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571B1 -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 Google Patents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571B1
KR100237571B1 KR1019960077608A KR19960077608A KR100237571B1 KR 100237571 B1 KR100237571 B1 KR 100237571B1 KR 1019960077608 A KR1019960077608 A KR 1019960077608A KR 19960077608 A KR19960077608 A KR 19960077608A KR 100237571 B1 KR100237571 B1 KR 10023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able
transmission
vo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285A (ko
Inventor
탁용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7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5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1/00Algorithm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ime-domain equalizers
    • H04L2201/06Algorithm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ime-domain equalizers using the output of a maximum likelihood decoder (Viterbi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에 강하고 보안성이 양호한 코드분할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을 적용하여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접속시키고,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시스템에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무선전화기는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국선과 접속되어 있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음성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휴대장치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송신이라는 용어는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를 경유하여 일반전화망(PSTN)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수신이라는 용어는 일반전화망에서 고정장치를 경유하여 휴대장치로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로서, 제1(a)도는 고정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고, 제1(b)도는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제1(a)도를 보면, 무선전화기 고정장치는 일반전화망(PSTN)과 접속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회선접속부(1)와, 상기 회선접속부(1)에 접속하여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서 음성대역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는 음성대역 여파기(2)와, 상기 음성대역 여파기(2)에 접속하여 신호의 진폭을 압축하는 압축기(3)와, 상기 압축기(3)에 접속하여 신호의 주파수 변조 및 복조를 행하는 주파수 변복조부(4)와, 상기 주파수 변복조부(4)에 접속하여 휴대장치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휴대장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를 흡수하는 고정장치 안테나(5)와, 상기 주파수 변복조부(4)에 접속하여 저역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여파기(6)와, 상기 회선접속부(1) 및 저역통과 여파기(6)에 접속하여 신호의 진폭을 신장하는 신장기(7)를 포함한다.
제1(b)도를 보면,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고정장치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흡수하는 휴대장치 안테나(32)와, 상기 휴대장치 안테나(32)에 접속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듀플렉서(33)를 포함하는 신호송수신부(31)와; 상기 듀플렉서(33)에 접속하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제1전력 증폭기(42)와,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기(42)에 접속하여 증폭된 신호에서 일정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제1대역통과여파기(43)와, 상기 제1대역통과여파기(43)에 접속하여 제1대역통과여파기(43)에서 통과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1혼합기(44)와, 상기 제1혼합기(44)에 접속하여 혼합된 신호에서 일정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제2대역통과여파기(45)와, 상기 제2대역통과여파기(45)에 접속하여 통과된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증폭기(46)와, 상기 중간증폭기(46)에 접속하여 중간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2혼합기(47)와, 상기 제2혼합기(47)에 접속하여 변조된 신호를 다시 복조하는 복조기(48)와, 상기 복조기(48)에 접속하여 복조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1음성증폭기(49)와, 상기 제1음성증폭기(49)에 접속하여 증폭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 시켜주는 스피커(50)와, 상기 제2혼합기(47)에 접속하여 일정주파수를 공급하는 제1전압제어 발진기(51)를 포함하는 무선수신부(41)와; 사용자의 음파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62)와, 상기 마이크(62)에 접속하여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2음성증폭기(63)와, 상기 제2음성증폭기(63)에 접속하여 증폭된 신호에서 