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814B1 -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 Google Patents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814B1
KR100240814B1 KR1019970070498A KR19970070498A KR100240814B1 KR 100240814 B1 KR100240814 B1 KR 100240814B1 KR 1019970070498 A KR1019970070498 A KR 1019970070498A KR 19970070498 A KR19970070498 A KR 19970070498A KR 100240814 B1 KR100240814 B1 KR 10024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ishing
rice
fishing rice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218A (ko
Inventor
남정대
Original Assignee
남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대 filed Critical 남정대
Priority to KR101997007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81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에 관한 것으로, 대두분, 옥수수분, 밀기울 등과 같은 식물성 분말과 어류, 새우 등과 같은 동물성 분말을 적당비율로 혼합하여 분말상태의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과 동물성 분말이 적당비율로 혼합된 혼합분말 30∼50%(이하 질량비)에다 글루텐분말 20∼40%, CMC분말 20∼40%를 혼합하여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식물성 분말과 혼합한 것과, 동물성 분말에 혼합하여 낚시밥을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낚시밥에 물고기가 좋아하는 향료와 색소를 미소량씩 첨가하여 낚시밥을 제조하는 제조방법과, 상기한 식물성 분말이나 동물성 분말로 되는 통상의 낚시밥 분말에 일정량의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혼합하여서 된 낚시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본 발명은 수질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낚시밥은 대두분, 옥수수분, 맥분, 밀가루 등의 곡물가루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시킨 식물성 낚시밥과, 상기의 식물성 낚시밥에 어분이나 새우 등의 동물성 원료의 분말를 혼합한 동·식물성 낚시밥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낚시밥은 분말상태인 것과 고랍상태로 제조된 것으로서 포획어종이 좋아하는 향료와 색소를 소량씩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는 여러가지의 동물성 원료분말들만을 적당비율로 혼합시킨 낚시밥과 지렁이나 새우 등과 같은 동물을 그대로 낚시밥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낚시밥들 중 지렁이나 새우 등을 산채로 하여 낚시밥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낚시바늘에 꿰인 지렁이나 새우 등은 물고기가 먹지 않는 한 낚시바늘에서 잘 떨어지지 않게 되어 수질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지렁이나 새우 등은 살아있을 때에만 낚시밥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낚시꾼의 경우에는 그것들을 살아있게 보관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어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지렁이 및 새우 등을 싫어하는 어종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분말이나 과립상태로 된 식물성이나 동물성 또는 동·식물성 혼합 낚시밥의 경우는 물에 반죽하여 일정크기(낚시바늘을 감쌀수 있는 크기)로 떼어내어 덩어리상태가 되게 한 후 그 덩어리상태의 낚시밥에 낚시바늘을 꽂아 줄 때 도 4와 같이 낚시밥(10)에 하나의 낚시바늘(11)을 꽂아주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낚시바늘(11)을 꽂아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낚시바늘(11)에 달린 낚시밥(10)은 낚시줄을 던지는 과정에서 떨어지는 사례가 많이 발생될 뿐 아니라 상기한 원료들로 제조된 낚시밥은 일단 물속에 들어가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점착력을 잃게 되어 낚시밥이 풀어져 수중바닥에 흩어지거나 또는 낚시꾼이 빈낚시대를 거둘 때 수압에 의해 낚시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렇게 수중바닥에 떨어져 남아있게 되는 낚시밥은 수질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분말이나 과립상으로 된 낚시밥의 경우는 그 반죽상태에 따라 포획량에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즉, 낚시밥을 되게 반죽하였을 경우에는 낚시밥이 단단하여 낚시바늘에서 잘 떨어지지 않게 되어 낚시줄을 던질 때 낚시바늘에서 떨어지는 사례가 적어 낚시밥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면에 단단하게 반죽된 낚시밥은 물고기가 섭취하기에 좋은 상태로 묽게 되는데 오랜시간이 지나야 하기 때문에 포획량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낚시밥을 