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869B1 - 가요성이 증가된 슬라이드용 엔빌로프(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 Google Patents

가요성이 증가된 슬라이드용 엔빌로프(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869B1
KR100239869B1 KR1019940701633A KR19940701633A KR100239869B1 KR 100239869 B1 KR100239869 B1 KR 100239869B1 KR 1019940701633 A KR1019940701633 A KR 1019940701633A KR 19940701633 A KR19940701633 A KR 19940701633A KR 100239869 B1 KR100239869 B1 KR 10023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lap
envelope
rubb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키헨 더글라스
더블유.루디 켄네쓰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792,717 external-priority patent/US5237355A/en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투명한 시이트 물질로 제조된 거의 직사각형의 포켓, 가요성 접착제 테이프에 의해 측면 가장자리중 하나를 따라 절첩가능한 방법으로 부착된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 5 내지 15km의 두께를 가진 가요성 폴리에스테를 배면을 포함하는 가요성 접착제 테이프 및 배면의 한 표면에 부착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은 보다 짧은 측면 가장자리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가지며 슬라이드를 삽입하기 위해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최소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는 1.8g 의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플랩은 두상 투영기의 작동 온도에서 두상투영기 단에 대한 최소한의 접착제 전달만으로도 두상 투영기 단상에서 비절첩된 위치로 남을 수 있는 두상 투영기용 슬라이드에 대한 개선된 엔빌로프.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요성이 증가된 슬라이드 용 엔빌로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오보헤드 프로젝터(overhead projector)에 사용되는 슬라이드를 보관하기 위한 엔빌로프(envelope)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엔빌로프는 가요성이 증가된 접착제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에 부착시킨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flap)을 포함한다.
[관련 기술의 설명]
사업 발표, 강의 등에서 오보헤드 프로젝터(OHP)에 의해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영상화된 슬라이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개개의 슬라이드는 보관 또는 이동시 쉽게 손상되어 취급에 신중을 요한다. 각종 유형의 커버, 폴더 및 엔빌로프가 제공되어 슬라이드를 일시적으로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발표를 할 수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875,693호에는 마분지, 판지등으로 제조한 프레임 내에 슬라이드를 틀로 짜넣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슬라이드의 주변에 형성되는 조명 갭을 적절히 가리는 것을 뜻한다. 프레임은 또한 청중에게는 보이진 않으면서 강연자가 필요로하는 메모를 필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프레임은 부피가 커서 표준 크기의 파일, 바인더 및 선반에 고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보관 및 운반이 어렵다. 또한 프레임을 깨뜨리고 이에 수반되는 슬라이드의 손상없이 쉽게 제거될 수 없다. 그밖에 슬라이드 각각을 손으로 조심스럽게 위치시켜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프레임을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기가 어렵다.
스웨덴 특허원 제 382,266호에는 한 측면을 따라 구멍이 뚫려 있으며, 현시할 슬라이드를 삽일할 개구부가 상부에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 포켓인 엔빌로프가 개시되어 있다. 엔빌로프의 외부 치수가 표준 크기의 바인더 또는 파일의 치수이므로 엔빌로프는 제거가능하며 조작, 보관 및 운반이 간단하다. 더욱이, 엔빌로프에 의해 슬라이드가 보호되며 발표시, 엔빌로프에 메모를 할 수 있다.
