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68B1 - 포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포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68B1
KR100241868B1 KR1019960002364A KR19960002364A KR100241868B1 KR 100241868 B1 KR100241868 B1 KR 100241868B1 KR 1019960002364 A KR1019960002364 A KR 1019960002364A KR 19960002364 A KR19960002364 A KR 19960002364A KR 100241868 B1 KR100241868 B1 KR 10024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gripper
stop
lower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705A (ko
Inventor
이강일
배성용
강희선
안병철
임준열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6000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868B1/ko
Priority to US08/794,278 priority patent/US5965837A/en
Publication of KR97005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 F41A9/10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pivoting or swinging
    • F41A9/13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pivoting or swinging in a vertical plane
    • F41A9/16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pivoting or swinging in a vertical plane which is parallel to the barr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몸체(13,14), 상기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부착된 구동 수단(24), 상기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포탄의 원통형 몸체에 대응하는 내측 원주 표면을 지닌 그리퍼 수단(gripper means, 4), 상기 하부 몸체(14)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포탄의 원추형 탄두 부분이 삽입 유지될 수 있는 탄두 멈치 수단(5) 및, 상기 그리퍼 수단(4)의 내측 원주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상승 유지됨으로써 포탄의 원통형 몸체의 평탄 저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탄미 멈치 수단(6)을 구비한 포탄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포탄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 장전기까지에 포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송시키며, 포탄 적치 장치의 추출기 위치 및 포탄의 종류에 따른 포탄 길이에 적응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지닌다.

Description

포탄 이송 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포탄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가 포탑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a)도 실시예에서 배관 부분을 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위 실시예에서 탄두 멈치 부분 및 그리퍼 부분을 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위 실시예에서 상부 그리퍼의 벌어짐 해제 부분 및 모터 회전축의 완충기등을 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위 실시예에서 그리퍼 구동 부분 및 리미트 스위치등을 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위 실시예에서 몸체 위치 변경 부분을 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그리퍼 5 : 탄두 멈치
6 : 탄미 멈치 13 : 상부 몸체
14 : 하부 몸체 24 : 유압 모터
본 발명은 포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포탄이 적재된 포탄 적치 장치의 추출기로부터 포탄을 포신으로 삽입하는 장전기로 이송시키는 포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투 장비로서 사용되는 자주포는 각종 포탄을 적재한 상태로 빠른 속도로 진지를 이동하면서 목표물에 포탄을 발사한다. 이러한 전투용 차량에 적재되는 포탄등은 항상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승무원이 이를 취급함에 있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될뿐만 아니라 포탄 적치 장치 자체가 승무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전투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합하도록 모든 장비의 운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자주포나 전차등의 포탄 발사 장비를 기능별로 구분하면, 다수의 포탄을 적재하는 포탄 적치 장치와, 포탄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 장전기로 포탄을 이송하는 포탄 이송 장치와, 포탄을 포신으로 삽입하는 장전 장치로 나눌수 있다. 