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752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752B1
KR100917752B1 KR1020070096391A KR20070096391A KR100917752B1 KR 100917752 B1 KR100917752 B1 KR 100917752B1 KR 1020070096391 A KR1020070096391 A KR 1020070096391A KR 20070096391 A KR20070096391 A KR 20070096391A KR 100917752 B1 KR100917752 B1 KR 10091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condary battery
leg
light emitting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818A (ko
Inventor
유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752B1/ko
Priority to CN2008101355814A priority patent/CN101394014B/zh
Priority to US12/232,602 priority patent/US7880628B2/en
Publication of KR2009003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배터리 팩의 잔량을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베어셀;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어셀의 충전잔량을 산출하며, 누름스위치와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부; 상기 베어셀 및 상기 회로부를 수납하고, 상기 누름스위치 및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창 및 풀크럼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외면의 상기 표시창 및 상기 풀크럼에 부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한다.
이차전지, 배터리케이스, 잔량표시부, 풀크럼, 압력분산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잔량확인용 누름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누름버튼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압력 분산 구조의 누름버튼을 구비한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팩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그 사용 가능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전자장치의 화면을 통해서 잔량이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잔량은 주지된 바와 같이 대부분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표시되며, 그 배터리 팩의 잔량에 비례하여 바의 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바의 길이를 보고 현재 배터리 팩의 잔량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전자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배터리 팩이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가 턴오프(Turn Off)된 상태에서는 배터리 팩의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 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가 턴오프된 상태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배터리 팩의 잔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표시 부재를 가지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잔량확인 누름버튼을 가지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가지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누름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누름버튼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력 분산 구조의 누름버튼을 가지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가지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베어셀;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어셀의 충전잔량을 산출하며, 누름스위치와 발광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부; 상기 베어셀 및 상기 회로부를 수납하고, 상기 누름스위치 및 상기 발광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창 및 풀크럼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외면의 상기 표시창 및 상기 풀크럼에 부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창은 상기 케이스에 관통홀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케이스 외부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누름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홀이 형성될 수 있 다.
상기 풀크럼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버튼홀로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신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크럼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신장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종단에 상기 레그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레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풀크럼은 상기 레그가 상기 잔량표시부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면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크럼은 상기 레그가 상기 잔량표시부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의 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표시창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투영하는 표시패턴과, 상기 풀크럼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외부압력에 의해 상기 풀크럼과 접촉하는 버튼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는 등가의 기능 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가지는 이차전지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장치가 턴오프된 상태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배터리 팩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배터리 팩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가지는 이차전지는 잔량확인 누름버튼을 이차전지의 케이스에 제공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용이하게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가지는 이차전지는 압력 분산 구조의 누름버튼을 제공함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누름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누름버튼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100)는 케이스(160), 회로부(180) 및 커버필름(190)을 포함한다.
케이스(160)는 제1 케이스(161)와 제2 케이스(162)의 하나 이상의 서브 케이스로 구성된다. 제1 케이스(161) 및 제2 케이스(162)는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이차전지의 베어셀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60)의 내부에는 회로부(180)가 수납되며, 특히, 케이스(160)에는 잔량표시부(170)가 형성된다. 케이스(160)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 성형이나 이의 등가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잔량표시부(170)는 별도로 형성되어 후에 케이스(160)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60)의 성형시 함께 형성되어 케이스(16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잔량표시부(170)를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 케이스(160)의 재료와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공정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형태는 일례이고, 내부에 수납되는 베어셀의 형태에 따라 케이스의 형태, 서브 케이스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도시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잔량표시부(170)는 케이스(160)에 형성되며, 표시창(171)과 풀크럼(173)로 구성된다. 잔량표시부(170)는 케이스(160) 내부의 공간에서 회로부(180)와 대응되고, 잔량표시부(170)의 외면에는 커버필름(190)이 부착된다. 표시창(171)은 회로부(180)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182)에서 발생된 광이 케이스(160)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발광다이오드(182)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홀 형태로 제공된다. 도 1에서는 표시창(171)을 4개의 홀로 표시하였지만, 하나의 넓은 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창(171)의 홀 수는 회로부(180)의 발광다이오드(182)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풀크럼(173)은 커버필름(190)의 버튼캡(192)을 지지하고, 버튼캡(192)의 움직임을 회로부(180)의 누름 스위치(183)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풀크럼(173)은 누름 스위치(183)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버튼 홀(172)에 케이스(160)로부터 신장되는 풀크럼(174)이 형성된다.
