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360B1 -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 Google Patents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360B1
KR100237360B1 KR1019960077424A KR19960077424A KR100237360B1 KR 100237360 B1 KR100237360 B1 KR 100237360B1 KR 1019960077424 A KR1019960077424 A KR 1019960077424A KR 19960077424 A KR19960077424 A KR 19960077424A KR 100237360 B1 KR100237360 B1 KR 100237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station
central
station
st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115A (ko
Inventor
성기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7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3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7Transmission equipment in earth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 위성을 이용한 데이트 통신에서 중심 지구국을 이중화하여 강우, 강설에 대한 신호 감쇠 및 이중화장비의 동시 고장에 대비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방법은 강우, 강설로 인한 신호 감쇠를 상향링크 전력 제어기를 이용하여 신호 감쇠를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상향 링크 전력을 올리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상향 링크 전력을 올리는 방법과 병행하여 중심 지구국을 이중화하는 송신장비의 이중화 쌍이 동시 고장일 경우에는 예비의 중심국으로 절체를 행하여 서비스의 중단없이 계속 위성을 통한 송신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중심국 이중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를 구현하여 강우, 강설에 의한 신호 감쇠와 송신 부분의 고장이 발생한 위급한 상황에 대비한 것으로, 위급한 상황에서는 예비의 중심국으로 절체가 이루어 지며, 이로 인해 서비스의 중단없이 계속적인 데이터를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된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Algorithm)에 관한 것이다.
즉,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를 구현하여 중심국 위성전송 장비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강우, 강설에 의한 신호 감쇠가 기준치 이상으로 심하여 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 할 경우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예비의 중심국으로 절체가 가능하도록 한 제어 알고리즘으로, 본 발명은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위성을 이용한 데이터 송, 수신 장비에도 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강우로 인한 전파 자속밀도의 초과감쇠를 보상하는 방법에는 송신기의 출력, 안테나 등을 조정하여 신호 발사전력을 감쇠값 만큼 올리는 고전력 시스템 방법과 초과 감쇠를 일으키는 경로를 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경로로 전환하는 경로 다이버시티(Diversity) 방법 또는 강우의 영향이 적은 주파수로 전환하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법등이 있다. 초과감쇠 보상방법은 시스템 설계시 경제성과 신뢰성을 함께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하는데, 시스템의 신뢰성만 고려하면 경제적인 면이, 경제성만 고려하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위성통신 링크에 대하여 경로 다이버시티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것으로, 이 제안은 감쇠를 크게 일으키는 강우셀(Cell)이 매우 제한적이고 또한 이 강우셀은 다른 셀에 근접하여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두 경로에서는 동시적으로 감쇠가 발생할 확률이 적게 되며, 이 가정은 서로 독립된 경로에서의 강우감쇠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측위 잡음발사 측정을 이용하여 시험되었다.
이들 실험에 의해 경로 다이버시티가 강우감쇠 현상중에서 시스템 신뢰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확인되었고,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법은 강우감쇠에 영향을 받지않는 주파수를 기초로 한 것으로써, 이 경우에는 동일 시스템에 10GHz 이상과 10GHz 이하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어서 강우의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높은 트래픽(Traffic)이 강우감쇠의 영향이 낮은 주파수로 전환되어진다. 따라서 채널용량은 그 트래픽의 부분에 대한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감소되어진다. 즉 이것은 우선순위가 높은 모든 트래픽은 낮은 주파수로 할당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채널은 10GHz 이상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외에 각도 다시버시티는 하나의 지구국에서 서로 떨어진 궤도상에 위치한 위성으로 지구국-위성간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방식이다.
따라서 강우 셀이 지구국으로부터 어느정도의 거리밖에 있는 경로상에서 발생하면 경로 다이버시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강우 셀이 지구국 근처에서 발생하면 개선효과가 매우 미약하게 된다. 이 방식은 여러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다경로의 구성이 가능할 경우에 최대 효과를 얻는다.