포탄 이송 장치는 포탄 적치 장치의 추출기에서 이송 대기 상태에 있는 포탄을 장전기의 장전 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포탄 이송 장치는 승무원이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통상 40 내지 50킬로그램의 중량을 지니는 대형 포탄을 취급하는 경우 승무원을 쉽게 피로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전에서 요구되는 발사 속도 증대에 의한 화력 집중 효과는 수동의 이송 방법으로는 도저히 획득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포탄을 이송시킬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이한 지점에 적치된 포탄을 이송시킬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가지 이상의 포탄 길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 모터, 및 유압 모터 제어 수단을 구비한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부착된 구동 수단,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포탄의 원통형 몸체에 대응하는 내측 원주 표면을 지닌 그리퍼 수단(gripper means),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포탄의 원추형 탄두 부분이 삽입 유지될 수 있는 탄두 멈치 수단 및, 상기 그리퍼 수단의 내측 원주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상승 유지됨으로써 포탄의 원통형 몸체의 평탄 저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탄미 멈치 수단을 구비한 포탄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그리퍼 수단은, 상기 그리퍼 부재,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와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 그리퍼 부재,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와 상기 하부 그리퍼 부재 사이에 삽입된 포탄을 조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상기 그리퍼 수단의 회전 반경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그리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그리퍼 아암 부재 및, 포탄의 원통형 몸체에 대응되는 내측 원주 표면을 지니는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력으로 상기 그리퍼 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대하여 일 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링크 부재 및, 상기 구동 링크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그리퍼 아암 부재의 일측에 대하여 각각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이 정지되었을때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멈치 부재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완충기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두 멈치 수단은, 탄두 멈치 부재, 상기 탄두 멈치 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 상기 롤러가 이동할 수 있는 롤러 홈을 형성하는 안내 부재, 상기 롤러를 상기 하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 부재, 상기 레버 부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간격 조절 부재 및, 상기 레버 부재를 탄성 편향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와 상기 하부 그리퍼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의 일측에 고정된 멈치 부재,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서 탄성적으로 편향 유지되며 상기 멈치 부재에 대응하는 캠 면을 지닌 이동 블록 부재, 상기 이동 블록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상기 이동 블록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반하여 상기 이동 블록 부재의 이동을 강제할 수 있는 푸셔 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미 멈치 수단은,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탄미 멈치 부재, 상기 탄미 멈치 부재가 결합되는 탄미 멈치 결합부 및, 상기 탄미 멈치 부재가 상기 보강 부재의 내측 원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승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리퍼 수단의 회전축에 결합된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수단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일 단부에 왕복 구동 수단 및, 탄성 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탱크 또는 자주포등에서 포탑내에 설치된 포탄 이송 장치를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제1(a)도에서, 포탄 이송 장치(10)는 포탑(1)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포탄 이송 장치(10)의 길이에 평행하게 포탄 장전 장치(2)가 설치된다. 포탄 장전 장치(2)는 대체로 포탑의 중앙부에 포신(도시되지 아니함)의 길이 방향 연장선상에 설치된다.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로서, 이송 장치(10)의 그리퍼(gripper)는 포탄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장전 장치 위로 포탄을 배치할 수 있다. 포탄 이송 장치(10)는 포탑(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 유압 발생 장치(3)로부터 유압을 제공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제1(b)도를 참조하면, 포탄 이송 장치(10)는 상부 몸체(13)와 하부 몸체(14)로 구성된다. 