묽게 반죽하였을 경우에는 낚시밥이 물고기가 섭취하기에 알맞게 묽게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장점이 있어 입질이 약한 물고기도 빠른 시간에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낚시밥이 묽기 때문에 낚시줄을 던질 때 낚시밥이 쉽게 떨어지는 폐단과 낚시줄을 잘못 던져 다시 던지고자 할 때 낚시밥이 어김없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어 불필요하게 낚시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수중바닥에 많은 량의 낚시밥이 쌓이게 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모든 낚시밥에 있어 지렁이 낚시밥의 경우는 지렁이 자체를 손으로 만져야만 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었고, 분말이나 과립상태로 된 낚시밥의 경우는 손으로 반죽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밥이 손에 묻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낚시밥의 고약한 냄새(동물성 낚시밥의 경우에는 더욱 심함)가 손에 베이게 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물기있는 낚시바늘에 묻혀줄 수 있는 낚시밥으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2291 호에 게재된 공개번호 제 97-25387 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한 공개특허의 기술내용에 의하면 낚시밥의 조성물은 옥수수가루와 껍질이 제거된 각종 곡물들을 살균,가열하여 미분쇄의 분말상태의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바, 이렇게 옥수수와 곡물로 된 낚시밥은 각 성분들의 분말입자간에 친화력이나 점착력이 미흡하고, 나아가 수화성과 팽윤성을 기대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분말상태의 낚시밥을 물기있는 낚시바늘의 표면에 묻혀주었을시 물기에 의해 낚시밥 분말이 낚시바늘에 일단 묻기는 하겠지만 위에서 언급한 특성이 부족하여 낚시바늘이 수중에 침투될 때 수압에 의하여 일부는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낚시바늘에 묻어있는 낚시밥 분말들은 팽윤성이 상당히 미흡하여 낚시바늘을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풀지도 않게 되어 물고기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밥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기존의 낚시밥으로 주로 사용되는 대두박, 옥수수분, 밀기울 등 각종 곡물가루로 된 식물성 원료와 어류나 새우 등 어분으로 된 동물성 원료 또는 상기한 동·식물성 원료가 적당비율로 혼합된 혼합원료에 점착성이 있는 글루텐(Gluten)과 변형 검(Modified Gum) 물질의 일종인 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또는 구아 검(Guar Gum)을 적당비율로 혼합하여 점착성, 수화성, 팽윤성 및 열안전성이 우수한 낚시밥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물기있는 낚시바늘에 접착이 잘되고, 나아가 수중에 침투하였을시 수압에 의해 떨어지지 않으면서 수중에서는 수화작용과 팽윤작용에 의해 단시간내에 크게 부푼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하여 물고기의 유인과 포획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낚시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두분, 옥수수분, 맥분, 밀가루 등과 같은 식물성 분말과 어류, 새우 등과 같은 동물성 분말을 적당비율로 혼합하여 분말상태의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과 동물성 분말이 적당비율로 혼합된 혼합분말 30∼50%(이하 질량비 : 바람직한 비율은 40%)에다 글루텐분말 20∼40%(바람직한 비율은 30%), CMC분말 20∼40%(바람직한 비율은 30%)을 혼합하여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식물성 분말과 혼합한 것과, 동물성 분말에 혼합하여 낚시밥을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낚시밥에 물고기가 좋아하는 향료와 색소를 미소량씩 첨가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 상기한 CMC분말에 천연 검인 구아 검(Guar Gum)분말을 첨가하여 CMC분말의 물리적 성질이 보완된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한 식물성 분말이나 동물성 분말로 되는 통상의 낚시밥 분말에 일정량의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밥의 사용상태 상태도로서,
도 1은 낚시바늘에 물기만 묻힌 상태이며,
도 2는 물기있는 낚시바늘에 낚시밥을 묻힌 상태이고,
도 3은 낚시바늘에 묻은 낚시밥이 수중에서 팽윤된 상태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기술의 낚시밥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바늘
2 : 분말상의 낚시밥
3 : 팽윤된 낚시밥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낚시밥을 조성하는 각 성분의 특성과 혼합비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분말상의 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가 일정량 혼합된 낚시밥을 제조하는데 있다.
