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797B1 - 독해장치 - Google Patents

독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797B1
KR100241797B1 KR1019960045037A KR19960045037A KR100241797B1 KR 100241797 B1 KR100241797 B1 KR 100241797B1 KR 1019960045037 A KR1019960045037 A KR 1019960045037A KR 19960045037 A KR19960045037 A KR 19960045037A KR 100241797 B1 KR100241797 B1 KR 10024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image sensor
contact type
type image
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935A (ko
Inventor
요시야 이토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97002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39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 H04N1/1043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of a sensor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6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scanning elements and the picture-bear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독해장치의 총합적인 경량화 및 제조원가의 저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독해장치를 제공한다.
콘덕트 글라스 1과 밀착형 센서 2의 사이에 롤 4를 설치하고, 압상 스프링 6에 의하여 밀착형 화상센서 2를 콘덕트 글라스 1에 압압하여 콘덕트 글라스 1과 밀착형 화상센서 2와의 사이에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광주리체(筐體) 프레임 14의 강성확보의 필요성이 없고, 이 광주리체 프레임 14를 수지재료로 하여 외장품과 일체화하는 것으로 독해장치를 가볍게 한다.

Description

독해장치
본 발명은 독해장치, 특히 콘덕트 글라스의 하면을 따라서 밀착형 화상센서를 주행시켜 상기 화상글라스의 상면에 장착된 원고를 읽어 들이는 책 대응형 독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덕트 글라스의 상면에 장착된 원고를 읽어 들이는 독해장치에는, 원고를 고정하여 읽어 들이는 것이 가능한 책 대응형이라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책 대응형 독해장치에는, CCD를 광학장치로서 이용한 차동거울방식을 채용한 것이 많다.
이 차동거울방식으로는, 콘덕트 글라스 상에 설치된 실제로 스캐닝할 목적으로 소정방향으로 변위하는 제1스캐너와, 상기 제1스캐너와 같은 방향으로 또한 제1스캐너의 변위량의 1/2만큼 동시에 변위하는 것으로 원고의 독해부분으로부터 독해광학장치로서의 CCD에로의 광로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제2스캐너와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동거울방식에 있어서는, 원고의 독해부분으로부터 CCD에 이르는 광속을 제1,제2스캐너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경사거울에 의하여 완전하게 구부러지는 광로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제1,제2스캐너가 변위할 즈음에 진동이 발생하면, 이 진동에 의하여 이러한 복수의 고정경사거울의 경사각에 엇갈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고정경사거울 경사각의 엇갈림은, 그대로 반사각의 엇갈림을 발생시키고, 게다가 광로엇갈림도 발생된다. 또한, 콘덕트 글라스가 장착된 광주리체 프레임에 뒤틀림이 발생하면, 콘덕트 글라스에 부분적으로 떠오름이 발생하고, 이 떠오름에 의하여 콘덕트 글라스와 제1,제2스캐너와의 상대거리가 부분적으로 엇갈려, 이 엇갈림에 의하여도 광로엇갈림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광로엇갈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주리체 프레임에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강성을 부여하여, 이 광주리체 프레임에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오히려, 콘덕트 글라스에 약간 밀착된 상태에서 변위하는 센서를 CCD의 대신에 광학장치로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콘덕트 글라스상의 원고로부터 센서까지 미치는 초점거리가 짧아져, 초점거리의 어긋남에 대처하기 위한 보정렌즈 등의 광학부재를 콘덕트 글라스와 센서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등의 여유가 작게 된다. 따라서, 콘덕트 글라스와 센서와의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또한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형태로, 광주리체 프레임에 금속판 등을 사용하여 강성을 가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 광주리체 프레임의 뒤틀림 등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각종 독해장치에서는, 광주리체 프레임에 금속판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본체 전체의 중량이 무거웠다.
이에 대하여, 종래기술의 독해수단에서는, 콘덕트 글라스 하면에 롤을 끼움으로서 밀착형 화상센서를 설치하고, 콘덕트 글라스에 압박하는 모양으로 스프링에 의하여 밀착형 화상센서를 밀어 올려, 콘덕트 글라스와 밀착형 화상센서와의 사이의 거리를 광주리체 프레임의 뒤틀림 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독해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현실화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기술의 독해장치에 있어서는, 외장품 및 광주리체 프레임 등을 가볍게 하는 것으로서 독해장치의 총합적인 경량화를 실현시킨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독해장치의 총합적인 경량화 및 제품원가의 저감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독해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제2도는 독해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제3도는 밀착형 화상센서의 정면 단면도이다.
제4도는 밀착형 화상센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덕트 글라스 2 : 밀착형 화상센서
4 : 롤(roll) 5 : 주행체
6 : 압상스프링 9 : 리드 축
14 : 광주리체 프레임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독해장치는, 콘덕트 글라스의 하면을 따라서 밀착형 화상센서를 주행시켜 상기 콘덕트 글라스의 상면에 장착된 원고를 읽어 들이는 독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착형 화상센서를 상기 콘덕트 글라스의 하면측으로 힘을 가하는 압상스프링과, 상기 밀착형 화상센서와 상기 콘덕트 글라스와의 사이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롤과, 상기 콘덕트 글라스를 수용하는 수지제의 광주리체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콘덕트 글라스를 따라서 주행하는 밀착형 화상센서를 이용하여 콘덕트 글라스 상으로 장착된 원고를 읽어 들이는 책 대응형 독해장치의 광주리체 프레임을 수지로 성형하고, 독해장치를 경량화하는 것으로 한다.