상기 엔빌로프의 단점은 주변의 일루미네이션이 가려지지 않으며 강연자가 스크린 상에 메모가 보이지 않도록 엔빌로프 상에 메모를 필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뚫린 구멍도 스크린 상에 나타나다. 따라서 상기 엔빌로프로 극히 전문적인 발표를 하지는 못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253,358호, 제3,264,936호, 제3,438,702호, 제3,438,703호, 제3,524,703호, 제3,536,393호, 제3,537,792호, 제3,544,211호, 제3,600,079호 및 스웨덴 특허원 제346,166호에도 OHP슬라이드 용 커버 또는 엔빌로프의 실례가 개시 되어 있다.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커버 및 엔빌로프는 복잡하고 조작이 어려우며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중 대부분이 슬라이드를 예정된 순서로 현시해야 하고, 대부분의 슬라이드 커버가 제거되기 어렵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미 합중국 특허 제 4,810,544호에는 시이트를 이등분하는 단일 절첩을 가진 투명한 시이트 물질, 및 절첩에 거의 평행하게 시이트의 가장자리 길이를 따라 신장된 이중 코팅된 접착제 테이프 스트립을 포함하는 또 다른 투명한 슬리브(sleeve)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는 스트립 위에 접착된 테이프의 한 측면에 점착성이 낮고 재사용가능한 접착제를 갖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절첩되었을 때. 단일 시이트는 슬리브를 형성한다. 상기 엔빌로프는 인쇄된 매개체를 보호하며 가장자리를 따라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바인더로 보관할 수 있지만 임의의 적혀 있는 메모가 스크린 상에 나타날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4,402,585호에는 선행 기재된 엔빌로프의 많은 단점을 해결한 오보헤드 슬라이드 용 엔빌로프가 개시되어 있다. 엔빌로프는 슬라이드를 삽입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가능한 직사각형 대향면을 갖는 투명한 시이트 물질로 제조된 직사각형 포켓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이 포켓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들 중 하나를 따라 절첩가능한 방법으로 부착된다. 플랩은 비절첩 위치에서, 측면 가장자리 위를 지나 종방향 가장자리를 덮도록 종방향 가장자리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부착되어 있다. 절첩 위치에서 플랩은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노출시킨다. 물질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명을 뚫어 바인더 또는 파일 등으로 엔빌로프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랩은 통상적인 필기 도구에 의해 쓰여지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한다.
보관시 플랩은 절첩 위치에 있고 사용할 때는 펼쳐진다. 부착수단은 발표도중에 플랩이 펼쳐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플랩은 절첩 위치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어 발표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고 첨가되는 메모를 가릴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플랩이 오버헤드 프로젝터 스테이지 상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엔빌로프를 놓아 엔빌로프 및 오버헤드 슬라이드의 무게로 플랩이 펼쳐진 상태로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랩이 절첩되기 어려운 경우, 엔빌로프는 스테이지 위에 편평하게 놓이지 않아 반사형 오버헤드 프로젝터를 사용할 때, 특히 심각한 초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OHP 및 스테이지의 작동 온도로 인해, 플랩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된 접착제가 스테이지로 이동될 수 있어 스크린 상에 보이지 않는 반점과 스테이지 위의 더러운 얼룩을 남기게 되며 이는 또한 이후에 사용되는 물질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을 백킹 필름 및 접착제의 특정 조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플랩을 투명한 엔빌로프에 확실히 부착시켜 절첩되거나 절첩되지 않은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쉽게 유지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로써 엔빌로프를 스테이지 위에서 아래를 향하게 돌릴 필요가 없다. 또한 엔빌로프를 바람직한 복합재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제를 최소한으로 이동시키며 스테이지 상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편평하게 놓을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슬라이드를 위한 개선된 엔빌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엔빌로프는 두 개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가 보다 짧은 측면 가장자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삽입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개방되어 있는 투명한 시이트 물질로 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포켓, 15 ㎛ 이하의 두께를 가진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백킹 및 그의 한 표면에 부착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접착제 테이프에 의해 측면 가장자리 하나를 따라 절첩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절첩 및 비절첩 위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테이프는 가요성 수치가 2.5g 이하이고, 180°박리 접착력이 100g/cm이상이고, 상기 플랩은 펼쳐 놓았을 때 비절첩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작동 온도에서 오버헤드 프로젝터 스테이지를 향하게 놓았을 때 포로젝터 스테이지에 접착제를 최소한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을 가진, 오버헤드 슬라이드 용 개선된 엔빌로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접착제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상기 테이프는 15㎛ 미만의 두께를 가진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백킹의 한 표면 상에는 가요성 접착제 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복합 테이프의 가요성 수치는 2.5g 이하이고 180° 박리 접착력은 100g/cm이상이며, 상기 테이프는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작동 온도에서 오버헤드 프로젝터 스테이지로의 이동이 최소일 것이다.