일정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제3대역통과여파기(64)와, 상기 제3대역통과 여파기(64)에 접속하여 신호를 혼합하는 제3혼합기와(65)와, 상기 제3혼합기(65)에 접속하여 혼합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는 변조기(66)와, 상기 변조기(66)에 접속하여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완충증폭기(67)와, 상기 완충증폭기(67)에 접속하여 증폭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4혼합기(68)와, 상기 제4혼합기(68)에 접속하여 일정대역 주파수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제4대역통과 여파기(69)와, 상기 제4대역통과여파기(69)에 접속하여 무선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제2전력증폭기(70)와, 상기 제3혼합기(65)에 접속하여 일정주파수를 공급하는 제2전압제어 발진기(71)를 포함하는 무선송신부(61)와; 무선수신부(41)의 제1혼합기(44)와 수선송신부(61)의 제4혼합기(68)에 접속하여 일정주파수를 공급하는 제3전압제어 발진기(82)와; 기준주파수를 공급하는 기준발진기(83)와; 상기 기준발진기(83) 및 제3전압제어발진기(82)에 접속하여 기준발진기(83) 및 제3전압제어발진기(82)에서 공급하는 주파수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의 크기를 출력하는 위상고정루프회로(84)와; 상기 위상고정루프회로(84) 및 제3전압제어발진기(82)에 접속하여 위상고정루프회로(84)의 출력에서 저역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켜 그 크기를 직류전압으로 변화시켜 주는 저역통과 여파기(85)와; 휴대장치의 현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96)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다이얼부(97)와; 상기 무선수신부(41)의 제1음성 증폭기(49), 무선송신부(61)의 제2음성증폭기(63), 표시부(96) 및 다이얼부(97)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8)와; 무선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송신과정을 보면,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제어부(98)에서 송출되는 통화요구신호, 다이얼부(97)을 통하여 입력되는 다이얼 신호 및 마이크(62)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휴대장치의 무선송신부(61)의 변조기(66)에서 변조되어 무선송신부(61)를 거친 후 휴대장치 안테나(32)를 통하여 방사된다.
휴대장치 안테나(32)를 통하여 방사된 통화요구신호등은 고정장치 안테나(5)에 흡수되어 주파수 변복조부(4)에서 복조된 후 저대역통과여파기(6), 신장기(7)을 경유하여 회선접속부(1)로 전송된 후 일반전화망으로 전송된다.
수신과정을 보면, 일반전화망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음, 상대방의 음성 신호등은 회선접속부(1), 음성 대역여파기(2) 및 압축기(3)을 경유하여 고정장치의 주파수변복조부(4)에서 변조된 후 고정장치 안테나(5)로 통하여 방사된다.
휴대장치 안테나(32)에 흡수된 호출음등은 무선수신부(41)을 경유하여 복조기(48)에서 복조과정을 거친 후 스피커(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종래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에서는 아날로그 주파수변조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잡음의 삽입, 혼선이 발생하고 보안성이 없어 도청당할 염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에 강하고 보안성이 양호한 코드분할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로서,
제1(a)도는 고정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제1(b)도는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로서,
제2(a)도는 고정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제2(b)도는 제1태양의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제2(c)도는 제2태양의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STN : 일반전화망 VBPF : 음성대역 여파기
COM : 압축기 LPF : 저역통과여파기
EXP : 신장기 DUPLEXER : 듀플렉서
DNC : 하향변환기 DMOD : 상관검출기
DINT : 인터리빙제거부 INT : 인터리빙삽입부
UPC : 상향변환기 PA : 전력증폭기
CODEC : 코덱 VOCODER : 음성부호화기
CONVOLUTION ENCODER : 길쌈부호화기
A : 안테나 1 : 회선접속부
4 : 주파수변복조부 41 : 무선수신부
61 : 무선송신부 111 : 신호전송부
181, 281, 381 : 전원부 182, 282, 382 : 중앙제어부
201, 301 : 데이터 처리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로서, 제2(a)도는 고정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고, 제2(b)도는 제1태양의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며, 제2(c)도는 제2태양의 휴대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제2(a)도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는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고정장치 안테나(112)와, 상기 고정장치 안테나(112)에 접속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듀플렉서(113)와, 상기 듀프렉서(113)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114)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114)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하향변환기(DNC : 115)와, 상기 하향변환기(115)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Quadrature Phase-Shift Keying : QPSK)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각각 4비트의 I(In-Phase)채널, Q(Quadrature-Phase)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I, Q 복조부(116)와, 상기 I, Q 