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935B1 -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935B1
KR100240935B1 KR1019970029945A KR19970029945A KR100240935B1 KR 100240935 B1 KR100240935 B1 KR 100240935B1 KR 1019970029945 A KR1019970029945 A KR 1019970029945A KR 19970029945 A KR19970029945 A KR 19970029945A KR 100240935 B1 KR100240935 B1 KR 10024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return
automatic
power failur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727A (ko
Inventor
조은제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101997002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7Restoring data or position after power failure or othe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복귀스위치(10)로부터 중단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입력하고, 복귀신호를 입력한 NC/PMC(20)이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인식하고 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이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NC/PMC(20)이 제어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진행상태를 운행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출력하는 실행부(30)를 연결구성하여 머시닝센타가 동작하던중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운행자의 확인에 의한 복귀 동작없이 자동으로 중단된 상태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복귀시킴으로서 운행자의 판단에 의한 복귀와 재 설정에 의한 번거러움과 부정확정을 제거하여 운행자의 편리성과 복귀에 대한 폭넓은 선택코스를 부여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운행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장치
본 발명은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머시닝센타가 동작하던중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운행자의 확인에 의한 복귀 동작 없이 자동으로 중단된 상태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복귀시킴으로서 운행자의 판단에 의한 복귀와 재설정에 의한 번거로움과 부정확성을 제거하고자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 센타는 작업물을 가공하거나 이송하기 위해 주축대에서 전동기를 통해 동력을 얻어 주축을 회전시키며 스핀들의 나사부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편판과 척을 고정하면서 동력을 정달하게 되고, 왕복대로부터 이송수단으로서 상.하 및 좌.우로 연결부위가 이동하도록 하며, 심압대는 축에 모스테이퍼를 갖는 센터를 끼워 가공물을 지지하거나 센터대신에 드릴을 꽂아 드릴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머시닝센타를 이용하여 공구를 교환하여 작업물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연결 구성도이며, 제2도는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구를 안에 끼워 회전하면서 공정할 공구를 제공하도록 하는 공구메거진(1)과 상기 공구메거진(1)의 하단에 연결되며 공구를 클램프(clamp)/언클램프(unclamp)하기 위해 공구메거진으로부터 공구를 뽑아내는 암(2)으로 연결구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하기 위해 먼저 지정하는 공구를 호출할 수 있는 기능과 호출된 공구가 클램프(clamp)/언클램프(unclamp)되었는지를 알려주는 기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에 의해 머시닝센타가 공구를 호출하여 가공하기 위해 clamp/unclamp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수단에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공구가 암(2)에 의해 잡혀진 상태를 언클램프한 후 제어수단에 의해 언클램프상태를 확인하고 나서 가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암(2)은 상승시켜 공구를 삽입한 후 암(2)을 정회전/역회전시키고 암(2)을 하강하여 주축 및 공구메거진(1)으로부터 공구를 뽑아내어 클램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구를 교환하는 중에 정전 및 비상상태가 발생으로 원인을 제거하거나 복귀하게 되면 공구를 교환하기 시작하는 원점으로 복귀되어 정전 및 비상발생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운행자의 판단에 의존하여 조작하거나 진행동작 순서를 일시적으로 기억시켜 실행하도록 조작하는 메모리-모드를 선택하여 공구교환이 운행되도록 하는 번거러움 및 복귀의 어려움의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머시닝센타가 동작하던 중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운행자의 확인에 의한 복귀 동작 없이 자동으로 중단된 상태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복귀시킴으로서 운행자의 판단에 의한 복귀와 재 설정에 의한 번거러움과 부정확성을 제거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연결 구성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자동공구교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의 전체블럭구성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구메거진 2 : 암
10 : 자동복귀스위치
20 : 수치제어기용프로그램어블제어부(NC/PMC)
30 : 실행부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의 전체블럭구성도이며,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정전발생으로 중단한 공구 공정단계를 자동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3도 또는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구의 교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입력하여 조작하는 자동복귀스위치(10)와, 상기 자동복귀스위치(10)의 입력신호로부터 정전발생시 중단된 공정단계를 인식하고 있다가 다시 중단된 공정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된 수치제어기용 프로그램어블머신컨트롤러(20)(NC/PMC)와, 상기 NC/PMC(20)에서 판독한 프로그램 진행상태를 운행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실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의 NC/PMC(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여부에 따라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 단계로서, 정전발생으로 자동복귀스위치(10)로 복귀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NC/PMC(20)가 공구를 삽입하기 위해 암을 상승시킨 후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암의 정/역회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삽입된 공구를 뽑아낼 수 있도록 암을 하강시켜 하강동작을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공구를 작업하기 위해 공구를 고정시켜 지지한 후 공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또한 정전에 의해 중단된 제어 단계를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암의 상/하단계와 공구의 클램프단계를 구별하여 선택하여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전발생으로 중단한 공구 공정단계를 자동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3도 또는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구를 공정하고 있는 중에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복귀스위치(10)를 입력하여 NC/PMC(20)가 정전에 대응하여 입력한 중단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복귀하여 공구를 공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NC/PMC(20)가 자동으로 북귀될 경우는 암의 상승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점검하는 단계를 거친 후 암을 회전하거나 암을 하강시켜 공구를 빼내게 되는 데 이때 암을 하강하여 복귀하는 경우에는 암에서 공구가 빠진 상태가 아닐경우에 자동복귀시 이에 해당되는 것이다.
