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190B1 -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실 작용기 함유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실 작용기 함유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190B1
KR100239190B1 KR1019970021765A KR19970021765A KR100239190B1 KR 100239190 B1 KR100239190 B1 KR 100239190B1 KR 1019970021765 A KR1019970021765 A KR 1019970021765A KR 19970021765 A KR19970021765 A KR 19970021765A KR 100239190 B1 KR100239190 B1 KR 10023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functional groups
copolymer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885A (ko
Inventor
쟝-이브 슈나르드
쟝 르베
쟝-미셸 삐에로
Original Assignee
니일앙리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일앙리,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니일앙리
Publication of KR97007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04Polymers of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 C08G18/63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onto 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 형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예비중합체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A) 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산출된다. 상기 접착제는 주위의 수분에 의해서 가교 결합된다.

Description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실 작용기 함유 접착제 조성물 {ADHESIVE COMPOSITIONS BASED ON ETHYLENE-UNSATURATED ACID ESTER COPOLYMERS AND CONTAINING HYDROXYL FUNCTIONAL GROUPS}
본 발명은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며,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 형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예비중합체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A) 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산출된다.
통상 접착 (점착) 수지와 관련되는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대기중의 수분의 영향 하에서, 상기 유리 -NCO 작용기의 가교 결합 후에 승온에서 내성을 갖는 접착제 결합을 산출할 수 있다.
접착제는 통상 고형이며, 용융상으로 도포된다. 이것은 도포 후에, 접착되는 표면의 결합을 제공하면서 응고된다. 상기 응고는 통상적으로 후-가교 결합에 의한 상기 접착제의 기본 성분들의 중합 또는 축중합으로부터 유발된다. 또한, 고형의 접착제 조성물을 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다년간 수행되었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주위 온도에서 고체이며 후-가교 결합시 접착 특성을 보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본 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온-용융 접착제이다. 상기 접착제는 고온에서 유동하며, 냉각에 의해 다시 응고시키는 경우, 접착되는 표면의 결합을 형성시킨다. 상기 고온-용융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2 개의 기본 성분, 즉 왁스, 안정화제, 충진제, 가소제 등과 같은 접착제와 조합체로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와 접착 (점착) 수지의 조합체로부터 산출된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기본적인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아미드,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EVA)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고온-용융 접착제는 양호한 접착 특성을 지니나, 내열성이 부족 (70 내지 80 ℃ 이하) 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신규의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생성물, 즉 가교 결합 가능한 폴리우레탄 고온 용융 접착제가 개발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적어도 하나가 주위 온도에서 고체인 폴리에스테르 유형의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접착제는 고온에서 용융상으로 도포된다. 이것은 접착 (점착) 수지와 비상용성이며, 따라서 제형화 가능성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또한, 이것은 몇가지 충분히 공지되어 있는 기재에 대한 접착력에도 제한을 받는다. 더욱이, 상기 생성물은 몇가지 고-산출 속도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긴, 수 분의 조립 시간을 가진다. 고온-용융 접착제의 이러한 조립 시간은 결합하고자 하는 제 1 기재상에 상기 접착제를 용융 상태로 도포하는 순간과 상기 고온 용융 접착제가 더 이상 충분히 유동하지 못하여 제 2 기재가 정확하게 조립되는 순간 사이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유럽 특허 제 294 271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화학양론적인 양으로 반응하는 히드록실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또다른 유형의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가 개발되었다. 상기 고온 용융 접착제는 접착 (점착) 수지와 상용성이며, 양호한 접착 특성을 가지나, 이후에 양호한 가교 결합을 위해서는 120 ℃ 이상의 온도에서 수 분간 열처리해야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결합 조건은 몇가지 열 민감성 기재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유럽 특허 제 380 379 호에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 형태인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예비중합체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산출된다. 상기 종래 기술 문헌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부분적으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물론이거니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직접 공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 형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예비중합체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A) 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산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히드록실화 단량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기 종래 기술의 조성물에 비하여, SAFT 테스트 및 T 박리력 테스트에서 보다 양호한 강도를 가진다.