회로부(180)는 케이스(160) 내부에 수납되는 베어셀들의 잔량을 계산하는 잔량산출회로가 형성되며, 누름 스위치(183)의 동작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82)를 통해 전력 잔여량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회로부(18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82)와 누름 스위치(183)가 실장된다. 아울러, 발광다이오드(182)는 충전량에 따라 색이 변하게 하는 다색 발광다이오드(182)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충전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광다이오드(182)를 제시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광다이오드(182)는 숫자의 표현이 가능한 세븐세그먼트, 레벨 표시기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다이오드(182) 이외의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스(160)과 커버필름(190)을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회로부(180)에는 베어셀들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회로와, 과충전, 과방전, 내부 단락 등으로부터 베어셀들 및 외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필름(190)은 잔량표시부(170)의 케이스(160) 바깥쪽 면에 부착된다. 특히, 커버필름(190)은 잔량표시부(170)의 풀크럼(173)과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캡(192)이 형성되고, 표시창(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패턴(191)이 형성된다. 이 커버필름(190)은 비닐, 에폭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및 이의 등가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소 질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필름(190)은 케이스(160)의 조립 이후 잔량표시부(170)의 외부 노출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등으로 부착되거나, 커버필름(190)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부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턴(191)은 발광다이오드(182)로부터의 광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판별되도록, 일정한 문양, 색, 투명도 등이 커버필름(190)의 다른 부분과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캡(192)은 풀크럼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누름 압력을 잔량표시부(170)의 풀크럼(173)에 전달한다. 이로인해, 버튼캡(192)은 신축성을 가지는 질긴 합성수지를 이용해 형성하거나, 커버필름(190)에 별도의 플라스틱 구조를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커버필름(190)을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잔량표시부를 좀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잔량표시부(170)는 제 2 케이스(162)의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케이스(161)과의 결합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케이스(160)의 어디에나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잔량표시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창(171)과 플크럼(173)으로 구성된다. 표시창(171)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풀크럼(17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홀(172)에 케이스(160)로부터 풀크 럼(173)이 신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풀크럼(173)이 폭이 넓게 형성되는 헤드(174)와 헤드(174)와 케이스(160)를 연결하는 레그(175)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헤드(174)가 생략된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풀크럼(173)은 헤드(174)가 형성된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헤드(174)는 레그(175)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누름 스위치(183)와의 원활한 접촉을 위해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삼각형 또는 5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174)의 일면에는 요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요철에 의해 헤드(174)는 누름 스위치(183)와 더욱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레그(175)는 케이스(160)로부터 신장되어 형성하고, 헤드(174)와 케이스(160)를 연결한다. 이 레그(175)는 헤드(174)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버튼 스위치(183) 방향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헤드(174)를 지지하고, 압력이 사라지면, 헤드(174)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2에는 레그(175)가 버튼홀(172)의 중앙부분에서 신장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모서리(176) 부분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충전잔량을 확인하기 위해 커버필름(190)의 버튼캡(192)에 힘을 가하면, 버튼캡(192)의 하부에 위치한 헤드(174)가 누름 스위치(183)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헤드(174)에 의해 누름 스위치(183)가 눌리고 난 후 사용자가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헤드(174)는 레그(175)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회로부(180)는 누름 스위치(18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충전잔량을 발광다이오드(182)의 턴온, 턴오프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배터리 팩이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가 턴오프(Turn Off)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크럼(273)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량표시부(270)의 풀크럼(273)은 잔량표시부(270)의 버튼캡(19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절곡된 풀크럼(2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풀크럼(273)은 풀크럼(273)의 일면에 덮여지는 버튼캡(192)의 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1회 절곡된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도 3의 풀크럼(273)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이음부(277)가 버튼홀(172)의 한쪽으로 치우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이음부(277)는 버튼홀(172)의 모서리(176)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풀크럼(273)과 같이 레그(275)를 1회 이상 절곡하는 경우 풀크럼(273)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절곡부(279)로 하중이 분산되어 이음부(277)의 부담이 줄어든다.
