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825B1 -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825B1
KR100239825B1 KR1019960053483A KR19960053483A KR100239825B1 KR 100239825 B1 KR100239825 B1 KR 100239825B1 KR 1019960053483 A KR1019960053483 A KR 1019960053483A KR 19960053483 A KR19960053483 A KR 19960053483A KR 100239825 B1 KR100239825 B1 KR 10023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billing
rel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205A (ko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6005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8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대가 접속된 자국교환기가 타국 교환기간의 중계호에 대한 호연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통화요금을 과금요율 적용기준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도록 된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국 교환기(1)와 착신국 교환기(3)사이에 위치하여 타국간의 중계호처리기능를 수행하는 자국교환기(2)에 있어서, 안내대(9)가 타국의 발신가입자(12)와 연결되어 상기 발신가입자(12)로부터 타국의 착신가입자(13)에 대한 접속을 요구받는 제 1 단계와, 상기 요구에 의해 상기 안내대제어부(8)가 착신중계호처리부(4)와 발신중계호처리부(5)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과금지정포인트인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과금지정포인트이면 과금정보저장부(6)에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 착신가입자(13)가 응답하면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5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서 해당 호의 해지상태가 감지되면 과금산정부(7)에서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제 6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상기 통화요금에 따른 과금정보를 과금제어부(10)와 안내대제어부(8)로 통보하는 제 7 단계, 상기 과금제어부(10)가 상기 과금정보를 과금저장부(11)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안내대제어부(8)는 상기 과금정보가 안내대(9)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GE DATA OF OPERATOR POSITION SYSTEM}
본 발명은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국 교환기의 일반 가입자가 자국 교환기의 안내대를 호출하였을 때 발신가입자가 상기 안내대에 호를 예약하면 그 안내대가 자국호에 국한되지 않고 타국 교환기에 접속된 일반 가입자를 호출하여 발신가입자와 연결시켜주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기능 수행시 해당 호에 대한 통화요금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도록 된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입자 단말이 접속된 상태에서 그 가입자단말에서 발생되는 호설정 및 통화요구에 대해 최적화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전자 교환기가 설계되어 국설 교환수단으로서 실용에 적용된 상태이다.
그러한 전전자 교환기에 따르면, 가입자 단말은 가입자선을 매개하여 예컨대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여 통화로망에 접속되고, 다른 교환국과의 연결은 트렁크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전자 교환기에는 가입자선과 트렁크에서 발생되는 모든 사건을 감지하여 제어유니트에 통지하는 장치(Scanner)도 포함되는 바, 예컨대 송수화기의 ON-OFF 훅, 다이얼링하는 전화번호, 타국으로부터의 착신신호, 중계선의 상태[(공선(空線) 또는 화중(話中)]등을 검출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전전자 교환기에는 회선으로 전송되어야 할 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는 신호장치(signalling equipment)도 포함되는 바, 그 신호장치는 예컨대 제어유니트의 제어하에 발신음, 화중음, 호출음, 호출신호전류, 타국의 교환기에 전송되는 신호 등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그러한 전전자교환기에 따르면, 예컨대 자국의 가입자에서 발생되는 호설정 요구의 전송대상인 상대방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타국교환기의 형식이 자국의 교환기 형식과 상이한 경우에는 타국교환기의 가입자단말과의 직접적인 호설정처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점을 감안하여 예컨대 상이한 교환방식을 채용한 타국의 교환기에 대한 호접속을 실현하거나 또는 자국의 가입자 단말에 대한 별도의 과금처리 등이 필요한 경우를 상정하여 자국의 전전자 교환기에는 소위 '안내대(OPS;Operator Position System)'의 접속이 고려되는 바, 그 안내대는 자국교환기의 가입자 단말에서 발생되는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상이한 교환방식의 타국교환기에 접속된 상대방 가입자에 대한 호접속을 실행하는 작용을 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안내대는 자국 가입자에 대해서만 국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바, 타국 가입자에 대해서도 해당 안내대로부터 제공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과금문제 즉, 타국에서 자국의 안내대 또는 일반 안내대를 호출하여 자국 가입자에게로 호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의 과금적용은 발신가입자에게 부담시키면 되었지만 타국 가입자로부터 도래된 호를 다른 타국 가입자에게로 호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의 과금적용은 과금요율 적용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과금산출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해결해야만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 안내대가 접속된 자국교환기가 타국 교환기간의 중계호에 대한 호연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통화요금을 과금요율 적용기준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도록 된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에 따르면, 발신국 교환기와 착신국 교환기의 사이에 위치하여 타국간의 중계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자국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발신국 교환기로부터 호에 대한 중계선 신호 제어 및 호 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착신중계호처리부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로부터 