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792B1 -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 Google Patents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792B1
KR100239792B1 KR1019960048605A KR19960048605A KR100239792B1 KR 100239792 B1 KR100239792 B1 KR 100239792B1 KR 1019960048605 A KR1019960048605 A KR 1019960048605A KR 19960048605 A KR19960048605 A KR 19960048605A KR 100239792 B1 KR100239792 B1 KR 10023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
layer
ingaasp
oxide film
silic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350A (ko
Inventor
송준석
박인식
정낙진
신기철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6004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7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46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 H01S5/3437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based on InGa(Al)As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46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 H01S5/3438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based on In(Al)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4/00Special growth methods for semiconductor lasers
    • H01S2304/06L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nGaAsP/InP BH LD를 제작함에 있어서, n-InP 기판에 n-InP 버퍼층, InGaAsP 활성층, p-InP 클래드층 및 P+-InGaAsP 캡층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P+-InGaAsP 캡층을 제거한 후, p-InP 클래드층 위에 산화규소막으로 스트라이프를 형성하는 단계와, 액상성장법에 의하여 멜트백으로 메사를 형성하고, 전류차단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를 제거한 후 p-InP 클래드층 및 P+-InGaAsP 캡층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액상성장법에 의한 BH LD의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메사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 여러 번의 에칭 및 세정공정이 이용되어야 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를 이용하여 한 번의 액상성장법에 의하여 멜트백으로 메사를 형성하고 이어서 전류차단층을 성장시킴으로써 제작공정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지는 InGaAsP/InP BH LD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nGaAsP/InP BH LD의 제작방법
본 발명은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GaInAsP/InP BH LD의 제조 공정중 메사를 형성하고 전류차단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단 한번의 액상성장법(LPE : Liquid Phase Epitaxy)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레이저라고도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중요한 응용분야로는 현재 광섬유통신이나 광메모리, 콤팩트디스크의 광원으로서의 활용이 매우 활발하다. 광섬유통신분야에 있어서는 광전송로인 광섬유의 전송손실은 1.2㎛ 내지 1.7㎛ 파장영역에서 최소가 되기 때문에, 광섬유를 이용하는 장거리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1㎛ 파장의 광을 발진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개발되고 있다. 장거리 광통신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형적인 파장은 1.3㎛, 1.55㎛, 그리고 1.2㎛ 이다.
종래의 1㎛ 대 파장을 가진 반도체 레이저로서는 InGaAsP/InP 레이저가 잘 알려져 있다. 여러가지 구조가 실현되고 있는 InGaAsP/InP 레이저의 한 종류로서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BH : Buried Heterostructure)의 레이저 다이오드(LD : Laser Diode)가 알려져 있는데, 그 명칭은 활성층이 이종접합부분에 매장된다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도 1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이종접합구조의 에피층이 폭 2㎛ 전후로 기판까지 메사형상으로 에칭되고 그 후에 메사의 양 옆구리부분에 전류차단층을 형성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1.2㎛ 파장의 InGaAsP계 BH LD의 구조는 도 1에 의하여 도시되고 있는 1.3㎛ 파장의 InGaAsP계 BH LD의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활성층의 Ga과 As의 조성비를 바꾸어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1.55㎛ 파장의 InGaAsP계 BH LD의 구조의 경우에도 활성층의 Ga과 As의 조성을 조절하면 기본적으로는 1.3㎛ 파장의 InGaAsP계 BH LD의 구조와 같은 구조로 실현되지만, 멜트백 현상이 있기 때문에 활성층 위에 안티멜트백층이 설정되는 예가 많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InP계 BH LD는 일반적으로 액상성장법(LPE : Liquid Phase Epitaxy)에 의하여 제작되는데, 매장형 이종접합구조를 제작하는 공정에 있어서 산화규소막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Br-메탄올계나 HBr계 에칭액을 사용하여 메사를 형성하고 전류차단층을 성장시켜야 하므로 에칭 및 세정공정을 여러 번 거치게 되어 제작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작과정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P계 BH LD를 제작함에 있어서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를 이용하여 멜트백으로 메사를 형성하고 이어서 전류차단층을 성장시킴으로써 BH LD의 제작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InP계 BH LD를 제작함에 있어서, n-InP 기판에 n-InP 버퍼층, InGaAsP 활성층, p-InP 클래드층 및 p-InGaAsP 캡층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캡층을 제거한 후, 상기 클래드층 위에 산화규소막으로 스트라이프를 형성하는 단계와, 액상성장법에 의하여 멜트백으로 메사를 형성하고, 전류차단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를 제거한 후 p-InP 층 및 p-InGaAsP 층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 그리고 p-전극으로서 캡층(52) 위에 Ti/Pr/Au 를 증착하고, 래핑공정에 의하여 n-InP 기판을 연마하여 전체두께가 100 내지 250㎛ 가 되도록 한 다음, n-전극으로서 n-InP에 Cr/Au를 증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InGaAsP/InP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InGaAsP/InP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nGaAsP/InP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n-InP) 20 : 버퍼층 (n-InP)
22 : 전류차단층 (p-InP) 24 : 전류차단층 (n-InP)
30 : 활성층 (InGaAsP) 40, 42 : 클래드층 (p-InP)
50, 52 : 캡층 (P+-InGaAsP) 60, 62 : 산화규소막 (SiO2)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사항을 지칭하고 있음에 주의하라.
