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910B1 -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 Google Patents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910B1
KR100239910B1 KR1019970063423A KR19970063423A KR100239910B1 KR 100239910 B1 KR100239910 B1 KR 100239910B1 KR 1019970063423 A KR1019970063423 A KR 1019970063423A KR 19970063423 A KR19970063423 A KR 19970063423A KR 100239910 B1 KR100239910 B1 KR 10023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floating body
wave absorbing
shaped
upper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834A (ko
Inventor
나오지 토키
마코토 오오타
마사히코 오자키
쥰이찌 미나미우라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4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amping the waves, e.g. by pouring oil o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amping the waves, e.g. by pouring oil on water
    • B63B2039/105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amping the waves, e.g. by pouring oil on water by absorption of wave energy, e.g. by structured, wave energy absorbing hull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공항 등에 이용되는 대형 부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부체 자체에 파도 흡수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방파제 등을 불필요로 함과 동시에, 대형 부체 외주부에 대한 별개체로서의 파도 흡수 구조물의 장착을 불필요로 하여, 상갑판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대형 부체의 상갑판의 파도 위쪽으로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에는, 그 장출부분으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된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예를 들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자형 부체와 격자형상 연결부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WAVE-ABSORBING TYPE LARGE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 공항(해상 헬리포트를 포함), 해양 플랜트 바지(barge), 해상 도시 등에 이용되는 대형 부체에 관한 것이다.
만내(灣內) 등, 평온한 해역에 설치되는 소규모의 상자형 부체로서는, 레스토랑바지나 오락시설 등, 기존의 것이 있는데, 상갑판의 한 변이 수Km 규모의 대형 해양 부체에 관하여는 실적이 없는 것이 현상이다. 그러나, 해상 공항이나 해상 도시의 계획은 많이 있었으며, 그 구조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입사파(4)를 차단할 수 있도록 수면(18)을 관통하는 방파제(18a) 등을 설치하여 평온 해역을 만들고, 그 평온 해역 중에 대형 부체(1)를 설치하는 것이 주류이다.
그런데, 대형 부체는, 길이에 비하여 두께가 얇기 때문에, 파랑에 따라 복잡한 변형응답을 나타낸다. 그 변형은 파고에 대응해서 커지며, 가령 주위에 방파제가 없는 경우에는, 바닥판 노출에 의한 슬라밍이나 파도가 넘는 등의 문제로 된다. 또한, 평온 해역을 만들기 위한 고정식 방파제는, 수심이 깊게 되면 설치에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대형 부체의 외주부에 부유 파도 흡수제를 설치한다거나, 혹은, 파도 흡수 구조물을 부착한다거나 하는 수단으로서는, 대형 부체의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구조체가 존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선박의 접안이나 하역작업이 번거롭게 되거나, 동 구조체의 윗쪽 공간의 이용이 곤란하게 되기도 한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형 부체 자체에 파도 흡수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고정식 방파제가 없어도 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대형 부체의 상갑판의 외주에 근접하여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의해서 그 상갑판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며, 또한 선박의 접안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는, 광대한 상갑판(上甲板)을 보유하는 대형 부체에 있어서, 그 파도 위쪽으로 장출(張出)한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에, 그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수면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연장되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에서는, 그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에, 그 장출부분으로부터 수면 아래쪽까지 연장되도록 늘어뜨려 설치된 파도 흡수 구조물(消波構造物)이 설치되고, 그 대형 부체 자체가 파도 흡수기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평온 해역을 형성하기 위한 고가의 고정식 방파제나 부유 파도 흡수제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갑판의 외주에 근접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갑판 상의 공간이, 그 가장자리부(周緣部)까지 유효하게 이용되도록 된다.
또한,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되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방되어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늘어뜨린 다수의 상자형 부체와, 이들 상자형 부체를 서로 연결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로 구성되면, 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의 부력이, 이 대형 부체의 부력의 일부로서 도움이 되는데,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가, 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나 동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에 존재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에 의해 부서져서 파도 아래쪽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파고가 작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입사파의 부서짐이 한층 더 효율좋게 행하여지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개방되어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좁고 길게 연장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복수의 상자형 부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는,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에서 상기한 좁고 긴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의 턴넬형상 공간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서 감쇠하여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에 가교되어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가는것에 따라 점차 상승하는 경사판이 설치되는 경우는,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가 상기한 좁고 긴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을 따라 진행할 때에, 상기한 경사판 위를 오르면서 감쇠하여, 그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경사판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설치되면, 동 경사판에 따라서 입사파가 오르면서 다수의 돌기에 의해 효율이 좋게 감쇠하여, 그 파고가 저하한다.
