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951B1 -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951B1
KR100241951B1 KR1019970026665A KR19970026665A KR100241951B1 KR 100241951 B1 KR100241951 B1 KR 100241951B1 KR 1019970026665 A KR1019970026665 A KR 1019970026665A KR 19970026665 A KR19970026665 A KR 19970026665A KR 100241951 B1 KR100241951 B1 KR 10024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data
data
vhs
track
e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917A (ko
Inventor
남승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2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9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D-VHS에서 재생 동작 수행시에 항상 에러 교정이 수행된 트랙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제1 트랙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트랙 데이터들을 셔플링하여 ECC를 수행한다. 제1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종료되면, 새로 입력되는 제2 트랙 데이터의 번호를 체크한다. 그리고, 재생시에 상기 새로 입력되는 제2 트랙 데이터의 번호보다 1 트랙 많은 제1 트랙 데이터를 전송시킨다. D-VHS에서 재생동작시에 항상 에러 교정된 트랙 데이터를 디코더단에 전송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Description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비디오 홈 시스템(digital-video home system; 이하 “D-VHS”라 한다)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HS에서 재생 동작 수행시에 항상 에러 교정이 수행된 트랙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이하, “MPEG”이라 한다) 2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 이후 현재 전세계의 많은 방송사들이 디지털 방송을 시행중이거나 곧 시행할 예정이다. 방송사들의 디지털 방송의 참여는 정보의 손실이 적은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에게 고품질의 동화상과 음향을 제공하기 위함과 동시에 멀티 미디어 시대에 걸맞은 디지털 정보의 호환성이 주된 이유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외의 많은 전자 업체들은 디지털 방송을 기록/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레코더(digital data recorder: 이하, “DR”이라한다)의 시장성을 내다보며 이의 개발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다채널, 고품질 화면, 서라운드 화면, 음성 다중 등의 영상 및 음성 특성을 가지며 정보 측면으로는 프로그램 리스트와 안내문과 같은 서비스 정보와 PC 소프트웨어, 쇼핑 카탈로그 및 전자 출판과 같은 데이터 방송으로 나뉠 수 있다. 다변화된 무수한 정보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은 앞으로 필수적인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D-VHS기술이 개발되었다. 빅터사는 STD 디지털-비디오 홈 시스템(digital-video home system: D-VHS) 사양을 히다찌사, 마쯔시다 전기 및 필립스 전자와 협약하여 작성하고 확정하였다. 이는 D-VHS 기술이 다가오는 미래에 급변하는 멀티 미디어에 기록 매체로서 대응할 수 있는 것을 마련할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D-VHS는 기존 VHS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전달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직전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는 기존의 테이프 매체가 가지는 고밀도 저장 및 저가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정용 디지털 저장 매체로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D-VHS는 디지털 방송과 같은 압축된 또는 처리된 데이터를 가공없이 테이프에 저장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비트 스트림 저장 장치이다. 따라서 비트 스트림 기록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압축/감축 기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들 신호는 변환 장치를 통해 영상과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출력된다.
이외의 D-VHS 특징으로는 첫째, 멀티 미디어 시대를 위한 가정용 데이터 서버(VCR 및 V&DR)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둘째로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의 혁신을 연계하고, 셋째로, 전자 파일을 위한 고밀도 저장 매체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마지막으로 이미 입증된(proven) 생산 체제를 가지고 있는 일반화된 산화철 테이프(ferric oxide tape)를 이용하므로써 고도의 안정도와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 D-VHS의 기록 성능은 14.1MBPS의 입력 데이터 레이트에 대해 7시간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며 LP 모드의 경우 7MBPS에 대해 14시간 가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이는 44기가 바이트의 저장 능력을 나타낸다. 응용 분야로는 비디오 서버, 안전 감시 장치, 데이터 기록 저장 매체 등에 이용될 수 있다.