상부 몸체(13)의 일 단부는 2개의 지점(15,16)에서 유압 실린더(11) 및 개스 스프링(12)의 일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11) 및 개스 스프링(12)의 작용에 의해 포탄 이송 장치(10)의 몸체(13,14)는 포탑(1)의 내부에서 여러 위치에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탄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을 추출하는 추출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 여러개 설치된다 하더라도 포탄 이송 장치(10)의 몸체(13,14)는 이러한 높이에 적응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의 유압 모터 배관 부분을 분해 상태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유압 모터(24)는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고정되며, 유압 모터(24)에 대한 유압의 제공은 브랙킷(19)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18), 연결구(17) 및 시일(20)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몸체(14)에는 포탄의 원통형 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원주면이 형성된 그리퍼 조립체(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퍼 조립체(4)의 일측에는 탄두 멈치 조립체(5)가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으로 활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탄두 멈치 조립체(5)는 그 형상이 말발굽과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포탄의 탄두 외주면이 그 사이에 고정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탄두 멈치 조립체(5)의 반대편에서는 탄미 멈치 조립체(6)가 설치되어 있다. 포탄의 이송 작용에 있어서, 포탄의 탄두는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에서 탄두 멈치 조립체(5)를 향한 상태로 탄미 멈치 조립체(6)를 지나서 그리퍼 조립체(4)내로 삽입된다. 탄미 멈치 조립체(6)의 상부 표면은 그리퍼 조립체(4)의 내측 원주면과 일치하는 위치에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한다.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로서, 탄미 멈치 조립체(6) 자체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그리퍼 조립체(4)의 내측 원주 표면에 대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포탄이 그리퍼 조립체(4)내로 삽입되는 순간에는 탄두의 원추형 형상과 포탄의 하중에 의한 작용으로 탄미 멈치 조립체(6)의 상부 평면이 그리퍼 조립체(4)의 내측 원주 표면과 일치하여 그리퍼 조립체(4)에 대한 포탄의 진입이 허용되지만, 일단 원통형인 탄미 부분이 탄미 멈치 수단(6)의 상부를 통과한 후에는 탄미 멈치(23, 제3도)가 그리퍼 조립체(4)의 내측 원주 표면과 어긋나게 상승 돌출함으로써 포탄이 역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없다. 탄두 멈치 조립체(5)도 포탄의 길이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 포탄이 이송기내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제3도는 위 실시예에서 그리퍼 조립체, 탄두 멈치 조립체 및, 탄미 멈치 조립체를 이해하기 쉽도록 분해 도시한 것이다. 그리퍼 조립체는 상부 그리퍼(31), 보강재(33), 하부 그리퍼(32) 및, 연결 샤프트(34)를 구비한다. 하부 그리퍼(31)는 회전 아암(49)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아암(49)에는 이후에 설명될 핀들이 결합되는 구동 링크 핀 결합공(38), 그리퍼 샤프트 결합공(3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의 그리퍼는 상기 그리퍼 샤프트 결합공(37)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회전 아암(49)의 길이를 회전 반경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보강재(33)는 탄 마찰 표면의 손상을 억제하고자 하부 그리퍼(32)의 내측 원주 표면과 일치하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하부 그리퍼(32)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다. 그리퍼 수단(4)이 포탄을 파지하였을때 보강재(33)의 표면에 포탄이 안치된다. 연결 샤프트(34)는 상부 그리퍼(31)와 하부 그리퍼(32)가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연결 샤프트(34)에는 스프링(35)이 결합된다. 스프링(35)은 상부 그리퍼(31)와 하부 그리퍼(32)를 상호 접근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지닌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그리퍼(31)과 하부 그리퍼(32)가 서로 근접 상태를 유지하여 포탄을 스프링(35)의 탄성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부 그리퍼(31)의 외측 배면에는 상부 그리퍼 멈치(36)가 고정된다. 상부 그리퍼 멈치(36)는 그리퍼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을 구비하며, 이후에 설명될 바로서, 상기 돌출 부분이 캠면을 구비한 이동 블록(58, 제4도)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스프링(35)의 탄성력에 반하여 상부 그리퍼(31)가 하부 그리퍼(32)에 대하여 벌어지게 된다.
하부 그리퍼(31)의 일측에는 위에서 설명한 탄미 멈치(23)가 결합되는 탄미 멈치 결합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미 멈치(23)에는 장공(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47)을 통해 핀(48)이 결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미 멈치(23)는 항상 하부 그리퍼(32)의 내측 원주 표면(보다 정확히 표현하면 보강재(33)의 내측 원주 표면)보다 돌출된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탄미 멈치(23)의 단부에 결합된 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해서이다.