본원에 사용한 용어 "접착제 테이프"는 폴리에스테를 기재의 하나 이상의 주 표면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층으로서 코팅된 접착제를 의미한다. 접착제는 감압성, 가열-활성, 가열-결합성 또는 임의의 기타 공지된 접착제 유형일 수 있다. 테이프를 예비 제조하여 제조 중에 엔빌로프 상에 놓거나 또는 엔빌로프와 동시 또는 엔비로프 제조 후에, 엔빌로프 위에 이미 놓여 있는 폴리에스테를 물질 상에 선택된 접착제를 코팅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개선은 엔빌로프는, 구께가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인 폴리에스테르 백킹을 가진 첩착제 테이프를 포함한다. 백킹은 디카르트복실산 또는 그의 저급 알킬디에스테르,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릭, 프탈릭, 2,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등을 글리콜, 예를 들면 에틸렌 글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등과 축합시켜 제조한 임의의 열가소성 필름 형성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임의의 상기 산과 글리콜의 코폴리 에스테르일 수 있다. 투명성, 내구성, 및 비용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상기 테이프의 접착제 층으로 유용한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백킹 및 엔빌로프에 대해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며, 점착성 또는 비접착성 아크릴, 점착성 고무-계접착제, 우레탄, 실리콘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고온 용융 접착제, 용매제, 수성제 또는 에멀죤, E-빔 또는 악틴 방사선 경화성 또는 수분 경화성일 수 있다.
접착제 층의 두께는 사용한 접착제 종류, 및 필름 백킹의 종류 및 두께와 같은 요소에 따라 변하지만 접착제 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2.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범위이다. 바람직한 몇몇 접착제는 과다한 접착제 이동 없이 100㎛ 이하의 두께로 필요한 백킹 상에 코팅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두께는 일반적으로 자원 경영 및 심미적 견해 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플랩이 포켓의 가장자리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기 위해서는 접착제는 바람직한 두께 범위에서 100g/cm 이상의 180° 박리 접착력을 갖는다(하기 명시된 조건하에서). 박리 접착력 수치가 더 낮은 접착제를 사용하면, 접착제는 플랩을 아래를 향하게 놓은 겨우 플랩의 개폐를 반복하고 스테이지에 접착제가 이동되도록 접착제층을 많이 노출시킨 후 주 포켓 또는 플랩의 가장자리와 분리될 수 있다.
접착제는 감압성, 가열-활성이면서 감압성 또는 감압성이면서 가열-결합성일 수 있으며 가열-활성이면서 감압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및 박리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접착제의 분리를 방지하는 우수한 결합 강도의 잇점을 가지며,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작업온도에서 접착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 접착제가 또한 유용하다. 유용한 감압성 접착제는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결합성 및 낮은 크리이프 특성을 갖는 것인데 상기는 플랩이 비절첩 위치에 있을 때, 접착제가 스테이지 또는 다른 접촉 표면에 덜 스며들게 하는 성질이다. 테이프의 얇은 백킹과 그에 따른 가요성으로 인해, 플랩이 비절첩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면적이 보다 작아진다. 최소의 접착제 층 두께 또한 플랩이 비절첩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접착제의 양을 최소로 만든다. 접착제 특성을 비롯한 상기 인자들이 종래의 제품과 비하여 접착제 이동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기타 유용한 방법에서 절첩선을 따라 노출된 접착제 가장자리의 접착성 제거 및 코팅변형등이 있다. 유용한 접착성 제거 처리법은 노출된 가장자리를 E-빔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적당한 화합물을 가하여 접착제를 코팅하거나 접착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접착제는 아크릴 및 점착성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접착제라면, 10㎛의 매우 얇은 층이 필요한 박리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감압성 접착제의 종류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이다. 이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 4,304,705호(헤일만), 제 24,906호(울리히) 및 제 4,181,752(마틴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클리아미드, 비닐피롤리돈 및 아즐락톤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모노-, 디-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는 대표적으로 알킬 아크릴레이트이고, 비-3차 알킬 알콜의 일관능성 불포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이때, 알킬 그룹은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가 바람직하다. 상기 종류의 단량체에는 예를 들면,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헥실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단독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극성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 공중합시킬 수 있다. 강한 극성 단량체, 예를 들면 모노올레핀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 시아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또는 치환된 아크릴아미드와 공중합시킬 때,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중합가능한 단량체 조성물 중 75% 이상을 차지한다. 적당히 극성인 단량체, 예를 들면, N-비닐 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디알릴 프탈레이트와 공중합시키면,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중합가능한 단량체 조성물 중 70% 이상을 차지한다.
