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215B1 -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 Google Patents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215B1
KR100239215B1 KR1019970061132A KR19970061132A KR100239215B1 KR 100239215 B1 KR100239215 B1 KR 100239215B1 KR 1019970061132 A KR1019970061132 A KR 1019970061132A KR 19970061132 A KR19970061132 A KR 19970061132A KR 100239215 B1 KR100239215 B1 KR 10023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
loading
fence
substr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664A (ko
Inventor
유용희
이진우
한정대
최희철
기광석
이덕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1997006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2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의 출하시 돼지를 차량에 용이하게 상차하기 위한 돼지출하용 자동 상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돼지수송차량의 종류나 크기 및 농장의 지형여건에 관계없이 극히 용이하게 돼지를 차량에 상차하고자하는 그 구조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돼지의 용이한 이동수단으로 구동콘베어밸트(60)를 기본적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이 콘베어밸트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유압잭(70)의 구성, 그리고 이를 이동가능하도록하는 돼지의 편리한 기기의 이동수단과 함께 돼지 출하차량의 적재함 전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전폭조절휀스(100), 또 추락방지휀스(30) 및 분뇨제거용 회전브러쉬(80) 등을 구비하여 돼지의 상차후 돼지가 적재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위생적인 관리수단의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경사언덕의 구축 또는 체인을 이용한 리프트방식에 비하여 돼지상차에 따른 돼지의 거부감이 해소되며 또 돼지를 다량으로 신속하게 상차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작업시간 및 인력(노동력)내지는 경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본 발명은 돼지의 출하시 돼지를 차량에 용이하게 상차하기 위한 돼지출하용 자동 상차기에 관한 것이다.
돼지의 사육규모는 점차적으로 전, 기업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돼지의 출하횟수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또 모돈의 번식능력이 떨어지는 모돈의 교체시키기도 빈번해짐에 따라 양돈장에서의 돼지출하시 잦은 노동력의 투입이 요구된다.
특히, 돼지는 두려움이 많은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체인블록을 이용한 간이 리프트방식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어 돼지 상차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 양돈장에 따라 지형의 불규칙에 따른 돼지의 이동에 불편함이 있고 차량의 적재함이 높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돼지상차에 작업자의 지나친 체력소모가 초래됨은 물론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돈장 입구로부터 차량적재함 사이에 경사언덕을 만들어 경사언덕의 끝단 높이를 차량적재함 높이와 맞추고 있으나 차량종류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가 다양하여 이 또한 항상 경사언덕의 높이와 수평을 보장할 수 없으며 적재함의 전폭도 다양하여 돼지의 상차과정에서 돼지의 이탈이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경사언덕을 만들기 위한 옹벽의 구축등 설치비용이 상당히 요구되고 특히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양돈장의 개축이나 이전에 신중을 요한다.
본 발명은 돼지수송차량의 종류나 크기 및 농장의 지형여건에 관계없이 극히 용이하게 돼지를 차량에 상차하고자 함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돼지의 용이한 이동수단으로 구동콘베어밸트를 기본적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이 콘베어밸트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 그리고 이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편리한 기기의 이송수단과 함께 돼지 출하차량의 적재함전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전폭조절휀스를 구비하여 돼지의 상차후 돼지가 적재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련의 구조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폭 조절부분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20 : 기대
30 : 추락방지휀스 40 : 구동로울러
50 : 보조로울러 50a : 받침로울러
60 : 이송콘베어 60a : 굴절부
70 : 수동식유압잭 80 : 회전브러쉬
90 : 분뇨받이통 100 : 전폭조절휀스
101 : 가로홈 102 : 고정휀스
103 : 유동휀스 104, 105 : 구멍
106 : 걸고리 107 : 수직기판
108 : 수직간 200, 200' : 바퀴
M : 감속모터
본 발명은 기판(10)과 기대(20), 그리고 기대(20)상에 추락방지휀스(30)가 입설, 고정된 기본골조를 구비하고 기판(10)상부에는 일단의 감속모터(M)로 구동되는 구동로울러(40) 및 다수의 보조로울러(50)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이에 이송콘베어(60)를 경사지게 감합, 구성한다.