도래된 호가 타국의 착신가입자에게 전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호가 해지되면 그 호에 대한 과금정보가 하기 과금제어부와 하기 안내대제어부로 통보되도록 하는 발신중계호처리부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의 제어하에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산정하도록 호연결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에 의해 과금정보가 저장되는 과금정보저장부와 해당 호해지시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로 통보하는 과금산정부 및,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의 제어하에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로 구성된 과금정보산정수단과,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로부터 통보된 과금정보가 과금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과금제어부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를 연결시킴과 더불어 하기 안내대에 대한 호처리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로부터 통보된 과금정보가 안내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안내대제어부 및, 상기 안내대제어부의 제어하에 중계호에 대한 호전환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호가 종료되면 모니터상으로 과금정보를 출력하는 안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과금정보산정수단은 호연결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에 의해 과금정보가 저장되는 과금정보저장부와, 해당 호해지시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로 통보하는 과금산정부 및,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의 제어하에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과금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과금정보는 통화개시시간/과금요율 적용기준/발신번호/착신번호/안내대번호 등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과금저장부는 마그네틱테이프(MT)나 디스켓유니트(DKU)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과금저장부에 저장되는 과금정보는 통화개시시간/통화종료시간/통화시간/과금요율 적용기준/발신번호/착신번호/안내대번호/통화요금 등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발신국 교환기와 착신국 교환기의 사이에 위치하여 타국간의 중계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자국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가 타국의 발신가입자와 연결되어 상기 발신가입자로부터 타국의 착신가입자에 대한 접속을 요구받는 제 1 단계와, 상기 요구에 의해 상기 안내대제어부가 착신중계호처리부와 발신중계호처리부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안내대제어부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안내대제어부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가 과금지정포인트인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과금지정포인트이면 과금정보저장부에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 착신가입자가 응답하면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5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에서 해당 호의 해지상태가 감지되면 과금산정부에서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제 6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가 상기 통화요금에 따른 과금정보를 과금제어부와 안내대제어부로 통보하는 제 7 단계, 상기 과금제어부가 상기 과금정보를 과금저장부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안내대제어부는 상기 과금정보가 안내대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제 6 단계는 해당 호에 대한 발신가입자가 호를 해지하면 발신국 교환기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로 발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가 상기 발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로 통보하는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가 과금정보저장부에서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독출하여 과금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산정부가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제 6 단계는 착신국 교환기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로 착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가 과금정보저장부에서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독출하여 과금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산정부가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정보는 상대방 중계호처리부에 대한 중계호처리를 위한 프로세서/채널/과금요율 적용기준/해제조건 등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장치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자국교환기(2)에 접속된 안내대(9)가 타국간의 중계호에 대한 호연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호가 해지되면 해당 호에 대한 요금이 별도로 갖추어진 과금저장수단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대(9)의 모니터상으로 출력되어짐으로써 운용자가 용이하게 과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뿐 아니라,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해당 호가 연결된 지역에 해당하는 과금요율 기준이 정확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해당 호에 대한 통화요금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발신국 교환기, 2:자국교환기,
3:착신국 교환기, 4:착신중계호처리부,
5:발신중계호처리부, 6:과금정보저장부,
7:과금산정부, 8:안내대제어부,
9:안내대, 10:과금제어부,
11:과금저장부, 12:발신가입자,
13:착신가입자, 14:카운터.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타국의 발신가입자(12)가 접속되어 해당 발신가입자(12)에 대한 발신호나 착신호에 대한 전화교환기능을 수행하는 발신국 교환기이고, 3은 타국의 착신가입자(12)가 접속되어 해당 착신가입자(13)에 대한 발신호나 착신호에 대한 전화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착신국 교환기이다.