그런데, 기존의 위성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강우, 강설에 의한 신호감쇠를 송신 장비의 파워(Power)를 높여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송신장비를 이중화 구조로 하여 장비의 고장에 대비하였으나, 파워를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고, 송신 장비를 이중화하여도 동시에 송신 장비 A와 B가 고장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비책으로 현재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 중심국에 신호의 감쇠가 심하거나 송신 장비의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현재의 중심국을 예비의 중심국으로 절체하여 예비의 중심국에서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사이는 128Kbps 전용선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백업 라인(Backup Line)으로 사용하며 중앙 중심국의 감시 및 제어를 하는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 망 관리부)와 예비 중심국을 감시하는 NMS사이는 9600bps 전용선을 사용하며, 중앙 NMS와 예비 NMS사이의 전용선이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의 절체를 행하는 제어선이자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의 상태를 주고 받는 라인으로 사용되게 하고, 중앙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 절체가 이루어지는 다음과 같은 세개의 알고리즘 즉, 중앙 NMS에서 강우, 강설로 인한 신호감쇠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예비 중심국으로 절체하며, 중앙 중심국의 위성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장비인 HPA 트랜스미터(Transmitter) A와 B가 동시 고장이거나 데이터를 BPSK(Bi-phase Shift Keying) 변조하는 장비인 모뎀 A와 B, 모뎀에 10MHz 기준 클록을 제공하는 장비인 REF A와 B가 동시에 고장일 경우의 예비 중심국으로 절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방법은 망 관리부가 부팅이 되면 NMS내부의 프로세서는 데이타베이스를 읽어서 모드를 동작하게 되는 제 1 단계와, 판단된 모드가 중앙인 경우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가 자동인지 수동인지를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자동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 4 단계와, 자동인 경우에는 중앙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게 되는 제 5 단계와, 중앙 중심국의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UPC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 7단계와, UPC 또는 다운링크 상태가 오류인지를 검사하며, 만일 잘못된 상태인 경우인 제 8 단계와 비콘신호 레벨을 읽는 제 9 단계와, 검사 테이블을 참조하여 SMdB값을 구하는 제 10 단계와, 맑은 날 비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인 제 11 단계와, 맑은 날의 비콘 신호레벨과의 차이를 구하는 제 12 단계와, 여기에 변수값을 곱하여 중앙 중심국의 상향 링크 손실을 얻는 제 13 단계와, UILM값이 10 보다 크고 13보다 작으면 제 14 단계와, 예비 NMS에서 읽어 온 상향 링크 신호감쇠값과의 차의 절대치가 2보다 작은지 비교한 후 절대치가 2 보다 작으면 제 15 단계와, 중앙 모뎀이 송신하게 되며, 2보다 크면 ULM과 ULS의 대소를 비교하여 ULM이 크지 않으면 중앙 모뎀이 송신하고 ULS가 작으면 송신하는 제 16 단계와, ULM값이 10보다 크고 13보다 작은 범위에 있지 않으면 ULM과 ULS값과의 차의 절대치를 1보다 작은지 비교하고, 1보다 작으면 송신하는 제 17 단계와, 중앙 중심국의 상태가 자동이 아닌 수동인 경우에는 절체 명령이 있을 경우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을 스위칭하는 제 18 단계와, 중앙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 송신하는 제 19 단계와, 혹은 예비 중심국에서 중앙 중심국으로 절체하는 제 2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중심국 이중화를 구현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중심국과, 상시 소정 위성과 신호를 입, 출력하는 중앙 중심국을 중심으로 이 중앙 중심국을 제어 및 감시하는 망 관리부와, 상기 중앙 중심국을 제어 및 감시하는 망 관리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예비 중심국도 이를 제어 및 감시하는 망 관리부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에서 중심 지구국을 이중화하여 강우, 