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894B1 -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894B1
KR100346894B1 KR1020000019258A KR20000019258A KR100346894B1 KR 100346894 B1 KR100346894 B1 KR 100346894B1 KR 1020000019258 A KR1020000019258 A KR 1020000019258A KR 20000019258 A KR20000019258 A KR 20000019258A KR 100346894 B1 KR100346894 B1 KR 10034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loading
assembly
turret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840A (ko
Inventor
박영쇠
박순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89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상탄통에 준비탄을 적재하고 선택된 탄을 이동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탄을 수직이송시키는 선상탄통장치(1)와, 상기한 선상 탄통장치(1)로부터 탄이 수직 상승되면 3발의 탄을 120도씩 회전시키면서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회전시킨 뒤에 상부의 탄통을 주포와 일렬로 정렬시키는 송탄장치(2)와, 상기한 송탄장치(2)에 의해 1발의 탄통이 주포 후미로 이송되고 나면 슬라이더를 작동시켜 탄을 주포약실내로 장전시키는 장전장치(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체 고정형과 버슬식 포탑 고정형의 형태를 혼합하여 체인으로 회전되는 탄적치대를 차체 후미 상단에 설치하고 탄을 송탄장치로 이송한 후 주포약실내로 탄을 자동으로 장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포탑 상부 후미에 탄적치대의 설치공간 확보가 어려운 소형 포탑 전차와 무포탑 상승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을 차체 후방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무원의 생존성을 증가시키고, 송탄장치에 항상 3발의 탄을 적재함으로써 발사속도 향상 및 2탄의 급속발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an automatic charging system of a gun}
이 발명은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차체 고정형과 버슬식 포탑 고정형의 형태를 혼합하여 체인으로 회전되는 탄적치대를 차체 후미 상단에 설치하고 탄을 송탄장치로 이송한 후 주포약실내로 탄을 자동으로 장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포탑 상부 후미에 탄적치대의 설치공간 확보가 어려운 소형 포탑 전차와 무포탑 상승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을 차체 후방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무원의 생존성을 증가시키고, 송탄장치에 항상 3발의 탄을 적재함으로써 발사속도 향상 및 2탄의 급속발사속도를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전투차량)는 생존성 증대, 전투력 증대, 중량감소, 기동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여 설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안중의 하나가 전자 제어방식을 사용하여 탄을 클램핑한 후 탄을 주포에 장전함으로써 탄약수를 대신하여 탄을 자동으로 주포에 장전시키는 자동 장전 시스템의 채택이다.
상기한 전차용 탄은 전차의 내부에 있는 주탄통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주탄통과 주포 사이에는 어느정도의 높낮이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주탄통 내부의 탄을 주포에 자동 장전하기 위해서는 주탄통의 탄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전차의 형태에 따라 설정된 탄의 경사각을 이용하여 탄을 자동으로 장전할 수 있는 자동 장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전차에서는 여러가지 형태의 자동 장전 개념을 전차의 특성 및 형상에 따라 이미 적용중에 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자동 장전이라는 운용개념은 동일하지만 장치를 구성하는 설계 메커니즘은 서로 상이하다. 즉, 각각의 고유 모델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전차의 자동 장전 시스템의 형태로는 크게 차체 고정형(In-Hull)과 포탑 고정형(In-Turret)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한 포탑 고정형은캐로우젤(Carousel)식과 버슬(Bustle)식이 있는데, 캐로우젤식은 포탑 하단부 중앙에 탄 적치대를 설치하고 탄을 방사형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치한 뒤에 탄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탄을 주포까지 이송시킨 후 장전장치를 이용하여 장전하도록 되어 있고, 버슬식은 포탑 상부 후미에 탄 적치대를 설치하고 탄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장전기로 바로 장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장전 시스템은, 소형 포탑을 탑재한 소형 포탑 전차의 경우에는 소형 포탑의 후미에 탄 적치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소형 포탑 전차에는 상기한 캐로우젤식 및 버슬식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포탑을 탑재한 전차의 특성 및 형상에 부합되도록 전차의 주어진 공간내에 