감압성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단량체의 중합을 돕는 하나 이상의 개시제를 함유한다. 적합한 개시제는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개시제, 예를 들면, 아조 화합물,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퍼옥사이드 등, 및 광개시제 예를 들면, 벤조인 에테르, 치환된 제조인 에테르, 치환된 아세토페논,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과 같은 치환된 α-케톤, 2-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향족 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1-페닐-1, 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과 같은 광활성 옥심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개시제는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가교 결합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에 바람직한 가교결합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 379,201호(헤일만 등)에 개시된 것 뿐만 아니라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멀티아크릴레이트이다. 기타 유용한 가교결합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330,590호(베슬레이) 및 제 4,329,384호(베슬레이)에 교지되어 있는 크로모포로 치환된 -S-트리아진이다. 각각의 가교결합제는 단량체의 총 중량 중 0.01 내지 1 중량% 범위가 유용하다.
유용한 가열-활성 접착제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접착제의 또 다른 바람직한 부류는 고무-형 접착제이다. 접착제는 고무 수지를 포함하며,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펜-디엔 고무등과 같은 합성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쉘 미이칼 캄파니에서 시판하고 있는 kraton(상품명) 예를 들면 kraton G1657, D1101, D1107 및 1118, 파이어스톤 타이어 앤드 러버에서 시판하고 있는 stereon(상품명), 예를 들면 stereon(상품명) 840A 및 845A Duradene(상품명) 예를 들면 Duradene(상품명) 710, 711 및 713 및 비에프 굿리치에서 시판하고 있는 Hycar(상품명)등이다.
또한, 상기 고무-형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점착성 부여제를 함유한다. 유용한 점착성 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및 로진 산, 혼합지방족/방향족 점착성 부여 수지, 폴리테르펜 점착성 부여제 및 수소화 점착성 부여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점착성 부여제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및 수소화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점착성 부여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고무- 형 접착제는 또한 나프티온 오일, 파라핀 오일, 방향족 오일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접착제는 Findley "590-371", 및 802-334:HL-2203-X", HM-2703", "HL-7389-X"(에이치. 비. 풀러에서 시판), 및 "71-7141" 및 "70-7254:(내쇼날 스타치 사에서 시판)를 포함한다. 임의의 유용한 접착제는 첨가제가 요구되는 범위 밖의 가요성 및 박리력 값을 접착제에 부여하지 않는 한 안료, 산화 방지제, 충진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선택된 접착제는 그 자체로 필름 백킹에 대한 양호한 결합력을 가져야하며 또는 필름 백킹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 또는 화학 접착 촉진제로 번갈아 처리하여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복합재 테이프는 하기에 측정된 바와 같이;2.5g 이하, 바람직하게는 1.6g 이하의 가요성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한 접착제는 100g/cm이상, 바람직하게는 150g/cm이상의 180˚ 박리 접착력을 가지며, 복합재의 두께는 90㎛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다.
가요성 수치 필요조건은 가능한 한 낮을 수 있지만, 실제로 1g 미만의 수치는 검사하기 어렵다. 가요성 수치가 매우 낮거나 또는 검사 범위에 벗어나는 테이프는 적당한 박리력을 갖고 장치를 작동하고 조작하는데 필요한 적당한 일체성을 갖는 경우 유용하다. 수치가 2.5g보다 큰 경우, 플랩은 펼치기가 어렵고 개방되거나 비절첩 위치에 있지 않으려 하며 접혀진 위치로 돌아가려고 할 것이다.
또한 테이프가 가요성 범위 밖의 값을 갖지 않는 한 백킹을 접착성이 낮은 백킹 사이즈 코팅으로 코팅시킬 수 있고 또는 로울로부터의 권출을 촉진시키는 임의의 기타 처리법을 실시할 수 있다.
