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795B1 - 액체중의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중의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795B1
KR100239795B1 KR1019970002612A KR19970002612A KR100239795B1 KR 100239795 B1 KR100239795 B1 KR 100239795B1 KR 1019970002612 A KR1019970002612 A KR 1019970002612A KR 19970002612 A KR19970002612 A KR 19970002612A KR 100239795 B1 KR100239795 B1 KR 10023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concentration
measuring
microwaves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734A (ko
Inventor
렌조우 히라이
시게끼 야마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5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01N22/04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Pape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물질을 함유한 측정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킴으로써 마이크로파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물질에 기인하는 감도계수 및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마이크로파의 특성 및 상기 기억부로부터의 파라미터세트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물질의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구비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액체중의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펄프액과 같은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펄프와 같은 현탁물질(suspended matter) 및/또는 첨가제(additive)가 용해된 용해물질(dissolving matter)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파를 수중에 입사(入射)한 경우에는 마이크로파를 진공중(공기중)에 입사한 경우에 비교하여, 마이크로파의 위상에 위상 지연(phase lag(θ1))이 생긴다. 이 위상 지연은 마이크로파를 오니(sludge)나 펄프액과 같은 현탁액(suspension)에 입사시킬 경우에는 더욱 위상 지연(θ2)이 생긴다.
이 현상을 수학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수학식 1]
농도 X = C·a·△θ
= C·ak·(θ21)
여기서 C : 보정계수
ak: 감도계수
θ1: 마이크로파를 기준액체(제로 수(水))에 입사한 경우의 위상 지연
θ2: 마이크로파를 현탁액에 입사한 경우의 위상 지연
그리고 이 위상 지연의 차(위상차 : θ2- θ1)는 현탁물질의 농도와 용해물질의 농도의 합계에 비례한다.
근년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거한 농도계가 일본국 특개평 4-238246호 공보, 특개평 5-322801호 공보에 개시되었고, 또한 개발되고 있다. 이들 문헌에 개시되거나 개발되어 있는 농도계는 현탁물질의 부착이나 액체중 기포의 영향을 별로 받지아니하는 등의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제지공장에서 사용되는 펄프의 현탁액에는 제조하는 제품(종이)마다 복수의 첨가제가 일정한 배합비율로 가해져 있다. 상술한 원리에 따른 농도계로 펄프 농도(현탁물질로서의 펄프의 농도)나 첨가제 농도(용해물질로서의 첨가제농도)를 측정할 경우를 생각하면 우선 이들 첨가제(첨가제 A, B)를 단체(單
Figure kpo00002
)로 측정할 때에는 수학식 1 및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와 농도계 지시와는 비례관계를 갖는다. 도1은 마이크로파 농도계에 의해 펄프 농도 및 첨가제 농도의 각각을 개별로 측정했을 때의 측정결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펄프와 첨가제 A, B는 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수학식 1의 감도계수 a는 첨가제에 따라 달라져 있다. 그리고 이들 물질이 혼합된 경우에는 그 혼합후의 감도계수가 반드시 정확하게 예측된다고 할 수 없고, 그 배합비율에 따라서는 농도 측정치에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 상기 원리에 의거한 농도계의 경우에는 기준액인 제로(Zero)수(水), 예를들어 농도 제로로 간주할 수 있는 수도물에 의해 기준 위상 지연(θ1)을 우선 구해 둘 필요가 있다. 이것을 제로조정 또는 제로점 조정작업이라 한다.
이와 같은 제로(Zero) 조정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농도계를 설치하는 배관계(配管系)를, 도2a,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일정한 제로 조정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즉 도2a, 도2b에서 제로 조정작업을 하는데는 우성 바이패스배관(51)측의 스톱밸브(52)를 열고 펄프 현탁액을 바이패스측으로 흐르도록 한후에, 본배관(55)측의 스톱밸브(54, 55)를 닫는다. 그러한 뒤에 스톱밸브(54, 55)간에 공급구(57)를 거쳐서 제로수를 충만하고, 농도계(56)의 제로 조정작업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농도계에서는 펄프 현탁액중에 첨가된 첨가제의 배합비율에 따라 농도 측정치에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제로점 조정작업을 위해 바이패스배관이나, 농도계내에 제로수를 충만하기 위한 스톱밸브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중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간단하게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상세히는 현탁액중 현탁물질 및/또는 용해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마이크로파 농도계에 의해 펄프 농도와 첨가제 농도를 측정한 때의 측정결과예를 나타낸 도면.