D-VHS의 기록 성능은 14.1MBPS의 입력 데이터 레이트에 대해 7시간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며 LP 모드의 경우 7MBPS에 대해 14시간 가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이는 44기가 바이트의 저장 능력을 나타낸다. 응용 분야로는 비디오 서버, 안전 감시 장치, 데이터 기록 저장 매체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D-VHS에서는 트랙 데이터의 재생시에 ECC((Error Control Code; 에러 정정 부호)과정을 수행한 다음 디코더에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D-VHS에서는 기계적인 요인등에 의하여 읽기 점핑(READ JUMPING) 등의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만약, 기계적인 요인등에 의하여 읽기 점핑등의 에러가 발생될 경우에 에러가 정정되지 않은 트랙 데이터를 디코더단에 순차적으로 재생시키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에러가 발생되어 시스템이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D-VHS에서 재생동작시 에러 정정을 위하여 입력되는 트랙 데이터보다 항상 1트랙 앞선 트랙 데이터를 디코더단에 전송함으로써, 기계적인 요인 등에 의하여 읽기 점핑등의 에러가 발생될 경우에도 교착(DEADLOCK)현상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HS 디지털 방송 데이터 기록 아웃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HS 디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D-VHS 비디오 테이프의 트랙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트랙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ECC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HS 비디오 테이프에서 트랙 데이터의 ECC수행 및 재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촬영장치 1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3 : 디지털 압축기 14 : 방송국
15 : 위성 16 : 안테나
17 : 셋탑박스 18 : D-VHS
19 : 텔레비젼 171 : 튜너
172 : 디지털 신장기 173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701 : 싱크 패턴 검출기 702 : 패키타이저
703 : ID 교정기 704 : 역스크램블러
705 : 제1 래치 706 : 메모리
707 : 메모리 제어기 707 : 셔플러
709 : RS 복호화기 710 : 제2 래치
711 : 더미 필터 712 : 역평활 버퍼
713 : 시간 스탬프 비교기 714 : 마이크로 제어기
715 : 제어부 716 : 에러 정보 레지스터
730 : 데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트랙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트랙 데이터들을 셔플링하여 ECC를 수행하는 단계;
제1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종료되면, 새로 입력되는 제2 트랙 데이터의 번호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
재생시에 상기 새로 입력되는 제2 트랙 데이터의 번호보다 1 트랙 많은 제1 트랙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로 D-VHS에서의 데이터 트랙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D-VHS에서 재생동작시에 항상 에러 교정된 트랙 데이터를 디코더단에 전송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HS 디지털 방송 데이터 기록 아웃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D-VHS 디지털 방송 데이터 기록 아웃 라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1)의 출력단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가 접속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의 출력단에는 디지털 압축기(13)가 접속된다. 디지털 압축기(13)의 출력측에는 방송국(14)이 접속되며, 방송국(14)에서 출력된 전파는 위성(15) 및 안테나(16)를 통하여 셋-탑 박스(17)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셋-탑 박스(17)는 튜너(171), 디지털 신장기(172)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7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D-VHS(18)은 튜너(171)와 디지털 신장기(172)사이에 접속된다. 셋-탑 박스(17)의 출력단에는 텔레비젼(19)이 접속된다.
STD D-VHS는 디지털 위성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MPEG 2 비트 스트림 데이터를 최대 14.1 MBPS 전송 속도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STD D-VHS 테이프에는 약 7시간의 정보량에 해당되는 44 기가 바이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VHS 디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D-VHS 디코더는 싱크 패턴 검출기(701), 패키 타이저(702), ID 교정기(703), 역스크램블러(704), 제1 래치(705), 메모리(706), 메모리 제어기(707), 셔플러(708), RS 복호화기(709), 제2 래치(710), 더미 필터(711), 역평활 버퍼(712), 시간 스탬프 비교기(713), 마이크로 제어기(714), 제어부(715), 및 에러 정보 레지스터(716)를 포함한다.
싱크 패턴 검출기(701)는 데크(730)로부터 비트 시리얼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를 갖는 트랙에서 트랙에서 프리앰블, 서부 코드, 메인 코드를 구분하고, 메인 코드 영역에서 각 싱크 블록(Sync Block; 이하, 종종 “SB”라 한다)단위의 경계를 찾는다. 싱크패턴 검출기(701)는 데이터 형태는 물론 그 경계 지점을 감지하여 SB 단위로 데이터를 구분하여 트랙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형태를 패키타이저(702)에 제공한다.