플랩은 본드지, 판지, 불투명한 필를(예: 안료 충진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바람직함);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포함) 및 기타 유사물질)을 비롯하여 강연자가 그 위에 겹쳐써서 메모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은 셀룰로즈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 테[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예:나일론), 폴리올레핀(예: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및 폴리비닐(예: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을 포함하는 임의의 투명한 중합체 시이트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포켓은 슬라이드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한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가능한 직사각형 대향면을 포함한다. "한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란 말은 미합중국 특허 제 4,402,5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랩이 포켓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같은 길이로 부착되어 플랩이 비절첩 위치에서는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 위를 덮으며 뻗어 있는 태양을 포함한다. 절첩 위치에서, 플랩은 측면 가장자리를 노출시킨다. 경우에 따라, 플랩은 짧은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될 수도 있다.
포켓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멍을 뚫어 바인더, 파일 등으로 상기 포켓을 보관할 수 있다.
[검사방법]
[가요성 수치]
접착제 테이프의 가요성 수치는 0.6 내지 6.0g의 장력 범위를 갖는 세르-투미코(Sherr-Tumico) 장력 게이지로 측정한다. 구동 압반을 사용하여 30.5 cm/분(12in/분)의 일정하고 재생가능한 속도를 유지한다. 샘플은 크기가 4.5cm x 29cm이고 , 두께가 120㎛인 백색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플랩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플랩의 무게는 2.1g이다. 검사할 테이프를 사용하여 플랩을 포켓에 부착시킨다. 편평한 표면 위에 플랩 면을 위로하고 플랩이 슬리브로부터 90˚ 각도로 개방되게하여 샘플을 놓는다. 압반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장력 게이지 암은 플랩/포켓 교선 위에서 대략 0.65cm 만큼 플랩과 맞물린다(플랩이 0.65cm 아암의 경로 내로 뻗어 있다.). 장력 게이지는 플랩과 맞물렸을 때 분당 30.5cm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 압반 상에 장착한다. 압반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장력 게이지는 플랩과 맞물려 플랩을 더욱 개방시킬 때까지 수평으로 움직인다. 플랩이 떨어진 후 게이지로부터 최대 장력을 읽는다. 결과는 g으로 나타낸다. 결과는 사전에 명시한 중량을 갖는 플랩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다른 중량을 플랩에 대한 검사를 원한다면 결과를 단위 중량 또는 단위 면적 당 g으로 명시해야 한다.
[180˚박리]
박리 접착력은 SP-102B-3M90 Extended Capability Slip/Peel 검사장치(IMASS, Inc.에서 시판)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장치는 하기와 같이 만든다 : 압반 속도를 30.5cm/분으로, 평균시간 선택자를 10초로 고정하고, 피이크 선택자는 동력학적으로 고정하고, 계량 선택자는 피이크에 연결하고, 속도 범위 선택자는 SL로 고정하고, 범위/0을 B에 연결한다. 시판되는 실례를 검사할 때는 플랩, 테이프 및 포켓이 완전하도록 샘플을 테이프에 평행하게 절단하다. 테이프를 모든 다른 샘플의 플랩 또는 포켓에만 직접 부착한다. 결과는 포켓인 경우 PET로부터 박리한 것으로, 플랩 또는 둘다에 대해서는 PVC로부터 박리한 것으로 명시한다.
포켓에 대한 경첩의 박리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해 샘플을 이중 코팅된 테이프로 압반에 고정시키고, 플랩을 2.54cm 거리만큼 포켓에서 박리시킨다. 플랩을 박리력 검사 장치 상의 하중 셀에 부착시키고, 압반을 작동시킨다. 압반이 움직이면, 플랩이 포켓에서 박리되고 하중 셀로 그 힘을 측정하여 g으로 나타낸다. 플랩에 대한 박리 접착력은 플랩으로부터 테이프를 박리시켜 측정한다. 박리 접착력은 g/cm로 측정하고, 4개의 측정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접착제 이동 검사]
3M 모델 2150 오버헤드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하기 방식으로 접착제 이동을 관찰하였다:
오버헤드 프로젝터를 켜고 30분 동안 워밍업시킨다. 경첩, 포켓 및 플랩 상호 작용이 완전하도록 경첩에 수직으로 절단한 4cm 샘플을 플랩을 개방시킨 상태로 스테이지 상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놓는다. 직경이 3.8cm이고, 무게가 100gdls 원통형 놋쇄를 개방 경첩 위의 중심에 놓아 1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접착제를 더욱 노출시키기 위해 플랩을 강제로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샘플을 30.5 cm/분의 속도로 스테이지를 가로질러 잡아당겼다. 달리 언급이 없는 한 3개의 샘플을 검사하였다. 접착제 잔류물이 스테이지 위에 남아 있지 않은 경우를 P/3으로, 접착제 잔류물이 스테이지 위에 남아 있는 경우를 F/3으로 나타낸다. 3개의 샘플 중2개의 잔류물이 남아 있지 않다면 그 샘플은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예시할 목적으로만 사용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이내에서의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오버헤드 슬라이드 용 포켓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ndley 590-371로서 시판되는 고온 용융 감압성 접착제를 9.