도2a, 도2b는 종래의 농도계를 설치한 배관을 나타내며, 도2a는 평면도, 도2b는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농도계의 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도3의 검출기 본체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5는 동 실시예에 사용된 각 첨가제의 감도 및 배합비율의 데이터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동 실시예의 농도측정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즉 측정물질을 포함한 측정 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킴으로써 생기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과, 상기 측정물질에 기인하는 감도계수 및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측정스텝으로부터 얻어지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 및 상기 기억스텝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물질의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 스텝을 구비하는 방법.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즉 측정물질을 포함한 측정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킴으로써 생기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물질에 기인하는 감도계수 및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 및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물질의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
본 발명에서는 측정물질을 포함한 측정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키고, 그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유체중 물질의 농도가 구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측정유체중에 유일한 특정물질이 존재할 경우에는 전파된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이 그 특정물질의 농도와 그 감도계수를 개재하여 일정한 관계를 가지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것이다.
또 기억수단에 마이크로파의 특성에 대한 감도계수가 다른 복수의 물질로 된 첨가물을 측정유체중에 혼입되어 있을때 첨가물에서 각 물질마다의 감도계수와 그 배합비율이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연산수단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 및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의 정보에 의거해서 적어도 피측정물질의 농도가 연산된다. 따라서 피측정유체에 첨가물이 혼입될 경우에도 이와 같이 미리 각 물질마다의 감도계수와 그 배합비율을 알고 있으며, 혼합물의 감도계수에 상당한 것이 얻어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측정물질의 농도를 연산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중 용해물질 및/또는 현탁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인 농도계는, 예를 들어 배관내를 흐르는 펄프액중 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바람직한 일례의 농도계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기 본체(2)와 연산표시부(3)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표시부(3)는 필요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38)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된다. 이 호스트 컴퓨터(38)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하여 필요한 지령을 주고, 또 본 발명의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농도계에서 검출기 본체(2)와 연산표시부(3)는 데이터 수수(授受)가 가능하도록 적당한 연결수단으로 접속된다.
검출기 본체(2)는 배관(1)에 고정되는데 대해 연산표시부(3)는 검출기 본체(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형식, 검출기 본체(2)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되는 형식중 어느 형식을 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농도계는 하나의 연산표시부(3)와 복수의 검출기 본체(2)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연산표시부(3)는 하나의 연산표시부(3)에 의해 각 검출기 본체(2)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 때문에 연산표시부(3)는 멀티 CPU에 의한 연산처리, 시간분할로 각 검출기 본체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 당업자가 바람직하게 채용하는 연산처리방식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기 본체(2)는 마이크로파 발진기(2A), 전력분할기(2B), 송신 안테나(2C), 수신 안테나(2D)를 구비하며, 배관(1)을 유통(流通, 흘러 통)하는 펄프현탁액에 마이크로파를 입사하고, 입사한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θ1, θ2)을 출력한다. 이 위상 지연을 이용하여 농도를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표시부(3)로 산출할 수가 있다.
연산표시부(3)는 검출기 본체(2)로 측정된 측정결과(위상 지연 θ1, θ2)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31)와, 데이터입력용 키보드(32)와, CPU(33)와, 메모리(34)와, 표시기(35)로 구성되어 있다. CPU(33)는 메모리(34)내의 연산프로그램(36)에 따라 동작하고, 검출기 본체(2)로부터 위상 지연 측정결과 및 파라미터세트 보존부(37)내의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사용하여 배관(1)내를 유통하는 펄프 농도, 각 첨가제 농도와 같은 농도를 연산하여 표시기(35)에 표시한다. 메모리(34)는 연산프로그램(36)과 파라미터세트 보존부(37)를 갖는다. 파라미터세트 보존부(37)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보존하고 있다. 이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의 1세트가 1제품 또는 제품의 1공정에 사용되는 첨가제 배합액체, 즉 첨가물에서 각 첨가제 배합비율 및 단체의 감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제지공장의 펄프현탁액에는 1제품 또는 제품의 1공정에 대응하여 복수의 첨가제가 일정한 배합비율로 배합된 액체가 적어도 결과로서 혼합되는 것을 이용하고, 이와 같은 보정용 파라미터 세트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이 첨가제를 배합한 액체에서 배합한 첨가제의 종류 및 배합비율은 제품 또는 제품의 공정에 따라 다르므로, 그 배관(1)에 유통시키는 펄프 현탁액의 종류수만큼 대응하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가 준비되어 있다. 연산프로그램(36)은 CPU(33)로 배관(1)에 유통하는 펄프현탁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CPU(33)가 농도 연산에 사용하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로 전환한다. 키보드(32)는 각종 입력 외에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의 정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기(35)는 펄프현탁액에서 연산된 각종 농도를 표시한다.