기판(10)의 저부일측 양쪽에는 자유로이 방향전환되는 바퀴(200)를 장착하고 타측, 즉 기판(10)의 앞쪽 중앙부에는 수동식유압잭(70)을 장착하는 한편, 이 수동식유압잭(70)의 저부에도 바퀴(200')를 구비한다. 또 상기 수동식유압잭(70)의 앞쪽에는 분뇨받이통(90)을 구비하여 기판(10)저부에 슬라이딩홈구조로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착탈구조로 설치하는 한편 그 상부에는 이송콘베어(60)의 저면과 마찰되는 회전브러쉬(80)를 구성하여 감속모터(M)로 연동시킨다.
물론 상기 회전브러쉬(80)가 이송콘베어(60)의 저면에 마찰되기 위해서는 분뇨받이통(90)상부의 기판(10)부분은 뚫어져 있다.
참고로 도 1에서의 회전브러쉬(80) 및 분뇨받이통(90)은 표현상 기판(10)에서 분리한 것이며 그 구체적 결합상태는 도 2의 측면구성도에 나타나 있다.
한편 추락방지용휀스(30)앞쪽의 양측방으로는 전폭조절휀스(100)가 구비되는데 다시 관 형태의 고정휀스(102)와 봉 형태의 유동휀스(103)로 구분된다.
즉, 고정휀스(102)는 상, 하로 다수 구비되면서 추락방지휀스(30)의 전단부와 용착되고 또 다수의 수직기판(107)으로 용착되어 그 견고성을 보장하게 된다.
유동휀스(103)는 도 3에서 발췌, 확대한 바와 같이 고정휀스(102)의 내측에서 좌, 우 유동자재하게 끼워져 있으며 공히 구멍(104)(105)이 천공되어 걸고리(106)로 끼워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유동휀스(103)는 그 상호간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수직간(108)으로 연결, 융착시키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유동휀스(103)의 좌, 우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직간(108)이 융착된 부분의 고정휀스(102)후면에는 가로홈(10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이송콘베어(60)는 그 일단에 절곡부(60a)를 두어 차량적재함(300)에 근접할 경우 차량적재함(300)과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이때 이송콘베어(60)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로울러(50a)는 다소의 텐션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송콘베어(60)의 표면은 돼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각의 바퀴(200)(200')에 의해 그 이동이 용이하므로 출하하고자 하는 양돈장 입구에까지 쉽게 이동시켜 설치한다.
돼지수용차량은 그 적재함(300)후미를 이송콘베어(60)의 전단부, 즉 전폭조절휀스(100) 맞닿을 정도로 이동시킨다.
이때 적재함(300)의 전폭이 넓을 경우 구멍(104)(105)에서 걸고리(106)를 빼낸 다음 고정휀스(102)내측에 끼워진 유동휀스(103)를 각각 외방으로 인출하여 차량의 적재함(300) 전폭과 일치시킨 다음 다시 구멍(104)(105)을 통하여 걸고리(106)를 끼워줌으로써 고정휀스(102)와 유동휀스(103)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적재함(200)의 높이가 이송콘베어(60)의 전단부 높이와 차이가 날 경우 기판(10) 저부에 연동된 수동식유압잭(70)을 조작하여 이송콘베어(60)의 전단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적재함 높이와 일치시킨다.
상기, 이송콘베어(60)전단부의 상, 하이동은 후방의 바퀴(200)축을 편축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나, 이때 이송콘베어(60)의 최초 높이는 통상 돼지이송차량의 기본적 적재함높이와 일치되어 있어 차량이 바뀌더라도 그 조절정도는 크지아니하므로 이송콘베어(60)전단부 상면과 적재함(300)의 수평상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적재함(300) 높이와 이송콘베어(60)전단부의 높이를 정확히 일치시켜 주는 것은 상차되는 돼지가 적재함(300)에 걸린다던가 또는 적재함 이송콘베어(60)전단부 보다 낮아서 앞으로 넘어지는등 의 폐단을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적재함(300)의 전폭에 맞게 전폭조절휀스(100)를 조절하고 적재함(300)높이와 일치되도록 이송콘베어(60)의 상면을 조절한 다음 감속모터(M)를 작동시켜 구동로울러(4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이송콘베어(60)가 구동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기판(10)저부의 회전브러쉬(80)도 회전을 시작한다.
이어 돼지를 몰아 이송콘베어(60)의 상면으로 유도하면 돼지는 이송콘베어(60)상면에 얹혀지는 순간 구동되는 이송콘베어(60)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차량의 적재함(300)내측으로 상차되게 된다.