패키타이저(702)는 상기 싱크 패턴 검출기(701)에 의해 감지된 트랙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패키타이저(702)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는 스크램블링된 상태이다.
ID 교정기(703)는 상기 패키타이저(702)로부터의 트랙 데이터의 헤더에 있는 ID 정보가 손상된 경우 에러 정정을 수행하여 역스크램블러(704)로 출력하여 역스크램블러(704)의 초기화 값으로 사용한다.
역스크램블러(704)는 데크(730)로부터의 스크램블된 상기 트랙 데이터를 역스크램블하여 제1 래치(705)로 출력한다.
제1 래치(705)는 두개의 상/하위 로컬 메모리 뱅크로 구성되어 상기 역스크램블러(704)로부터의 트랙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일시 저장한다.
메모리(706)는 상기 제1 래치(705)에 저장된 각 트랙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번지에 상기 래치의 각 트랙의 싱크 블록을 저장한다. 6개의 트랙이 하나의 시퀀스를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 제어기(707)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74)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서 각 블록에서 요구하는 해당 데이터의 저장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1 래치(705)로부터 싱크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할 때는 메모리 제어기(707)는 헤더 부분의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제어 신호와 함께 데이터를 저장한다. 물론 이때 패스트 페이지 리드 동작을 수행한다.
셔플러(708)는 메모리(706)에 저장된 6개 트랙 데이터들을 셔플링해서 리드 솔로몬(Reed Solomon; 이하 ′RS′라 한다) 복호화기(709)에 제공한다. RS 복호화기(709)는 상기 6개 트랙 데이터들에 대한 ECC 단위로 에러 정정을 수행한다. RS 복호화기(709)는 외부, 내부, 및 서브 코드의 복부호화를 모두 수행하는 유연한 구조를 갖는다. 외부 패리티의 경우 10개까지의 심벌 에러를 정정하며 내부 및 서브 코드는 각각 4,2개의 심벌 에러 정정 능력을 갖는다. 또한 자기 소거 기능을 수행하므로 외부 ECC의 경우 최대 10개까지 에러 정정이 가능하다. 서브 코드는 2개 심벌까지 에러 정정이 가능하다.
에러 정보 레지스터(error information register: EIR, 716)는 비효율적인 동작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RS 복호화기(709)로부터의 각 트랙 데이터들의 에러 정보를 저장하여 연속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2 래치(710)는 제어부(715)에 데이터 요구 신청하고, 그에 따라 제어부(715)가 메모리 제어기(707)를 제어하여 메모리(706)에 억세스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고속으로 불러와 일시 저장한다.
더미 필터(711)는 상기 제2 래치(710)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들을 불러와 더미 트랙 데이터는 필터링하고 정상 트랙 데이터만을 역평활 버퍼(712)로 일정한 속도로 제공한다.
역평활 버퍼(712)는 상기 더미 필터(711)로부터의 상기 정상 트랙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시간 스탬프 비교기(713)는 상기 역평활 버퍼(712)로부터의 각 SB의 시간 스템프를 읽고 현재의 기준 시간 스탬프와의 값을 비교하여 전송 시점을 제어하여 상기 SB을 셋탑 박스 장치(17)를 통해 텔레비젼(19)으로 전송하다.
제어부(715)는 제1 래치(705), RS 복호화기(709), 및 제2 래치(710)로부터 데이터 요구 신청을 받아 메모리 제어기(707)를 제어하여 해당 데이터의 저장 어드레스 및 제어 신호를 메모리(706)에 제공하므로써 메모리(706)를 억세스할 수 있도록 시간을 분배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D-VHS 비디오 테이프의 트랙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트랙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ECC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D-VHS 비디오 테이프에 있어서 하나의 트랙은 336개의 싱크 블록(SYNC BLOCK)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의 시퀀스(SEQUENCE)는 연속하는 6개의 트랙을 지닌다.