상기 CMC분말은 변형 검(Modified Gum) 물질의 일종으로서 백색, 무취이고 섬유상으로 되어 흡습성이 강한 음이온계 고분자물질의 하나로 물리적 특성은 검(Gum)물질의 고유성질인 점성과 낚시밥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oil)성분을 유화시키는 유화안정성과 수분과의 접촉시 5∼10배 이상으로 부푸는 팽윤성 그리고 차가운 물에서도 반응이 잘되는 냉수용해성의 성질을 보유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점성과 유화안정성과 팽윤성이 잘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이 있는데, 이와같은 특성은 모든 동물의 영양소로는 사용되지 않는 물질이지만 낚시밥의 경우는 물고기에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물고기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미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낚시밥의 원료로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CMC분말은 물고기가 섭취하였을 때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 CMC 분말 대신에 상기 CMC분말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천연 검(Gum) 물질인 구아 검(Guar Gum)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CMC분말에다 구아 검분말을 소량 첨가하여 사용하게 되면 CMC분말의 물리적인 특성 즉, 수화성, 팽윤성, 열안정성 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글루텐(Gluten)은 모든 곡물에 소량씩 함유되어 있는 점성물질을 추출한 것으로서, 분말상의 글루텐은 동·식물성 분말과 함께 물고기를 유인하는 작용과 함께 상기한 CMC분말이 팽윤될 때 CMC분말의 점성력을 증가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물성 분말과 식물성 분말은 물고기들이 좋아하는 동·식물성 단백질과 어분 그리고 대두박, 옥수수분, 밀기울, 보리분 등의 원료를 기존의 낚시밥 제조방법과 같이 분쇄 및 살균,가열공정으로 가공된 분말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것인데, 상기한 동·식물성 혼합분말의 성분은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합되는 것이며, 또 각각의 성분들 혼합비율도 적절히 조정하여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 주요성분들은 질량비를 기준하여 혼합하는데, 이때의 혼합비율은 CMC분말 20∼40%(바람직하게는 30%), 글루텐분말 20∼40%(바람직하게는 30%), 동·식물성 혼합분말 30∼50%(바람직하게는 40%)을 혼합하여 분말상의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이며, 여기에다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의 식성취향에 따라 향료와 색소를 소량씩 첨가하여 낚시밥의 제조를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말상의 낚시밥의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빈 낚시바늘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낚시바늘에 낚시밥을 묻힌 상태이고 도 3은 낚시바늘에 묻은 낚시밥이 수중에서 팽윤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낚시바늘을, 도면부호 2는 분말상의 낚시밥을, 도면부호 3은 팽윤된 낚시밥을 나타낸다.
상기 낚시바늘(1)을 물에 침지시켜 물기가 묻게 한 다음 곧바로 낚시바늘(1)을 분말상의 낚시밥(2)이 들어있는 통이나 봉지에 집어넣어 낚시바늘(1)을 낚시밥(2)에 접촉시키게 되면 분말상의 낚시밥(2)은 물기에 의해 도 2와 같이 낚시바늘(1) 전체에 묻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기있는 낚시바늘(1)에 묻혀진 분말상의 낚시밥(2)은 그에 혼합되어 있는 CMC분말이 수분과 접촉하면서 CMC분말의 특성인 수화작용과 점성력에 의해 분말상의 낚시밥(2)은 낚시바늘(1)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수분을 흡수한 상기 CMC분말 주위에 고르게 분포된 글루텐분말과 동·식물성 분말들은 CMC분말에 포위된 채 결집된 상태로서 낚시바늘(1)에 강력하게 붙어있게 된다. 