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932B1 -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932B1
KR100239932B1 KR1019970001793A KR19970001793A KR100239932B1 KR 100239932 B1 KR100239932 B1 KR 100239932B1 KR 1019970001793 A KR1019970001793 A KR 1019970001793A KR 19970001793 A KR19970001793 A KR 19970001793A KR 100239932 B1 KR100239932 B1 KR 10023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vehicle
driver
whe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339A (ko
Inventor
조경용
Original Assignee
조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용 filed Critical 조경용
Priority to KR101997000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9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7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adjustable by the driver, e.g. sport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22Alternative steering-control elements, e.g. for te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2Driver type; Driving style; Driver adap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3Driver counter-steering; Avoidance of conflicts with ES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4Rear wheel steering; All wheel ste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양 방향으로의 선택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필요적인 요구에 따라 일 방향으로만 주행되던 차량이 회전하지 않고서도 운전자의 위치 변경만으로 그대로 역방향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정차시는 물론 좁은 골목길에서의 후진이 매우 용이해져 운전에 익숙하지 않는 초보 운전자의 편익 향상과 안전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인바, 앞 또는 뒤의 2륜 구동과 4륜 구동의 2개 주행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파트 타임 4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뒤바퀴를 구동하여 후방으로의 주행을 위해 리어측의 양 바퀴상에 설치되는 타이로드상의 조향기어와 이와 연결되어 차량의 실내로 돌출 형성되는 조향 칼럼에 조향 휠이 탈/착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조향칼럼의 하단인 플로워상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폐달을 밟음으로서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유압이 브레이크 파이프를 통해 휠 실린더가 작동하여 브레이크 드럼 상에서 브레이크 슈가 충분히 작동되도록 함과, 상기 차량의 실내 리어 시트가 회동접철되어 운전자가 리어쪽을 향해 충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하여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전/후 양 방향으로의 정상적인 주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안 자동차용 구동 장치
본 발명은 전/후 양 방향으로의 선택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필요적인 요구에 따라 일 방향으로만 주행되던 차량이 회전하지 않고서도 운전자의 위치 변경만으로 그대로 역방향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정차시는 물론 좁은 골목길에서의 후진이 매우 용이해져 운전에 익숙하지 않는 초보 운전자의 편익 향상과 안전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는 일 방향으로의 한정적인 주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그 내부적인 구동 장치와 인테리어가 설계되어 있다.
즉, 내부적으로 마련되는 구동 장치의 주요 구성은 엔진 본체와, 상기 엔진본체에 연결되어 충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 장치와, 차축 및 현가, 그리고 조향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첨부된 도1에는 종래, 일반적인 차체 섀시의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바,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는 자동차를 주행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인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력 발생 장치로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변화시켜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유니버셜 죠인트로 연결된 추진 축 등이며, 이외에도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앞바퀴를 조향하는 조향장치와 제동 장치, 프레임 또는 보디와 차축을 결합하여 노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현가, 그리고 섀시로부터 동력 발생, 동력 전달, 조향, 제동, 현가의 각 장치를 제외한 것을 말하며, 프레임, 휠 등이 이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는 상기의 장치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후진이 필요할 경우에는 변측 기어를 조작하여 앞바퀴의 구동력을 역회전시킴으로 소정의 후진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일 방향 구동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차량이 계속 주행하다가 막다른 골목길을 마주할 경우나 혹은 좁은 길에서의 주/정차를 수행할 경우에 부득이하게 후진 주행을 해야 하는바, 이대 운전에 익숙하지 못한 초보 운전자나 여성 운전자 및 특히 해당 차량이 대형일 경우에는 후진에 많은 애로점이 있어 종종 곤혹스러움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운전자가 정자세를 편안하게 취한 채 전방 주시를 하면서 주행하는 전진과는 달리 후진은 운전자가 고개를 둘려 리어 원도우를 통해 후방 시계를 확보하면서 주행울 하거나, 훅은 양 사이드 백 미러를 통해 후방 시계를 확보하면서 주행을 함으로 운전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고, 후방 시계의 확보가 리어트렁크 및 차체로 인하여 용이하지 못함으로 주변의 구조물과 접촉 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으며, 또한 현실적으로 후진 시의 구동력이 저 단의 속도로 한정되어 있어 위급 상황 시의 대처능력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회전시켜야 하는바, 최소의 회전반경에 미치지 못하는 좁은 곳에서는 회전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며, 어느 정도의 여유 공간이 있어도 반복적인 전/후진을 하여 회전을 수행하는 관계로 유류의 낭비는 물론 시간상의 손실을 수반하는 것이고, 연속적인 핸들의 조작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도가 가중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후진 주행이 필요할 경우 차량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정상적인 속도와 용이한 시계의 확보로 안전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요망 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륜 구동의 방식을 채택하되, 차량의 실내 프론트쪽에 설치되는 조향 휠을 탈/착 가능하게 하여 실내 리어쪽에 설치되도록 함으로 조향 장치 및 재동 장치의 작동이 리어쪽에서도 가능하게 된 전/후 대칭형의 차량을 착안하였다.