또한,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ECC 블록은 102개의 데이터 싱크 블록들 및 10개의 외부 패리티 싱크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메인 코드 영역은 336개의 메인 데이터 싱크 블록들을 가진다. 상기 336개의 메인 데이터 싱크 블록들은 306개의 데이터 싱크 블록들 및 30개의 외부 패리티 싱크 블록들로 구성된다. 6개의 트랙의 결합된 메인 코드 영역은 18개의 ECC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ECC 블록은 6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퀀스에 입력된 데이터를 셔플링하여 ECC를 수행하고, ECC가 완료되면 트랙 번호 0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5번까지 기록 장치(도시 안됨)에 전송시킨다. 기록 장치에서는 상기 ECC 블록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테이프에 자화 기록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의 D-VHS 비디오 테이프에서는 상기 ECC과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새로운 트랙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메모리가 필요하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HS 비디오 테이프에서 트랙 데이터의 ECC 수행 및 녹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D-VHS의 녹화 장치는 6개의 트랙을 가진 하나의 시퀀스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 메모리(100) 및 6개의 트랙을 가진 하나의 시퀀스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 메모리(200)를 지닌다. 따라서, 제1 프레임 메모리(100)에 입력된 트랙 데이터의 ECC과정 수행 중에 새롭게 입력되는 트랙 데이터는 제2 프레임 메모리(200)에 입력된다. 또한, 제1 프레임 메모리(100)의 ECC과정이 종료되면 제1 프레임 메모리(100)에 저장된 데이터는 테이프에 기록되기 위하여 전송되고, 제2 프레임 메모리(200)에 입력된 트랙 데이터에 ECC과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제1 프레임 메모리(100)에 저장된 6개의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의 수행 중에는 새롭게 외부에서 입력되는 6개의 트랙 데이터는 제2 프레임 메모리(200)에 저장된다. 제1 프레임 메모리(100)에 저장된 6개의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은 제2 프레임 메모리(200)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6개의 트랙 데이터가 저장되기 전에 종료된다. 이후에, 제2 프레임 메모리(200)에 저장된 6개의 트랙 데이터에 대한 6개의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수행되고, 새롭게 외부에서 입력되는 6개의 트랙 데이터는 제1 프레임 메모리(10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D-VHS에서의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을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데크(730)의 D-VHS 테이프로부터 비트 시리얼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가 싱크 패턴 검출기(701)에 입력되면, 싱크 패턴 검출기(70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트랙 데이터에서 프리앰블, 서브 코드, 및 메인 코드를 구분하고(단계 S1),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코드 데이터에서 싱크 데이터를 감지하여 메인 코드 영역에서 각 트랙 데이터의 경계를 찾아 패키타이저(702)에 제공한다(단계 S2).
패키타이저(702)는 TDRL 싱크 패턴 검출기(701)에 의해 감지된 트랙 데이터를 저장하고(단계 S3), 트랙 데이터를 역스크램블러(704)로 출력하고 각 트랙 데이터의 헤더 있는 ID를 분리하여 ID 교정기(703)로 제공한다. ID 교정기(703)는 상기 패키타이저(702)로부터의 각 트랙 데이터의 헤더에 있는 ID 정보가 손상된 경우 에러 정정을 수행하여 역스크램블러(704)로 출력하여 역스크램블러(704)의 초기화 값으로 사용한다.
역스크램블러(704)는 스크램블된 상기 트랙 데이터를 역스크램블하여 제1 래치(705)로 출력한다단계(S4). 제1 래치(705)는 두 개의 상/하위 로컬 메모리 뱅크로 구성되어 상기 역스크램블러(704)로부터의 트랙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일시 저장한다. 제어부(715)는 메모리 제어기(707)를 제어하여 해당 데이터의 저장 어드레스 및 제어 신호를 메모리(706)에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715)는 상기 제1 래치(705)에 저장되는 트랙 데이터를 시스템 클럭에 동기하여 패스트 페이지 방법으로 상기 제1 래치(705)로부터의 트랙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ID에 대응하는 메모리(706)의 어드레스에 저장한다(단계 S5). 이때 ID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707)에 전달되어 자신이 저장되어야 하는 주소를 알려 준다.