도 2에 의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InP 기판(10)에 이종접합구조의 에피층(20, 30, 40, 50)을 성장하는 단계이다. 그런 다음, 도 2b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층인 P+-InGaAsP 층(50)을 제거한다. 그 후 산화규소막(60)을 플라즈마 화합물 기상 증착(PECVD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비로 증착하고 사진석판술로 도 2c와 같이 메사부분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에 전류차단층(22, 24)을 성장시키는 단계인데, 이때는 산화규소막(60)을 제거하지 않은 채 p-InP 층(22)과 n-InP 층(24)을 성장시킨다. 산화규소막(60)을 제거하지 않는 이유는 메사구조 윗부분에 전류차단층(22, 24)이 증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산화규소막(60)을 제거하고, 도 2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InP 클래드층(42)과 P+-InGaAsP 캡층(52)을 성장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작공정을 단축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작 방법은 도 3a 내지 도 3e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3a와 도 3b도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는 단계에 있어서는, n-InP 기판(10)에 n-InP 버퍼층(20), InGaAsP 활성층(30), p-InP 클래드층(40) 그리고 P+-InGaAsP 캡층(50)을 차례로 성장시킨 후, 캡층(50)을 황산계 에칭용액으로 제거한다.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단계에서는, 클래드층(40) 위에 산화규소막을 증착하고 사진석판술에 의하여 폭 5㎛ 로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62)를 형성한다. 이렇게 스트라이프가 형성된 웨이퍼를 흑연 보우트에 장입하여 LPE 공정을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도 3c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멜트백 시켜 메사구조를 형성하고 이어서 전류차단층인 p-InP 층(22)과 n-InP 층(24)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LPE 공정을 마친 후의 구조는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62)를 제거하고 p-InP 클래드층(42) 그리고 P+-InGaAsP 캡층(52)을 차례로 성장시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를 완성한다.
n-InP 버퍼층(20)과 InGaAsP 활성층(30) 그리고 p-InP 클래드층(40)은 이종접합구조로서, 버퍼층(20) 및 클래드층(40, 42)은 전류 운반자와 발생된 빛을 활성층(30)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P+-InGaAsP 캡층(52)은 클래드층(40,4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류차단층(22, 24)과 클래드층(40, 42) 및 캡층(52)은 순방향 전압 인가시 전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캡층(52)은 금속과의 오옴 접촉(ohmic contact)을 좋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작 방법에 의한 구체적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에피층(20, 30, 40, 50)의 성장은 약 630℃에서 행하였으며, 활성층(30)의 두께는 0.1 내지 0.2㎛ 였다. 버퍼층(20), 클래드층(40), 그리고 캡층(50)의 두께는 각각 5㎛, 1㎛, 그리고 0.3 ㎛ 였다.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62)의 폭은 5㎛ 였으며, 멜트백으로 형성된 메사의 형태는 폭이 1.5 내지 2.5㎛ 이고, 메사 구조내의 활성층의 폭은 1 내지 2㎛ 이다. LPE 공정에 의한 전류차단층의 성장은 약 590℃에서 시작 하였고 냉각 속도는 1.0 내지 1.5 ℃/분이었다. 성장된 전류차단층(22, 24)의 두께는 각각 대략 1㎛, 1㎛ 였다. LPE 공정에 있어서는, 먼저 In 용액에 의하여 기판을 약 2 초간 멜트백하여 메사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전류차단층(22, 24)을 성장시켰다. 이때 멜트백에 의한 메사형성 및 전류차단층 성장은 한 번의 LPE 공정으로 완료된다.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62)가 제거된 후 성장시킨 클래드층(42)과 캡층(52)의 두께는 각각 대략 1㎛, 0.5㎛ 였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레이저 다이오드를 완성시키는 최종 단계로, p-전극으로서 캡층(52) 위에 Ti/Pt/Au 를 증착하고, 래핑공정에 의하여 n-InP 기판을 연마하여 전체두께가 100 내지 250㎛ 가 되도록 한 다음, n-전극으로서 n-InP에 Cr/Au를 증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완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상성장법에 의한 BH LD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메사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은 Br-메탄올계나 HBr계 에칭액을 사용하여 메사에칭하고 전류차단층을 성장시키는 과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번의 에칭 및 세정공정이 이용되어야 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를 이용하여 한번의 LPE 공정에 의하여 멜트백으로 메사를 형성하고 이어서 전류차단층을 성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Br-메탄올계나 HBr계 에칭액을 사용하는 별도의 메사에칭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제작 