도1 은 종래, 일반적인 차체 섀시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구동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3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내부 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4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리어 바퀴 11 : 조향 칼럼
12 : 조향 휠 13 : 브레이크 페달
14 : 비스커스 커플링 15,15a : 제1, 제2추진축
16 : 리어 시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는 앞 또는 뒤의 2륜 구동과 4륜 구동의 2개 주행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파트 타임 4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뒤바퀴를 구동하여 후방으로의 주행을 위해 리어측의 양 바퀴상에 설치되는 타이로드상의 조향기어와 이와 연결되어 차량의 실내로 돌출 형성되는 조향 칼럼에 조향 휠이 탈/착될 수 있도록함과, 상기 조향 칼럼의 하단인 플로워상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서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유압이 브레이크 파이프를 통해 휠 실린더가 작동하여 브레이크 드럼 상에서 브레이크 슈가 충분히 작동되도록 함과, 상기 차량의 실내리어 시트가 회동 접철되어 운전자가 리어쪽을 향해 충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하여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전/후 양방향으로의 정상적인 주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구동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3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내부 위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는 앞 또는 뒤의 2륜 구동과 4륜 구동의 2개 주행 패턴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파트 타임 형식의 4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뒤바퀴를 구동시킴으로 차량의 정상속도와 조향 및 제동이 구현되는 후진 구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어측의 양 바퀴(10),(10a)사이에 동력 조향 장치인 타이로드가 힌지 결합되며, 복수의 아이들러 암과 피트먼 암이 연결되고, 오일 탱크 등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조향기어가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조향 기어와 연결되어 차량의 리어쪽 실내(예컨대, 리어 트링크의 후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향 칼럼(11)에 조양 휠(12)이 탈/착되어 가볍고, 신속하게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향 칼럼(11)의 하단부인 리어쪽 플로워상에는 브레이크 페달(13)및 비스커스 커플링(14)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추진축(15),(15a)을 역구동시키는 가속 페달과 회전 토르크에 의한 적정 변속을 위해 트랜스퍼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클러치 폐달이 설치된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13)은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유압이 각 구동 바퀴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파이프를 통해 휠 실린더가 작동함으로 브레이크 드럼상에서 브레이크 슈가 충분히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에 있어서는 실내의 리어 시트(16)가 임의로 회동 접철되어 리어 윈도우를 향해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부를 부여하여 차량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시트의 접철과 조향 휠(12)의 분리 결합에 따라 전/후 양방향으로의 정상적인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4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예시도인바, 상기의 구성을 갖는 차량이 좁고 막다른 골목길이나, 주/정차를 위해서, 혹은 부득이하게 후진 주행을 할 경우 평소 2륜 구동 상태로 주행하던 차량을 트탠스퍼상의 도그 클러치를 이용하여 뒤바퀴 구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4륜 구동으로 전환시켜 역 방향 구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 후 차량을 그대로 두고 리어 시트를 접철시킨 후 프론트상의 조향휠(12)을 분리시키어 시트의 접철에 따라 노출되는 조향 칼럼(11)에 끼움처리함으로 역 방향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프론트쪽의 엔진 본체와 연결되는 제1, 제2추진축(15),(15a)을 적절히 변속시킴으로 회동시키게 되는바, 전 방향으로의 주행과 동일한 속도로 주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충분한 조향성과 제동성을 구비하여 현재 위치된 차량 그대로 전/후진의 병행적인 주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굳이 차량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충분한 속도와 조향성으로 후진 주행이 가능해져 운전이 다소 익숙하지 못한 초보 운전자나 여성 운전자일 경우 특히 주/정차시에 유용성이 발휘되는 것으로 종래의 후진시와 같이 불명확한 시계로 인한 접촉 사고의 우려를 해소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유류의 부담을 현저하게 절감시키는 등의 유용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앞 또는 뒤의 2륜 구동과 4륜 구동의 2개 주행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파트타임 4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뒤바퀴를 구동하여 후방으로의 주행을 위해 리어측의 양 바퀴에 힌지 결합되는 타이로드와, 아이들러 암 및 피트먼 암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조향기어 그리고 이와 연결되어 차량의 리어쪽 실내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조향 칼럼에 탈/착되도록 한 조향 휠과; 상기 조향 칼럼의 하단 플로워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으로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유압이 브레이크 파이프를 통해 휠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 브레이크 드럼 상에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슈와; 상기 차량의 실내 리어 시트가 회동 접철되어 운전자가 리어쪽을 향해 착석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전/후 양 방향으로의 정상적인 주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KR1019970001793A 1997-01-22 1997-01-22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KR10023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793A KR100239932B1 (ko) 1997-01-22 1997-01-22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793A KR100239932B1 (ko) 1997-01-22 1997-01-22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39A KR19980066339A (ko) 1998-10-15
KR100239932B1 true KR100239932B1 (ko) 2000-01-15

Family

ID=1949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793A KR100239932B1 (ko) 1997-01-22 1997-01-22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87B1 (ko) * 2016-12-29 2018-07-09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87B1 (ko) * 2016-12-29 2018-07-09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반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39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76121A (ja) 四輪駆動車輛の前輪駆動制御装置
JP2000313318A (ja) 鞍乗型四輪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
KR100239932B1 (ko) 전/후 양 방향의 선택적인 주행을 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
JPH0517049B2 (ko)
KR0142464B1 (ko) 자동차용 차동 제한장치
JP2005001511A (ja) 車両における操作装置
CN114929499A (zh) 可控差速系统及具有可控差速系统的车辆
JPH0554043U (ja) 車輪駆動装置
JPH01240350A (ja) 車輌の制動装置
KR100410478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JPS6348471Y2 (ko)
JP3708248B2 (ja) 変速切換装置
JPH0523966B2 (ko)
JPH0544182Y2 (ko)
JPS6235704Y2 (ko)
JPH0626431Y2 (ja) 増速切換機構を具備する前輪舵取り車両
JPH0510198U (ja) 水陸両用車両の操舵装置
JP2545554Y2 (ja) 作業車両における走行安全装置
JPH0224396Y2 (ko)
JPS5823252B2 (ja) 車輪駆動装置
JPH0735156U (ja) 後二軸車両の駆動装置
JPH078619B2 (ja) トラクタ
JP3185619B2 (ja) 車両用クラッチ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S6345378Y2 (ko)
JP3091414U (ja) 自転車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