상기 공중합체 (A) 의 히드록실 작용기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혼입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그라프트화 또는 공중합,
- 불포화 단량체의 그라프트화 또는 공중합 및, 이어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가 혼입된 생성물과 상기 단량체간의 반응,
-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산출하기 위한, 그라프트화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의 개질.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공중합체 (A) 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과 함께, 상기 공중합체 (A) 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알킬이 C1-24알킬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n-부틸, 이소부틸 및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중합체 (A) 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 알릴 알코올 또는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에서 선택되는 그라프트화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에틸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A) 는 또한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 같은 디올 또는 폴리에테르디올로 중화된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또는 공중합됨)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에틸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A) 는 또한 가수분해된 포화 카르복실 비닐 에스테르 (그라프트 또는 공중합됨)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에틸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A) 는 유리하게는 다음과 같은 공중합체에서 선택된다:
- 에틸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직접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상기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 에틸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상기 공중합체 (A) 는 유리하게는 에틸렌 40 내지 95 중량%,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4 내지 40 중량% 및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1 내지 15 중량% 를 함유한다. ASTM D 1238-73 에 의한 상기 공중합체 (A) 의 용융 지수는 유리하게는 1 내지 1,000 g/10 분이다. 상기 공중합체 (A) 의 용융 점도는 유리하게는 100 내지 10,000 Pa·s 이다.
상기 공중합체 (A) 는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100 g 당 OH 를 2 ×10-3내지 1.5 ×10-2mol 함유한다.
상기 공중합체 (A) 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리하게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과 반응한다. 유리 NCO 가 잔류하도록 하기 위해서,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상기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MDI)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가 언급될 수 있다. 이 중, MDI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잔류한다. 유리 NCO 작용기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 이다. 이러한 함량은 (결합 후의) 접착제의 가교 결합 속도와, 상기 접착제의 (결합 전의) 고온에서의 안정성 사이에 양호한 조화를 유발한다.
상기 예비중합체는 유리하게는 모노알코올 존재하에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간단히 "첨가제" 로서 불리는 하기의 물질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 수지/중합체 비가 0 내지 3 인 하나 또는 다수의 점착 수지. 바람직한 상기 점착 수지는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천연 또는 합성 테르펜 수지 포함) 이며,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작용기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착 수지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0.1 내지 100 Pa·s 의 용융 점도를 가진다;
-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왁스, 가소제, 충진제 및 안정화제.
상기 점착 수지 또는 약간의 히드록실화된 왁스는 이들로부터의 히드록실 작용기가 전체 NCO/전체 OH 비를 계산하는데 고려되는 조건, 미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데 사용되는 단순 알코올의 양이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조건에 대하여 사용된다.