상기 단계에서 트랙 데이터가 메모리(707)에 저장되면 셔플러(708)는 메모리(706)에 새로 저장된 6개 트랙 데이터들을 셔플링해서 RS 복호화기(709)에 제공한다. RS 복호화기(709)는 새로 저장된 트랙 데이터들에 대한 내부 ECC를 모두 수행하고(단계 S6), 외부 ECC를 수행한다(단계 S7). 즉, 내부 ECC를 먼저 수행하여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트랙 데이터들을 구별하고 이레이저로 처리하여 에러 정정 능력이 우수한 외부 ECC를 수행하므로써 보다 많은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메모리(707)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들의 ECC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715)는 재생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단계 S8에서, 상기 재생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15)는 이미 ECC처리되어 메모리(707)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를 확인하고(단계 S9), 에러 정정을 위하여 입력되는 트랙 데이터의 번호를 확인한다(단계 S10). 단계 S8에서, 상기 재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715)는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10이후에, 제어부(715)는 이미 ECC처리되어 메모리(707)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 가운데서 에러 정정을 위하여 입력되는 트랙 데이터보다 1트랙이 많은 트랙 데이터를 선정하여 전송한다(S11). 즉, 재생동작시 에러 정정을 위하여 입력되는 트랙 데이터보다 항상 1트랙 앞선 트랙 데이터를 서보 제어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시켜 셋탑 박스 장치(17)를 통해 텔레비전(19)으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VHS에서의 기계적인 요인 등에 의하여 읽기 점핑등의 에러가 발생될 경우에도 교착현상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3)

  1. i) 제1 트랙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트랙 데이터들을 셔플링하여 ECC를 수행하는 단계; ii) 상기 제1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트랙 데이터에 대한 ECC과정이 종료되면, 새로 입력되는 제2 트랙 데이터의 번호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 iii) 재생시에 상기 새로 입력되는 제2 트랙 데이터의 번호보다 1트랙 많은 제1 트랙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녹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는 제1 트랙 데이터에서 프리앰블, 서브 코드, 및 메인 코드를 구분하고, 메인 코드 데이터에서 싱크 데이터를 감지하여 메인 코드 영역에서 각 트랙 데이터의 경계를 찾는 단계 및 설정 개수의 제1 트랙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녹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i)단계는 전송 시점을 동기화하여 셋탑 박스 장치를 통해 텔레비전으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녹화 방법.
KR1019970026665A 1997-06-24 1997-06-24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KR10024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665A KR100241951B1 (ko) 1997-06-24 1997-06-24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665A KR100241951B1 (ko) 1997-06-24 1997-06-24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17A KR19990002917A (ko) 1999-01-15
KR100241951B1 true KR100241951B1 (ko) 2000-02-01

Family

ID=1951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665A KR100241951B1 (ko) 1997-06-24 1997-06-24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3393B2 (ja) 2001-06-05 2009-10-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17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617B1 (ko) 디지털-vhs 인코딩 방법 및 인코더
JP3004252B2 (ja) 誤り訂正能力の改良された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JP4317273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1320657A (ja) ディジタル放送の録画再生方法及び装置
JP3158740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送信方法及びダビング方法
KR19980080750A (ko)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JP3111806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208665B1 (ko) 디지털-vhs 디코딩 방법 및 디코더
US6429985B2 (en)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41951B1 (ko) D-vhs에서의 재생 트랙 데이터 선택 방법
JP3041184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1157172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5519504A (en) Method of storing or reproducing data packets
KR100235614B1 (ko) 디지털-vhs 코덱
US6009227A (en) HDTV digital recorder with compressed image data inserted in a video signal that corresponds to a video interface standard
US671812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073244B2 (ja) 情報記録装置
KR100230009B1 (ko) D-vhs에서의 트랙 데이터 녹화 방법
US6192182B1 (e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271058B1 (ko) D-vhs에서의 손상된 시간 스탬프 감지 방법(method for detecting damaged timestamp in a digital vhs)
JP3123050B2 (ja) 記録装置
KR100367593B1 (ko) 디지털 브이씨알의 기록/재생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330142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2895865B2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117724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