복조부(116)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I, Q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휴대장치에서 보낸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상관검출기(DMOD : 117)와, 상기 상관검출기(117)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Interleaving)된 신호를 복원하는 인터리빙 제거부(DINT : 118)와, 상기 인터리빙 제거부(118)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119)와, 상기 비터비 디코더(119)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PCM)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음성부호화기(Vocoder : 120)와, 상기 음성부호화기(120)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코덱(CODEC : 121)과, 상기 음성 부호화기(120)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음성부호화기(120)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122)와; 상기 길쌈인코더(122)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I,Q 비트를 생성하는 인터리빙 삽입부(126)와, 상기 인터리빙 삽입부(126)에 접속하여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I, Q 변조부(123)와, 상기 I, Q 변조부(123)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상향변환기(UPC : 124)와, 상기 상향변환기(124)에 접속하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25)를 포함하는 신호전송부(111)와; 상기 신호전송부(111)에 접속하여 19.6608MHz 시스템 클럭을 공급하는 발진기(132)와, 상기 발진기(132)에 접속하여 1초단위로 게수하는 계수기(133)와, 상기 계수기(133)에 접속하여 계수기 출력을 2분주하여 신호전송부(111)로 출력하는 2분주기(134)와, 신호전송부(111)로 TOD(Time of Day)를 공급하는 클럭타이머(135)를 포함하는 시스템 타이밍부(131)와; 상기 신호전송부(111) 및 시스템타이밍부(131)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82)와; 상기 신호전송부(111), 시스템타이밍부(131) 및 중앙제어부(182)에 접속하여 이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1)로 구성된다.
제2(b)도를 보면, 제1태양의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는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휴대장치 안테나(A:312)와, 상기 휴대장치 안테나(312)에 접속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무선전화 듀플렉서(313)와, 상기 무선 전화 듀플렉서(313)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의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전화 하향변환기(314)와, 상기 무선전화 하향변환기(314)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4비트의 I채널 및 4비트의 Q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복조부(315)와, 상기 휴대 I, Q 복조부(315)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I, Q 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휴대 상관 검출기(DMOD : 316)와, 상기 휴대 상관 검출기(316)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을 제거하는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DINT : 317)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317)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휴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318)와, 상기 휴대 비터비 디코더(318)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음성부호화기(Vocoder : 319)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319)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코덱(CODEC : 320)과, 상기 휴대 코덱(320)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SP : 321)와, 송신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 : 322)와, 상기 휴대 음성 부호화기(319)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휴대 음성부호화기(319)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휴대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323)와; 상기 휴대 길쌈인코더(323)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각각 4비트의 I, Q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INT : 324)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324)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변조부(325)와, 상기 휴대 I, Q 변조부(325)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휴대 I, Q 변조부(325)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화 듀플렉서(313)로 출력하는 무선전화 상향변환기(326)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301)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다이얼부(383)와; 상기 데이터처리부(301) 및 다이얼부(383)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82)와; 상기 데이터처리부(301) 및 중앙제어부(382)에 접속하여 이들에게 소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81)로 구성된다.