또한, 참조번호 2는 상기 발신국 교환기(1)와 상기 착신국 교환기(3)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발신국 교환기(1)와 상기 착신국 교환기(3)간의 중계호를 처리하는 자국교환기로서, 상기 자국교환기(2)에는 상기 발신국 교환기(1)의 발신가입자(12)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국 교환기(3)의 착신가입자(13)를 호출하여 상기 발신가입자(12)와 상기 착신가입자(13)간의 호를 연결시킴으로써 중계호에 따른 호전환기능을 수행하는 안내대(9)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자국교환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국 교환기(1)와 상기 착신국 교환기(3)간의 중계호를 처리함과 더불어 그 중계호 처리시 통화요금을 산정하기 위하여 착신중계호처리부(4), 발신중계호처리부(5), 과금정보저장부(6), 과금산정부(7), 안내대제어부(8),과금제어부(10), 과금저장부(11), 카운터(14) 등을 갖추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는 상기 발신국 교환기(1)로부터 상기 자국교환기(2)로 착신되는 호에 대하여 중계선 신호제어 및 호처리를 담당하는 블럭이고,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로부터 인가되는 호신호를 상기 착신국 교환기(3)로 전달하기 위하여 중계선 신호제어 및 호처리를 담당함과 더불어 해당 호에 대한 과금산정을 위한 일련의 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가 상기 과금저장부(11)와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 인가되도록 하는 블럭이다.
그리고, 과금정보저장부(6)는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의 제어하에 상기 발신가입자(12)와 상기 착신가입자(13)간의 호연결시 과금에 따른 정보[즉, 통화개시시간/과금요율 적용기준/발신번호/착신번호/안내대번호 등]을 저장하는 블럭이고, 과금산정부(7)는 중계호 처리된 호의 해지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의 제어하에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로부터 독출된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며, 카운터(14)는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의 제어하에 착신가입자(13)가 호출에 응답하는 시점부터 통화시간에 대한 카운팅동작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또한, 상기 과금제어부(10)는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부터 통보되는 통화요금과 기타 통화정보에 대한 과금정보를 후단에 접속된 과금저장부(11)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고, 상기 과금저장부(11)는 예컨대, 마그네틱테이프(MT)나 디스켓유니트(DKU)로 구성되어 상기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며, 상기 안내대제어부(8)는 ISDN(2B+D)에 접속된 안내대(9)의 ISDN 프로토콜과 호처리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발신가입자(12)로부터 중계호에 대한 호전환이 요구되어지면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연결되어 상기 중계호에 대한 호전환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이어, 첨부되어진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발신국 교환기(1)의 발신가입자(12)가 자국교환기(2)에 접속된 안내대(9)를 호출하여 통화를 실시하면서(단계 20), 상기 발신가입자(12)가 상기 안내대(9)에게 착신국 교환기(2)의 착신가입자(13)로의 호연결을 요구하면(단계 21), 상기 안내대(9)는 상기 발신가입자(12)의 요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 후크-프래쉬(HOOK-FLASH)메시지를 보고하며(단계 22), 그 후크-프래쉬메시지를 보고받은 상기 안내대제어부(8)는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로 해당 후크-프래쉬메시지를 보고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착신가입자의 번호를 전달하여 착신가입자가 호출되도록 한다(단계 24).
이어,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후크-프레쉬메시지를 보고받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는 상기 발신국 교환기(1)측으로 대기톤을 송출하여 상기 발신가입자(12)에게 해당 대기톤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단계 26),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단계 24에서 전달받은 착신가입자번호를 번역하여 번호번역된 가입자번호를 중계호처리에 적당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착신국 교환기(3)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착신국 교환기(3)에 의해 상기 착신가입자(13)가 호출되도록 한다(단계 28).