자동 장전 시스템을 설치하여 탄을 자동으로 선택 및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포까지 신속 정확하게 장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99-3881호(출원일자: 서기 1999년 2월 5일)의 "소형 포탑 전차의 탄 자동 장전장치"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소형 포탑 전차의 탄 자동 장전장치"는 포탑내에 승무원이 있는 유인 포탑 전차용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포탑이 상승하는 방식의 무인 포탑 전차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체 고정형과 버슬식 포탑 고정형의 형태를 혼합하여 체인으로 회전되는 탄적치대를 차체 후미 상단에 설치하고 탄을 송탄장치로 이송한 후 주포약실내로 탄을 자동으로 장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포탑 상부 후미에 탄적치대의 설치공간 확보가 어려운 소형 포탑 전차와 무인 포탑 상승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을 차체 후방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무원의 생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송탄장치에 항상 3발의 탄을 적재함으로써 발사속도 증대 및 2탄의 급속발사속도를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내외부튜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내외부튜브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내외부튜브 조립체의 외부튜브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의 탄수직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송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송탄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장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장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장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장전장치의 장전 상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선상탄통장치 2 : 송탄장치
3 : 장전장치 11 : 탄적치대
12 : 내외부튜브 조립체 13 : 유압 액튜에이터
14 : 충격흡수장치 15 : 스프라켓
16 : 체인 17 : 선상탄통구동모터
21 : 회전기 조립체 22 : 회전기 모터
23 : 이송기 조립체 24 : 이송기 모터
25 : 하우징 조립체 26 : 탄통 조립체
27 : 탄두 클래프 개폐장치 31 : 장전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선상탄통에 준비탄을 적재하고 선택된 탄을 이동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탄을 수직이송시키는 선상탄통장치와, 상기한 선상 탄통장치로부터 탄이 수직 상승되면 3발의 탄을 120도씩 회전시키면서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회전시킨 뒤에 상부의 탄통을 주포와 일렬로 정렬시키는 송탄장치와, 상기한 송탄장치에 의해 1발의 탄통이 주포 후미로 이송되고 나면 2단 슬라이더를 작동시켜 탄을 주포약실내로 장전시키는 장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구성은, 선상탄통에 탄(4)을 적재하고 선택된 탄(4)을 이동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탄(4)을 수직이송시키는 선상탄통장치(1)와, 상기한 선상 탄통장치(1)로부터 탄(4)이 수직 상승되면 3발의 탄을 120도씩 회전시키면서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회전시킨 뒤에 상부의 탄통을 주포(5)와 일렬로 정렬시키는 송탄장치(2)와, 상기한 송탄장치(2)에 의해 1발의 탄통이 주포(5) 후미로 이송되고 나면, 2단 슬라이더를 작동시켜 탄(4)을 주포(5) 약실내로 장전시키는 장전장치(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9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1)의 구성은, 탄재적재구멍(111) 및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탄적치대(11)와, 가이드롤러(127)를 이용하여 상기한 탄적치대(11)의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을 따라 회전하면서 탄(4)을 이동위치로 이송시키는 내외브튜브 조립체(12)와, 이동위치로 이송된 탄(4)을 송탄장치(2)로 수직이송시키는 유압액튜에이터(13)와, 차량의 주행중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14)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선상탄통구동모터(17)와, 상기한 선상탄통구동모터(17)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모터축 스프로켓(15)과, 상기한 내외부튜브 조립체(12)의 이빨과 맞물려서 상기한 구동모터축 스프로켓(15)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한 내외부튜브 조립체(12)가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을 따라 회전이동되도록 하는 체인(16)을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선상탄통장치(1)의 내외부튜브 조립체(12)의 구성은, 탄을 저장하는 내부튜브조립체(121)와, 상기한 내부튜브 조립체(121)가 안착되고 양끝단의 좌우측에 가이드 롤러(127)가 조립되는 외부덮개 조립체(123)와, 상기한 내부튜브 조립체(121)와 외부덮개 조립체(123)를 잠금 및 해제하는 전후방의 