이들 점착 수지, 왁스 및 가소제는 공지의 방법으로, 고온-용융 접착제에 사용되어, 점도, 조립 시간 및 접착성을 개질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후에 150 ℃ 이상의 온도에서도 유지될 수 있는 접착제 결합을 산출하기 위하여, 대기 중의 매질하에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상기 결합의 신속한 응고를 유발하도록 결정되는, 즉 충분히 유동하는 점도를 지녀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유리 OH 작용기는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수의 구성 성분들을 용융 상태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110 내지 130 ℃ 의 낮은 혼합 온도에서, NCO 와 OH 간의 반응은 빠르며, 기껏해야 수 시간 내에 일어난다. 상기 수득된 예비중합체는 대기중의 수분과 접촉하여 가교 결합된다; 충분한 보존을 위해서는, 수분으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저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 형태의 또다른 목적은 하기 (ⅰ) 및 (ⅱ) 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ⅰ) 상기 공중합체 (A), 선택적으로는 첨가제를 용융 및 건조시키는 단계; 및
(ⅱ) 필요한 비율의 NCO 가 수득될 때까지, 알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 및 반응시키는 단계.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온-용융 접착제는 유리하게는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일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모노알코올을 제외한, 제제의 모든 구성 성분들을 110 내지 130 ℃ 의 온도에서 예비 용융시킨 후, 교반 반응기 내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킨다. 상기 반응기는 무수 질소로 정화시킨다;
- 이어서, 무수 모노알코올 및 이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적절한 비율로 주입하고, 이론적 비율의 NCO 가 수득될 때까지, 120 내지 125 ℃ 에서 이소시아네이트-알코올 반응을 계속한다. 상기 반응은 약 4 시간 소요된다. 상기 반응 말기에, 부어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고온-용융 접착제를 회수한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상기 작업은 통상적으로 촉매의 부재하에서 수행된다. 보다 덜 반응성인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의 경우에는, 주석염 (디부틸주석 라우레이트) 또는 아민 (디아자비시클로옥탄) 과 같은, NCO/OH 반응에 사용되는 공지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A) 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M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와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110 내지 130 ℃ 에서 미리 가열한다. MDI 는 독성이 적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삼중합체/디이소시아네이트 반응은 임의의 원하지 않는 점도 증가를 피하기 위해서, 과량 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상기 요구되는 과량은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2 개의 NCO 작용기가 동일한 반응성을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는 2 개의 NCO 작용기가 동일한 반응성을 갖지 않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에 비하여, 보다 많은 몰량을 필요로 함) 및 공중합체 (A) 의 OH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MDI 의 경우에 있어서, 히드록실 단량체의 비율이 약 2 % 인 경우, 상기 작업은 약 15 내지 25 의 전체 NCO/공중합체 (A) 의 OH 비로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과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단일 모노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또는 모노알코올-디알코올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서 중화되어, 최종의 전체 NCO/전체 OH 의 비는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가 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사용 온도 (130 ℃) 에서의 점도가 통상적으로 5 내지 10 Pa·s 이다. 130 ℃ 에서 4 시간 동안 대기와 접촉시켜 저장한 후, 본 발명의 접착제의 점도 증가율은 10 % 로서, 제공되는 기계 (예: Nordson Meltex) 에 어떠한 문제도 유발하지 않으면서 공업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의 용이성, 높은 저장 안정성, 즉 25 ℃ 에서 수개월 및 130 내지 140 ℃ 에서 수 시간의 저장 안정성, ≤ 10 Pa·s 의 사용시 점도, 5 내지 40 초의 적절한 조립 시간, 높은 초기 응집력, 가교 결합과 보조를 맞추어 증가하는 하중 하에서의 크리프 온도, 및 가교 결합 완료 후의 생성물의 가요성을 부여하는 단일-성분 고온-용융 접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가교 결합은 온도 및 주위의 수분에 따라, 수 시간 내지 수 일 동안 일어난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접착제 100 g 당 NCO 의 g 으로 표시된다. 이것은 AFNOR 표준 52132 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용융 지수 (MI) 는 ASTM 표준 D 1238-73 에 따라서, 2.16 kg 의 하중 하에 190 ℃ 에서 측정하였으며, g/10 분으로 표시하였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였다:
- ASTM D 4498 에 의한 SAFT (전단 접착력 약화 온도) 의 측정:
다음과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패널 사용:
100 mm × 25 mm × 1 mm 의 AG3 유형.
표시기를 갖는 테스트 조각의 단부에서 25 mm × 25 mm 의 영역 한정.
4 개의 소형 패널을 놓은 후, 4 개의 다른 패널을 길이 방향으로 결합시켜, 150 ℃ 또는 기타 임의의 사용 온도에서 가열 프레스의 플래튼 상에 끼움쇠로서 사용.
접착제를 피복하고자 하는 부분 (알루미늄) 에 상기 용융 접착제를 주입.
4 개의 다른 테스트 조각을 적용하여, 25 mm × 25 mm 의 접착제-피복 부위를 수득.