제2(c)도를 보면, 제2태양의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는 이중 대역에서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이중대역 안테나(DA : 212)와, 상기 이중대역 안테나(212)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주고 받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무선전화 듀플렉서(213)와, 상기 이중대역 안테나(212)에 접속하여 기지국과 주고 받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이동전화 듀플렉서(229)와, 상기 무선전화 듀플렉서(213)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의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의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전화 하향변환기(214)와, 상기 이동전화 듀플렉서(229)에 접속하여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의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이동전화 하향변환기(227)와,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4비트의 I채널 및 4비트의 Q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복조부(215)와, 상기 휴대 I, Q 복조부(215)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I, Q 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휴대장치 또는 기지국에서 보낸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휴대 상관검출기(DMOD : 216)와, 상기 휴대 상관검출기(216)에 접속하여 고정정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을 제거하는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DINT : 217)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217)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휴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218)와, 상기 휴대 비터비 디코더(218)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신호로 변환하고,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음성부호화기(Vocoder : 219)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219)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코덱(CODEC : 220)과, 상기 휴대 코덱(220)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SP : 221)와, 고정 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 : 222)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219)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휴대 음성부호화기(219)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디지탈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휴대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223)와; 상기 휴대 길쌈인코더(223)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각각 4비트의 I,Q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INT : 224)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224)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변조부(225)와, 고정장치와의 송신단계에서 휴대 I, Q 변조부(225)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화 듀플렉서(213)로 출력하는 무선전화 상향변환기(226)와, 상기 휴대 I, Q 변조부(225) 및 휴대전화 듀플렉서(229)에 접속하여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휴대 I, Q 변조부(225)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정화 듀플렉서(229)로 출력하는 이동전화 상향변환기(228)와, 상기 이동전화 하향변환기(227), 무선전화 하향변환기(214), 휴대 I, Q 변조부(225) 및 무선전화 듀플렉서(213)에 접속하여 제1상태에서 이동전화 하향변환기(227)와 휴대 I.Q 복조부(215)를, 이동전화 상향변환기(228)와 휴대 I.Q 변조부(225)를 연결하고 제2상태에서 무선전화 하향변환기(214)와 휴대 I.Q 복조부(215)를, 무선전화 상향변환기(226)와 휴대 I.Q변조부(225)를 연결하는 스위치(SW : 280)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201)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다이얼부(283)와; 상기 데이터처리부(201) 및 다이얼부(283)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82)와; 상기 데이터처리부(201) 원부(28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이롯(Pilot) 동기를 맞추기 위한 숏코드(Short Code) 및 각 휴대장치에 할당되는 롱 코드(Long Code)는 기존의 셀룰러(Celluar)망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정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9.6608MHz 시스템 클럭, 계수기(133)와 2분주기(134)를 통해 2초 마다 출력되는 클럭은 무선전화기 시스템 전체의 타이밍 동기를 맞추고, TOD(Time of Day)는 단말기의 롱코드(Long Code)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되고, I채널 디지털 데이터와 Q채널 디지털 데이터는 9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휴대 비터비 디코더(218,318)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길쌈인코더(122)와,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비터비 디코더(119)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길쌈인코더(223,323)와 상관적으로 작용하여 무선구간에서 발생한 에러(error)를 복구한다.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제1태양의 휴대장치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송신과정을 보면,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중앙제어부(382)에서 송출되는 통화요구신호, 다이얼부(383)를 통하여 입력되는 다이얼 신호 및 마이크(3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휴대장치의 데이터 처리부(301)의 휴대코덱(320), 휴대 음성부호화기(319), 휴대 길쌈인코더(323),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324), 휴대 I.Q 변조부(325), 무선전화 상향변환기(326), 무선전화듀플렉서(313)을 경유하면서 직교변조되고 무선주파수 대역으로 상향변환된 후 휴대장치 안테나(312)를 통하여 방사된다.
휴대장치 안테나(312)를 통하여 방사된 통화요구신호등은 고정장치 안테나(112)에 흡수되어 듀플렉서(113), 저잡음증폭기(114), 하향변환기(115), I.Q복조부(116), 상관검출기(117), 인터리빙제거부(116), 비터비 디코더(119), 음성부호화기(120) 및 코덱(121)을 경유하면서 직교복조되고 기저대역으로 하향변환된 후 일반전화망으로 전송된다.
수신과정을 보면, 일반전화망으로 부터 전송되는 호출음, 상대방의 음성신호등은 고정장치 신호전송부(111)의 코덱(121), 음성부호화기(120), 길쌈인코더(122), 인터리빙 삽입부(128), I.Q 변조부(123), 상향변환기(124), 전력증폭기(125) 및 듀플렉서(113)를 경유하면서 직교변조되고 무선주파수 대역으로 상향변환된 후 고정장치 안테나(112)를 통하여 방사된다.