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18㎛ 두께로 노드손 슬롯 노즐 코팅기(Nordson Slit Nozzle Coater)를 사용하여 코팅하였다. 상기 필름은 1.25cm 나비로 사전에 슬릿으로 절단하였다. 테이프를 투명한 PET 포켓에 부착시켰다. 크기가 4.5cm x 29 cm이고, 두께가 120㎛인 Tio2충진된 PVC 필름으로 제조한 플랩을 상기 테이프를 사용하여 포켓에 접착시켰다. 이어서 완성된 포켓을 180˚ 발리 접착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검사하여 검사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접착제 층이 나이프 코팅기(knife coater)를 사용하여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IOA) 95.5 부 및 아크릴산(AA) 4.5부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6㎛ PET 백킹 상에 12.5㎛의 건조 두께로 용매(에틸 아세테이트 중 고형물 27%)로부터 코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엔빌로프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테이프를 사용하여 포켓의 가장자리에 플랩을 접착시켰다. 테이프의 박리력, 가요성 및 접착제 이동에 대해 검사하였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절개한 샘플이 아닌 엔빌로프 전체에 대해 박리력 감사를 하였다. 측정 결과를 역시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내지 6]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접착제 및 백킹 두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박리,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 측정하였고 박리력 감사는 엔빌로프 전체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의 박리 접착력은 포켓에 대해 검사하였다.
[실시예 7]
고형물 29% 수준으로 에틸 아세테이트/톨루엔 용매 내 IOA 90 부 AA 10부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엔빌로프를 제조하였다. 나이프 코팅기를 사용하여 6㎛ 두께의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백킹 상에 접착제를 18㎛ 두께로 코팅하였다. 박리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 데이터를 표 1에 포함시켰다.
[실시예 8C]
본 실시예는 IOA 95.5 부 및 AA 4.5 부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32g/m2의 코팅중량으로 용매(70/30의 헵탄/이소프로판올 혼합물 중 고형물 27%)로부터 코팅시킨 시판되는 Flip-Frame(상품명)(3M 사에서 시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테이프의 백킹은 130㎛ 두께의 레이온 부직시이트이였다. 박리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 상기 엔빌로프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9 내지 12 및 13C)
여러 가지 접착제 두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3C의 경우, 접착제 두께는 본 발명의 한계를 벗어났다. 또한 이들 샘플의 박리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 검사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4 내지 19]
여러 가지 접착제 두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들 샘플의 박리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서도 검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6에서는 포켓의 박리 접착력을 검사하였다
[실시예 20 내지 23]
여러 가지 접착제 및 백킹 두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조성은 표 2에 나타냈다. 이들 샘플의 박리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서도 검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4 내지 27]
여러 가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조성은 표 3에 나타냈다. 이들 샘플의 박리력, 접착제 이동 및 가요성에 대해서도 검사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1]
[표 2]
[표 3]

Claims (5)

  1. 두 개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가 보다 짧은 측면 가장자리에 의해 연결되거 있고, 슬라이드 삽입을 위해 적어도 측면 가장자리 하나를 따라 개방되어 있는 투명한 시이트 물질로 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포켓, 및 15㎛미만의 두께를 가진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백킹 및 그의 한 표면에 부착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접착제 테이프에 의해 측면 가장자리 하나를 따라 절첩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절첩 및 비절첩 위치를 가지며, 대부분의 입사광이 투과되지 않도록 광산란, 광차단 또는 광반사 성질을 가진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는 가요성 수치가 2.5g 이하이고, 180˚ 박리 접착력이 100g/cm이상이고, 상기 플랩은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작동 온도에서 오버헤드 프로젝터 스테이지에 접착제를 최소한으로 이동시키며 오버헤드 프로젝터 스테이지 상에 비절첩된 위치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오버헤드 프로젝터 용 슬라이드를 위한 개선된 엔빌로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백킹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고, 상기 백킹의 두께가 5㎛ 내지 10㎛인 엔빌로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펜-디엔 고무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고무 쉬 접착제를 포함하는 개선된 엔빌로프.