도 3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은 헤드(274)의 면과 수직인 방향에서 가해진다. 이 풀크럼(273)에 압력이 가해지면, 헤드(274)가 누름 스위치(19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절곡부(279)와 헤드(274) 사이의 레그(275)가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이때, 절곡부(279)와 이음부(277) 사이의 레그(275)는 약간의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며 하중을 분산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지면, 절곡부(279)가 누름 스위치(19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이음부(277)에 하중이 가해진다. 하지만, 절곡부(279)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어 이음부(277)에 가해지는 부담은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현저히 경감된다. 특히, 레그(275)를 절곡함으로 인해, 레그(275)의 길이가 증대된다. 이로 인해, 탄성이 적은 재료로 풀크럼(273)을 형성하더라도 증대된 길이에 의해 풀크럼(273)의 휨이 원활해진다. 때문에, 사용자도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게 되어 풀크럼(273)뿐만 아니라, 누름 스위치(183)에 가해지는 압력도 적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풀크럼(273)과 누름 스위치(18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레그(275)의 절곡 각도는 약 90도 내지 18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90도 이내의 각도로 절곡하는 경우 분산력이 약해지며, 180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절곡에 의해 레그(275)가 겹치게 되어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크럼을 도시한 예시도들로서, 도 4a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A-A` 를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크럼(373)은 버튼캡(192)와 수직인 방향으로 2회 이상 절곡되어 2이상의 단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로인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크럼(373)은 헤드(374), 제 1 내 지 제 3 레그(375 : 375a, 375b, 375c)로 구성된다. 제 1 레그(375a)는 케이스(160)로부터 버튼캡(192)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제 2 레그(375b)는 제 1 레그(375a)로부터 누름 스위치(183)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되고, 제 3 레그(375c)는 제 2 레그(375c)로부터 제 1 레그(375a)와 수평인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된다. 그리고, 제 3 레그(375c)의 종단에 헤드(374)가 형성된다.
이음부(377)로부터 신장되는 제 1 레그(375a), 제 1 레그(375a)로부터 절곡되어 누름 스위치(183)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레그(375b) 및 제 1 레그(375a)와 대략 수평방향으로 특히, 절곡되는 방향이 누름 스위치(183) 방향이 되도록 하여, 풀크럼(373)의 헤드(374)가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누름 스위치(183)에 근접하게 된다. 여기서, 헤드(374)의 하면(369)에는 누름 스위치(183)와 용이한 접촉을 위한 돌기(374B)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풀크럼(373)을 다소 탄성이 약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더라도, 풀크럼(373)의 길이가 증대됨에 따라 풀크럼(373)의 휨이 좀더 용이해진다. 게다가, 제 1 레그(375a), 제 2 레그(375b) 및 제 3 레그(375b)가 압력을 분산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휨은 훨씬 더 용이해진다. 이를 통해, 이음부(377)의 압력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며, 각 절곡부(375)에 가해지는 압력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40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401)는 베어 셀(410), 케이스(460), 잔량표시부(470), 회로부(480) 및 커버필름(4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401)는 다수의 도전성 플레이트(411, 412, 413, 4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이차전지(401)가 원통형 베어셀에 의해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차전지(401)를 구성하기 위해 각형 베어셀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베어셀(410)은 상면과 바닥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5에서는 최대전위단(B+) 방향이 양극, 최저전위단(B-) 방향이 음극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베어셀(410)로는 리튬이차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에서는 베어셀(410)을 6개만 도시하였지만, 도시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개의 베어셀(410)이 하나의 단으로 구성된 3단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연결관계 및 배치는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베어셀(410)은 제 1 도전성 플레이트(411)와 제 2 도전성 플레이트(414)에 의해 회로부(480)와 연결된다.