따라서 낚시줄을 던져 낚시바늘(1)을 수중에 침투시킬 때 낚시바늘에 붙어있는 낚시밥(2)이 수압에 의해 떨어지는 현상이 없게 되는 것이며, 그리고 낚시바늘(1)이 수중에 침투하는 순간부터 수중바닥에 안착될 때까지 분말상의 낚시밥(2)은 물과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CMC분말의 수화작용에 의해 섬유질이 점차로 부푸는 팽윤작용에 의하여 분말상의 낚시밥(2)은 도 3과 같이 크게 부풀게 되는 것인데, 이때의 팽윤된 낚시밥(3)은 처음 분말상의 낚시밥(2)의 부피에 비하여 5∼10배 정도로 부풀은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CMC분말은 냉수용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서 수온이 낮은 물에서도 수화작용과 팽윤작용이 신속하게 나타나는 열안정성의 특성이 있으며, 또한 상기 CMC분말은 동·식물성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oil)성분을 유화시키는 특성도 있어 낚시밥은 물과의 접촉작용이 원활해져 낚시바늘이 수중에 안착된 후 5∼15초의 단시간내에 부풀게 되는 것이며, 이때의 팽윤상태는 도 3의 도시예와 같이 낚시바늘(1)을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팽윤된 낚시밥(3)은 낚시바늘(1)을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한 분말상의 낚시밥(2)에 포획어종이 좋아하는 향료와 색소를 첨가하였을 경우 상기 향료는 물고기를 냄새로서 유인하는 작용을 하고, 색소는 물고기의 눈을 유혹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소량 첨가되는 색소는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여러 가지의 색상을 띠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일례로서 색소를 붉은 색을 띠는 타르계 색소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낚시바늘(1)을 감싸면서 낚시바늘과 같은 형상으로 부풀은 팽윤된 낚시밥(3)은 붉은 색을 띠게 되며, 이같이 팽윤된 낚시밥(3)은 마치 살찐 지렁이의 형상으로 물고기를 유혹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낚시바늘(1)을 감싸고 있는 팽윤된 낚시밥(3)은 그 팽윤된 상태를 수중에서 10시간 정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고기를 유인,유혹하는 집어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낚시밥을 자주 갈아주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낚시할 포인트를 변경하기 위하여 낚시대를 일시적으로 거둘때는 물론이고 변경된 포인트에 낚시바늘을 재차 던질 때에도 낚시바늘에 달린 팽윤된 낚시밥은 그대로 있게 되어 불필요하게 낚시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바늘을 물에 담근 다음 물기있는 낚시바늘을 분말상의 낚시밥에 접촉시켜 낚시바늘에 분말상의 낚시밥이 묻어나게 하는 간편한 수단으로 낚시밥을 낚시바늘에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낚시밥을 물로 반죽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손에 낚시밥이 묻거나 냄새가 베지 않게 하는 등의 위생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물기있는 낚시바늘의 외주면에 묻혀지는 소량의 분말상의 낚시밥이 낚시바늘에 묻어있는 물기와의 접촉으로 강력한 점성과 수화작용으로 점착되어 수중에 침투할 때 수압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수중바닥에 안착된 후에는 5~10배로 팽윤되어 낚시밥의 형태로 변형되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집어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수중에서 팽윤된 상태를 10시간 정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낚시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수질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팽윤된 낚시밥은 마치 살찐 지렁이를 달아준 것과 같은 효과도 나타낼 수 있는 등 매우 경제적이고 위생적이면서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낚시밥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Claims (5)

  1. 대두분, 옥수수분, 맥분, 밀가루 등과 같은 식물성 분말과 어류, 새우 등과 같은 동물성 분말을 적당비율로 혼합하여 분말상태의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과 동물성 분말을 질량비를 기준하여 적당비율로 혼합된 혼합분말 30∼50%에다 글루텐분말 20∼40%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기존의 낚시밥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분말과 미소량의 향료 및 색소와 혼합하여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밥의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기존의 낚시밥으로 사용되는 동물성 분말과 미소량의 향료와 색소와 혼합하여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밥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MC분말에 천연 검인 구아 검(Guar Gum)분말을 첨가하여 CMC분말의 물리적 성질이 보완된 낚시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밥의 제조방법.