또, 상기한 상자형 부체 상호간의 공간에, 동 상자형 부체에 설치된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는 공극형성형 충전재가 설치된 경우는, 상기한 상자형 부체 상호간에 진입한 입사파가, 다량의 금속망이나 다수의 돌기가 부착된 파도 흡수블록 등의 공극형성형 충전재에 의해 효율이 좋게 부서지며, 그 파랑에너지가 흡수되게 되도록 된다.
또,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평행하게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다수의 연직판과, 동 연직판의 파도 위쪽의 선단에 결합되어 동 연직판에 대하여 양 측방으로 장출한 선단 장출부재로 다수의 T자형 파도 흡수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경우는,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각 연직판과 동 연직판의 파도 위쪽의 선단 장출부재로 이루어지는 T자형 파도 흡수체에 의해 입사파가 부서지기 때문에, 이 대형 부체의 본체에 입사파가 도달할 때까지는 동 입사파의 파고가 충분히 저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다수의 기둥형상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도, 상기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설된 다수의 원통형상 또는 각통형상의 기둥형상부재에 의해 입사파가 산란하여, 그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기둥형상부재가 X형의 수평단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면, 동 기둥형상부재에 의한 입사파의 산란이 한층 더 효율좋게 이루어져, 그 파고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기둥형상부재의 하단에, 동 기둥형상부재의 수평단면보다도 큰 하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된 기둥형상부재와 그 각 하단의 고정부재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입사파의 부서짐 및 산란이 충분히 실시되는 외에, 상기한 고정부재에 의한 부가질량으로 부체운동의 억제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파도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로 구성되면,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는 상기한 복수의 엔드플레이트에 의해 순차 반사하면서 감쇠하여 각 엔드플레이트의 아래쪽을 빠져나가서 그 파고가 순차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차례대로 높이를 높게 하여 다단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판과, 이들 수평판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측부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는, 입사파가, 차례대로 높이가 높게 되는 다단형상의 수평판으로 파도입자의 운동을 무너뜨리도록 하여 부서져서 감쇠되기 때문에, 이 대형 부체의 본체에로의 진입시에는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판이 다공판으로 형성되면, 입사파의 파도입자운동의 붕괴가 한층 더 효율좋게 이루어져, 파고의 감소가 초래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도 흡수형 대형 부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대형 부체의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에, 그 장출부분으로부터 수면 아래쪽까지 연재하도록 늘어뜨려 설치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설치되고, 그 대형 부체 자체가 파도 흡수기능을 보유하기 때문에, 평온 해역을 형성하기 위한 고가의 고정식 방파제나 파도 흡수제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갑판의 외주에 근접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게 되는 외에, 상갑판 상의 공간이, 그 주위 가장자리까지 유효하게 이용되게 된다.
(2)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되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수평방향의 간격을 두고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늘어뜨려진 다수의 상자형 부체와, 이들 상자형 부체를 서로 연결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로 구성되면, 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의 부력이, 이 대형 부체의 부력의 일부로서 도움이 되는 외에,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가, 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나 동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에 존재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에 의해 부서져서, 파도 아래쪽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파고가 작게 된다.
(3)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입사파의 부서짐이 한층 더 효율좋게 이루어지도록 된다.
(4)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좁고 길게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복수의 상자형 부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는,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의 아래쪽에서 상기한 좁고 긴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의 턴넬형상 공간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서 감쇠하여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5)상기한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에 가교되어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가는 것에 따라 점차로 상승하는 경사판이 설치되는 경우는,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가 상기한 좁고 긴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을 따라 진행할 때에, 상기한 경사판을 오르면서 감쇠하여, 그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6)상기한 경사판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설치되면, 동 경사판을 따라서 입사파가 오르면서 다수의 돌기에 의해 효율좋게 감쇠하여, 그 파고가 저하한다.