탄두 멈치(22)의 하부에는 핀을 통해 롤러(42)가 결합된다. 롤러(42)는 안내대(45,46) 사이에 형성된 롤러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탄두 멈치(22)의 위치가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에서 변경될 수 있다. 탄두 멈치(22)의 위치는 레버(40), 스프링(41), 간격 조절기(43) 및 간격 유지기(4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레버(40)의 몸체는 간격 조절기(43)상에 형성된 2개 이상의 홈(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홈)에 끼워질 수 있으며, 레버(40)를 편향시키는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의 홈에 유지된다. 스프링(41)은 핀을 통해 레버(40)의 회전축과 결합된다. 탄두 멈치(22)의 길이 방향 위치를 변경시키려면, 레버(40)를 스프링(41)의 편향력에 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간격 조절기(43)의 홈으로부터 빼내고, 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른 홈에 레버(40)를 안착시키면 스프링(41)의 힘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제4도는 상부 그리퍼(31)의 벌어진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 및 모터축의 회전 완충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위 실시예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것이다. 하부 몸체(14)의 상부에는 두개의 브랙킷(56)이 고정되고, 그 사이에 가이드 샤프트(61)가 설치되며, 가이드 샤프트(61)에는 스프링(57)과 이동 블록(58)이 삽입된다. 이동 블록(58)에는 제3도의 상부 그리퍼 멈치(36)에 대응하는 캠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61)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과, 이동 블록(58)을 밀어내는 퓨셔(59)의 단부에 대응하는 폐쇄공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60)는 하부 몸체(14) 위에서 도면 번호 66으로 지시된 부분에 고정되는 회전축(6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레버(60)의 일 단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여 하부 몸체(14)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레버(60)의 다른 단부는 푸셔(59)의 일 단부와 핀(63)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핀(63)이 결합되는 레버(60)의 단부에는 장공(6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셔(59)와 레버(60)의 상대적인 회전시에 발생하는 각도 변화에 상관없이 푸셔(59)가 이동 블록(58)을 항상 동일한 직선상에서 밀어낼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블록(58)은 가이드 샤프트(61)를 따라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스프링(57)에 의한 편향력 및, 레버(60)와 푸셔(59)에 의한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조립 상태의 그리퍼(4)가 완전히 회전하여 하부 몸체(14)의 상부면에 형성된 그리퍼 지지부(51, 제4도)에 접촉할때, 즉 포탄 이송 장치가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을 수수할 준비가 되어있을때 이동 블록(58)에 형성된 캠 면은 제3도에 도시된 상부 그리퍼(31)의 멈치(36)와 접촉하며, 따라서 상부 그리퍼(31)는 스프링(35, 제3도)의 탄성력에 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포탄이 그리퍼(4)내로 삽입된 후에는 레버(60)를 잡아 당겨서 상부 그리퍼(31)가 벌어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레버(60)를 잡아 당기면 푸셔(59)가 이동 블록(58)을 스프링(57)의 편향력에 반해 밀어내며, 이때 상부 그리퍼 멈치(36, 제3도)는 이동 블록(58)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부 그리퍼(31)가 스프링(35, 제3도)의 편향력에 의해 하부 그리퍼(32)와의 사이에 삽입된 포탄을 조일 수 있다.
하부 몸체(14)에는 그리퍼 지지부(51)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퍼 지지부(51)에는 충격 흡수판(65)이 고정된다. 그리퍼 지지부(51)는 제3도에 도시된 하부 그리퍼(32)의 외측 원주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된다. 그리퍼가 하부 몸체(14)의 상부로 완전히 회전하여 포탄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을 수수할 수 있는 상태로 될 때 하부 그리퍼(32)의 외측 원주 표면이 상기 그리퍼 지지부(51)에 고정된 충격 흡수판(65)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충격을 충격 흡수판(65)이 흡수할 수 있다.
하부 몸체(14)의 하부에는 완충기(53)가 브랙킷(55)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 번호 54로 지시된 부분은 브랙킷(55)의 통공을 지나 돌출한다. 완충기(53)의 작용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그 기능은 그리퍼 회전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제5도는 그리퍼의 구동 부분 및 제어 부분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하부 몸체(14)의 측면에는 그리퍼 및 유압 모터(24)를 지지하는 브랙킷(71,72)이 고정된다. 그리퍼 브랙킷(71)에 형성된 통공과,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른 브랙킷(72)의 통공 사이에는 샤프트(81)가 결합되며, 샤프트(81)는 제3도에 도시된 그리퍼 샤프트 결합공(37)에 삽입된다. 따라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그리퍼의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81)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유압 모터(24)의 회전축에는 구동 샤프트(73)의 일 단부가 결합되며, 구동 샤프트(73)의 다른 단부에는 구동 링크(74)의 일 단부가 결합된다. 구동 샤프트(73)와 구동 링크(74) 사이의 결합은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키이(78)가 결합될 수 있는 키이홈이 구동 링크(74)의 결합공에 형성된다. 구동 링크(74)의 다른 단부는 연결 링크(75)의 일 단부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76)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 링크(75)의 다른 단부는 핀(77)을 통해 제3도에 도시된 하부 그리퍼(32)의 결합공(38)에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링크(74) 및 연결 링크(75)는 일종의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며, 따라서 유압 모터(24)의 회전은 그리퍼 조립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유압 모터(24)의 회전은 브랙킷(71)의 일측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25)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샤프트(81)의 단부에 결합된 캠(82)이 리미트 스위치(25) 박스안에서 회전하는 것을 리미트 스위치(25)가 감지함으로써 유압 모터(24)의 제어가 가능하다.