강설에 대한 신호 감쇠 및 이중화장비의 동시 고장에 대비 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방법은 강우, 강설로 인한 신호 감쇠를 상향링크 전력 제어기를 이용하여 신호 감쇠를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상향 링크 전력을 올리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상향 링크 전력을 올리는 방법과 병행하여 중심 지구국을 이중화하는 송신장비의 이중화 쌍이 동시 고장일 경우에는 예비의 중심국으로 절체를 행하여 서비스의 중단없이 계속 위성을 통한 송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중심국 이중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로 사용하는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이 서로 원격지에 위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중앙 중심국이 서울에 위치하면 예비 중심국은 대전 혹은 서울과 멀리 떨어져 강우, 강설의 영향이 서울과 다른 지역이어야 중심국 이중화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사이는 고속전용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절체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별도의 전용선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심국 이중화의 구성은, 상시 소정 위성과 신호를 입, 출력하는 중앙 중심국을 중심으로 이 중앙 중심국을 제어 및 감시하는 망 관리부(NMS)가 있게 되고, 만일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강우나 강설등의 요소에 의해 감쇠하거나 위성 지구국내의 송신 설비가 고장나게 되면 이를 대체하기 위해, 예컨대 중앙 중심국이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면 이와는 동떨어진 거리인 대전이나 광주등과 같은 지점에 예비 중심국이 상설되어 있다가 상기 중앙 중심국의 이상 원인이 발견되게 되면, 연결되어 있는 128K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용 전송선을 통해 파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중심국을 제어 및 감시하는 망 관리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예비 중심국도 이를 제어 및 감시하는 망 관리부(NMS)가 있어서 중앙 중심국의 이상으로 인해 예비 중심국으로 정체될 때 이 예비 중심국을 제어 및 감시하게 되며, 상기 중앙 중심국을 제어하는 망 관리부와 상기 에비 중심국을 제어하는 망 관리부사이에는 9600bps의 제어 명령용 전용선이 있어 이 제어 명령용 전용선을 통해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의 절체시 제어신호 및 각 중심국의 상태에 관한 신호가 입,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쳐트로, 실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NMS(망 관리부)가 부팅(Booting)이 되면 이 NMS내부의 프로세서는 데이타베이스를 읽어서 스스로 중앙 NMS인지 예비 NMS인지를 알아서 해당되는 모드로 동작하게 되며(ST 1 단계), 판단된 모드가 중앙(Master)인 경우에는 (ST 2 단계)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가 오토(자동)인지 매뉴얼(수동)인지 선택하게 되고(ST 3 단계), 자동인 경우에는(ST 4 단계)중앙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ST 5 단계).
이어, 중앙 중심국의 상태가 정상이면(ST 6 단계) UPC(Uplink Power Controller)의 상태를 파악하고(ST 7 단계), 이 UPC 또는 다운(하향)링크 상태가 오류인지를 검사하며, 만일 잘못된 상태이면(ST 8 단계) 비콘(Beacon)신호 레벨(SM)을 읽고(ST 9 단계) 검사 테이블을 참조하여 SMdB값을 구하며(ST 10 단계), 이어 맑은 날 비콘신호(ScdB)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ST 11 단계) 맑은 날의 비콘신호레벨과의 차(DLM)를 구하고(ST 12 단계) 여기에 변수값을 곱하여 중앙 중심국의 상향 링크 손실(ULM)을 얻는다.(ST 13 단계).
또한, (c)에 도시한 바와같이, ULM값이 10보다 크고 13보다 작으면(ST 14 단계) 예비 NMS에서 읽어 온 상향 링크 신호감쇠값(ULS)과의 차의 절대치가 2보다 작은지 비교한 후 절대치가 2보다 작으면(ST 15 단계) 중앙 모뎀이 송신하게 되며, 2보다 크면 ULM과 ULS의 대소를 비교하여 ULM이 크지 않으면 중앙 모뎀이 송신하고 ULS가 작으면(ST 16 단계) 예비 모뎀이 송신하도록 절체를 하게 된다.
또한, ULM값이 10보다 크고 13보다 작은 범위에 있지 않으면 ULM과 ULS값과의 차의 절대치를 1보다 작은지 비교하고, 1보다 작으면(ST 17 단계) 중앙 모뎀이 송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ULM과 ULS의 대소를 비교하여 ULM이 크지 않으면 중앙 모뎀이 송신을 하게 되며, ULS가 작으면 예비 모뎀이 송신하도록 절체를 한다.