(7)상기한 상자형 부체 상호간의 공간에, 동 상자형 부체에 설치된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는 공극형성형 충전재가 설치된 경우는, 상기한 상자형 부체의 상호간에 진입한 입사파가 다량의 금속망이나 다수의 돌기가 부착된 파도 흡수블록 등의 공극형성형 충전재가 효율좋게 부서지며, 그 파랑에너지가 흡수되게 된다.
(8)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평행하게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다수의 연직판과, 동 연직판의 파도 위쪽의 선단에 결합되어 동 연직판에 대하여 양 측방으로 장출한 선단 장출부재에 의해 다수의 T자형 파도 흡수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경우는,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연재하는 각 연직판과 동 연직판의 파도 위쪽의 선단 장출부재로 이루어지는 T자형 파도 흡수체에 의해 입사파가 부서지므로, 이 대형 부체의 본체에 입사파가 도달하기까지는 동 입사파의 파고가 충분히 저하하게 된다.
(9)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다수의 기둥형상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도, 상기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설된 다수의 원통형상 또는 각통형상의 기둥형상부재에 의해 입사파가 산란하여, 그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10)상기한 기둥형상부재가 X형의 수평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 동 기둥형상부재에 의한 입사파의 산란이 한층 더 효율좋게 행하여지며, 그 파고가 대폭 감소하게 된다.
(11)상기한 기둥형상부재의 하단에, 동 기둥형상부재의 수평단면보다도 큰 하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경우는, 상기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된 기둥형상부재와 그 각 하단의 고정부재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입사파의 부서짐 및 산란이 충분히 행하여지는 외에, 상기한 고정부재에 의한 부가질량으로 부체운동의 억제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2)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파도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로 구성되면,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는 상기한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로 순차 반사하면서 감쇠하여 각 엔드플레이트의 아래쪽을 빠져나가면서 그 파고가 순차 감소하게 된다.
(13)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다단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판과, 이들 수평판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측부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는, 입사파가, 차례대로 높이가 높게 되는 다단형상의 수평판으로 파도입자의 운동이 무너뜨려지도록 하여 부서져서 감쇠되기 때문에, 이 대형 부체의 본체로의 진입시의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14)상기한 수평판이 다공판으로서 형성되면, 입사파의 파도입자운동의 붕괴가 한층 더 효율좋게 행하여져서 파고의 감소가 초래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종단면도, [(b)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b)는 그 수평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종단면도[(b)에 있어서의 D-D선을 따르는 단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E-E선을 따르는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F-F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G-G선을 따르는 단면도, (c)는 (a)의 H-H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주요부의 하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K-K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M-M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P-P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종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R-R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T-T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종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X-X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그 하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Z-Z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대형 부체와 방파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l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1의 (a)는 그 측면도, (b)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a),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는 광대한 상갑판(1a)을 보유하며, 이 대형 부체(1)에 있어서, 입사파(4)의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1a)의 장출부분(1A)에는, 그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파도 흡수 구조물은,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에서는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다수의 상자형 부체(2)와, 이들 상자형 부체(2)를 서로 연결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자형 부체(2)는, 도 1의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의 그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 2의 (a)는 그 종단면도[도 2의 (b)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2의 (b)는 그 수평단면도, 도 2의 (c)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2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2실시예에 관한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에서는, 입사파(4)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또한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좁고 길게 연재하도록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중까지 늘어뜨려 설치된 복수의 상자형 부체(2)를 구비하고, 또, 이들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입사파(4)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경사판(5)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5)은, 윗쪽으로 약간 굴곡하도록 하여 전후에 1개씩 설치되어 있고, 동 경사판(5)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3의 (a)는 그 종단면도[도 3의 (b)에 있어서의 D-D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의 (b)은 도 3의 (a)에 있어서의 E-E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a)에 있어서의 F-F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3실시예에 관한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에서는, 도 3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입사파(4)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또한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좁고 길게 연재하도록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중까지 늘어뜨려 설치된 복수의 상자형 부체(2)를 구비하고, 또, 이들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동 상자형 부체(2)에 설치된 지지수단으로서의 밑바닥판(7)에 의해 지지되는 공극형성형 