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728B1 -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728B1
KR100241728B1 KR1019970043713A KR19970043713A KR100241728B1 KR 100241728 B1 KR100241728 B1 KR 100241728B1 KR 1019970043713 A KR1019970043713 A KR 1019970043713A KR 19970043713 A KR19970043713 A KR 19970043713A KR 100241728 B1 KR100241728 B1 KR 100241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verting
output
resistors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254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7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03G3/302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the gain being discontinuously variable, e.g. controlled by switching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단말기의 출력 음성레벨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의 음성레벨 조절방법은 사용자가 별도로 구비된 조절버튼을 동작시켜 내부의 입력 저항값을 가변시켰기 때문에 정확한 선형적 제어가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상기 음성조절용 버튼을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 제품 설계 시 기구적인 복잡성과 제품의 외관상 보기 않좋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기의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에 있어서: 반전입력단에 직렬로 복수개의 입력저항들을 연결하고, 그 개개의 입력저항들마다 병렬로 하나의 음성출력 제어스위치를 연결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반전증폭하여 출력하는 반전증폭기와, 상기 개개의 입력저항들에 병렬 연결된 음성출력스위치들에 각각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반전증폭기의 입력저항값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Description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단말기의 출력 음성레벨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전화기의 출력 음성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은 전화단말장치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하는 조절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그 조절버튼을 조절하여 출력되는 음성레벨값을 조절하는 기계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음성레벨 조절방법은 사용자가 별도로 구비된 조절버튼을 동작시켜 내부의 입력 저항값을 가변시켰기 때문에 정확한 선형적 제어가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문제점으로서, 상기 음성조절용 버튼을 기기 본체에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 제품 설계 시 기구적인 복잡성과 제품의 외관상 보기 않좋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화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레벨을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화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레벨을 조절하는 별도의 음성조절용 버튼을 제거하고, 단순한 소프트웨어의 추가만으로 상기 음성레벨을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기의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에 있어서: 반전입력단에 직렬로 복수개의 입력저항들을 연결하고, 그 개개의 입력저항들마다 병렬로 하나의 음성출력 제어스위치를 연결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반전증폭하여 출력하는 반전증폭기와, 상기 개개의 입력저항들에 병렬 연결된 음성출력스위치들에 각각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반전증폭기의 입력저항값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기의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출력레벨을 선형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2,6)의 구체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상기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의 제어블럭을 보여주고, 도 2는 음성출력레벨을 선형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Z1, Z2)의 구체회로도이다.
그러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는 반전증폭기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음성출력레벨 제어기(Z1, Z2)는 반전증폭기의 입력저항측(2) 또는, 궤환저항측(6)에 각각 설치될 수 있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하기의 수학식1과 같은 출력을 발생한다.
Figure 1019970043713_B1_M0001
이때, 상기 VI는 입력전압(즉, 입력음성신호), 상기 VO는 출력전압(즉, 출력음성신호), 상기 RI는 입력저항, 상기 RF는 궤환저항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입력저항(RI) 혹은, 궤환저항(RF)의 저항값을 가변시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출력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통해 상기 반전증폭기의 입력저항측(2) 또는, 궤환저항측(6)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 상기 음성 출력레벨 제어기(Z1, Z2)의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그 구성은 상기 반전증폭기의 입력저항측(2)에 장착하거나 혹은, 궤환저항측(6)에 장착하거나 모두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저항측(2)에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반전증폭기의 반전입력단에 직렬로 복수개의 입력저항들(R1,R2,R3)을 연결하고, 그 개개의 입력저항들(R1,R2,R3)마다 병렬로 하나의 음성출력 제어스위치(SW1,SW2,SW3)를 연결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반전증폭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개의 입력저항에 병렬 연결된 스위치들(SW1,SW2,SW3)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스위칭 동작되며, 그 각각의 스위치들(SW1,SW2,SW3)을 제어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포트는 L1이 제1스위치(SW1)를, L2가 제2스위치(SW2)를, L3가 제3스위치(SW3)를 제어하도록 각각 할당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포트들의 상태가 ″로우″레벨일 시 상기 스위치들은 ″오프″되고, 반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포트들의 상태가 ″하이″레벨일 시 상기 스위치들은 ″온″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입력저항들의 설치갯수 및 각각의 저항값은 제품설계 시 음성 출력레벨 조절단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선형적으로 음성 출력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반드시 2진 계수의 값을 가진다. 즉, 8단계로 조절할 시 저항의 갯수는 3개이며, 그 각각의 저항값은 R1=20R, R2=21R, R3=22R이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포트들(L1,L2,L3)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총 입력저항(RS)은 하기의 표1과 같다.