250 daN 으로 5 초간 프레스함. 상기 테스트 조각을 23 ℃ 에서 4 시간 이상 동안 저장.
각각의 단부에 0.5 kg 중량체를 걸어, 0.4 ℃/분의 온도 상승 동안 계획된 오븐 내에 상기 조립체를 놓음.
상기 결합과 동일한 때에, 상기 중량체가 낙하하는 온도, 즉 접착제 결합이 약화되는 순간의 온도를 기록함. 4 개 측정의 평균을 취함:
- ASTM 표준 D 1876-72 에 따른, 알루미늄에 대한 T 박리 테스트.
다음과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시이트 사용:
100 mm × 25 mm 및 120 ㎛ 두께.
3 개의 시이트를 150 ℃ 또는 기타 임의의 혼합 온도에서 가열 프레스상에 놓음.
접착제를 피복하고자 하는 부분에 상기 용융 접착제를 부음. 테스트 조각의 단부에 실리콘-처리된 종이 조각을 부착시킨 후, 상부에 기타 다른 3 개의 시이트를 가하여 리더를 형성시킴. 250 daN 으로 30 초간 프레스함. 23 ℃ 에서 4 시간 이상 동안 저장함. 장력계상에서 250 mm/분으로 T 박리 테스트를 수행함. 3 개 측정치의 평균값을 취함. 본 발명자들은 일정한 환경의 챔버 (액체 질소 순환) 를 사용하여 - 30 ℃ 에서 T 박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분당 50 회전수로 회전하는 날이 구비되어 있으며 90 ℃ 로 조절된 브라벤더 (Brabender) 혼합기에, 에틸렌 7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 및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 의 조성을 가지고, 용융 지수 (ASTM 표준 D-1238 에 따라서, 190 ℃ - 2.16 kg 에서 측정함) 가 10 이며, 용융 점도가 8,000 Pa·s 인 삼중합체 29.2 g; 테르펜-페놀 수지 (Dertopheneⓡ) 12.6 g;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왁스 (Wax AC 430ⓡ) 12.6 g 을 주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균일하며 이것의 온도가 90 ℃ 에서 안정화되었을 때,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8 g 을 주입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10 분간 계속해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기로부터 점도가 약 100 Pa·s 인 제제를 회수하여, 알루미늄 테스트 조각의 접착제 결합을 산출하는데 사용하였다.
상기 일련의 테스트 조각들을 4 개의 배치로 분할하였다. SAFT (전단 접착력 약화 온도) 전단 크리프 방법에 따라서, 상기 4 개의 배치를 평가하였다.
테스트 조각의 배치 No.1 은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저장한 후, 결합을 다음 날에 측정하였다.
테스트 조각의 배치 No. 2 는 포화 수증기 존재 하에 70 ℃ 에서 7 일간 유지시킨 후, 상기 촉진된 습식 숙성 처리 24 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테스트 조각의 배치 No.3 은 주위 대기 및 주위 온도에서 7 일간 유지시킨 후에 측정하였다.
테스트 조각의 배치 No.4 는 주위 대기 및 주위 온도에서 14 일간 유지시킨 후에 측정하였다.
간략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EDA HEA 로 표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공중합체가 동일한 비율 (25 %) 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조성물과 비교하였다. 수득한 접착제 조성물을 EVA HEA 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제시하였다.
SAFT (℃) -30 ℃ 에서의 T 박리 (N/cm)
EVA HEA EDA HEA EVA HEA EDA HEA
배치 No.1 85 95 0 1
배치 No.2 211 220 1.5 3.5
배치 No.3 138 150 0.5 2
배치 No.4 227 240 0.7 2.5
실시예 2
분당 50 회전수로 회전하는 날이 구비되어 있으며 75 ℃ 로 조절된 브라벤더 (Brabender) 혼합기에, 에틸렌 71.1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9 중량% 의 조성을 가지고, 상기 실시예 1 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50 이며, 용융 점도가 1,000 Pa·s 인 삼중합체 32 g; 및 테르펜-페놀 수지 (Dertophene Tⓡ) 16 g 을 주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균일하며 이것의 온도가 75 ℃ 에서 안정화되었을 때,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3.6 g 을 주입하였다.