도전성 플레이트(411 내지 414)는 제 1 내지 제 4 도전성 플레이트(411, 414)로 구분된다. 이 중 제 1 및 제 2 도전성 플레이트(411, 412)는 각각 베어셀(410)의 최대전위단(B+) 및 최저전위단(B-)와 회로부(4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아울러, 제 3 도전성 플레이트(412) 및 제 4 도전성 플레이트(413)는 같은 단을 이루는 베어셀(10a & 10b, 10c & 10d, 10e & 10f)들을 병렬연결함과 아울러, 이 웃하는 단과 직렬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도전성 플레이트(411 내지 414)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이의 등가금속 또는 이의 합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에서는 베어셀(410)을 3단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여 제 1 내지 제 4 도전성 플레이트(411 내지 414)가 필요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베어셀(410)의 개수 및 배치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의 수는 가감이 가능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4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베어셀(410) 및 회로부(48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케이스(460)에는 이차전지(401)와 외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425)가 부착 또는 형성되며, 일측에 잔량표시부(470)가 형성된다. 특히, 케이스(460)의 잔량표시부(47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필름(490)이 부착된다. 케이스(460) 및 커버필름(490) 및 잔량표시부(470)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로부(480)는 케이스(46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5에서는 회로부(480)에 충방전회로부 및 충전잔량 산출부가 함께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때문에, 회로부(480)는 제 1 및 제 2 도전성 플레이트(411, 412)에 의해 베어셀(410)의 최대전위단(B+) 및 최전전위단(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회로부(480)는 커넥터(425)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회로부(480)의 기판 일측에는 누름 스위치(483) 및 다수의 발광다이오드(482)가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425)는 회로부(4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장치와 연결이 가능 한 소켓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401)는 베어셀(410), 회로부(480) 및 도전성플레이트(411 내지 414)를 케이스(460) 내부에 수용한 후, 제 1 케이스(461)와 제 2 케이스(462)를 결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케이스(460)를 결합하게 되면 커넥터(425)와 커버필름(490)을 제외하고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401)는 커넥터(425)를 통해 충전을 하고, 충전된 이차전지를 커넥터(425)에 의해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특히, 이차전지(401)가 외부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커버필름(490)의 버튼 캡(492)을 누르면, 표시패턴(491) 통해 방출되는 광으로 이차전지(401)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401)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구성되는 풀크럼을 케이스의 형성과 같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잔량표시부(470)를 별도로 형성하기 위한 공정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보강물을 풀크럼에 부착하지 않고도 파손이 적은 잔량표시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잔량 표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크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크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A-A` 를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터리 케이스 160 : 케이스
170 : 잔량표시부 171 : 표시창
172 : 버튼홀 173 : 풀크럼
174 : 헤드 175 : 레그
176 : 모서리 177 : 이음부
180 : 케이스 181 : 기판
182 : 발광다이오드 183 : 누름스위치
190 : 커버필름 191 : 표시패턴
192 : 버튼캡 411, 412, 413, 414 : 도전성 플레이트

Claims (10)

  1. 베어셀;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어셀의 충전잔량을 산출하도록 누름스위치와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베어셀과 상기 회로부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스위치 및 상기 발광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풀크럼 및 표시창이 형성된 잔량표시부; 및
    상기 표시창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광을 투영하는 표시패턴 및 상기 풀크럼과 대응하여 외부압력에 의해 상기 풀크럼과 접촉하는 버튼캡을 포함하는 커버필름;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케이스에 관통홀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케이스 외부로 광이 방출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누름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홀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크럼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버튼홀로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신장 되어 형성되는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풀크럼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신장되는 레그, 및
    상기 레그의 종단에 상기 레그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레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크럼은 상기 레그가 상기 잔량표시부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면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이차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크럼은 상기 레그가 상기 잔량표시부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이차전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발광다이오드인 이차전지.