충전재(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충전재(8)는, 금속망이나 돌기가 부착된 파도 흡수블록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실시예로서는, 충전재(8)를 지지하기 위한 밑바닥판(7)이 인접하는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설치되어 있는데, 충전재(8)의 지지수단으로서는 망형상부재나 격자부재로 하여도 좋고, 또한 적당한 돌기형 지지수단을 상자형 부체(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하여 충전재(8)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4의 (a)는 그 측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있어서의 G-G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a)에 있어서의 H-H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4실시예에 관한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에서는 도 4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으로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다수의 연직판(9A)이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도록 하여, 수면(18)의 아래쪽까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직판(9A)의 파도 위쪽의 선단에는 동 연직판(9A)에 대하여 양 측방으로 장출한 부체로서의 선단 장출부재(9)가 설치되고, 이렇게 하여 다수의 T자형 파도 흡수체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 5의 (a)는 그 측면도, 도 5의 (b)는 그 주요부의 하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에 있어서의 H-H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5실시예에 관한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에서는 도 5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다수의 기둥형상부재로서의 원기둥(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원기둥(10)은 도 5의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6의 (a)는 그 하면도, 도 6의 (b)는 그 측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b)에 있어서의 H-H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6실시예의 경우는, 도 6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다수의 기둥형상부재로서의 각기둥(11)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각기둥(11)은 도 6의 (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7의 (a)는 그 하면도, 도 7의 (b)는 그 측면도, 도 7의 (c)는 도 7의 (b)에 있어서의 P-P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7실시예의 경우는, 도 7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끝판)(12)가 설치된다. 이들 엔드플레이트(12)는 입사파(4)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전후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배설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8의 (a)는 그 하면도, 도 8의 (b)는 그 종단면도, 도 8의 (c)는 도 8의 (b)에 있어서의 R-R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8실시예의 경우는, 도 8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에서,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높이를 높여서 다단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판(13)과, 이들 수평판(13)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연재하는 측부지지부재(1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단형상의 수평판(13)은 수면 밑으로부터 수면 부근까지에 걸쳐서 분포하도록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수평판(13)으로서 다공판이 채용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로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9의 (a)는 그 하면도, 도 9의 (b)는 그 측면도, 도 9의 (c)는 도 9의 (b)에 있어서의 T-T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9실시예의 경우는, 도 9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복수의 상자형 부체(1)4가, 입사파(4)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또한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좁고 길게 연재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들 좁고 긴 상자형 부체(14)의 상호간에는 턴넬형상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10의 (a)는 그 하면도, 도 10의 (b)는 그 측면도, 도 10의 (c)는 도 10의 (b)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10실시예의 경우는, 도 10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다수의 기둥형상부재(15)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둥형상부재(15)는, 단면이 X형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X형 단면에 있어서의 X형의 교차각도로서는, 직각 외에 임의의 각도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로서의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1l의 (a)는 그 하면도, 도 11의 (b)는 그 종단면도, 도 11의 (c)는 도 11(b)에 있어서의 X-X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11실시예의 경우는, 도 11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복수의 좁고 긴 상자형 부체(16a)가,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입사파(4)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설치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상자형 부체(16a)의 선단부의 상호간에 설치되어 입사파(4)의 진행방향으로 감에 따라 차차로 상승하는 경사판(16)이 설치된다. 또, 최측방의 경사판(16s)은, 그 가장자리가 적당한 지지부재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서의 파도 흡수형대형 부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12의 (a)는 그 하면도, 도 12의 (b)는 그 측면도, 도 12의 (c)는 도 12의 (b)에 있어서의 Z-Z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이 제12실시예의 경우는, 도 12의 (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부체(1)의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입사파(4)의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의 수면(18)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늘어뜨려지는 다수의 기둥형상부재(17)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설치되고, 각 기둥형상부재(17)의 하단에는 동 기둥형상부재(17)의 수평단면보다도 큰 하면을 형성하도록 고정부재(17a)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로서는, 대형 부체(1)의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의 아래쪽에 동 장출부분(1A)으로부터 수면(18)의 아래쪽까지 연재하도록 늘어뜨려 설치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고, 그 대형 부체(1) 자체가 파도 흡수기능을 보유하기 때문에, 평온해역을 형성하기 위한 고가의 고정식 방파제나 부유 파도 흡수제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갑판의 외주에는 근접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게 되는 외에, 상갑판 상의 공간이, 그 가장자리까지 유효하게 이용되게 된다.