고정장치 안테나(112)를 통하여 방사된 호출음등은 휴대장치 안테나에 흡수되어 휴대장치의 데이터처리부(301)의 무선전화 듀플렉서(313), 무선전화 하향 변환기(314), 휴대 I.Q복조부(315), 휴대 상관검출기(316), 휴대 인터리빙제거부(317), 휴대 비터비 디코더(318), 휴대 음성부호화기(319) 및 휴대 코덱(320)을 경유하면서 직교복조되고 기저대역으로 하향변환된 후 스피커(321)를 통하여 출력된다.
제2(a)도 및 제2(c)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제2태양의 휴대장치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280)을 조작하여 일반전화망에 접속할 것인지 일반 셀룰러망에 접속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일반전화망에 접속하는 경우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발명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제1태양의 휴대장치에 따른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일반 셀룰러망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 대신 다중 접속방식을 채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이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발명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제1태양의 휴대장치에 따른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또한 보안을 유지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하나의 휴대장치로서 일반전화망 또는 일반 셀룰러망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Claims (2)

  1.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고정장치 안테나(112)와, 상기 고정장치 안테나(112)에 접속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듀플렉서(113)와, 상기 듀프렉서(113)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114)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114)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하향변환기(DNC : 115)와, 상기 하향변환기(115)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4.95MHz 중간 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Quadrature Phase-Shift Keying : QPSK)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각각 4비트의 I(In-Phase)채널, Q(Quadrature-Phase)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I, Q 복조부(116)와, 상기 I, Q 복조부(116)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I, Q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휴대장치에서 보낸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상관검출기(DMOD : 117)와, 상기 상관검출기(117)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Interleaving)된 신호를 복원하는 인터리빙 제거부(DINT : 118)와, 상기 인터리빙 제거부(118)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119)와, 상기 비터비 디코더(119)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PCM)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음성부호화기(Vocoder : 120)와, 상기 음성부호화기(120)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코덱(CODEC : 121)과, 상기 음성부호화기(120)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음성부호화기(120)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122)와; 상기 길쌈인코더(122)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I, Q 비트를 생성하는 인터리빙 삽입부(126)와, 상기 인터리빙 삽입부(126)에 접속하여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I, Q 변조부(123)와, 상기 I, Q 변조부(123)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상향변화기(UPC : 124)와, 상기 상향변환기(124)에 접속하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25)를 포함하는 신호전송부(111)와; 상기 신호전송부(111)에 접속하여 19.6608MHz 시스템 클럭을 공급하는 발진기(132)와, 상기 발진기(132)에 접속하여 1초단위로 계수하는 계수기(133)와, 상기 계수기(133)에 접속하여 계수기 출력을 2분주하여 신호전송부(111)로 출력하는 2분주기(134)와, 신호전송부(111)로 TOD(Time of Day)를 공급하는 클럭타이머(135)를 포함하는 시스템 타이밍부(131)와; 상기 신호전송부(111) 및 시스템타이밍부(131)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82)와; 상기 신호전송부(111), 시스템타이밍부(131) 및 중앙제어부(182)에 접속하여 이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1)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휴대장치 안테나(A : 312)와, 상기 휴대장치 안테나(312)에 접속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무선전화 듀플렉서(313)와, 상기 무선전화 듀플렉서(313)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의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전화 하향변환기(314)와, 상기 무선전화 하향변환기(314)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4비트의 I채널 및 4비트의 Q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복조부(315)와, 상기 휴대 I, Q 복조부(315)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I, Q 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휴대 상관 검출기(DMOD : 316)와, 상기 휴대 상관검출기(316)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을 제거하는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DINT : 317)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317)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휴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318)와, 상기 휴대 비터비 디코더(318)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음성부호화기(Vocoder : 319)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319)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코덱(CODEC : 320)과, 상기 휴대 코덱(320)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SP : 321)와, 송신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 : 322)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319)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휴대 음성부호화기(319)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휴대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323)와; 