  10. 삭제
KR1020070096391A 2007-09-21 2007-09-21 이차전지 KR10091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391A KR100917752B1 (ko) 2007-09-21 2007-09-21 이차전지
CN2008101355814A CN101394014B (zh) 2007-09-21 2008-09-05 二次电池
US12/232,602 US7880628B2 (en) 2007-09-21 2008-09-19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391A KR100917752B1 (ko) 2007-09-21 2007-09-21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18A KR20090030818A (ko) 2009-03-25
KR100917752B1 true KR100917752B1 (ko) 2009-09-15

Family

ID=4029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391A KR100917752B1 (ko) 2007-09-21 2007-09-21 이차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80628B2 (ko)
KR (1) KR100917752B1 (ko)
CN (1) CN101394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5344B2 (en) 2008-10-13 2012-02-28 Apple Inc. Portable computer battery indicator
KR101126928B1 (ko) * 2009-07-13 2012-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1210142B1 (ko) 2010-11-11 2012-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조립식 발광부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312270B1 (ko) * 2011-02-17 2013-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스위치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2712153A4 (en) * 2011-07-21 2014-04-09 Huawei Device Co Ltd WIRELESS BROADBAND DEVICE
US9592744B2 (en) 2013-12-06 2017-03-14 SZ DJI Technology Co., Ltd Batter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the battery
DE102016103839B4 (de) 2016-03-03 2018-09-20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Gmbh Signalverbinder für ein Batteriemodul
US10983548B2 (en) * 2016-05-25 2021-04-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JP6474846B2 (ja) * 2017-03-17 2019-02-27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DE102018204100A1 (de) * 2018-03-16 2019-09-19 Roto Frank Ag Beschlaganordnung für einen Flügelrahmen eines Fensters, entsprechendes Fenst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schlaganordnung,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Beschlaganordnung sowie Sensorein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74A (ja) * 1990-05-15 1992-01-27 Nippon Steel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
JPH05101852A (ja) * 1991-10-11 1993-04-23 Sony Corp 残量表示付きバツテリーケース
JPH10188735A (ja) 1996-12-25 1998-07-21 Sanden Corp スイッチ操作盤
JP2005044645A (ja) * 2003-07-23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筐体一体型ボタ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58U (ja) * 1991-08-06 1993-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残存容量表示装置
US5517277A (en) * 1993-12-10 1996-05-14 Nikon Corporation Battery pack
KR200161967Y1 (ko) * 1997-05-01 1999-12-01 윤종용 휴대용 전자제품
KR100241899B1 (ko) * 1997-07-16 2000-02-01 윤종용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US6005367A (en) * 1998-07-14 1999-12-21 Centurion International, Inc. Smart power system
US6811902B2 (en) * 2001-07-31 2004-11-02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battery cell terminal configuration
JP4144568B2 (ja) * 2004-06-04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残量検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パック
JP5233163B2 (ja) * 2007-05-16 2013-07-10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74A (ja) * 1990-05-15 1992-01-27 Nippon Steel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
JPH05101852A (ja) * 1991-10-11 1993-04-23 Sony Corp 残量表示付きバツテリーケース
JPH10188735A (ja) 1996-12-25 1998-07-21 Sanden Corp スイッチ操作盤
JP2005044645A (ja) * 2003-07-23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筐体一体型ボタ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0628B2 (en) 2011-02-01
CN101394014B (zh) 2011-04-06
KR20090030818A (ko) 2009-03-25
US20090027218A1 (en) 2009-01-29
CN101394014A (zh)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52B1 (ko) 이차전지
JP6250809B2 (ja) 少なくとも2つの電池セルに接続するためのばねを有する電池パック
US20160111692A1 (en) Power supply device
JP4812926B2 (ja) 電池パック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9088032B2 (en) Secondary battery
KR102152364B1 (ko) 배터리 팩
US8576556B2 (en) Electronic book device integrated with a magnetic pen rack
KR101430621B1 (ko) 배터리 팩
CN104253249B (zh) 电池组
US9209429B2 (en) Battery pack
CN107996006A (zh) 包括导线固定肋的电池模块
KR101023898B1 (ko) 이차 전지
JP2007323909A (ja) パック電池
KR101126928B1 (ko)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US8679657B2 (en) Battery pack
KR20110113961A (ko) 배터리 팩
US20160359205A1 (en) Portable rechargeable power supply device
US8034474B2 (en) Battery pack with nondirectional terminal
KR102395481B1 (ko) 이차 전지
US20120034495A1 (en) Battery pack
KR102511128B1 (ko) 배터리팩
JP5405165B2 (ja) パック電池
KR102040046B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전극탭 보호장치
KR102580240B1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