여기서, 상기 착신국 교환기(3)는 상기 착신가입자(13)가 호출요구된 상태를 보고하기 위하여 상기 자국교환기(2)측으로 링백톤을 송출하는데(단계 30), 이때 상기 착신국 교환기(3)로부터 송출되어진 링백톤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를 거쳐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 전달되어지며, 그 링백톤을 전달받은 상기 안내대제어부(8)는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간의 스위치를 연결한 후에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로 호전환서비스연결요구신호를 보고함과 더불어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도 호전환서비스연결신호를 보고한다(단계 36).
이어,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호전환서비스연결신호를 보고받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는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통보되어진 메시지 중에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의 프로세서와 채널정보, 과금조건 및 호해제조건을 저장하고(단계 36), 상기 발신가입자(12)에게 송출되던 대기톤을 절단시킨 다음 링백톤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발신가입자(12)에게는 링백톤음이 출력되어진다(단계 38).
또한,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호전환서비스연결신호를 보고받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통보받은 메시지 중에서 착신중계호처리부(4)의 프로세서와 채널정보를 저장한 다음(단계 40),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제공되는 과금지정포인트의 유/무(有/無)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과금지정포인트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42).
그 판단결과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과금지정포인트로 설정되어 있으면(단계 42에서 YES)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호절단이후 과금전달을 수행해야하는 상태를 저장한 후에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중에서 PPM코드, 발신가입자의 번호, 착신가입자의 번호, 안내대번호, 과금보고대상이 되는 안내대번호 등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에 저장시킨다(단계 44).
이 후에, 상기 착신가입자(13)가 응답하면(단계 46)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착신 중계호처리부(4)가 과금지정포인트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데(단계 47) 그 판단결과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가 과금지정포인트로 설정되어 있으면(단계 47에서 YES)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카운터(14)를 세트(SET)하여 통화시간을 카운팅(COUNTING)하는 반면(단계 48)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가 과금지정포인트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47에서 NO) 후술되어질 단계 50으로 진행한다.
이에, 상기 착신가입자응답메시지를 전달받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는 상기 단계 38에서 상기 발신가입자(12)에게 송출중인 링백톤을 절단하고 통화경로를 연결시킨 후에(단계 50) 상기 발신국 교환기(1)로 응답신호를 전달한다(단계 52).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정되어진 통화경로를 통해서 상기 발신가입자(12)와 상기 착신가입자(13)간의 통화가 수행되는데, 이때 상기 자국교환기(2)는 단지 통화경로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단계 54).
한편, 상기 단계 54에서 발신가입자(12)와 상기 착신가입자(13)간의 통화도중에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발신가입자(12)에 의해 호가 절단되는가를 판단하는데(단계 56), 상기 발신가입자(12)의 송수화기가 후크-온되어 상기 발신국 교환기(1)로부터 발신가입자호해지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는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발신가입자호절단메시지를 보고하는 바, 해당 발신가입자호절단메시지를 보고받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단계 56에서의 판단결과(YES)에 따라 단계 57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57에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과금지정포인트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상기 과금지정포인트가 설정된 상태이면(단계 57에서 YES) 단계 58로 진행하여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에 저장된 과금정보와 상기 카운터(14)에서의 카운트치를 상기 과금산정부(7)로 전달하며, 상기 과금산정부(7)는 해당 과금정보와 카운트치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한 다음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보고하는데,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로부터 독출된 과금정보와 상기 과금산정부(7)로부터 보고된 통화요금을 따른 과금정보를 상기 안내대제어부(8)와 상기 과금제어부(10)로 보고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착신국 교환기로 발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착신가입자(13)에게 발신가입자가 호를 해지한 상태를 보고한 다음(단계 60) 상기 단계 50에서 연결되었던 통화경로를 해지시켜 해당 호를 절단한다(단계 62).