또한 어떤 펄프현탁액에서 각 첨가제마다의 농도계 감도, 첨가제의 비율은 미리 사전의 측정등으로 알고 있고,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이것은 피측정 유체에 혼합될 복수 물질로 된 첨가물의 일례를 의미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농도계에서 농도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각 첨가제의 단체 감도 및 배합비율의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5에서 a는 첨가제 A의 단체 감도로서 수학식 1내의 a와는 다른 것이다.
우선 펄프의 질량 Wp, 물의 질양을 Ww라 하면, 구하는 펄프 농도 x는
[수학식 2]
x = Wp/(Wp + Ww)
가 된다. 이 수학식 2는 단순히 농도의 정의로부터 도출한 식이다.
다음에 이것에 첨가제 A가 비율 A로 가해지면, 외관상의 농도 지시치는
[수학식 3]
xa= a·A·x
가 된다. 다른 첨가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각각
[수학식 4]
xb= b·B·x
[수학식 5]
xc= c·C·x
[수학식 6]
xd= d·D·x
[수학식 7]
xe= e·E·x
가 된다. 따라서 펄프 및 모든 첨가제를 가했을 때의 농도계의 외관상 농도 지시치 M은 수학식 27을 모두 가한 것이 되며
[수학식 8]
M = x + xa+xb+xc+xd+xe
= x(1+a·A+b·B+c·C+d·D+e·E)
로 될 것이다. 그러므로 펄프 농도 s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9]
x = M/(1+a·A+b·B+c·C+d·D+e·E)
한편 전 고형성분(全 固形成分) 즉 농도 첨가제도 포함한 전체의 농도(현탁물질 및 용해물질의 농도) X는 도1에 나타낸 각 첨가제의 배합비율 및 수학식 9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10]
X = x + A·x + B·x + C·x + D·x + E·x
= x(1 + A + B + C + D + E)
= {M(1 + A + B + C + D + E)}
/ (1+a·A+b·B+c·C+d·D+e·E)
= k·M
[수학식 11]
k = (1 + A + B + C + D + E)
/(1+a·A+b·B+c·C+d·D+e·E)
이다.
한편 수학식 1로부터 농도계의 외관상 농도 지시치는 m = C·ak·△θ이므로, 이것을 수학식 10에 대입하면
[수학식 12]
X = k·C·ak·△θ = k·C·ak21)
가 된다. 또한 여기서 ak는 첨가제 A의 단체 감도가 아니고, 수학식 1내의 일반적인 감도계수 ak를 가르키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기준이 되는 위상각 θ1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된다.
[수학식 13]
θ1= θ2- X/ (k·C·ak)
따라서 가동하고 있는 공정중에 농도계를 동작시키고 현탁액에 마이크로파를 입사했을 때의 위상각도 θ2를 측정함과 동시에 농도계 동작 대상인 같은 그 펄프현탁액을 공장으로부터 꺼내어 수동 분석에 의해 전 고형성분 농도 X를 측정한다.
여기서 전 고형성분 농도 X를 측정하는 수동 분석 방법으로는 채취된 샘플을 건조시켜서 고체로 하고, 그 질량차를 구함으로써 전 고형성분 농도 X를 구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보정계수 C 및 감도계수 ak는 측정대상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값이 입력되게 된다. 실제적인 예로는 감도계수 ak는 배관의 구경으로 정해지는 값이 입력되고 있고, 보정계수 C는 특별히 보정의 필요가 없을 때는 1이 입력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수학식 13의 우변의 값이 모두 정해져서, 기준으로 되는 θ1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제로조정을 하기 위해 제로수를 충만할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또 이와 같이 농도계의 외관상 농도 지시치 M을 사용함으로써, 수학식 9로부터 펄프 농도 x를 산출할 수가 있다.