덮개 조립체 개폐장치(124)와, 탄(4)을 클램프 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122)와, 회전링크(125)와, 방향전환기어(126)와, 가이드롤러(12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송탄장치(2)의 구성은, 탄적치대(11)로부터 탄(4)을 공급받아 회전시 가이드면을 제공하는 덮개 조립체(20)와, 탄(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 조립체(21) 및 회전기 모터(22)와, 장전시 탄통튜브를 포미끼지 이송시키는 이송기 조립체(23) 및 이송기 모터(24)와, 장전기 및 장전모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외형 구조물인 하우징 조립체(25)와, 3발의 탄통이 형성되어 있는 탄통 조립체(26)와, 탄두클램프 개폐장치(27)와, 튜브개폐용 스프링(28)과, 볼스크루우축(2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장전장치(3)의 구성은, 탄(4)을 장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전모터(31)와, 1단 이송거리의 2배만큼 이송되면서 탄(4)을주포(5) 약실내로 장전시키는 2단 슬라이더(32)와, 상기한 2단 슬라이더(3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단(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차장 또는 전차 승무원이 탄종을 선정하여 선상탄통장치(1)의 탄적치대(11)의 탄재적재구멍(111)을 통해 내외브 튜브 조립체(12)로 탄(4)을 밀어 넣으면, 선상탄통구동모터(17)의 작동으로 내외튜브조립체(12)에 저장된 탄(4)이 송탄장치(2)의 하부의 이동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포탑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선상 탄통장치(1)는 선상탄통에 탄(4)을 적재하고 선택된 탄(4)을 송탄장치(2)의 하부의 이동위치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는데, 선상탄통구동모터(17)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라켓(15)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한 스프라켓(15)에 연결되어 있는 2열 체인(16)이 내외부튜브조립체(12)의 이빨(129)과 맞물려 회전하게 됨으로써 내외부튜브 조립체(1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내외부튜브조립체(12)의 각각은 상호간에 회전링크(125)로 연결되어 조립되어 있고, 가이드롤러(127)에 의해서 탄적치대(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상기한 탄적치대(11)는 선상 탄통장치(1)를 구성하는 주 구조물로서 모터축 및 종동축을 조립하기 위한 베어링 구멍이 가공되어 있고, 좌우측에는 내외부 튜브 조립체(12)의 가이드롤러(127)의 무한궤적을 위한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이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 롤러(127)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선상탄통구동모터(17)는 필요한 탄이 선정되면 탄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한 탄적치대(11)의 좌우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2열 무한 체인(16)은, 상기한 선상탄통 구동모터(17)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스프라켓(15)이 회전되면 회전하는 스프라켓(15)에 체인(16) 1열이 물리고 다른 1열은 내외부튜브 조립체(12)의 하단의 이빨(129)과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유압 액튜에이터(13)는 탄적치대(11)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탄(4)을 송탄장치(2)로 수직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내외브튜브 조립체(12)의 덮개조립체 개폐장치(124)를 동작시켜 외부덮개 조립체(123)를 개폐하여 내부튜브조립체(121)와 같이 탄(4)을 송탄장치(2)로 수직 이송시킨 후에 내부 튜브 조립체(121)를 외부덮개조립체(123)내로 복귀시키면서 덮개를 닫아주게 된다.
상기한 충격 흡수장치(14)는 탄적치대(11)의 하단 모서리 부분의 4개소에 설치되어 주행중에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내외부튜브 조립체(12)는, 탄을 저장하는 내부튜브 조립체(121)와, 상기한 내부튜브 조립체(121)가 안착되고 양끝단의 좌우측에 가이드 롤러(127)가 조립되는 외부덮개 조립체(123)와, 상기한 내부튜브 조립체(121)와 외부덮개 조립체(123)를 잠금 및 해제하는 전후방의 덮개조립체 개폐장치(124)와, 클램프 장치(122)와, 회전링크(125)와, 가이드 롤러(127)와, 방향전환 기어(126)와, 유압 액튜에이터 접근홈(128)과, 이빨(12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외부덮개 조립체(123)는 탄적치대(11)의 상부에 조립되어 탄(4)과 탄적치대(11)에 조립된 구성품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외부덮개 조립체(123)의 덮개를 다시 한번 잠글수 있도록 덮개 상단이 덮개 하단에 접촉되면서 회전한다. 상기한 외부덮개 조립체(123)에는 탄(4)을 고정하는 2개의 클램프와 내외부튜브 잠금/해제용 클램프가 있으며, 외부덮개 조립체(123)의 하단에는 체인(16)과 물릴 수 있는 이빨(129)이 가공되며, 외부덮개 조립체(123)의 양끝단에는 수직 이송용 유압 액튜에이터 접근홈(128)이 가공된다.
상기한 가이드 롤러(127)는 이웃하는 내외튜브 조립체의 하단 좌우측에 있는 회전링크(125)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내외튜브 조립체(12)의 회전 안내 역할을 한다.