또한, 상갑판 장출부분(1A)의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되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도 1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면, 다수의 상자형 부체(2)의 부력이, 이 대형 부체(1)의 부력의 일부로서 도움이 되는 외에,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4)가, 다수의 상자형 부체(2)의 동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존재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3)에 의해 부서져서 파도 아래쪽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파고가 작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자형 부체(2)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입사파(4)의 부서짐이 한층 더 효율좋게 행하여지게 된다.
다음에, 도 9에 관해서 설명한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1)의 경우는,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4)는, 상갑판 장출부분(1A)의 아래쪽에서 좁고 긴 상자형 부체(14)의 상호간의 턴넬형상 공간(S)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서 감쇠하여,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좁고 긴 상자형 부체(16a)의 상호간에 경사판(16)이 설치되는 경우는,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4)가 좁고 긴 상자형 부체(16a)의 상호간을 따라 진행할 때에, 경사판(16) 상을 오르면서 감쇠하여, 그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판(5)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6)가 설치되면, 동 경사판(5)을 따라서 입사파(4)가 오르면서 다수의 돌기(6)에 의해 부서져서 효율좋게 감쇠하여, 그 파고가 저하한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공극형성형 충전재(8)가 설치된 경우는,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진입한 입사파(4)가, 다량의 금속망이나 다수의 돌기가 부착된 파도 흡수블록 등의 공극형성형 충전재(8)에 의해 효율좋게 부서져서, 그 파랑에너지가 흡수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관해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각 연직판(9A)과 동 연직판의 파도 위쪽의 선단 장출부재(9)로 이루어지는 T자형 파도 흡수체에 의해 입사파(4)가 부서지기 때문에, 이 대형 부체(1)의 본체에 입사파(4)가 도달할 때까지에는 동 입사파(4)의 파고가 충분히 저하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 원기둥(10) 또는 각기둥(11)이 설치되는 경우도,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설된 다수의 원통형상 또는 각통형상의 기둥형상부재에 의해 입사파(4)가 산란하여, 그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도 흡수 구조물로서의 기둥형상부재(15)가 X형의 수평단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면, 동 기둥형상부재(15)에 의한 입사파의 산란이 한층 더 효율좋게 이루어져, 그 파고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형상부재(17)의 하단에, 고정부재(17a)가 설치된 경우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된 기둥형상부재(17)와 그 각 하단의 고정부재(17a)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입사파(4)의 부서짐 및 산란이 충분히 행하여지는 외에, 고정부재(17a)에 의한 부가질량으로 부체운동의 억제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 도 5나 도 6, 도 10에 표시하는 기둥형상부재(10,11,15)에도, 각 하단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도 흡수 구조물이 구성되면, 파도 위로부터 진입하는 입사파(4)는 복수의 엔드플레이트(12)에 의해 차례대로 반사하면서 감쇠하여 각 엔드플레이트(12)의 아래쪽을 빠져 나가면서 그 파고가 순차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도 흡수 구조물이 구성되는 경우는, 입사파(4)가 차례대로 높이가 높아지는 다단형상의 수평판(13)에 의해 파도입자의 운동을 무너뜨리도록 하여 부서져서 감쇠되기 때문에, 이 대형 부체(1)의 본체에의 진입시에는 파고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판(13)이 다공판으로서 형성되면, 입사파(4)의 파도 입자운동의 붕괴가 한층 더 효율좋게 행하여져, 파고가 충분히 감소하게 된다.