독해장치는, 예를 들면 콘덕트 글라스 하면에 롤을 끼움으로서 밀착형 화상센서를 형성하여,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압압부로 밀착형 화상센서를 밀어 올려 콘덕트 글라스를 압박한다. 이에 의하여, 콘덕트 글라스와 밀착형 화상센서와의 거리를 광주리체 프레임의 뒤틀림 등에 영향을 주지 않게 일정하게 유지한다.
게다가, 콘덕트 글라스와 밀착형 화상센서와의 사이의 거리를 광주리체 프레임의 뒤틀림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예컨대 강성은 크지 않지만 가벼운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광주리체 프레임으로 콘덕트 글라스를 수용하여 독해장치를 가볍게 한다. 여기에서, 수지로서는, 예컨대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대전이 적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게다가, 광주리체 프레임은 외장품으로서 성형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 외장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독해장치의 경량화 및 제조원가의 저감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독해장치의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독해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독해장치는 원고를 장착한 콘덕트 글라스 1, 밀착형 화상센서 2, 밀착형 화상센서 2의 양측에서 밀착형 화상센서 2를 지지하는 브라켓 3, 양측의 브라켓 3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롤 4, 밀착형 화상센서 2를 장착하여 부주사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체 5, 브라켓 3을 밀어 올리는 압압부인 압상스프링 6, 압상스프링 6을 말아 감은 축 7, 주행체 5의 저부에 형성된 안내구멍 8에 관통하는 리드 축 9, 주행체 5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 10, 돌출부 10을 가이드하는 레일 11, 주행체 5에 와이어 12를 통하여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13 및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광주리체 프레임 14를 갖춘다.
밀착형 화상센서 2는, 제3도의 정단면도 및 제4도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라켓 3을 통하여 압상스프링 6에 의하여 밀려 올라갈 수 있다. 또한, 밀착형 화상센서 2를 지지하는 브라켓 3과 콘덕트 글라스 1의 간격은 롤 4에 의하여 일정 이하로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원고 독해시에는 구동모터 1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행체 5가 리드 축 9 및 레일 11로 가이드되어 이동하고, 주행체 5에 탑재된 밀착형 화상센서 2는 콘덕트 글라스 1의 하면에 대하여 평행이동하여 원고를 독해한다. 이때, 레일 11등에 뒤틀림이 발생하여도 압상스프링 6에 의하여 콘덕트 글라스 1의 하면에 밀착형 화상센서 2가 밀려 올려지기 때문에, 콘덕트 글라스 1과 밀착형 화상센서 2와의 상대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콘덕트 글라스 1과 밀착형 화상센서 2와의 상대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에 의하여, 밀착형 화상센서 2의 초점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광주리체 프레임 14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게 되어, 광주리체 프레임 14를 금속에 비하여 가벼운 수지로서 전부 성형하여, 독해장치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주리체 14를 성형하는 수지재료로서는, 예컨대 대전성이 적은 ACS 수지(Clorinated Polyethylene Acrylonitrile Strene Copolymer)등이다.
게다가, 콘덕트 글라스 1을 수용하는 광주리체 프레임 14를 외장품으로 하여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장치 전체의 구성품 수를 감소시켜 경량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독해장치의 조립시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독해장치는 레일 11을 광주리체 프레임 14 상측으로부터 광주리체 프레임 14에 취부한 후에, 주행체 5를 광주리체 프레임 14의 상측으로부터 취부하고, 그 후에, 차례로 밀착형 화상센서 2 및 콘덕트 글라스 1을 광주리체 프레임 14의 상측으로부터 취부한다.
따라서, 각종 구성품을 전부 광주리체 프레임 14의 상측 방향으로부터 포개는 것에 의하여 취부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서, 각 구성품의 조립 작업을 간단하게 하여 작업공정을 감소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작업의 원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원고를 장착한 콘덕트 글라스의 하면에 밀착형 화상센서를 압압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콘덕트 글라스와 밀착형 화상센서와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콘덕트 글라스를 지지하는 광주리체 프레임을 수지재료로 형성한 것에 의하여 독해장치의 경량화 및 제조원가의 저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광주리체 프레임은 외장품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표면에 도장처리를 하는 등의 별도 외장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독해장치의 총합적인 경량화 및 제조원가의 저감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콘덕트 글라스(1)의 하면을 따라서 밀착형 화상센서(2)를 주행시켜 상기 콘덕트 글라스(1)의 상면에 장착된 원고를 읽어 들이는 독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착형 화상센서(2)를 상기 콘덕트 글라스(1)의 하면측으로 힘을 가하는 압상 스프링(6)과, 상기 밀착형 화상센서(2)와 상기 콘덕트 글라스(1)와의 사이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롤(4)과, 상기 콘덕트 글라스(1)를 수용하는 수지제의 광주리체 프레임(1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리체 프레임(14)의 성형에는 대전성이 적은 수지재료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장치.
KR1019960045037A 1995-10-11 1996-10-10 독해장치 KR100241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88201A JPH09107436A (ja) 1995-10-11 1995-10-11 読取装置
JP7-288201 1995-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935A KR970024935A (ko) 1997-05-30
KR100241797B1 true KR100241797B1 (ko) 2000-02-01