상기한 덮개조립체 개폐장치(124)는 외부덮개 조립체(123)의 가이드바 전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탄 수직상승용 유압 액튜에이터(13)에 부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된다.
선상 탄통장치(1)의 선상탄통에 적재된 탄(4)이 이동위치로 회전되고 나면, 탄적치대(1)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 액튜에이터(13)가 한발의 탄(4)을 내부튜브 조립체(121)와 함께 송탄장치(2)내로 수직 이송시킨다.
상기한 송탄장치(2)는, 탄적치대(11)의 탄(4)이 유압 액튜에이터(13)에 의해서 수직 상승되고 나면 이 탄(4)을 송탄장치(2)의 하부의 덮개 조립체(20)를 열고 3발의 탄을 120도씩 회전시키면서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의 한발의 탄(4)은 주포(5)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정렬된다. 상기한 송탄장치(2)는, 하부의 덮개 조립체(20)를 양쪽으로 개방한 뒤에 유압 액튜에이터(13)에 의해 탄이 수직이송되고 나면 양쪽의 덮개 조립체(20)를 닫아 줌으로써 유압 액튜에이터(13)에 의해서 수직 이송된 탄을 송탄장치(2)내로 이송시키며, 이와 같이 이송된 탄을 회전기 조립체(21)를 이용하여 120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한 송탄장치(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선상탄통장치(1)의 유압 액튜에이터(13)로부터 3발의 탄을 탄통 조립체(26)로 공급받게 된다. 3발의 탄을 공급받은 송탄장치(2)는 포탑 후방에 설치되므로 포탑이 상승하면 포탑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양쪽의 덮개 조립체(20)는 유압 액튜에이터(13)에 의해 개폐되는데, 탄적치대(11)로부터 탄을 공급받을 경우에는 양쪽 덮개 조립체(20)가 열린 상태이며, 이때 회전기 조립체(21)에 설치된 탄통 조립체(26)의 탄통 튜브도 이 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개방된다. 이어서, 탄이 탄적치대(11)로부터 수직 이송되면 양쪽 덮개 조립체(20)를 닫아 탄을 송탄장치(2)내의 탄통 튜브로 이동 적재시킨다.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3발의 탄이 연속적으로 송탄장치(2)내의 탄통 조립체(26)로 공급된 후, 송탄장치(1)내의 회전기 모터(22)는 탄이 주포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회전기 조립체(21)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회전기 조립체(21)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탄통 튜브가 설치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회전축에는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T홈이 있어 장전시 1개의 탄통튜브를 주포 후미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에는 감속기와 스텝모터인 회전기 모터(22)가 연결되어 있어서 60도 및 120도스텝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한 회전축의 전방에는 이송 스톱퍼가 있으며, 상기한 스톱퍼 축에는 스텝 모터가 설치되어 탄통 이송시 스톱퍼를 개폐시킨다.
다음에, 이송기 조립체(23)의 볼스크루우축(231)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기 모터(24)에 의해 1발의 탄통 튜브가 주포 후미까지 이동되며, 이때 탄두 클램프 개폐장치(27)에 의해 탄두 클램프가 해제되어 탄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한 이송기 조립체(23)는 송탄장치(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기 모터(24)가 볼스크루우 축(231)을 회전시키면 1발의 탄통 튜브를 주포 후미까지 이송시킨다. 이때, 탄통 튜브 전방부의 4개소의 판스프링 탄두 클램프가 탄두 클램프 개폐장치(27)에 의해 해제된다. 상기한 이송기 조립체(23)의 후방부에는 걸쇠가 있어 송탄장치(2)내의 탄통튜브 홈에 걸쇠가 접근되며, 회전기 조립체(21)가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장전시에는 상기한 탄통 튜브 홈에 물려서 1개의 탄통 튜브를 주포 후미까지 이송시킨 후, 탄통을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25)는 회전기 조립체(21)의 회전축과 베어링, 이송기 모터(24), 회전기 모터(22), 장전장치(2) 등이 설치되는 외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송탄장치(2)에 의해 1발의 탄통이 주포 후미로 이송되고 나면, 송탄장치(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전장치(3)의 장전모터(31)의 작동으로 2단 슬라이더(32)가 이동되면서 탄을 주포약실내로 장전시킨다. 상기한 장전장치(3)는 송탄장치(2)에 의해 주포와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된 탄(4)을 주포(5)의 약실내로 장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송탄장치(2)의 상부에 설치된 장전장치(3)는 장전모터(31),감속기 및 체인, 2단 슬라이더(32), 고정단(33)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2단 슬라이더(32)에 의해서 1단의 이송거리의 2배만큼 이동되면서 탄(4)이 주포(5)의 약실내로 장전된다. 이와 같이 탄(4)이 주포(5)의 약실내로 장전되고 나면, 이송기 모터(24) 및 장전모터(31)의 작동으로 탄통 튜브 및 2단 슬라이더(32)가 복귀된다.