상기 휴대 길쌈인코더(323)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각각 4비트의 I, Q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INT : 324)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324)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변조부(325)와, 상기 휴대 I, Q 변조부(325)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휴대 I, Q 변조부(325)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화 듀플렉서(313)로 출력하는 무선전화 상향변환기(326)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301)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다이얼부(383)와; 상기 데이터처리부(301) 및 다이얼부(383)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82)와; 상기 데이터처리부(301) 및 중앙제어부(382)에 접속하여 이들에게 소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81)를 포함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2.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고정장치 안테나(112)와, 상기 고정장치 안테나(112)에 접속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듀플렉서(113)와, 상기 듀플렉서(113)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114)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114)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하향변환기(DNC :115)와, 상기 하향변환기(115)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Quadrature Phase-Shift Keying : QPSK)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타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각각 4비트의 I(In-Phase)채널, Q(Quadrature-Phase)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I, Q 복조부(116)와, 상기 I, Q 복조부(116)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I, Q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휴대장치에서 보낸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상관검출기(DMOD : 117)와, 상기 상관검출기(117)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Interleaving)된 신호를 복원하는 인터리빙 제거부(DINT : 118)와, 상기 인터리빙 제거부(118)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119)와, 상기 비터비 디코더(119)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PCM)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음성부호화기(Vovoder : 120)와, 상기 음성부호화기(120)에 접속하여 송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코덱(CODEC : 121)과, 상기 음성부호화기(120)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음성부호화기(120)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122)와; 상기 길쌈인코더(122)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I, Q 비트를 생성하는 인터리빙 삽입부(126)와, 상기 인터리빙 삽입부(126)에 접속하여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I, Q 변조부(123)와, 상기 I, Q 변조부(123)에 접속하여 수신단계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상향변환기(UPC : 124)와, 상기 상향변환기(124)에 접속하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25)를 포함하는 신호전송부(111)와, 상기 신호전송부(111)에 접속하여 19.6608MHz 시스템 클럭을 공급하는 발진기(132)와, 상기 발진기(132)에 접속하여 1초단위로 계수하는 계수기(133)와, 상기 계수기(133)에 접속하여 계수기 출력을 2분주하여 신호전송부(111)로 출력하는 2분주기(134)와, 신호전송부(111)로 TOD(Time of Day)를 공급하는 클럭타이머(135)를 포함하는 시스템 타이밍부(131)와; 상기 신호전송부(111) 및 시스템타이밍부(131)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82)와; 상기 신호전송부(111), 시스템타이밍부(131) 및 중앙제어부(182)에 접속하여 이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1)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와: 이중 대역에서 전파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이중대역 안테나(DA : 212)와, 상기 이중대역 안테나(212)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주고 받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무선전화 듀플렉서(213)와, 상기 이중대역 안테나(212)에 접속하여 기지국과 주고 받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이동전화 듀플렉서(229)와, 상기 무선전화 듀플렉서(213)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의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의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전화 하향변환기(214)와, 상기 이동전화 듀플렉서(229)에 접속하여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의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이동전화 하향변환기(227)와,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4.95MHz 중간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하여 4비트의 I채널 및 4비트의 Q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복조부(215)와, 상기 휴대 I, Q 복조부(215)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I, Q 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역확산하여 휴대장치 또는 기지국에서 보낸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는 휴대 상관검출기(DMOD : 216)와, 상기 휴대 상관검출기(216)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수신신호로부터 인터리빙을 제거하는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DINT : 217)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제거부(217)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인터리빙이 제거된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휴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 218)와, 상기 휴대 비터비 디코더(218)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64Kbps의 피시엠신호로 변환하고,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음성부호화기(Vocoder : 