암이 하강한 이후에 정전이 발생하게 되면 공구를 붙잡아 클램프하여 공작할 수 있는 단계를 선택하여 공구를 암으로부터 끄집어내어 고정 및 지지하여 공정단계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복귀동작순서를 복수개로 나누는 이유는 전정발생으로 인해 외부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자동 코스와 운행자의 판단에 의해 정확하고 정밀한 복귀위치를 선별하고자 선택하는 코스로 나누어 운행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머시닝센타가 동작하던중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운행자의 확인에 의한 복귀 동작 없이 자동으로 중단된 상태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복귀시킴으로서 운행자의 판단에 의한 복귀와 재 설정에 의한 번거러움과 부정확성을 제거하여 운행자의 편리성과 복귀에 대한 폭넓은 선택코스를 부여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운행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공구메거진으로부터 공구를 뽑아내거나 잡을 수 있도록 암을 동작시키는 자동공구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구장치에 단전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복귀스위치(10)와, 상기 자동복귀스위치(10)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암을 상승시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암의 정/역회전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으면 삽입된 공구를 뽑아낼 수 있도록 암을 하강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내부에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NC/PMC(20)와, 상기 NC/PMC(20)이 제어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진행상태를 운행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출력하는 실행부(3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장치.
KR1019970029945A 1997-06-30 1997-06-30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KR10024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945A KR100240935B1 (ko) 1997-06-30 1997-06-30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945A KR100240935B1 (ko) 1997-06-30 1997-06-30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27A KR19990005727A (ko) 1999-01-25
KR100240935B1 true KR100240935B1 (ko) 2000-01-15

Family

ID=1951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945A KR100240935B1 (ko) 1997-06-30 1997-06-30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9054A (zh) * 2013-08-01 2013-12-04 纽威数控装备(苏州)有限公司 一种平移式液压刀库刀臂一键恢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9054A (zh) * 2013-08-01 2013-12-04 纽威数控装备(苏州)有限公司 一种平移式液压刀库刀臂一键恢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27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5311B2 (ja) 自動運転を再開可能な工作機械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358531A2 (en) Workpiece spindle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US4329771A (en) Contact detecting apparatus
EP0373222A1 (en) Stop controller of cutting tool
KR100240935B1 (ko)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정전발생시 원위치복귀 제어시스템
JP4947534B2 (ja) 工作機械及び工作機械を操作する方法
JPH04244347A (ja) 加工中の寿命工具交換方法
EP1219386B1 (en) Automatic tool changer
JP2829212B2 (ja) 自動工具交換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25293B2 (ko)
JP4859467B2 (ja) 2主軸対向旋盤の再起動方法
JPH0651258B2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nc制御装置
JP4233559B2 (ja) 数値制御工作機械
JP2008234278A (ja) 数値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工作機械
KR100535963B1 (ko) 자동 파레트 교환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0126965A (ja) 自動工具交換装置
JPH06126474A (ja) レーザ複合加工機における制御装置
JPH06170671A (ja) Atcの自動原点復帰方法
JP2001062673A (ja) 旋削加工機械の同期運転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KR0173294B1 (ko) 원터치 atc 원점 복귀 방법
JPS6119380B2 (ko)
JP2002341914A (ja) 櫛刃形の対向刃物台を有する数値制御旋盤、この数値制御旋盤によるワークの加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3136110A (ja) 工作機械
KR960013715B1 (ko) 머시닝센터의 자동공구 교환과 b축 인덱스 동시제어장치
JP2005222463A (ja) 工作機械における異常加工時の作動制御方法および作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