구동 샤프트(73)의 단부에는 모터 회전 멈치(80)가 설치된다. 모터 회전 멈치(80)는 구동 샤프트(73)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키이(79)에 의해 키이 결합된다. 모터 회전 멈치(80)의 돌출 단부는 구동 샤프트(73)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4도에 도시된 완충기(53)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퍼 조립체가 포탄을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 몸체(14)로부터 장전기의 상부로 완전히 회전하여 정지하였을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기(53)가 설치된다.
제6도는 포탄 이송기의 몸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변경 부분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상부 몸체(13)는 도면 번호 89로 지시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포탄을 추출하는 적치 장치의 추출기 위치에 적응할 수 있다. 상부 몸체(13)를 회전시키는 것은 도면 번호 15로 지시된 통공에 결합된 유압 실린더의 구동력이다. 상부 몸체(13)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 완충 및, 포탄 이송기 자체의 불평형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스 스프링(12)과 같은 완충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개스 스프링(12)의 일 단부는 핀(87)에 의해 상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핀(88)에 의해 포탑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이송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포탄 이송기는 포탄이 추출되는 위치에 따라 유압 실린더(11) 및 개스 스프링(12)의 작용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포탄을 수수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포탄 수수 준비 상태에 있을때, 그리퍼 조립체는 하부 몸체(14)위로 회전하여 하부 그리퍼(32)의 외측 원주 표면이 그리퍼 지지부(51)상의 충격 흡수판(65)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부 그리퍼(31)는 하부 그리퍼(32)에 대하여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제4도에서) 스프링(57)의 편향력에 의해 유지되는 이동 블록(58)의 캠면이 상부 그리퍼(31)의 외측 원주 표면에 고정된 멈치(36)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탄을 그리퍼에 삽입하기에 앞서, 포탄의 종류에 따른 포탄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레버(40)를 조작함으로써 탄두 멈치(22)의 위치를 설정한다.
포탄을 그리퍼 조립체에 삽입하는 작업은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에서 탄두를 탄두 멈치(22)로 향하게 하고 이루어진다. 원추형 탄두는 탄두 멈치(22) 사이에 삽입되고, 원통형 포탄 몸체는 그리퍼 사이에 삽입된다. 삽입 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 탄미 멈치(23)는 포탄의 하중에 의해 하강 상태를 유지한다. 탄미가 탄미 멈치(23)를 완전히 통과한 이후에는 다시 상승하여 원통형 포탄의 평탄한 저면에 해당하는 탄미에 걸리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레버(60)를 잡아당기면 푸셔(59)가 이동 블록(58)을 밀게 되고, 따라서 이동 블록(58)과 상부 그리퍼 멈치(36)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부 그리퍼(31)는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그리퍼(32)와의 사이에 배치된 포탄을 조이게 된다. 포탄이 고정되면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여 포탄을 장전기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까지 포탄 이송기를 회전시킨다.