  4. 플랩으로 입사되는 대부분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광산란, 광차단 또는 광반사 성질을 가진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플랩을 갖는 오버헤드 슬라이드 용의 개선된 엔빌로프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약 15㎛ 미만의 두께를 가진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백킹 물질 및, 상기 백킹의 한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가요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며, 가요성 수치가 2.5 이하이고, 180˚ 박리 접착력이 100g/cm이상이고,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작동 온도에서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스테이지 상로의 최소한의 접착제 이동을 보이는 접착제 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물질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층이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펜-디엔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고무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테이프.
KR1019940701633A 1991-11-15 1992-10-15 가요성이 증가된 슬라이드용 엔빌로프(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KR100239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92,717 1991-11-15
US07/792,717 US5237355A (en) 1991-11-15 1991-11-15 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US95916192A 1992-10-09 1992-10-09
US7/959,161 1992-10-09
PCT/US1992/008857 WO1993010480A1 (en) 1991-11-15 1992-10-15 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869B1 true KR100239869B1 (ko) 2000-01-15

Family

ID=2712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633A KR100239869B1 (ko) 1991-11-15 1992-10-15 가요성이 증가된 슬라이드용 엔빌로프(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612417B1 (ko)
JP (1) JPH07501158A (ko)
KR (1) KR100239869B1 (ko)
AU (1) AU658024B2 (ko)
CA (1) CA2121793A1 (ko)
DE (1) DE69220085T2 (ko)
WO (1) WO1993010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560A (en) * 1991-11-15 1994-1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velope for transparency
JP4587459B2 (ja) * 2004-12-17 2010-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用粘着剤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453A (en) * 1970-10-02 1975-07-22 John S Wright Accessory storage and projection apparatus for visual communications
US4181752A (en) * 1974-09-03 1980-0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rylic-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y means of ultraviolet radiation curing
SE420775B (sv) * 1980-03-13 1981-10-26 Minnesota Mining & Mfg Omslag for bildark till arbetsprojektorer och liknande projektionsapparater
EP0044633A3 (en) * 1980-07-18 1983-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transparency mounting frame including adhesive means for the attachment of a transpar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872492A (en) 1993-06-15
CA2121793A1 (en) 1993-05-27
JPH07501158A (ja) 1995-02-02
EP0612417B1 (en) 1997-05-28
DE69220085T2 (de) 1997-11-13
AU658024B2 (en) 1995-03-30
WO1993010480A1 (en) 1993-05-27
DE69220085D1 (de) 1997-07-03
EP0612417A1 (en) 199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210A (en) Envelope for transparency
US5622761A (en) Double-sided releaseable adhesive tape or note
US6910667B2 (en) Stretch releasable tape flag
JPH06504077A (ja) 除去可能な接着テープ
US5237355A (en) 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EP0542531B1 (en) Envelope for transparencies
JP2003261846A (ja)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用の接着テープ
US6884504B2 (en) Repositionable adhesive label for optical recording media
JPS61263799A (ja) 綴結紙片掩蔽支持用カバ−及び紙片綴結方法並びに小冊子
US4400899A (en) Album
KR100239869B1 (ko) 가요성이 증가된 슬라이드용 엔빌로프(envelope for transparency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US20030044559A1 (en) Articles for optical recording media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JP3002828U (ja) 光学部品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護シート
US4921747A (en) Stamp hinge
EP0491343B1 (en) Photographic film package
JPH11249259A (ja) 写真感光材料包装用粘着性シートおよび粘着剤
JP2007118283A (ja) 隠蔽用積層体
JPH091719A (ja) 目隠し転写用品
JPH0532516Y2 (ko)
JPH09244533A (ja) 粘着ラベル
EP0582509A1 (en) Protective display device
GB2032346A (en) Album
JPH10264286A (ja) 保護用シート
US20040145176A1 (en) Sheet material pad
JPH02280147A (ja) ロール状材料用マガ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