방법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단축되어 공정단순화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InGaAsP/InP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n-InP 기판(10)에 n-InP 버퍼층(20), InGaAsP 활성층(30), p-InP 클래드층(40) 및 P+-InGaAsP 캡층(50)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캡층(50)을 제거한 후 p-InP 클래드층(40) 위에 산화규소막으로 스트라이프(62)를 형성하는 단계와, 액상성장법에 의하여 멜트백으로 메사를 형성하고, 전류차단층인 p-InP 층(22)과 n-InP 층(24)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산화규소막 스트라이프(62)를 제거한 후 p-InP 클래드층(42) 및 P+-InGaAsP 캡층(52)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단계, 그리고 p-전극으로서 캡층(52) 위에 Ti/Pt/Au 를 증착하고, 래핑공정에 의하여 n-InP 기판(10)을 연마하여 전체두께가 100 내지 250㎛ 가 되도록 한 다음, n-전극으로서 n-InP 기판(10)에 Cr/Au를 증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nGaAsP/InP 매장형 이종접합구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방법.
KR1019960048605A 1996-10-25 1996-10-25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KR10023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605A KR100239792B1 (ko) 1996-10-25 1996-10-25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605A KR100239792B1 (ko) 1996-10-25 1996-10-25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50A KR19980029350A (ko) 1998-07-25
KR100239792B1 true KR100239792B1 (ko) 2000-02-01

Family

ID=1947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605A KR100239792B1 (ko) 1996-10-25 1996-10-25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30B1 (ko) * 2001-12-24 2004-10-26 광주과학기술원 유전체 특성이 개선된 InGaAs산화막의 형성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987A (ja) * 1986-12-19 1988-11-09 Fujitsu Ltd 半導体発光素子
JPS63318192A (ja) * 1987-06-19 1988-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レ−ザ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987A (ja) * 1986-12-19 1988-11-09 Fujitsu Ltd 半導体発光素子
JPS63318192A (ja) * 1987-06-19 1988-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レ−ザ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50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5650A (en) Buried heterostructure laser diode
US5504768A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82180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aser diode
US5227015A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laser
EP0527615A1 (en) Method of making tunable semiconductor laser
JP2003229635A (ja) 半導体光集積素子
US20090267195A1 (en) Semiconductor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element
US5665612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lanar buried heterostructure laser diode
KR100582114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제작 방법 및 반도체 광 디바이스
KR100251348B1 (ko) Rwg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544191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ser diode
JP2742391B2 (ja) 半導体の光集積回路の製造方法
US20050185689A1 (en) Opto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crete Bragg Reflector and an electro-absorption modulator
KR100239792B1 (ko) InGaAsP/InP BH LD제작방법
US5360763A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EP0560491B1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00053604A (ko) 반도체광학장치 제조방법
KR100237858B1 (ko) 역메사 리지 웨이브가이드 구조의 분포귀환형 레이저 다이오드
JPS61187287A (ja) 半導体発光装置
CN117353156A (zh) 一种bh-eml单片集成光放大器的芯片及其制备方法
KR100248430B1 (ko) 광도파로 집적 반도체 레이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S596588A (ja) 半導体レ−ザ
JPH0377675B2 (ko)
JPH06120615A (ja) 半導体レーザ素子の製造方法
KR970003751B1 (ko) 자기정렬 구조의 반도체 레이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