또한, 상기 ST 4 단계에서 중앙 중심국의 상태가 자동이 아닌 수동인 경우에는 절체 명령이 있을 경우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을 스위칭하게 되는 바(ST 18 단계), 중앙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ST 19 단계) 혹은 예비 중심국에서 중앙 중심국으로 절체를 한다(ST 20 단계).
또한, 상기 ST 6 단계에서 중앙 중심국이 정상이 아니면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를 실행하는 바, 상기 중앙 중심국의 비정상상태를 근거로 NMS는 예비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한 후(ST 21 단계), 예비 중심국이 정상상태이면(ST 22 단계) 예비 중심국 모뎀의 캐리어(Carrier)가 온(On)이 되면서(ST 23 단계) 예비 중심국의 라인이 온상태가 되어(ST 24 단계) 중앙 중심국의 모뎀 캐리어에 의해 뮤트(Mute)가 되고(ST 25 단계), 이에 따라 중앙 중심국은 라인이 오프(Off)되어(ST 26 단계)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ST 8 단계에서, UPC나 하향링크상태가 오류가 아니면, UPC의 감쇠기(ATT)의 이득값(ULM)을 읽어(ST 27 단계) ULM값이 10보다 크지 않으면 중앙 중심국의 모뎀이 송신하고 ULM값이 10보다 크면(ST 28 단계) 예비 중심국의 상향 링크 감쇠기의 손실(ULS)을 읽어서(ST 29 단계) 상기 ST 14 단계에서부터 ST 17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ST 2 단계에서 NMS가 판단한 결과가 중앙 중심국이 아닌 예비중심국인 경우, 먼저 수동인 경우에는 상기 ST 18 단계에서부터 ST 20 단계를 반복실행하게 되며, 자동인 경우에는 NMS가 예비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여(ST 30 단계) 예비 중심국이 정상이 아니고 예비 중심국에서 송신중이면 중앙 중심국으로의 절체를 실행하는 바, 먼저 중앙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고(ST 32 단계)중앙 중심국이 정상상태이면(ST 33 단계) 중앙 중심국의 모뎀 캐리어에 의해 온이 되고(ST 34 단계) 상기 모뎀의 캐리어신호의 온에 의해 중앙 중심국의 라인이 온이 되며(ST 35 단계), 상기 중앙 중심국의 라인 온을 근거로 예비 중심국 모뎀을 캐리어신호를 출력하여 뮤트가 되고(ST 36 단계) 이에 따라 예비 중심국은 라인이 오프가 되게 된다(ST 37 단계).
또한, 상기 ST 31 단계에서, 예비 중심국이 정상인 경우에는 UPC(Uplink Power Controller)의 상태를 파악하고(ST 38 단계), 이 UPC 또는 다운(하향)링크 상태가 오류인지를 검사하며, 만일 잘못된 상태이면(ST 39 단게) 비콘(Beacon)신호 레벨(SM)을 읽고(ST 40 단계) 검사 테이블을 참조하여 SMdB값을 구하며(ST 41 단계), 이어 맑은 날 비콘신호(SCdB)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ST 42 단계) 맑은 날의 비콘신호레벨과의 차(DLM)를 구하고(ST 43 단계) 여기에 변수값을 곱하여 예비 중심국의 상향 링크 손실(ULM)을 얻는다(ST 44 단계).