상기한 장전모터(31)는 탄(4)을 장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한 장전모터(31)의 모터축에 감속기 및 피니언 기어가 설치된다. 상기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2단 슬라이더(32)의 1단 랙이 이송되며, 체인이 고정단과 1단의 스프라켓을 통해 2단 랙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한 1단 랙의 이송에 따라 1단 랙의 이동거리의 2배만큼 2단 랙이 이송된다. 상기한 2단 슬라이더(32)는 1단 랙이 고정단(33)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되며, 2단 랙은 1단 랙을 가이드로 하여 장전거리를 이동한다.
이와같이, 장전장치(3)가 송탄장치(2)내의 2탄 및 3탄을 연속해서 장전시킨 후 사격이 이루어지고 나면, 탄(4)의 재보급을 위해 포탑을 하강시키면서 전체적인 1행정이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체 고정형과 버슬식 포탑 고정형의 형태를 혼합하여 체인으로 회전되는 탄적치대를 차체 후미 상단에 설치하고 탄을 송탄장치로 이송한 후 주포약실내로 탄을 자동으로 장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포탑 상부 후미에 탄적치대의 설치공간 확보가 어려운 소형 포탑 전차와 무포탑 상승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을 차체 후방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승무원의 생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송탄장치에 항상 3발의 탄을 적재함으로써 발사속도 증대 및 2탄의 급속발사속도를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방위산업 분야에서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6)

  1. 선상탄통에 준비탄을 적재하고 선택된 탄을 이동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탄을 수직이송시키는 선상탄통장치(1)와, 상기한 선상 탄통장치(1)로부터 탄이 수직 상승되면 3발의 탄을 120도씩 회전시키면서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회전시킨 뒤에 상부의 탄통을 주포와 일렬로 정렬시키는 송탄장치(2)와, 상기한 송탄장치(2)에 의해 1발의 탄통이 주포 후미로 이송되고 나면 슬라이더를 작동시켜 탄을 주포약실내로 장전시키는 장전장치(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상탄통장치(1)는, 탄재적재구멍(111) 및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탄적치대(11)와, 가이드롤러(127)를 이용하여 상기한 탄적치대(11)의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을 따라 회전하면서 탄을 이동위치로 이송시키는 내외브튜브 조립체(12)와, 이동위치로 이송된 탄을 송탄장치(2)로 수직이송시키는 유압액튜에이터(13)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선상탄통구동모터(17)와, 상기한 선상탄통구동모터(17)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모터축 스프로켓(15)과, 상기한 내외부튜브 조립체(12)의 이빨과 맞물려서 상기한 구동모터축 스프로켓(15)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한 내외부튜브 조립체(12)가 가이드롤러 회전궤적홈(112)을 따라 회전이동되도록 하는 체인(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상탄통장치(1)는 차량의 주행중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외부튜브 조립체(12)는, 탄을 저장하는 내부튜브조립체(121)와, 상기한 내부튜브 조립체(121)가 안착되고 양끝단의 좌우측에 가이드 롤러(127)가 조립되는 외부덮개 조립체(123)와, 상기한 내부튜브 조립체(121)와 외부덮개 조립체(123)를 잠금 및 해제하는 전후방의 덮개 조립체 개폐장치(124)와, 탄을 클램프 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122)와, 회전링크(125)와, 방향전환기어(126)와, 가이드롤러(12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송탄장치(2)는, 선상탄통장치(1)의 탄적치대(11)로부터 탄을 공급받아 회전시 가이드면을 제공하는 덮개 조립체(20)와, 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 조립체(21) 및 회전기 모터(22)와, 장전시 탄통튜브를 포미끼지 이송시키는 이송기 조립체(23) 및 이송기 모터(24)와, 장전기 및 장전모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외형 구조물인 하우징 조립체(25)와, 3발의 탄통이 형성되어 있는 탄통 조립체(26)와, 탄두클램프 개폐장치(27)와, 튜브개폐용 스프링(28)과, 볼스크루우축(2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상승형 전차용자동 장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전장치(3)는, 탄을 장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전모터(31)와, 1단 이송거리의 2배만큼 이송되면서 탄을 주포 약실내로 장전시키는 2단 슬라이더(32)와, 상기한 2단 슬라이더(32)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가이드시키기 위한 고정단(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KR1020000019258A 2000-04-12 2000-04-12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KR10034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258A KR100346894B1 (ko) 2000-04-12 2000-04-12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258A KR100346894B1 (ko) 2000-04-12 2000-04-12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840A KR20010095840A (ko) 2001-11-07
KR100346894B1 true KR100346894B1 (ko) 2002-08-03

Family

