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489B1 -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489B1
KR100238489B1 KR1019970062797A KR19970062797A KR100238489B1 KR 100238489 B1 KR100238489 B1 KR 100238489B1 KR 1019970062797 A KR1019970062797 A KR 1019970062797A KR 19970062797 A KR19970062797 A KR 19970062797A KR 100238489 B1 KR100238489 B1 KR 10023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al
disc
layer
curv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093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4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17Focus-error method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11B7/0909 - G11B7/0916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광디스크 드라이브 서보에 관련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개선된 싱글 및 듀얼 디스크 식별방법을 제공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검출된 포커스에러신호의 S-커브의 발생횟수 및 그 크기를 가지고 싱글레이어 디스크인지 듀얼레이어 디스크인지를 식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광디스크 드라이브 포커싱 서보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 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 서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글(single) 및 듀얼(dual) 레이어(layer)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Digital Versatile Disc)는 고화질 및 고음질의 정보전달 매체의 대명사가 되었다. DVD의 실현에 의해 방송레벨의 고화질영상이 재생 가능하고, 대화면으로 박력있는 영상을 즐기는 시대가 되었다. DVD의 응용기기로는 DVD비디오 플레이어, DVD오디오 플레이어, DVD ROM드라이브 등이 있다. DVD디스크는 하기 표 1과 같은 몇가지 종류가 있다. 표 1에서 DVD디스크 종류별 용량은 12cm디스크 기준이다.
디스크 종류 용량(12cm디스크 기준)
싱글사이드/싱글레이어 4.7GB(Giga Byte)
싱글사이드/듀얼레이어 8.5GB
듀얼사이드/싱글레이어 9.4GB
듀얼사이드/듀얼레이어 17GB
DVD디스크를 듀얼레이어(dual layer)로 제작하는 목적은 그 디스크의 용량을 크게하기 위한 것인데, 듀얼사이드/듀얼레이어(dual side/dual layer)로 제작하게 되면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17GB까지 늘릴 수 있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디스크를 사용하므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현재 드라이브에 장착된 디스크가 CD인지 DVD인지, 또는 싱글레이어 디스크인지 듀얼레이어 디스크인지를 신호를 재생하기 전에 미리 판별한다. 종래의 싱글/듀얼 레이어 디스크 판별 방법은 광픽업에서 검출하는 포커스에러신호의 크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듀얼레이어 디스크의 반사율은 싱글레이어 디스크에 비해 40∼60%정도 작으므로 광픽업을 통해 검출되는 포커스에러신호(focus error signal)의 S-커브(curve)도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판별구간동안에 나타나는 S-커브의 크기가 미리 정해놓은 일정값 이상이면 광디스크 드라이브 메인 제어부는 현재 장착된 디스크를 싱글레이어 디스크로 판정하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포커스에러신호의 S-커브 크기를 이용하는 싱글/듀얼레이어 판별방법은 싱글레이어 디스크의 포커스에러신호 S-커브의 크기가 일정한 값이라는 가정 하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만약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이 되지 못하는 싱글레이어 디스크에 대해서는 듀얼레이어 디스크라고 판정하는 오류를 발생할 수 있다. 듀얼 레이어 디스크의 신호들은 싱글레이어 디스크에 비해 그 크기가 적으므로 듀얼 레이어 디스크 리드를 위한 모든 제어 인자(factor), 예를 들면, 서보이득 등을 크게 해준다. 그에 따라 만약 싱글레이어 디스크임에도 불구하고 듀얼레이어 디스크로 판정하게 되면 서보제어를 위한 각종신호들의 레벨이 너무 크게 되어 서보가 불안해지고 그 결과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개선된 싱글 및 듀얼 디스크 식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 디스크 식별방법에 있어서, 포커싱제어에 의거해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면이 대물렌즈의 초점 심도 안에 들어가도록 상기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이는 포커싱액츄에이터를 광디스크가 있는 위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포커싱액츄에이터가 미리 설정된 최상위지점까지 이동될 때까지의 포커싱시 포커스에러신호에 나타나는 S-커브의 발생횟수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S-커브의 발생횟수에 따라 싱글 및 듀얼 디스크로 식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드라이브 서보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a는 듀얼레이어 디스크일 경우의 포커스에러신호 파형, 디스크판별구간 및 포커스 온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싱글레이어 디스크일 경우의 포커스에러신호 파형, 디스크판별구간 및 포커스 온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 싱글 및 듀얼 디스크 식별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드라이브 서보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디스크 2는 스핀들모터 4에 의해 구동된다. 픽업 6은 픽업서보 8의 제어에 의해 광디스크 2의 포커싱 및 트래킹을 수행한다. 상기 픽업 6에는 레이저 다이오드, 대물렌즈, 포커싱 액츄에이터, 트래킹 액츄에이터, 광검출기, 픽업이송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검검출기를 통해 재생데이터 및 포커싱 및 트래킹서보를 위한 소오스정보가 출력된다.