이와 반대로, 상기 단계 56에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서 발신가입자에 의한 호절단상태가 판단되지 않으면(단계 56에서 NO)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착신가입자에 의해 호가 절단되는가를 판단하는데(단계 64), 상기 착신가입자(13)의 송수화기가 후크-온되어 상기 착신국 교환기(3)로부터 착신가입자호해지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로 착신가입자호절단메시지를 보고한 다음 상기 단계 64에서의 판단결과(YES)에 따라 단계 65로 진행하는 반면,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서 착신가입자에 대한 호절단상태가 판단되지 않으면(단계 64에서 NO) 상기 단계 54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65에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과금지정포인트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상기 과금지정포인트가 설정되었으면(단계 65에서 YES) 단계 66으로 진행하여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에 저장된 과금정보와 상기 카운터(14)에서의 카운트치를 상기 과금산정부(7)로 전달하며, 상기 과금산정부(7)는 해당 과금정보와 카운트치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한 다음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보고하는데,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는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로부터 독출된 과금정보와 상기 과금산정부(7)로부터 보고된 통화요금에 따른 과금정보를 상기 안내대제어부(8)와 상기 과금제어부(10)로 보고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반면, 상기 과금지정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65에서 NO) 단계 68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는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부터 보고된 착신가입자호절단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국 교환기(1)로 착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발신가입자(12)에게 상기 착신가입자(13)가 호를 해지한 상태를 보고한 다음(단계 68) 상기 단계 50에서 연결되었던 통화경로를 해지시켜 해당 호를 절단한다(단계 70).
이어,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10)로부터 과금정보를 보고받은 상기 과금제어부(10)는 해당 과금정보를 상기 과금저장부(11)에 저장하고(단계 72),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10)로부터 과금정보를 보고받은 상기 안내대제어부(8)는 해당 과금정보가 안내대(9)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여 신호처리된 과금정보를 상기 안내대(9)로 인가함에 따라 상기 안내대(9)의 모니터를 통해서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가 출력되어 운용자가 해당 과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타국 발신가입자가 자국교환기에 접속된 안내대를 통해 타국 착신가입자와의 호연결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안내대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 과금지정포인트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해당 호에 대한 과금요율 적용기준에 기초하여 과금산정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다음 그 산정된 과금정보가 MT나 DKU에 저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내대(9)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MT나 DKU에 기록된 과금정보를 기초하여 발신국 교환기(1)가 중계호처리에 따른 요금을 정확하게 청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안내대(9)를 운용하는 운용자가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에 대한 신속한 확인이 가능해짐에 따라 발신가입자로부터 통화요금문의가 도래하는 경우 해당 호에 대한 통화요금을 정확하게 통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타국 발신가입자와 타국 착신가입자간의 중계호를 처리하는 자국교환기가 그 중계호 처리에 따른 과금정보를 과금저장부(11)에 저장함과 동시에 안내대(9)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정확하게 과금을 책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안내대가 통화요금안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발신국 교환기(1)와 착신국 교환기(3)사이에 위치하여 타국간의 중계호처리기능를 수행하는 자국교환기(2)에 있어서,
    상기 발신국 교환기(1)로부터 호에 대한 중계선 신호 제어 및 호 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착신중계호처리부(4)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로부터 도래된 호가 타국의 착신가입자(13)에게 전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호가 해지되면 그 호에 대한 과금정보가 하기 과금제어부(10)와 하기 안내대제어부(8)로 통보되도록 하는 발신중계호처리부(5)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의 제어하에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산정하도록 호연결시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 의해 과금정보가 저장되는 과금정보저장부(6)와, 해당 호해지시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통보하는 과금산정부(7) 및,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의 제어하에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14)로 구성된 과금정보산정수단(6,7,14)과,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부터 통보된 과금정보가 과금저장부(11)에 저장되도록 하는 과금제어부(10)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를 연결시킴과 더불어 하기 안내대(9)에 대한 호처리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부터 통보된 과금정보가 안내대(9)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안내대제어부(8) 및,