또한 수학식 9를 xa에 대한 수학식 3에 대입함으로써, 첨가제 A의 농도 xa가 다음 수학식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14]
xa = (a·A·M)/(1+a·A+b·B+C·c+d·D+e·E)
즉 첨가제 단체의 농도도 산출할 수가 있다. 첨가제 A∼E의 농도 xb∼x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농도계의 동작에 대해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로조정이 끝난 농도계에 의한 농도측정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스텝 100에서 공장 전체를 감시 제어하는 호스트 계산기로부터의 통신 인터페이스(31)를 거치는 통신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제품의 제조 예정의 메모리(34)내 보존정보, 또는 키보드(32)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라 배관(1)을 유통하는 펄프현탁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사용할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전환한다.
다음에 스텝 101에서 배관(1)을 유통하는 펄프현탁액에 대해 마이크로파를 입사하고, 그 위상 지연 θ2를 얻는다.
스텝 102에서 CPU(33)는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농도계의 외관상 농도 지시치 M을 구하고, 또 농도계의 외관상의 농도 지시치 M 및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의 내용을 수학식 9에 대입하여 펄프 농도 x를 산출한다.
또한 스텝 103, 104에서 각 첨가제의 농도 xa 등을 연산하도록 지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학식 14로부터 각 첨가제의 농도 xa 등을 산출한다. 그리고 또한 전 고형성분 농도 X를 연산하도록 지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학식 10으로부터 전 고형성분 농도 X을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105에서 이들 산출된 펄프 농도 x 및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첨가제의 농도 xa등, 전 고형성분 농도 X를 표시기(35)로 표시한다.
다음에 제로 조정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배관(1)을 유통하고, 어떤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에 대응하는 펄프현탁액에 대하여 마이크로파를 입사하고 그 위상 지연 θ2를 얻는다.
한편 그 위상 지연 θ2가 측정된 펄프현탁액 그 자체를 채취하고 건조법에의해 그 전 고형성분 농도 X의 값을 얻는다.
그리고 위상 지연 θ2, 전 고형성분 농도 X 및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의 값을 수학식 13에 대입하여 기준이 되는 위상각도 θ1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농도계 및 농도측정방법에 의하면,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미리 준비하고, 검출기 본체(2)에 의한 측정결과와 파라미터세트를 사용하여 수학식 9, 14 또는 10등으로부터 펄프 농도 x, 첨가제의 농도 xa등 또는 전 고형성분 농도 X를 산출하도록 하였으므로, 펄프현탁액중 첨가된 첨가제가 혼합될 경우라도 그 혼합의 영향을 고려하여 펄프현탁액중 펄프의 농도 또는 전 고형성분 농도(펄프 농도와 첨가제 농도의 합계) 등을 정확히 측정할 수가 있다.
또 수동분석에 의해 가동하고 있는 공정중 펄프현탁액의 펄프 농도를 측정하고, 또 동 펄프현탁액의 전 고형성분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기준이 되는 위상각도 θ1을 구할 수가 있고 제로수를 사용한 제로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로 조정작업을 위한 바이패스배관이나, 농도계에 제로수를 충만하기 위한 스톱밸브 등의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미리 설정하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는 제품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첨가제마다 감도, 배합비율을 1세트로 하여 설정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복수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마다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므로, 용이하게 제품마다의 정보를 전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파라미터세트의 선택방법은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에 의할 수도 있고, 또는 외부로부터의 통신신호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펄프현탁액중에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도, 펄프현탁액중 펄프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농도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펄프현탁액중에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첨가제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농도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로점 조정작업을 위한 바이패스배관이 불필요하고, 제로수를 충만하는 작업이 필요없는 농도계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정정) 측정물질을 포함한 측정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킴으로써 생기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과, 상기 측정물질에 기인하는 감도계수 및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측정스텝으로부터 얻어지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과 상기 기억스텝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물질의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 스텝을 구비하는 농도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스텝은 측정유체중의 현탁물질 및/또는 용해물질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농도측정방법.
  3. (정정) 측정물질을 포함한 측정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킴으로써 생기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물질에 기인하는 감도계수 및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 및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물질의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현탁물질 및/또는 용해물질에 각각 대응하는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5.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복수 종류의 측정물질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첨가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연산에 사용해야할 상기 보정용 파라미터세트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하나의 측정물질에 대한 상기 보정용 파라미터세트와, 상기 하나의 측정물질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파의 위상지연과, 상기 하나의 측정물질의 농도에 의거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의 기준점을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7.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의 측정결과는 상기 피측정 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켰을 때의 위상 지연이고, 상기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의 기준점은 실질적으로 측정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측정유체중에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킨 때의 위상 지연이고, 상기 마이크로파의 위상 지연은 상기 제1 위상 지연과 상기 제2 위상 지연과의 차인 농도측정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10.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동작을 시간 단락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는 농도측정장치.