또한, 상기 ST 39 단계에서 UPC 또는 하향 링크의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UPC의 감쇠기(ATT)의 이득값(ULM)을 읽고(ST 45 단계), 예비 중심국의 상향 링크 감쇠기의 손실(ULS)을 읽어서(ST 46 단계) 상술한 ST 14 단계에서부터 ST 16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에서 중심 지구국을 이중화하여 강우, 강설에 대한 신호 감쇠 및 이중화장비의 동시 고장에 대비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방법은 강우, 강설로 인한 신호 감쇠를 상향링크 전력 제어기를 이용하여 신호 감쇠를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상향 링크 전력을 올리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상향 링크 전력을 올리는 방법과 병행하여 중심 지구국을 이중화하는 송신장비의 이중화 쌍이 동시 고장일 경우에는 예비의 중심국으로 절체를 행하여 서비스의 중단없이 계속 위성을 통한 송신을 할 수 있게 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망 관리부가 부팅이 되면 NMS내부의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서 모드를 동작하게 되는 제 1 단계와; 판단된 모드가 중앙인 경우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가 자동인지 수동인지를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자동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 4 단계와; 자동인 경우에는 중앙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게 되는 제 5 단계와; 중앙 중심국의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UPC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 7 단계와; UPC 또는 다운링크 상태가 오류인지를 검사하며, 만일 잘못된 상태인 경우인 제 8 단계와; 비콘신호 레벨을 읽는 제 9 단계와; 검사 테이블을 참조하여 SMdB값을 구하는 제 10 단계와; 맑은 날 비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인 제 11 단계와; 맑은 날의 비콘 신호레벨과의 차이를 구하는 제 12 단계와; 여기에 변수값을 곱하여 중앙 중심국의 상향 링크 손실을 얻는 제 13 단계와; UILM값이 10 보다 크고 13보다 작으면 제 14 단계와; 예비 NMS에서 읽어 온 상향링크 신호감쇠값과의 차의 절대치가 2보다 작은 지 비교한 후 절대치가 2보다 작으면 제 15 단계와; 중앙 모뎀이 송신하게 되며, 2보다 크면 ULM과 ULS의 대소를 비교하여 ULM이 크지 않으면 중앙 모뎀이 송신하고 ULS가 작으면 송신하는 제 16 단계와; ULM값이 10보다 크고 13보다 작은 범위에 있지 않으면 ULM과 ULS값과의 차의 절대치를 1보다 작은지 비교하고, 1보다 작으면 송신하는 제 17 단계와; 중앙 중심국의 상태가 자동이 아닌 수동인 경우에는 절체 명령이 있을 경우 중앙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을 스위칭하는 제 18 단계와; 중앙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 송신하는 제 19 단계와; 혹은 예비 중심국에서 중앙 중심국으로 절체하는 제 2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중앙 중심국이 정상이 아니면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를 실행하는 바, 상기 중앙 중심국의 비정상상태를 근거로 NMS는 예비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 21 단계와; 예비 중심국이 정상상태이면 송신하는 제 22 단계와; 예비 중심국 모뎀의 캐리어(Carrier)가 온(On)이 되는 제 23 단계와; 예비 중심국의 라인이 온상태가 되는 제 24 단계와; 중앙 중심국의 모뎀 캐리어에 의해 뮤트(Mute)가 되는 제 25 단계와; 이에 따라 중앙 중심국은 라인이 오프(Off)되어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가 이루어지는 제 2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에서, UPC나 하향링크상태가 오류가 아니면, UPC의 감쇠기(ATT)의 이득값(ULM)을 읽는 제 27 단계와; ULM값이 10보다 크지 않으면 중앙 중심국의 모뎀이 송신하고 ULM값이 10보다 크면 송신하는 제 28 단계와; 예비 중심국의 상향 링크 감쇠기의 손실(ULS)을 읽어오는 제 2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NMS가 판단한 결과가 중앙 중심국이 아닌 예비 중심국인 경우, 면저 수동인 경우에는 상기 제 18 단계에서부터 제 20 단계를 반복실행하게 되며, 자동인 경우에는 NMS가 예비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 30 단계와; 예비 중심국이 정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와; 예비 중심국이 정상이 아니고 예비 중심국에서 송신중이면 중앙 중심국으로의 절체를 실행하는 바, 먼저 중앙 중심국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 32 단계와; 중앙 중심국이 정상상태이면 송신하는 제 33 단계와; 중앙 중심국의 모뎀 캐리어에 의해 온이 되는 제 34 단계와; 상기 모뎀의 캐리어신호의 온에 의해 중앙 중심국의 라인이 온이 되는 제 35 단계와; 상기 중앙 중심국의 라인 온을 근거로 예비 중심국 모뎀은 캐리어신호를 출력하여 뮤트가 되는 제 36 단계와; 이에 따라 예비 중심국은 라인이 오프가 되는 제 3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이 알고리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1 단계에서, 예비 중심국이 정상인 경우에는 UPC(Uplink