상기 실시예 1 과 같이, 알루미늄 테스트 조각의 접착제 결합을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제제는 점도가 60 ℃ 에서 약 100 Pa·s 였다.
아크릴레이트 25 % 대신 비닐 아세테이트 25 %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조성물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제시하였다.
SAFT (℃) -30 ℃ 에서의 T 박리 (N/cm)
EVA HEA EDA HEA EVA HEA EDA HEA
조건화 No.1결합 직후의 평가 71 76 0 2.0
촉진된 자연 또는 습식 숙성 1 주 후의 평가 213 235 0.5 3.0
실시예 3
분당 50 회전수로 회전하는 날이 구비되어 있으며 70 ℃ 로 조절된 브라벤더 (Brabender) 혼합기에, 에틸렌 82.7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6.3 중량% 및 비닐 알코올 11 중량% 의 조성을 가지고, 상기 실시예 1 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60 이며, 용융 점도가 1,500 Pa·s 인 삼중합체 15 g; 에틸렌 72 중량%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상표명 "Lotryl" 로서 시판되는, 용융 지수 900 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28 중량% 의 조성을 갖는 공중합체 15.6 g; 및 테르펜-페놀 수지 (Nirez-V 2040 HM, Arizona 에서 시판) 15.6 g 을 주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균일하며 이것의 온도가 70 ℃ 에서 안정화되었을 때,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3 g 을 주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용융 점도는 약 100 Pa·s 였다. 알루미늄 테스트 조각의 접착제 결합은 70 ℃및 1 bar 에서 1 분간 수행하였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6.3 % 와 28 % 대신 비닐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조성물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제시하였다.
SAFT (℃) -30 ℃ 에서의 T 박리 (N/cm)
EVA HEA EDA HEA EVA HEA EDA HEA
접착제 결합 직후의 평가 67 77 0 2.5
촉진된 습식 숙성 7 일 후의 평가 220 237 0.5 3.5
본 발명은 사용의 용이성, 높은 저장 안정성, 즉 25 ℃ 에서 수개월 및 130 내지 140 ℃ 에서 수 시간의 저장 안정성, ≤ 10 Pa·s 의 사용시 점도, 5 내지 40 초의 적절한 조립 시간, 높은 초기 응집력, 가교 결합과 보조를 맞추어 증가하는 하중 하에서의 크리프 온도, 및 가교 결합 완료 후의 생성물의 가요성을 부여하는 단일-성분 고온-용융 접착제를 제공하며, 상기 가교 결합은 온도 및 주위의 수분에 따라, 수 시간 내지 수일 동안 일어난다.