Family

ID=1772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037A KR100241797B1 (ko) 1995-10-11 1996-10-10 독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107436A (ko)
KR (1) KR100241797B1 (ko)
CN (1) CN10724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377A (ja) * 2001-10-31 2003-05-16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
JP6133566B2 (ja) * 2012-10-17 2017-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07436A (ja) 1997-04-22
KR970024935A (ko) 1997-05-30
CN1191322A (zh) 1998-08-26
CN1072423C (zh) 2001-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4483A (en) Image scanner having contact-type image sensor
US7719776B2 (en) Lens unit, lens barrel, optical device,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74185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998786A (en) Apparatus for securing CCD board at a fixed position within a range of motion
KR100667832B1 (ko) 주행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0241797B1 (ko) 독해장치
US5381243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image sensor to electronic machine
EP1114551B1 (en) Improved apparatus for scanning documents such as photographs using a contact image sensor
EP0164713A1 (en) Document reading device
JP4218690B2 (ja) 画像読取装置
EP0837595B1 (en) A scan module for adding to a document copying machine and a system comprising a scan module of this kind and a document copying machine
JPH07327109A (ja) 読取装置
JP3037966B2 (ja) 光学ユニットの取り付け方法
US6906313B2 (en) Casing with shock absorbing devices for image reading device
EP0517007B1 (en) Facsimile device
US732749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1136325A (ja) 画像読取装置
KR100219939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적재장치
JP2534693B2 (ja) 画像読取り装置
JP2002142077A (ja) 画像読取装置
JPH05260248A (ja) 画像読み取りユニット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H08111750A (ja) 画像読取装置
JP2511493B2 (ja) 画像形成装置の光学系の光学距離調整方法及び光学距離調整用治具
JPS6173472A (ja) 光学的画像読取り装置
JPH062751A (ja) 移動機構およびその防振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