ID=1966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258A KR100346894B1 (ko) 2000-04-12 2000-04-12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880B1 (ko) 2010-09-10 2012-10-25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포탄 저장 랙
KR101247284B1 (ko) 2007-04-24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이송 장치
US10458735B2 (en) 2015-12-17 2019-10-29 Hanwha Defense Co., Ltd. Combined loading device and combined loading method for shell and charge
CN114030643A (zh) * 2021-10-21 2022-02-1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卫星载荷的皮纳卫星发射储藏装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70B1 (ko) * 2016-12-05 2018-06-04 국방기술품질원 자동 장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투 차량
KR102015767B1 (ko) * 2017-08-10 2019-08-29 국방기술품질원 탄약 공급 장치
CN114184080B (zh) * 2021-11-04 2023-08-18 上海机电工程研究所 导弹步进式装填推进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142A (en) * 1990-10-02 1992-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ing system for merging ammunition rounds from multiple ammunition bays to feed a rapid-fire gun
JPH1019497A (ja) * 1996-07-02 1998-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弾薬供給装填装置
KR19980054251U (ko) * 1996-12-31 1998-10-07 이대원 탄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142A (en) * 1990-10-02 1992-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ing system for merging ammunition rounds from multiple ammunition bays to feed a rapid-fire gun
JPH1019497A (ja) * 1996-07-02 1998-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弾薬供給装填装置
KR19980054251U (ko) * 1996-12-31 1998-10-07 이대원 탄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84B1 (ko) 2007-04-24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이송 장치
KR101194880B1 (ko) 2010-09-10 2012-10-25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포탄 저장 랙
US10458735B2 (en) 2015-12-17 2019-10-29 Hanwha Defense Co., Ltd. Combined loading device and combined loading method for shell and charge
CN114030643A (zh) * 2021-10-21 2022-02-1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卫星载荷的皮纳卫星发射储藏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840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1119B1 (en) Automatic large caliber ammunition loading system
US4457209A (en) Automated large caliber ammunition handling system
US9285177B1 (en) System and a method for protected reloading of a remote controlled weapon station
WO1989003014A1 (en) Ammunition magazine system
KR100346894B1 (ko) 포탑상승형 전차용 자동 장전 시스템
US4326446A (en) Linkage of actuating system for elevating gun mount
EP2491330B1 (en) Automatic charge magazine
EP0113767A1 (en) Fixed elevation automatic loading system for fixed ammunition
EP0391978B1 (en) A missile launcher
US4381693A (en) Military equipment comprising a turret carrying an external large caliber gun
US5347911A (en) Double-action rammer
US6272967B1 (en) Modular ammuni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2453196B1 (en) Artillery ammunitions loading system
KR0136523Y1 (ko) 탄이송장치
US4454799A (en) Ammunition storage and weapon loading system
US64813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propellant charges
US6679159B1 (en) Ammunition transfer system
GB2212891A (en) Armoured vehicle with top-mounted barrel weapon.
RU77414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раскладки боеприпасов
US6742436B2 (en) Automatic loading process and system for a weapon mounted on a ship
US6752063B2 (en) Multiple cell ammunition cradle
JPS61501720A (ja) 任意の方向及び任意の高さにおいて弾を武器に送弾しかつ装填するための装置
KR100698749B1 (ko) 기관포용 송탄장치
USH592H (en) Shell feeder for telescoped ammunition
RU2363906C2 (ru) Танк с башенным автоматом заряж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