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99B1 -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99B1
KR100241899B1 KR1019970033173A KR19970033173A KR100241899B1 KR 100241899 B1 KR100241899 B1 KR 100241899B1 KR 1019970033173 A KR1019970033173 A KR 1019970033173A KR 19970033173 A KR19970033173 A KR 19970033173A KR 100241899 B1 KR100241899 B1 KR 10024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ate
displaying
current sink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384A (ko
Inventor
하상욱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899B1/ko
Priority to CN98116323A priority patent/CN1090883C/zh
Priority to US09/116,728 priority patent/US6134457A/en
Publication of KR1999001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상태에서의 소비되는 전류를 소모하는 커런트 씽크부와, 상기 커런트 씽크부에서 소모된 이후의 전압를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임계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기상태 모드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일정시간이 되면 상기 커런트 씽크부를 제어하여 통화상태시의 소모 전원을 소모하게 후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특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종래의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5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멀티플렉서(30)를 통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or: 이하 ″ADC″라 한다)(20)로 입력된다. 그러면 ADC(20)에서는 상기 전압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0)는 상기 디지털 변환된 값을 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로우(Low) 배터리로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여기서 온도 센서(40)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가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경우에 이용한다.
그리고 멀티플렉서(3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두 개 이상의 신호를 멀티플렉싱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를 구비하고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그런데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는 슬리프(sleep) 모드와 대기상태 모드, 그리고 통화상태 모드로 나누어져 각각의 모드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다르다.
도 2는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소비전류에 따른 출력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 참조번호 1은 통화상태 모드일 때의 대전류가 소모되는 곡선을 나타낸 것이고, 2는 대기상태 모드에서의 중전류가 소모되는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3은 슬리프 모드에서의 소전류가 소모되는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도 2와 같이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전류 특성은 다르기 때문에, 배터리의 잔여 전원이 대기상태 모드에서는 로우 배터리가 아니지만 통화상태 모드에서는 로우 배터리가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갑작스럽게 로우 배터리가 되어 사용자가 배터리를 준비할 충분한 시간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상태 모드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통화상태에서의 소비되는 전원을 소모하는 커런트 씽크부와, 상기 커런트 씽크부에서 출력된 이후의 전압을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임계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 모드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일정시간이 되면 상기 커런트 씽크부를 제어하여 통화상태시의 소모전원을 소모하게 한 후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특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종래의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소비전류에 따른 출력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임계값들과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와, 타이머를 구비하고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슬리프 모드에서의 임계값과, 대기상태 모드에서의 임계값과, 통화상태에서의 임계값으로 이루어진다. 커런트 씽크(current sink)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일정 시간마다 통화상태의 소비전류를 소비한다. 그러면 ADC(20)는 상기 커런트 씽크부(70)에서 소모된 전압을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하여 임계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멀티플렉서(3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여 ADC(20)로 출력한다. 표시부(6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한다. 온도 센서(40)는 종래와 같이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가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경우에 이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3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00단계에서 현재의 수행중인 모드가 대기상태 모드이면 제11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5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멀티플렉서(30)를 통해 ADC(20)로 입력된다. 그러면 ADC(20)에서는 입력된 상기 전압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디지털 변환된 값을 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한다. 그런 후에 제1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비교 결과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로우 배터리로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된 상기 임계값은 대기상태 모드에서의 임계값이다.
그런 후에 제130단계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커런트 씽크부(70)를 제어하여 통화상태 모드시의 전류를 소모하게 한다. 그런 후에 제15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제160단계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상태를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시에 사용되는 임계값은 통화상태 모드에서의 임계값이다.
그리고 상기 제100단계에서 대기상태 모드가 아니라 제170단계에서와 같이 슬리프 모드이면 상기한 제110단계를 재 수행한다. 이때 비교하는 임계값은 슬리프 모드에서의 임계값이다.
그리고 상기 제170단계에서 수행 모드가 슬리프 모드가 아니고 제180단계에서와 같이 통화상태 모드이면 상기한 제15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상태 모드에서나 슬리프 모드에서도 통화상태 모드시의 소모 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의 상태를 빨리 알 수 있다.

Claims (4)

  1.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통화상태에서의 전류를 소모하는 커런트 씽크부와,
    상기 커런트 씽크부에서 소모된 후의 전압을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임계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커런트 씽크부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연결되어 일정시간이 되면 상기 커런트 씽크부를 제어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통화상태 모드에서의 임계값과, 대기상태 모드에서의 임계값과, 슬리프 모드에서의 임계값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통화상태에서의 전류를 소모하는 커런트 씽크부와, 상기 커런트 씽크부에서 소모된 후의 전압을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임계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 모드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일정시간이 되면 상기 커런트 씽크부를 제어하여 통화상태시의 전원을 소모하게 한 후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통화상태에서의 소비되는 전류를 소모하는 커런트 씽크부와, 상기 커런트 씽크부에서 소모된 이후의 전압을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임계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리프 모드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측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일정시간이 되면 상기 커런트 씽크부를 제어하여 통화상태시의 전원을 소모하게 한 후 배터리의 잔여 전원을 특정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33173A 1997-07-16 1997-07-16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KR10024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73A KR100241899B1 (ko) 1997-07-16 1997-07-16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CN98116323A CN1090883C (zh) 1997-07-16 1998-07-15 用于监视移动通信终端中的电池的设备和方法
US09/116,728 US6134457A (en) 1997-07-16 1998-07-16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atter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73A KR100241899B1 (ko) 1997-07-16 1997-07-16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84A KR19990010384A (ko) 1999-02-18
KR100241899B1 true KR100241899B1 (ko) 2000-02-01

