUT)을 통해 모두 저장 탱크(10)로 리턴되어, 스위칭 밸브(50)의 밸브 스풀(51)의 상태는 제4(b)도와 스프링(52)의 장력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유로(A)는 개방되고, 제2유로(B)가 폐쇄되어, 유체는 제1유로(A)를 통해 유체 마운팅(6)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1유로(A)와 제2유로(B)의 단면적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여, 제1유로(A)의 면적이 제2유로(B)의 면적보다 크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유체 마운팅(60)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량이 서로 상이하므로, 유체 마운팅(60)의 댐핑 계수가 변환된다.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엔진이나 자동 변속기의 진동 발생 정도에 따라 유체 마운팅(60)의 댐핑 계수가 변화시키므로 효율적으로 마운팅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효과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각 장착되어 있는 마운팅의 댐핑 계수를 변화시키므로, 효율적으로 진동 흡수를 실현하여 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를 변화시켜 유체의 공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밸브의 개도 상태가 변화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밸브 수단과; 상기 제1밸브 수단의 개도 상태에 따른 유체의 공급 또는 해제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화하는 제2밸브 수단과; 상기 제2밸브 수단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유로 상태가 변화하여 댐핑 계수가 변화하는 마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수단은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코일의 상태에 의해 작동 상태가 변화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 수단은, 유체의 공급 또는 해제 상태에 따라 밸브 스풀의 위치가 변화하여 개도 상태가 변화하는 유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가속 페달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접속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아이들 스위치(SW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KR1019950066751A 1995-12-29 1995-12-29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KR10024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751A KR100242058B1 (ko) 1995-12-29 1995-12-29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751A KR100242058B1 (ko) 1995-12-29 1995-12-29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79A KR970046179A (ko) 1997-07-26
KR100242058B1 true KR100242058B1 (ko) 2000-03-02

Family

ID=6663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751A KR100242058B1 (ko) 1995-12-29 1995-12-29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095A (ko) * 2002-05-03 2003-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마운트 감쇠 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7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21932A (ko) 파워트레인 제어장치
JPH01182665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970021857A (ko) 자동 변속기의 다운 시프트 제어장치
KR100242058B1 (ko) 유체 마운팅의 유압 제어 장치
JPH0968169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US5097664A (en) Method for controlling exhaust system of vehicle
US4206659A (en) Variable V-belt drive for a vehicle
KR100264174B1 (ko) 전자제어 엔진 마운트
KR017417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라인압 조절장치
JPH0551947A (ja) 建設機械のアクチユエータ制御装置
JP3449086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0142211Y1 (ko) 자동 변속기의 전자식 모듈레이터 시스템
JP3670718B2 (ja) 油圧走行車両の油圧制御装置
KR970006338B1 (ko) 차량의 오일봉입형 엔진진동/소음방지장치
KR0168107B1 (ko) 마운팅 인슐레이터의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64587B1 (ko) 엔진/변속기의 마운팅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4290A (ko) 스티어링시스템의 진동저감장치
JPH0242489Y2 (ko)
JPH07239024A (ja) 流体継手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100401753B1 (ko) 자동변속기 스타트모드 제어방법
JPH0242494Y2 (ko)
KR0145921B1 (ko) 쓰로틀 케이블 타입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조절장치
KR100412831B1 (ko) 가변 가속페달 시스템
KR100571543B1 (ko) 변속장치의 충격 완화장치
JPH06235453A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