KR1019970002612A 1996-01-31 1997-01-29 액체중의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239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30 1996-01-31
JP01603096A JP3160520B2 (ja) 1996-01-31 1996-01-31 濃度計
JP96-016030 1996-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34A KR970059734A (ko) 1997-08-12
KR100239795B1 true KR100239795B1 (ko) 2000-01-15

Family

ID=119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612A KR100239795B1 (ko) 1996-01-31 1997-01-29 액체중의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64240A (ko)
JP (1) JP3160520B2 (ko)
KR (1) KR100239795B1 (ko)
CA (1) CA21963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073B2 (ja) * 1997-09-11 2003-06-03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マイクロ波式濃度測定装置
JPH11183404A (ja) * 1997-12-22 1999-07-09 Toshiba Corp 濃度計
AU5039399A (en) * 1998-07-03 2000-01-24 Neles Field Controls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measuring fluid
FI104447B (fi) * 1998-07-10 2000-01-31 Valmet Automation Inc Menetelmä ja mittalaite nestemäisen aineen kaasupitoisuuden mittaamiseksi
US6257049B1 (en) * 1999-08-31 2001-07-10 Lucent Technologies, Inc. Ambient humidity measurement using microwaves
US6854322B2 (en) * 2002-06-10 2005-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rectional coupler sensor
US20040194541A1 (en) * 2002-06-10 2004-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Q LC circuit moisture sensor
MXPA06012441A (es) * 2004-04-26 2007-01-17 Procter & Gamble Metodos para evaluar las caracteristicas de sustratos fibrosos y para tratar esos sustratos fibrosos.
FI20055694A (fi) * 2005-12-22 2007-06-23 Metso Automation Oy Suspension mittaus
US7928739B2 (en) * 2006-06-30 2011-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for measuring moisture in substrate and health of hair
US9970804B2 (en) 2014-08-19 2018-05-15 Emirates Innovations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contaminants in pressurized fluid flow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6714A (en) * 1982-09-08 1984-12-04 Texa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lative permeability and water saturation of a core of earthen material
US5006785A (en) * 1986-04-23 1991-04-09 Chevron Research Company Microwave oil saturation scanner
US4764718A (en) * 1986-04-23 1988-08-16 Chevron Research Company Microwave oil saturation scanner
US4767982A (en) * 1987-06-01 1988-08-30 Master Chemical Corporation Concentration detection system
FR2722293B1 (fr) * 1994-07-08 2000-04-07 Inst Francais Du Petrole Debitmetre polyphas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34A (ko) 1997-08-12
CA2196375A1 (en) 1997-08-01
JP3160520B2 (ja) 2001-04-25
US5864240A (en) 1999-01-26
CA2196375C (en) 2001-08-14
JPH09210925A (ja) 199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795B1 (ko) 액체중의 물질의 농도를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51161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flow
US20070006637A1 (en) Densitometer with Pulsing Pressure
JPH05288737A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装置
JP2004531744A (ja) 製造工程における混合物濃度制御の改良
JP3413073B2 (ja) マイクロ波式濃度測定装置
KR100548112B1 (ko) 금속 용액 자동 희석 장치
US3927563A (en) Flow rate measuring system with calibration means
EP0517339A1 (en) Method of determining, with the aid of an ion-selective electrode, the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to be determined, and apparatus to be used in said method
JPH11183404A (ja) 濃度計
US5325066A (en) Density compensated pipeline monitor
CN110595932A (zh) 一种矿浆重量浓度的测定装置及测定方法
JP2008505752A (ja) 化学薬品の混合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965712B2 (ja) 濃度計
GB2079465A (en) Measure of true density
JPH11125547A (ja) 混相流体の各流量の測定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混相流流量計
JPH0979881A (ja) 流量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3311230B2 (ja) マイクロ波式濃度計
RU2178871C1 (ru) Массовый расходомер газожидкостного потока
JP3076384B2 (ja) イオン濃度分析装置
JPS61164142A (ja) スラリ−流体の濃度測定方法
JPH08304324A (ja) 試料水のベース濃度補正方法
JPS60181904A (ja) 液体の粘度調整装置
CA2030594A1 (en) Variable mode microwave water cut monitor and method
SU1682794A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 расхода г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