Claims (6)

  1.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함유하는 예비중합체 형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에비중합체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A) 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결합 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A) 는 에틸렌,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알코올 및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에서 선택되는 그라프트화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A) 는 에틸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NCO 작용기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 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 수지와 같은 첨가제를, 상기 수지/중합체의 중량비가 3 을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6. (ⅰ) 공중합체 (A), 선택적으로는 첨가제를 용융 및 건조시키는 단계; 및
    (ⅱ) 원하는 비율의 NCO 가 수득될 때까지, 알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 및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970021765A 1996-05-29 1997-05-29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실 작용기 함유 접착제 조성물 KR100239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6603 1996-05-29
FR9606603 1996-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885A KR970074885A (ko) 1997-12-10
KR100239190B1 true KR100239190B1 (ko) 2000-01-15

Family

ID=949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765A KR100239190B1 (ko) 1996-05-29 1997-05-29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실 작용기 함유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8471B1 (ko)
EP (1) EP0810247A3 (ko)
JP (3) JP3327517B2 (ko)
KR (1) KR100239190B1 (ko)
CN (1) CN1170024A (ko)
CA (1) CA2207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7830C2 (de) * 1997-12-24 2003-06-18 Clariant Gmbh Brennstofföle mit verbesserter Schmierwirkung
DE10149142A1 (de) * 2001-10-05 2003-04-24 Henkel Kgaa Modifizierter reaktiver Schmelzklebstoff und dessen Verwendung
US6861464B2 (en) * 2002-07-19 2005-03-01 Diversified Chemical Technologies, Inc. Two component, curable, hot melt adhesive
KR101109770B1 (ko) 2010-09-17 2012-02-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CN104144999B (zh) * 2011-12-20 2016-08-17 医用粘合剂革新有限责任公司 羟基氨基聚合物及其在聚脲聚氨酯组织粘合剂中的用途
CN106977657A (zh) * 2016-01-19 2017-07-25 杭州吉华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可剥离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724103B (zh) * 2016-02-11 2021-04-11 德商漢高智慧財產控股公司 含羥基官能性側基之烯烴-丙烯酸酯共聚物及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4415A (en) * 1964-09-04 1966-11-08 Dow Chemical Co Polyurethane from ethylene-hydroxyalkyl acrylate co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825A (en) * 1975-05-15 1979-10-02 The Sherwin-Williams Company High solids coating compositions
FR2616155A1 (fr) 1987-06-05 1988-12-09 Atochem Composition pour adhesif thermofusible reticulable. adhesif en resultant. procede de collage
FR2641791B1 (fr) 1989-01-19 1991-04-19 Atochem Composition adhesive thermofusible reticulable a l'humidite,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698877B1 (fr) * 1992-12-04 1995-04-07 Atochem Elf Sa Composition adhésives thermofusibles réticulables à l'humidité.
US5866656A (en) * 1995-06-07 1999-02-0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s with reactive acrylic copoly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4415A (en) * 1964-09-04 1966-11-08 Dow Chemical Co Polyurethane from ethylene-hydroxyalkyl acrylate co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9914A (ja) 2001-05-22
US6218471B1 (en) 2001-04-17
JP3327517B2 (ja) 2002-09-24
CA2207528A1 (fr) 1997-11-29
JP2000109520A (ja) 2000-04-18
EP0810247A3 (fr) 1997-12-10
EP0810247A2 (fr) 1997-12-03
JPH1081866A (ja) 1998-03-31
KR970074885A (ko) 1997-12-10
CN1170024A (zh) 199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8346B2 (en) Cross-link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US5173538A (en) Moisture-curing, polyurethane hot-melt compositions
US11091677B2 (en) Reactive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s containing fillers
CA1313718C (en) Heat-meltable polymer for use as adhesive ag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plication thereof the gluing of substrate materials
JP5773652B2 (ja) 湿気硬化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H0216180A (ja) ホットメルトポリウレタン接着性組成物
CN102325853A (zh) 反应性热熔性胶黏剂
US5506296A (en) Moisture-curable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JP3479588B2 (ja) 初期凝集力が改良されたポリウレタンベースの単一成分の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100239190B1 (ko) 에틸렌-불포화 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실 작용기 함유 접착제 조성물
US5189096A (en) Moisture-curable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WO2021086526A1 (en) Polyurethane hot melt adhesive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
JP2627839B2 (ja) 反応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EP0248658A2 (en) Urethane based hot melt adhesives
JP2627834B2 (ja) 反応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6207785B1 (en) Hydroxylated polydiene based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JP2874135B2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型接着剤
KR20150127201A (ko)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형성 방법
CN104507992B (zh) 含有低含量的低聚物的uv固化型热熔粘合剂
EP0436347A2 (en) Solvent-free contact adhesive
JPS6250376A (ja) 溶剤型接着剤組成物
JPH04335082A (ja) 接着剤組成物
JPH0794653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