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094B1 -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 Google Patents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094B1
KR100238094B1 KR1019970042821A KR19970042821A KR100238094B1 KR 100238094 B1 KR100238094 B1 KR 100238094B1 KR 1019970042821 A KR1019970042821 A KR 1019970042821A KR 19970042821 A KR19970042821 A KR 19970042821A KR 100238094 B1 KR100238094 B1 KR 10023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phone
signal
web video
main system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441A (ko
Inventor
황재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0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web video phone)에 관한 것이다. 이 웹비데오폰은 웹비데오폰에 대한 아이들상태(idle state)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시스템,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아이들상태신호를 입력받고, 일반전화로부터 입력받는 신호에 따라 웹비데오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상태판단부 및 전원공급부와 메인시스템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동작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메인시스템과 모뎀에 전원공급/차단의 동작을 가능토록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웹비데오폰을 사용하면 웹비데오폰에 대한 아이들/런상태(run state)의 동작을 판단하여 동작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차단하므로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없앨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본 발명은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web video phone)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웹비데오폰이 많이 애용되고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웹비데오폰을 사용하다가 장시간 아이들상태(idle state)로써 시스템을 방치한다. 더욱이 아이들상태가 런상태(run state)보다 시간적으로 더 많음에 따라 전원의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스템의 아이들/런상태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줄이도록 하는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비데오폰을 나타낸 구성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 : 메인시스템 12 : 동작상태판단부
13 : 전원공급부 14 : 스위치부
15 : 모뎀 16 : 일반전화
17 : 스피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웹비데오폰(web video phone)에 있어서, 웹비데오폰에 대한 아이들상태(idle state)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시스템,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아이들상태신호를 입력받고, 일반전화로부터 입력받는 신호에 따라 웹비데오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상태판단부 및 전원공급부와 메인시스템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동작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메인시스템과 모뎀에 전원공급/차단의 동작을 가능토록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에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비데오폰을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이 웹비데오폰은 종래 일반적인 웹비데오폰에 웹비데오폰의 아이들상태유지에 대한 시간을 체크하는 기능을 지닌 메인시스템(11)이 포함되어 구성을 이룬다. 메인시스템(11)의 출력단에는 일반전화(16)와 메인시스템(11)으로부터 입력받는 신호에 따라 웹비데오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상태판단부(12)가 연결되어 있다. 동작상태판단부(12)의 출력단에는 메인시스템(11)과 전원공급부(13) 사이에 위치하여 동작상태판단부(12)의 판단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차단의 동작을 진행시키는 스위치부(14)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웹비데오폰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웹비데오폰을 사용하다가 사용중지하게 되면 즉, 예를 들어 키입력 등이 없는 웹비데오폰의 아이들상태 경우 메인시스템(11)내의 타이머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아이들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가를 체크한다. 그래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아이들상태가 유지되면 메인시스템(11)은 웹비데오폰의 아이들상태에 대한 신호(A)를 동작상태판단부(12)로 출력한다. 동작상태판단부(12)는 입력받은 신호 A로써 웹비데오폰이 아이들상태임을 판단하고 전원공급부(13)로부터 메인시스템(11)과 모뎀(15)으로의 전원공급을 중지하기위한 신호(B)를 스위치부(14)로 출력한다. 스위치부(14)는 입력받은 신호 B로써 전원공급부(13)로부터 메인시스템(11)과 모뎀(15)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동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웹비데오폰이 아이들상태일 때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가 없게 된다.
만일, 메인시스템(11)의 타이머가 기설정된 시간을 체크하는 동안에 키입력 등의 신호가 메인시스템(11)으로 입력되면 메인시스템(11)과 모뎀(15)은 키입력 등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즉, 웹비데오폰은 아이들상태가 아닌 런상태로써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웹비데오폰이 아이들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임의 키를 입력하거나 전화벨이 울리게 되면 웹비데오폰은 더 이상 아이들상태가 아닌 런상태로써 동작하게 된다. 그래서, 일반전화(16)로부터 키입력신호(C)는 메인시스템(11)과 동작상태판단부(12)로 입력된다. 또한, 일반전화(16)로부터 전화벨신호(D)는 스피커(17)와 동작상태판단부(12)로 입력된다. 동작상태판단부(12)는 신호 C나 신호 D가 입력되면 웹비데오폰이 런상태임을 판단하게 되고, 웹비데오폰이 아이들상태일 때 공급중지되었던 전원을 전원공급부(13)로부터 메인시스템(11)과 모뎀(15)으로 다시 공급하기위한 신호(B')를 스위치부(14)로 출력한다. 스위치부(14)는 입력받은 신호 B'로써 전원공급부(13)로부터 메인시스템(11)과 모뎀(15)으로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이렇게 해서 메인시스템(11)과 모뎀(15)은 다시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입력받은 신호 C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비데오폰에 대한 아이들/런상태의 동작을 판단하여 동작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없앨 수 있다.

Claims (6)

  1. 웹비데오폰(web video phone)에 있어서,
    상기 웹비데오폰에 대한 아이들상태(idle state)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시스템;
    상기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아이들상태신호를 입력받고, 일반전화로부터 입력받는 신호에 따라 상기 웹비데오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상태판단부; 및
    전원공급부와 상기 메인시스템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시스템과 모뎀에 전원공급/차단의 동작을 가능토록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웹비데오폰이 아이들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아이들상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비데오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은 타이머기능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비데오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판단부는
    상기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아이들상태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웹비데오폰이 아이들상태임을 판단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원을 차단하기위한 제 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일반전화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웹비데오폰이 런상태(run state)임을 판단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원을 공급하기위한 제 2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비데오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전화로부터 동작상태판단부로 입력되는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되는 신호와 전화벨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비데오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되는 신호와 전화벨의 신호 중 한 신호만이 상기 동작상태판단부로 입력되어도 상기 동작상태판단부는 상기 제 2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비데오폰.
KR1019970042821A 1997-08-29 1997-08-29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KR10023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821A KR100238094B1 (ko) 1997-08-29 1997-08-29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821A KR100238094B1 (ko) 1997-08-29 1997-08-29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41A KR19990019441A (ko) 1999-03-15
KR100238094B1 true KR100238094B1 (ko) 2000-01-15

Family

ID=1951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821A KR100238094B1 (ko) 1997-08-29 1997-08-29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388B1 (ko) * 2000-09-19 2006-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뎀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4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151A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모뎀장치
KR100238094B1 (ko) 하이버네이션기능을 지닌 웹비데오폰
JPH09319475A (ja) 電源制御システム組み込み型コンピュータ
KR100312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JP200009225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
KR100480298B1 (ko)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44287A (ko) 전화선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스위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방법
JP3283754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3136936B2 (ja) 省エネルギー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12196B1 (ko) 셀룰라폰의 소비전원절감회로 및 그 방법
JP2765772B2 (ja) 電話機システム
KR940013050A (ko) 전화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17420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
JPS61105949A (ja) 電話端末への電源制御方式
KR100469728B1 (ko) 장난전화저지방법
JP2006217647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820486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節電制御方法
KR200301283Y1 (ko) 루프 검출 기능을 이용한 링/다운 유니트
KR930007127Y1 (ko) 팩스에서 전화기 훅크 온/오프 상태 검출회로
KR100607938B1 (ko) 건전지 사용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1292198A (ja) 省エネ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KR960039823A (ko) 절전모드를 갖는 팩시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30020929A (ko) 전화선을 이용하는 원격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20000042772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절약방법
JPH08279867A (ja) 電源制御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