제5도에서 유압 모터(24)의 구동력을 크랭크 기구(74,75)를 통해 전달받은 그리퍼 조립체는 샤프트(81)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시작한다. 소정의 각도를 회전한 후에는 포탄을 장전기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며, 다음 단계의 장전 작용이 수행된다. 이송 준비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회전한 후에는 리미트 스위치(25)의 작용에 의해 유압 모터(24)의 작동이 중지되며, 이때 발생하는 충격력은 모터 구동 샤프트(73)에 결합된 멈치(80)가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부착된 완충기(53)에 접촉함으로써 완충된다.
그리퍼 조립체가 포탄을 파지하고 회전하는 중에는 레버(60)에 대한 외력이 이미 해제된 상태이므로, 이동 블록(58)은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편향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그리퍼 조립체가 장전 작용을 끝내고 다시 하부 몸체(14)의 상부로 회전하여 준비 상태로 전환하면 상부 그리퍼(31)의 멈치(36)가 이동 블록(58)의 캠면과 접촉하여 상부 그리퍼(31)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포탄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 장전기에 도달하기까지 포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포탄 적치 장치의 추출기 위치 및 포탄의 종류에 따른 포탄 길이에 적응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지닌다. 특히 포탄 이송 동작이 유압 모터 및, 유압 모터의 운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수행되므로 효과적인 포탄 이송 작업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로 도시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부 및 하부 몸체(13,14), 상기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부착된 구동 수단(24), 상기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부 그리퍼 부재(31),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31)와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 그리퍼 부재(32),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31)와 상기 하부 그리퍼 부재(32) 사이에 삽입된 포탄을 조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35), 상기 하부 그리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회전 반경을 형성하는 그리퍼 아암 부재(49) 및, 포탄의 원통형 몸체에 대응되는 내측 원주 표면을 지니는 보강 부재(33)를 구비한 그리퍼 수단(gripper means, 4), 상기 하부 몸체(14)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포탄의 원추형 탄두 부분이 삽입 유지될 수 있는 탄두 멈치 부재(22), 상기 탄두 멈치 부재(22)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42), 상기 롤러(42)가 이동할 수 있는 롤러 홈을 형성하는 안내 부재(45,46), 상기 롤러(42)를 상기 하부 몸체(1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 부재(40), 상기 레버 부재(4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간격 조절 부재(43,44) 및, 상기 레버 부재(40)를 탄성 편향시키는 탄성 부재(40)를 구비하는 탄두 멈치 수단(5) 및, 상기 그리퍼 수단(4)의 내측 원주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상승 유지됨으로써 포탄의 원통형 몸체의 평탄 저면 부분을 지지하며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탄미 멈치 부재(23), 상기 탄미 멈치 부재(23)가 결합되는 탄미 멈치 결합부(26) 및, 상기 탄미 멈치 부재(23)가 상기 보강 부재(33)의 내측 원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승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탄성 부재(27)를 구비하는 탄미 멈치 수단(6)을 구비한 포탄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24)의 구동력으로 상기 그리퍼 수단(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대하여 일 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링크 부재(74) 및, 상기 구동 링크 부재(74)의 타 단부와 상기 그리퍼 아암 부재(49)의 일측에 대하여 각각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 부재(7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24)의 회전이 정지되었을때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멈치 부재(80) 및, 상기 하부 몸체(14)의 일측에 고정된 완충기(5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31)와 상기 하부 그리퍼 부재(32)를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그리퍼 부재(31)의 일측에 고정된 멈치 부재(36), 상기 하부 몸체(14)의 상부에서 탄성적으로 편향 유지되며 상기 멈치 부재(36)에 대응하는 캠 면을 지닌 이동 블록 부재(58), 상기 이동 블록 부재(58)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57), 상기 이동 블록 부재(58)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61) 및, 상기 탄성 부재(57)의 탄성력에 반하여 상기 이동 블록 부재(58)의 이동을 강제할 수 있는 푸셔 부재(5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24)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리퍼 수단(4)의 회전축에 결합된 캠 부재(82) 및, 상기 캠 부재(82)의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수단(2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13,1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몸체(13)의 일 단부에 왕복 구동 수단(11) 및 탄성 수단(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KR1019960002364A 1996-01-31 1996-01-31 포탄 이송 장치 KR10024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364A KR100241868B1 (ko) 1996-01-31 1996-01-31 포탄 이송 장치