  5. 상기 식물성 분말이나 동물성 분말로 제조된 통상의 낚시밥 분말에 일정량의 글루텐분말과 CMC분말을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밥.
KR1019970070498A 1997-12-19 1997-12-19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KR10024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98A KR100240814B1 (ko) 1997-12-19 1997-12-19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98A KR100240814B1 (ko) 1997-12-19 1997-12-19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218A KR19990051218A (ko) 1999-07-05
KR100240814B1 true KR100240814B1 (ko) 2000-01-15

Family

ID=1952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498A KR100240814B1 (ko) 1997-12-19 1997-12-19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8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72B1 (ko) * 2000-10-09 2003-05-27 윤주설 낚시용 떡밥 및 그 제조방법
WO2007075013A1 (en) * 2005-12-27 2007-07-05 Kwang-Yull Yun Artificial bait for attracting fish,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1993B1 (ko) * 2006-12-28 2008-04-15 조여자 낚시용 떡밥
KR101165135B1 (ko) * 2009-12-01 2012-07-12 노양식 쟁탄검을 이용한 낚시미끼
CN104970212A (zh) * 2014-12-02 2015-10-14 铜陵县明晋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鲤鱼鱼饵的配置方法
CN105981699A (zh) * 2015-12-15 2016-10-05 安徽三分钟钓具有限公司 一种在水中保持良好稳定性的钓鱼鱼饵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18B1 (ko) * 2001-07-13 2004-09-21 박명남 낚시용 떡밥과 그 제조 방법
KR100384577B1 (ko) * 2001-07-19 2003-05-22 박세익 낚시용 집어제의 조성물
KR100384578B1 (ko) * 2001-07-19 2003-05-22 박세익 낚시용 집어제의 조성물
KR101293697B1 (ko) * 2011-06-14 2013-08-06 오경태 바다낚시용 미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72B1 (ko) * 2000-10-09 2003-05-27 윤주설 낚시용 떡밥 및 그 제조방법
WO2007075013A1 (en) * 2005-12-27 2007-07-05 Kwang-Yull Yun Artificial bait for attracting fish,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1993B1 (ko) * 2006-12-28 2008-04-15 조여자 낚시용 떡밥
KR101165135B1 (ko) * 2009-12-01 2012-07-12 노양식 쟁탄검을 이용한 낚시미끼
CN104970212A (zh) * 2014-12-02 2015-10-14 铜陵县明晋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鲤鱼鱼饵的配置方法
CN105981699A (zh) * 2015-12-15 2016-10-05 安徽三分钟钓具有限公司 一种在水中保持良好稳定性的钓鱼鱼饵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21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9007A (en) Aquatic animal food composition
PL191262B1 (pl) Karma dla zwierząt wodnych
KR20100100808A (ko) 물고기 사료캡슐
JP5636416B2 (ja) 釣り餌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40814B1 (ko)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US3931414A (en) Fish bait composition
CN104905025B (zh) 一种鱼饵窝料
CA2609805A1 (en) Feed for farmed fish and for fish stored in a live condi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feed
CN1263383C (zh) 无毒灭鼠组合物
JP4436251B2 (ja) 飼料ブロック
JP4876021B2 (ja) 釣り餌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79845A (zh) 一种新型环保钓鱼饵料及其制备方法
JP2847295B2 (ja) 養魚用飼料の給餌方法
JPH04320651A (ja) 養魚餌料及釣り餌の製造方法
KR101165135B1 (ko) 쟁탄검을 이용한 낚시미끼
KR20170121356A (ko) 낚시용 떡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86613Y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2575064B1 (ko) 바다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28947A1 (en) Diet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aring insects
CN102217723A (zh) 一种钓鲫鱼打窝饵
CN101584410A (zh) 一种钓罗非鱼的打窝专用饵
WO2024083274A1 (en) Lure and bait for fish and its preparation procedure
RU2264736C2 (ru) Наживка для рыбы
JPH0220253A (ja) 水生底生動物用飼料
KR20230035996A (ko) 홍합을 이용한 낚시용 미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낚시용 미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