일단 상차된 돼지는 적재함(300)의 전폭에 맞게 조절된 전폭조절휀스(100)에 의해 적재함(300)밖으로 다시 뛰쳐나오지 못하게 되며 이송콘베어(60)에 의한 이송도중에도 좌, 우로 형성된 추락방지휀스(30)에 의해 돼지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돼지의 이송과정에서 배설되는 돼지분뇨 등은 이송콘베어(60)의 저면부와 마찰, 회전되는 회전브러쉬(80)에 의해 제거되면서 분뇨받이통(90)에 수집되는 바, 돼지상차작업시 끝나면 상기 분뇨받이통(90)을 분리하여 분뇨를 별도로 처리한 다음 다시 원상태로 결합하여 줌으로써 이송콘베어(60)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돼지의 출하시 경사언덕의 구축 또는 체인을 이용한 리프트방식에 비하여 돼지상차에 따른 돼지의 거부감이 해소되며 또 돼지를 다량으로 신속하게 상차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작업시간 및 인력(노동력)내지는 경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기판(10)과 기대(20), 그리고 추락방지휀스(30)가 구비되고 기판(10)상면에는 일단의 감속모터(M)로 구동되는 구동로울러(40) 및 다수의 보조로울러(50)를 설치하여 이에 이송콘베어(60)를 감합, 설치하는 한편, 상기 추락방지용휀스(30)의 전방양측으로는 전폭조절휀스(100)를 용착, 구성하고 기판(10)의 저부에는 상기 감속모터(M)와 연동된 회전브러쉬(80) 및 이송콘베어(60)의 상, 하높이 조절수단을 위한 수동식유압잭(70)을 구비하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자동상차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폭조절휀스(100)는 관 형태의 고정휀스(102)와 그 내측에서 유동되는 유동휀스(103)로 구성하고 공히 구멍(104)(105)을 통하여 끼워지는 걸고리(106)로 고정하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자동상차기.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브러쉬(80)저부에는 분뇨받이통(90)을 구성하여 기판(10)상에 착탈되게 결합하여됨을 특징으로 돼지 자동상차기.
  4. 제1항에 있어서, 이송콘베어(60)는 일단에 절곡부(60a)를 구성하여 이송콘베어(60)의 전방일부가 차량적재함과 수평을 이루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자동상차기.
  5. 제1항에 있어서, 기판(10) 일단의 저부양쪽과 수동식 유압잭(70)에는 바퀴(200)(200')를 장착하여 이동가능하도록함을 특징으로 돼지 자동상차기.
KR1019970061132A 1997-11-19 1997-11-19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KR10023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132A KR100239215B1 (ko) 1997-11-19 1997-11-19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132A KR100239215B1 (ko) 1997-11-19 1997-11-19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64A KR19990040664A (ko) 1999-06-05
KR100239215B1 true KR100239215B1 (ko) 2000-01-15

Family

ID=1952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132A KR100239215B1 (ko) 1997-11-19 1997-11-19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502B1 (ko) * 2021-03-18 2022-02-18 김도연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64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2137B2 (en) Material spreader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11165384A (zh) 带旋转式出笼装置的禽类养殖笼
KR100239215B1 (ko)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CN219097910U (zh) 一种生产预制型篮球场地板用的物料输送装置
CN219248928U (zh) 一种给养鱼集装箱投喂饲料的机器
CN106943910B (zh) 配肥机
CN213306809U (zh) 一种羊舍用饲喂车
CN210527587U (zh) 具有辅助进料功能的斗式提升机
CN109291844B (zh) 生猪养殖屠宰用安全转运车
CN209420623U (zh) 履带式养殖配料车辆
CN111183920B (zh) 利用笼体实现禽类排泄物收集及快速出笼的方法
JP4105318B2 (ja) 育苗容器用土供給装置
CN210193636U (zh) 一种粪污布料器
KR101197396B1 (ko) 이동식 양방향 사료 공급장치
CN210260358U (zh) 一种整体移动连续接车排矸装置
KR101544692B1 (ko) 일체형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09579983U (zh) 一种提升上料设备及具有该提升上料设备的布料系统
CN106731943B (zh) 配肥机
CN111616000A (zh) 一种用于人造牧场的牧场杂物清理装置
CN111646831A (zh) 便于补料的动植物粪便残骸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CN217262573U (zh) 一种抓鸡输送机自动输出结构
CN109607250A (zh) 混合料侧向输送僚机
CN217594838U (zh) 一种撒料车用卸料机构
CN217308715U (zh) 一种一体化日粮喂料系统
CN214003422U (zh) 一种家禽粪便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