219)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219)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64Kbps의 피시엠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그 역변환을 행하는 휴대 코덱(CODEC : 220)과, 상기 휴대 코덱(220)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수신단계에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SP : 221)와,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 : 222)와, 상기 휴대 음성부호화기(219)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휴대 음성부호화기(219)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율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길쌈부호화하는 휴대 길쌈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 : 223)와; 상기 휴대 길쌈인코더(223)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인터리빙하여 각각 4비트의 I, Q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INT : 224)와, 상기 휴대 인터리빙 삽입부(224)에 접속하여 고정장치와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I, Q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다시 이를 직교변조하여 4.95MHz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I, Q 변조부(225)와, 고정장치와의 송신단계에서 휴대 I, Q 변조부(225)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화 듀플렉서(213)로 출력하는 무선전화 상향변환기(226)와, 상기 휴대 I, Q 변조부(225) 및 휴대전화 듀플렉서(229)에 접속하여 기지국과의 송신단계에서 휴대 I, Q 변조부(225)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전화 듀플렉서(229)로 출력하는 이동전화 상향변환기(228)와, 상기 이동전화 하향변환기(227), 무선전화 하향변환기(214), 휴대 I, Q 변조부(225) 및 무선전화 듀플렉서(213)에 접속하여 제1상태에서 이동전화 하향변환기(227)와 휴대 I.Q 복조부(215)를, 이동전화 상향변환기(228)와 휴대 I.Q 변조부(225)를 연결하고 제2상태에서 무선전화 하향변환기(214)와 휴대 I.Q 복조부(215)를, 무선전화 상향변환기(226)와 휴대 I.Q변조부(225)를 연결하는 스위치(SW : 280)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201)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다이얼부(283)와; 상기 데이터처리부(201) 및 다이얼부(283)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82)와; 상기 데이터처리부(201) 및 중앙제어부(282)에 접속하여 이들에게 소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81)를 포함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KR1019960077608A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KR10023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608A KR100237571B1 (ko)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608A KR100237571B1 (ko)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285A KR19980058285A (ko) 1998-09-25
KR100237571B1 true KR100237571B1 (ko) 2000-01-15

Family

ID=194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608A KR100237571B1 (ko)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03B1 (ko) * 1999-03-11 2002-05-23 정명덕 데이터, 음성 및 다중통신의 비화시스템
EP3737007B8 (en) 2019-05-06 2023-11-15 Rohde & Schwarz GmbH & Co. KG Mobile radio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tocol te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28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244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stablishing the functional capabilit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a base unit and a remote unit
US5258995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278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emote unit communicating with a base unit over a common frequency channel
US5263045A (en) Spread spectrum conference call system and method
US5247702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base unit and a remote unit
JP2982354B2 (ja) 送受信装置
US6028850A (en) Wireless transceiver and frequency plan
USRE45155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services and protocols
US5212808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unit and a remote unit
KR9700089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frequency handoff in communication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WO1997004612A1 (en) Wideband base station architecture for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259003A (en) Method of encoding two digital data signals
JPH07170575A (ja) チャンネル切替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コードレス電話機
CN100372412C (zh) 用于双模移动手持机的方法和装置
KR100237571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JPH08181661A (ja) 無線信号伝送装置
US6278722B1 (en) Architecture for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KR100771720B1 (ko) 버스트 파일럿 비트를 이용하는 채널 추정 및 역회전을 위한 판정 피드백 루프 장치 및 방법과, 이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기와, 이 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국
KR100429454B1 (ko) 근거리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용 변복조기 및 이를채용하는 무선 헤드셋
KR20030019906A (ko) 휴대통신기기 및 채널 포착방법
JPH0750959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67151B1 (ko) 직접변환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초협대역 단말 시스템 및그의 다중대역 송수신 장치
US8068573B1 (en) Phase dithered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JP2002077325A (ja) 無線通信装置
JP3078047B2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