Power Controller)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 38 단계와; 이 UPC 또는 다운(하향)링크 상태가 오류인지를 검사하며, 만일 잘못된 상태인 경우인 제 39 단계와; 비콘(Beacon)신호 레벨(SM)을 읽는 제 40 단계와; 검사 테이블을 참조하여 SMdB값을 구하는 제 41 간계와; 이어 맑은 날 비콘신호(SCdB)가 입력되는 경우인 제 42 단계와; 맑은 날의 비콘신호레벨과의 차(DLM)를 구하는 제 43 단계와; 여기에 변수값을 곱하여 예비 중심국의 상향 링크 손실(ULM)을 얻는 제 44 단계와; 상기 제 39 단계에서 UPC 또는 하향 링크의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UPC의 감쇠기(ATT)의 이득값(ULM)을 읽는 제 45 단계와; 예비 중심국의 상향 링크 감쇠기의 손실(ULS)을 읽는 제 4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방법.
KR1019960077424A 1996-12-30 1996-12-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KR10023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24A KR100237360B1 (ko) 1996-12-30 1996-12-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24A KR100237360B1 (ko) 1996-12-30 1996-12-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15A KR19980058115A (ko) 1998-09-25
KR100237360B1 true KR100237360B1 (ko) 2000-01-15

Family

ID=1949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424A KR100237360B1 (ko) 1996-12-30 1996-12-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545B1 (ko) * 2002-09-26 2005-06-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예비부품을 이용한 위성 명령 처리기의 결함 허용 구조 및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071A (ko) * 1993-12-22 1995-07-28 양승택 이중화된 통신용 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팀 내부 통신망의 망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071A (ko) * 1993-12-22 1995-07-28 양승택 이중화된 통신용 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팀 내부 통신망의 망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545B1 (ko) * 2002-09-26 2005-06-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예비부품을 이용한 위성 명령 처리기의 결함 허용 구조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1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KR100215947B1 (ko) Cdma셀룰러모빌전화시스템에서의송신전력제어방법및장치
US4700348A (en) Hot standby communications system
US4287598A (en) Cooperating arrangement for diversity stations
WO1997008909A1 (en) A method of levelling a traffic load of a base station in a cellular radio system, and a cellular radio system
US4769825A (en) Communications transmission system for electromagnetic waves
KR100237360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의 중심국 이중화 제어 알고리즘
KR20000011907A (ko) 이동국의송신전력제어의실패에도불구하고통신품질의저하를방지하기위한cdma통신시스템의주파수제어방법
US70762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transmit wave
JPH1141146A (ja) 無線通信装置
JP4670727B2 (ja) 低消費電力マイクロ波無線通信システム
JP3067679B2 (ja) 無線通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方式
KR0159360B1 (ko) 위성 통신을 위한 사이트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1149627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KR100225241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전력 이중화 제어장치 및 그 방 법
JP3973284B2 (ja) 無線装置
JP2682514B2 (ja) 受信ホットスタンバイ方式
US6236265B1 (en) Radio station preamplifier circuit with interior and exterior preamplifiers
KR0179598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이중화된 송신 중간주파수 조합장치
KR0159359B1 (ko) 위성통신 지구국의 사이트 다이버시티 스위칭 제어 장치
JPH0528927B2 (ko)
KR100288798B1 (ko) 위성지구국에서의 송신출력 제어방법
KR0179600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이중화된 수신 중간주파수 분배장치
JP2014053751A (ja) 複数衛星間の動的切り替えを行うサテライトダイバーシティ(D・Sat−D)方式
JP2659275B2 (ja) 無線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