Claims (14)

  1. 광대한 상갑판을 보유하는 대형 부체(浮體)에 있어서,
    그 파도 위쪽으로 장출한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에, 그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져서 수면을 관통하여 수중까지 연재(延在)하는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늘어뜨려진 다수의 상자형 부체(2)와, 이들 상자형 부체(2)를 서로 연결하는 격자형상 연결부재(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상자형 부체(2)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복수의 상자형 부체(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에 설치되어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감에 따라 차차로 상승하는 경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사판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자형 부체(2)의 상호간의 공간에는, 상기 상자형 부체(2)에 부착된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는 공극형성형 충전재(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평행으로 파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다수의 연직판(9A)과, 상기 연직판(9A)의 파도 위쪽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직판(9A)에 대하여 양 측방으로 장출한 선단 장출부재(9)로 다수의 T자형 파도 흡수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다수의 기둥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둥형상부재가 X형 수평단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둥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기둥형상부재의 수평단면보다도 큰 하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17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파도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연재하도록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복수의 엔드플레이트(1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도 흡수 구조물이,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차례대로 높이를 높여서 다단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판(13)과, 이들 수평판(13)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한 상갑판의 장출부분(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측부지지부재(13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평판(13)이 다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KR1019970063423A 1996-11-27 1997-11-27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KR100239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1627 1996-11-27
JP33162796A JP3486311B2 (ja) 1996-11-27 1996-11-27 消波式大型浮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34A KR19980042834A (ko) 1998-08-17
KR100239910B1 true KR100239910B1 (ko) 2000-01-15

Family

ID=1824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423A KR100239910B1 (ko) 1996-11-27 1997-11-27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89175A (ko)
JP (1) JP3486311B2 (ko)
KR (1) KR100239910B1 (ko)
FI (1) FI1179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7313B2 (en) * 2001-06-29 2011-05-03 Goldman Sachs & Co. Method and system for stress testing simulations of the behavior of financial instruments
JP5658168B2 (ja) * 2009-01-15 2015-01-21 オーシャン ブリック システム (オー.ビー.エス.) リミテッド 深水港
US9683346B2 (en) 2009-01-15 2017-06-20 Ocean Brick Systems (O.B.S.) Ltd. Perforated structure mountable onto a seabed
CN106192878B (zh) * 2012-07-27 2018-02-06 泉州龙闰海洋科技有限责任公司 消能式拆装方便的浮式消波堤
CN104029799A (zh) * 2014-05-29 2014-09-1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箱式下浮体多立柱型半潜式平台
CN104401459A (zh) * 2014-11-25 2015-03-11 黄继昌 一种水上浮体
CN109080781A (zh) * 2018-08-01 2018-12-25 上海交通大学 一种抑制波浪爬升孔隙结构物装置及其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8542A (en) * 1945-06-28 1949-11-22 Amer L Houghtaling Artificial island
US3299846A (en) * 1965-01-18 1967-01-24 Canadian Patents Dev Stable floating support columns
US3952521A (en) * 1974-10-29 1976-04-27 Potter John M Portable floating wave tripper
US4225268A (en) * 1979-06-18 1980-09-30 Treu Johannes J Breakwater pier apparatus
JPS6175111A (ja) * 1984-09-19 1986-04-1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浮防波堤
US4836709A (en) * 1987-06-15 1989-06-06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Water wave absorber
JPH07323884A (ja) * 1994-05-31 1995-12-12 Nippon Steel Corp 浮体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89175A (en) 2000-07-18
JPH10157689A (ja) 1998-06-16
JP3486311B2 (ja) 2004-01-13
FI974335A0 (fi) 1997-11-26
FI117904B (fi) 2007-04-13
FI974335A (fi) 1998-05-28
KR19980042834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05145B (zh) 一种带有废旧轮胎的梯形浮式防波堤
JPH0417830B2 (ko)
KR100239910B1 (ko) 파도 흡수식 대형 부체
JP2009511347A (ja) ポントゥーン型浮体式構造
US4836709A (en) Water wave absorber
EP3746602B1 (en) Wave capturing and attenuating structure
EP0244930B1 (en) Breakwater
US3309876A (en) Erosion prevention apparatus
US4098086A (en) Breakwater
KR100307092B1 (ko) 수평형타공판을이용한소파장치
JP3316585B2 (ja) 浮き消波装置
CN214033611U (zh) 一种具有防冲净化功能的水利堤坝
JP4469985B2 (ja) 消波構造物
JPH09143922A (ja) 浮橋の係留方法及び装置
JPH0112881B2 (ko)
JPH11350447A (ja) 防波堤
SU791827A1 (ru) Причальна стенка с волногас 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SU852999A1 (ru)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14136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갖는 방파제 구조물
RU2705903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волн на глубокой воде
JP3019724B2 (ja) 透過型防波堤
JPS61271499A (ja) 制水装置
JP4067705B2 (ja) 鋼板セル型構造物からなる透過式消波堤
KR100425754B1 (ko) 방파제용 파도 소거 구조체
JPS61122317A (ja) 長波長型浮消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