US08/794,278 US5965837A (en) 1996-01-31 1997-01-31 Artillery shell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364A KR100241868B1 (ko) 1996-01-31 1996-01-31 포탄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05A KR970059705A (ko) 1997-08-12
KR100241868B1 true KR100241868B1 (ko) 2000-03-02

Family

ID=1945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364A KR100241868B1 (ko) 1996-01-31 1996-01-31 포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65837A (ko)
KR (1) KR100241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9477A1 (de) * 2000-06-15 2001-12-20 Krauss Maffei Wegmann Gmbh & C Einrichtung zur Zuführung von großkalibrigen Geschossen zu einer schweren Waffe, insbesondere einer Panzerhaubitze
KR100673944B1 (ko) * 2000-12-28 2007-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신관의 장입기를 구비한 포탄 이송 장치
KR100457818B1 (ko) * 2001-02-26 2004-11-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동 탄 이송장치
SE520361C2 (sv) * 2001-12-05 2003-07-01 Alvis Haegglunds Ab Anordning för överföring av grovkalibrig ammunition från ett ammunitionsmagasin till ett laddläge vid ett grovkalibrigt vapen
US8215225B1 (en) * 2010-06-03 2012-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Large caliber autoloader
FR3015017B1 (fr) * 2013-12-16 2016-07-01 Nexter Systems Dispositif de prehension d'obus
FR3110228B1 (fr) * 2020-05-12 2022-05-13 Mbda France DIspositif de détection d'absence de barrière mécanique pour missile et missi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688A (en) * 1888-04-10 murray
US2933020A (en) * 1957-11-20 1960-04-19 Jr Edmond W Hammer Tilt tray
US4398447A (en) * 1981-02-19 1983-08-16 Fmc Corporation Vertical loading system for a gun mount
JPH076755B2 (ja) * 1989-09-28 1995-01-30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長尺物移送機構
DE4205963A1 (de) * 1992-02-27 1993-09-02 Kuka Wehrtechnik Gmbh Panzerhaubitze
US5440966A (en) * 1993-08-10 1995-08-15 Fmc Corporation Material hand-off device and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05A (ko) 1997-08-12
US5965837A (en) 199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400A (en) Magazine with linkless cartridge feed system
US7770567B1 (en) Safety trigger for a crossbow
KR100241868B1 (ko) 포탄 이송 장치
US4619181A (en) Ammunition and magazine for an automatic loading arrangement
US4398447A (en) Vertical loading system for a gun mount
CA2919777C (en) Gripper device for holding the munition when loading a gun
EP2657160B1 (en) Pneumatic dispatch cartridge and apparatus for unloading it
NO336643B1 (no) Drivladningstilførsel
KR0136523Y1 (ko) 탄이송장치
US5168121A (en) Autoloading apparatus for large caliber rapid fire guns
DE3050016C2 (de) Zweistufen-Granatenzufuhrgerät mit Granatenzufuhrpfadsteuerung
KR100346894B1 (ko)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US3796422A (en) Rotary collator with sheet clamping means
GB2225418A (en) Locking device for a breech wedge
KR200153812Y1 (ko) 포탄자동 이송장치
KR20210134903A (ko) 탄약 컨베이어 및 이러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포탑
KR0133680Y1 (ko) 탄이송장치
US4566369A (en) Loading tray mechanism for a tank cannon
EP0966644B1 (en) Bucket carrier for molded solid propellant storage magazine
KR20020069522A (ko) 포탄 적재장치
US9470476B1 (en) Mortar retention system for automated weapons
JPS59191898A (ja) 自動火器の弾薬筒装填装置
KR100457818B1 (ko) 자동 탄 이송장치
KR20240041938A (ko) 각각 하나의 물체, 특히 하나의 군용 발사체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특히 대포의 탄약 공급 장치
KR100548000B1 (ko) 포탄 적재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