도 1에서 서보시스템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APC(Automatic Power Control) 10, 광디스크 2의 휘어짐이나 면 진동에 대하여 광디스크 2의 신호면이 항상 대물렌즈의 초점 심도 안에 들어가도록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포커싱 서보, 대물렌즈를 방사상(radial) 방향으로 구동하여 트랙을 정확히 추적하기 위한 트래킹 서보, 광픽업 전체를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이송서보, 및 광디스크 2의 회전을 CLV(Constant Linear Velocity)[또는 CAV(Constant Angular Velocity)]로 제어하기 위한 스핀들서보 12가 있다. 상기 포커싱서보, 트래킹서보, 및 픽업이송서보는 크게 픽업서보 8에 포함된다. 시스템제어부 14는 상기한 서보시스템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픽업서보 6중 포커싱서보에 관련된 설명을 도 2a,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듀얼레이어 디스크일 경우의 포커스에러신호 파형, 디스크판별구간 및 포커스 온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싱글레이어 디스크일 경우의 포커스에러신호 파형, 디스크판별구간 및 포커스 온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b에서, FE는 도 1의 광검출기를 통해 포커스서보에서 검출되는 포커스에러신호(Focus Error signal)이고, 참조번호 24,28은 포커싱서보의 포커싱제어에 의거해 광디스크 2의 신호면이 대물렌즈의 초점 심도 안에 들어가도록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이는 포커싱액츄에이터의 궤적이다. 그리고 일점쇄선 표시된 참조번호 20,22는 듀얼레이어 디스크의 듀얼레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즉 22는 듀얼레이어의 1층이고, 20은 듀얼레이어의 2층이다. 일점쇄선 표시된 참조번호 26은 싱글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b에 나타난 포커스액츄에이터의 궤적 24,28에서 상승궤적인 a에서 b까지는 디스크판별구간이고 이후 하강궤적은 포커스-온 구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싱글레이어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의 각 레이어에서 검출되는 포커스에러신호 FE의 S커브의 크기뿐만 아니라 S커브의 발생횟수를 카운트하여 현재의 디스크가 싱글레이어인지 듀얼레이어인지를 식별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싱글 및 듀얼 디스크를 식별하는 시스템 제어부 14에서의 제어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싱글 및 듀얼 디스크를 식별하는 제어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시스템 제어부 14는 도 3의 100단계에서 픽업서보 8을 통해 광픽업 6의 포커싱액츄에이터를 디스크 2가 있는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포커싱 액츄에이터는 도 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서 b로의 액츄에이터 궤적을 그린다. 그 과정에서 레이어가 대물렌즈의 초점심도에 들어가면 포커스에러신호 FE에 S-커브가 나타난다. 시스템제어부 14는 102단계에서 S-커브가 발생되는가를 판단하고, 발생하면 104단계로 진행하여 S-커브의 크기를 측정하고 디스크의 종류를 1차적으로 판단한다. 통상 S-커브의 크기는 싱글레이어 디스크가 듀얼레이어 디스크에 비해 더 크다. 그후 시스템제어부 14는 106단계로 진행하여 S-커브가 발생되었는가를 한번 더 판단하고 만약 S-커브가 발생하였으면 1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디스크를 듀얼레이어 디스크로 판정한다. 그렇지만 포커싱액츄에이터가 포커싱액츄에이터 궤적의 최상위지점 b까지 이동할 때까지도 S-커브가 발생되지 않으면(106단계 및 108단계에서 판단) 112단계로 진행하여 싱글레이어 디스크로 판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출된 포커스에러신호의 S-커브의 발생횟수 및 그 크기를 가지고 싱글레이어 디스크인지 듀얼레이어 디스크인지를 식별하므로 디스크 식별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 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에 있어서,
    포커싱제어에 의거해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면이 대물렌즈의 초점 심도 안에 들어가도록 상기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이는 포커싱액츄에이터를 광디스크가 있는 위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포커싱액츄에이터가 미리 설정된 최상위지점까지 이동될 때까지의 포커싱시 포커스에러신호에 나타나는 S-커브의 발생횟수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S-커브의 발생횟수에 따라 싱글 및 듀얼 디스크로 식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커브의 발생횟수가 1회이면 싱글 디스크로 판별하고 2회이면 듀얼 디스크로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 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에 있어서,