    상기 안내대제어부(8)의 제어하에 중계호에 대한 호전환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호가 종료되면 모니터상으로 과금정보를 출력하는 안내대(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보저장부(6)에 저장되는 과금정보는 통화개시시간/과금요율 적용기준/발신번호/착신번호/안내대번호 등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저장부(11)는 마그네틱테이프(MT)나 디스켓유니트(DKU)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저장부(11)에 저장되는 과금정보는 통화개시시간/통화종료시간/통화시간/과금요율 적용기준/발신번호/착신번호/안내대번호/통화요금 등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5. 발신국 교환기(1)와 착신국 교환기(3)사이에 위치하여 타국간의 중계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자국교환기(2)에 있어서,
    안내대(9)가 타국의 발신가입자(12)와 연결되어 상기 발신가입자(12)로부터 타국의 착신가입자(13)에 대한 접속을 요구받는 제 1 단계와,
    상기 요구에 의해 상기 안내대제어부(8)가 착신중계호처리부(4)와 발신중계호처리부(5)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안내대제어부(8)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과금지정포인트인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과금지정포인트이면 과금정보저장부(6)에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
    착신가입자(13)가 응답하면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5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에서 해당 호의 해지상태가 감지되면 과금산정부(7)에서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제 6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상기 통화요금에 따른 과금정보를 과금제어부(10)와 안내대제어부(8)로 통보하는 제 7 단계,
    상기 과금제어부(10)가 상기 과금정보를 과금저장부(11)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안내대제어부(8)는 상기 과금정보가 안내대(9)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해당 호에 대한 발신가입자가 호를 해지하면 발신국 교환기(1)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로 발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중계호처리부(4)가 상기 발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통보하는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과금정보저장부(6)에서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독출하여 과금산정부(7)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산정부(7)가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착신국 교환기(3)가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로 착신가입자호해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중계호처리부(5)가 과금정보저장부(6)에서 해당 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독출하여 과금산정부(7)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산정부(7)가 상기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정보는 상대방 중계호처리부에 대한 중계호처리를 위한 프로세서/채널/과금요율 적용기준/해제조건 등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방법.
KR1019960053483A 1996-11-12 1996-11-12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KR10023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483A KR100239825B1 (ko) 1996-11-12 1996-11-12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483A KR100239825B1 (ko) 1996-11-12 1996-11-12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05A KR19980035205A (ko) 1998-08-05
KR100239825B1 true KR100239825B1 (ko) 2000-01-15

Family

ID=1948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483A KR100239825B1 (ko) 1996-11-12 1996-11-12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8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160A (ko) * 1988-08-31 1990-03-27 강진구 교환기에 있어서 사설 교환기 자체내의 과금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160A (ko) * 1988-08-31 1990-03-27 강진구 교환기에 있어서 사설 교환기 자체내의 과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05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582B1 (ko) 수신자 요금 부담 통화 처리용 방법 및 장치
US5613006A (en) Automated directory assistance call completion and calling number delivery system
EP1106010B1 (en) Charging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NO325024B1 (no) Kommunikasjonssystem
KR100239825B1 (ko) 안내대의 중계호 호전환시 과금정보처리장치 및그 방법
KR100215967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중계호처리방법
KR100215966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100215969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JP3222225B2 (ja) 着信課金方法
KR100250667B1 (ko) 센트릭스 기능을 이용한 링픽업 방법
JP2785000B2 (ja) 着信者情報の収集通知方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JP3397719B2 (ja) 電気通信網による呼の保留・接続方法
JP2667823B2 (ja) 電気通信事業者間接続方式
KR19980061510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의 메세지를 자동전송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JPH03270362A (ja) 発呼者番号表示方式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0021411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레지스터 콜 서비스 방법
JP3528788B2 (ja) 移動体電話システムの緊急呼接続方法
KR20010011743A (ko) 지능망 교환기에서의 통화내역 안내 서비스 방법
EP1073304A1 (en) Calling party notification service and service centre
JPH1155402A (ja) 自動聴話システム
JPS6331254A (ja) 着信接続方式
JPH06268775A (ja) 分割課金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