Family

ID=1951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173A KR100241899B1 (ko) 1997-07-16 1997-07-16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34457A (ko)
KR (1) KR100241899B1 (ko)
CN (1) CN10908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725A (ja) * 1998-01-29 1999-08-06 Oki Electric Ind Co Ltd 充電状態判定方法、充電状態判定装置および充電装置
KR20000014742A (ko) * 1998-08-24 2000-03-15 윤종용 정보단말기의 저전압 검출장치
US6668159B1 (en) * 1998-11-30 2003-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bitrate indicator
US6311081B1 (en) * 1999-09-15 2001-10-30 Ericsson Inc. Low power operation in a radiotelephone
KR20010055827A (ko) * 1999-12-13 2001-07-04 송문섭 Led를 이용한 폴더형 단말기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KR100343561B1 (ko) * 1999-12-13 2002-07-2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표시 방법
GB2368495B (en) * 2000-10-23 2004-06-30 Ericsson Telefon Ab L M Monitoring circuit
JP2002281128A (ja) 2001-03-16 2002-09-27 Nec Corp 携帯電話端末、その電池容量通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123155B2 (en) * 2002-04-05 2006-10-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erational mode-based battery monitoring for a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CN1311606C (zh) * 2002-07-24 2007-04-18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电源启动装置
US7734317B2 (en) * 2003-03-18 2010-06-08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management
JP2005235536A (ja) * 2004-02-19 2005-09-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KR100700572B1 (ko) * 2005-01-28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선택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77455B1 (ko) * 2005-05-2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제어 장치와 방법
JP4984527B2 (ja) * 2005-12-27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状態推定装置および充電状態推定方法
KR100917752B1 (ko) * 2007-09-21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00161258A1 (en) * 2008-12-22 2010-06-24 Grenergy Opto, Inc. Measurement apparatus and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battery power
KR101613939B1 (ko) * 2009-08-12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09881B1 (ko) * 2009-11-12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전류 소모 상태 표시 방법 및 장치
JP5527895B2 (ja) * 2010-11-18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2065581A (zh) * 2010-12-28 2011-05-1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装置及方法
WO2013187582A1 (ko) * 2012-06-13 2013-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혼합 양극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708A (en) * 1974-01-02 1975-09-30 Keith S Champlin Electronic battery testing device
US5140269A (en) * 1990-09-10 1992-08-18 Champlin Keith S Electronic tester for assessing battery/cell capacity
US5748675A (en) * 1992-09-28 1998-05-05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improved current sourcing
DE19546553C1 (de) * 1995-12-13 1997-05-07 Daimler Benz Ag Verfahren zum Prüfen von elektrischen Verbrauchern in einem Fahrzeug-Bordnetz
US5700089A (en) * 1996-05-08 1997-12-23 Ferret Instruments, Inc. Battery tester with load temperature detection
US6009319A (en) * 1996-09-06 1999-1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5831435A (en) * 1997-04-16 1998-11-03 Midtronics, Inc. Battery tester for JIS Stand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34457A (en) 2000-10-17
CN1206316A (zh) 1999-01-27
CN1090883C (zh) 2002-09-11
KR19990010384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99B1 (ko)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US6957091B1 (en) Portable multi-ba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 consumption thereof
US6950683B2 (en) Battery life indication
US6810338B2 (en) Monitoring circuit
KR100238529B1 (ko) 시분할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표시 방법
KR1006300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5404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것의 전력 소비를 결정하는 방법
KR10035786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JP2000324239A (ja) 携帯電話機
JP3036507B2 (ja) 電池駆動携帯端末における電力管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685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수신감도 표시 방법
KR100312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100523143B1 (ko) 배터리 충전 제어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충전방법
JPH06230861A (ja) 電源制御装置
JP2004150821A (ja) 電池残量表示装置
KR20010003650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JPH05215793A (ja) 消費電流積算方式
KR200400499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및 방법
KR100663536B1 (ko) 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표시방법
JPH0646538A (ja) 無線通信装置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JPH07318621A (ja) 電池容量検出装置
JP3459511B2 (ja) 通信機器用電池残量表示器
KR20000046132A (ko) 휴대전화기에서의 수신신호 세기에 따른 통화 가능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68000B1 (ko) 휴대용정보단말시스템의 배터리 교체시기 경보회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