즉, 예를들어 그 실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전화단말장치의 키패드에서 음성 출력레벨 조절키로 설정된 특정키를 입력할 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그를 감지하고, 음성 출력레벨 조절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런후,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절단계를 감지하고, 출력포트들을 통해 그에 해당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해당 스위치들에 각각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5단계의 음성출력을 원할 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L1과 L2의 출력포트는 ″하이″레벨을 출력하여 제1,제2스위치(SW1,SW2)를 ″온″시키고, 그리고, L3출력포트는 ″로우″레벨을 출력하여 상기 제3스위치(SW3)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총 입력저항값(RS)는 4KΩ이 되어 그 출력레벨이 VO= -(RF/4)VI의 크기로 출력된다.
L1 L2 L3 R1 R2 R3 RS
0 0 0 1KΩ 2KΩ 4KΩ 7KΩ
0 0 1 1KΩ 2KΩ 4KΩ 3KΩ
0 1 0 1KΩ 2KΩ 4KΩ 5KΩ
0 1 1 1KΩ 2KΩ 4KΩ 1KΩ
1 0 0 1KΩ 2KΩ 4KΩ 6KΩ
1 0 1 1KΩ 2KΩ 4KΩ 2KΩ
1 1 0 1KΩ 2KΩ 4KΩ 4KΩ
1 1 1 1KΩ 2KΩ 4KΩ 0KΩ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에서 별도의 음성조절용 버튼을 제거하고, 단순한 소프트웨어의 추가만으로도 입력되는 음성 출력레벨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을 설계할 시 공간 활용의 잇점이 있고, 제품을 생산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전화단말기의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에 있어서,
    반전입력단에 연결된 입력저항 제어기와, 하나의 궤환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저항에 의해 강하되어 입력되는 음성신호전압을 반전증폭 출력하는 반전증폭기와,
    상기 입력저항 제어기의 입력저항값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저항 제어기는,
    상기 반전증폭기의 반전입력단에 직렬로 복수개를 연결한 입력저항들과,
    상기 복수개가 연결된 입력저항들에 각각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선택 스위칭 동작되어 상기 반전증폭기의 총 입력저항값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선택스위치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택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출력포트는 그 선택스위치들의 갯수만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저항들의 저항값의 크기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첫 번째 저항부터 순차적으로 2진계수값으로 커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저항들 및 복수개의 선택스위치들의 갯수는 그 출력 음성레벨 조절단계가 2n일 시 n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6. 전화단말기의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에 있어서,
    반전입력단에 연결된 하나의 입력저항과, 복수개의 궤환저항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궤환저항에 의해 강하되어 입력되는 음성신호전압을 반전증폭 출력하는 반전증폭기와,
    상기 궤환저항 제어기의 궤환저항값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저항 제어기는,
    상기 직렬로 복수개를 연결한 궤환저항들과,
    상기 복수개가 연결된 궤환저항들에 각각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선택 스위칭 동작되어 상기 반전증폭기의 총 궤환저항값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선택스위치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택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출력포트는 그 선택스우치들의 갯수만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궤환저항들의 저항값의 크기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첫 번째 저항부터 순차적으로 2진계수값으로 커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궤환저항들 및 복수개의 선택스위치들의 갯수는 그 출력 음성레벨 조절단계가 2n일 시 n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음성레벨 조절장치.
KR1019970043713A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KR100241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13A KR100241728B1 (ko)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13A KR100241728B1 (ko)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54A KR19990020254A (ko) 1999-03-25
KR100241728B1 true KR100241728B1 (ko) 2000-02-01

Family

ID=1951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713A KR100241728B1 (ko)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7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5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5652A (en) Control arrangement for radio apparatus
JPS6028449B2 (ja) 可変減衰器
US4132957A (en) Programmable amplifier
US4031506A (en) Multiplexer commutated high pass filter
US5621359A (en) Gain selection technique
KR100241728B1 (ko) 전화단말기의 음성 출력레벨 조절장치
JPH05505927A (ja) 音声信号のレベルの調整
GB2214736A (en) Gain control circuit
CA1294081C (en) Loudspeaking telephone with a variable gain circuit
US5568070A (en) Multiplexer w/ selective switching for external signals
JPH07254830A (ja) 電子ボリューム回路
US4466118A (en) Dual range audio level control
US5757940A (en) Electric volume controller
JPS62173809A (ja) 増幅装置
KR0148920B1 (ko) 측정신호의 전압 변환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01318307A (ja) 電子アッテネータ
EP1882308B1 (en) Integrated driver circuit structure
JPH0595239A (ja) レベル制御回路
US4689506A (en)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electronic attenuator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proportional to absolute temperature
GB2078457A (en) Audio device having a tone control cancelling circuit
JPS61145918A (ja) 電子ボリユ−ム回路
KR0164387B1 (ko) 키폰 전화기의 음량 제어장치
EP0163409A2 (en) Gain control in integrated circuits
RU1780169C (ru) Коммутатор аналоговых сигналов
KR900005654Y1 (ko) 저역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