    포커싱제어에 의거해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면이 대물렌즈의 초점 심도 안에 들어가도록 상기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이는 포커싱액츄에이터를 광디스크가 있는 위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포커싱액츄에이터가 미리 설정된 최상위지점까지 이동될 때까지의 포커싱시 포커스에러신호에 나타나는 S-커브의 발생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S-커브의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S-커브의 발생횟수 및 크기에 따라 싱글 및 듀얼 디스크로 식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커브의 발생횟수가 1회이면 싱글 디스크로 판별하고 2회이면 듀얼 디스크로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62797A 1997-11-25 1997-11-25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KR10023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797A KR100238489B1 (ko) 1997-11-25 1997-11-25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797A KR100238489B1 (ko) 1997-11-25 1997-11-25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93A KR19990042093A (ko) 1999-06-15
KR100238489B1 true KR100238489B1 (ko) 2000-02-01

Family

ID=1952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797A KR100238489B1 (ko) 1997-11-25 1997-11-25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4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93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736B1 (ko) 멀티디스크 재생 가능한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에서 리드 인 타임 최소화 방법
ATE203621T1 (de) Wiedergabe von optischen platten
CN1147840C (zh) 盘片驱动单元
JPH07334867A (ja) 高密度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再生装置
JPH11162114A (ja) 光ディスク
KR100238489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싱글 및 듀얼레이어 디스크 식별방법
US7385895B2 (en) Method of discriminating optical disc type and apparatus thereof
CN1932985A (zh) 光记录/重放装置和调整其重放参数的方法
JP2795127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0134489A (ja) デジタル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38471B1 (ko) 디스크 자동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0195019B1 (ko) 광디스크재생장치에서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
CN1103098C (zh) 盘检测装置和方法
JPH10134487A (ja) デジタルディスクプレーヤ
KR20060085857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판별방법 및 기록매체기록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
KR100217752B1 (ko) 광 디스크면의 배드섹터 처리방법
KR100510508B1 (ko) 광 기록장치의 재탐색을 위한 가변 오프셋 설정 방법
US20050249059A1 (en) Module for improving optical disc readability via dynamically adjusting optical focus position and method for the same
US200300610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track search in an optical storage system
JP400072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1167719A (ja)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再生装置
KR100238860B1 (ko) 디스크 자동 판별 장치
JP2599826Y2 (ja) ディスク装置
JPH07161133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944895A (ja) 光ピックアップ、光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