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512B1 - 벨트 콘베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콘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콘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512B1
KR100236512B1 KR1019940701337A KR19940701337A KR100236512B1 KR 100236512 B1 KR100236512 B1 KR 100236512B1 KR 1019940701337 A KR1019940701337 A KR 1019940701337A KR 19940701337 A KR19940701337 A KR 19940701337A KR 100236512 B1 KR100236512 B1 KR 10023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ocket
edge
free end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나르트 팅스코그
Original Assignee
레나르트 팅스코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나르트 팅스코그 filed Critical 레나르트 팅스코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벨트 콘베이어는 중앙부분(15) 및 이에 연결된 2개의 가장자리부분(6,7)을 갖추고 있는 무한 콘베이어 벨트(4)를 포함하고 있다. 가장자리부분은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한 강도를 갖추고 있다. 또한, 벨트 콘베이어는 벨트의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갖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있다. 벨트(4)의 한쪽 가장자리부분(6)은 그 종방향 자유단부에 인접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그러한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개방된 종방향 포켓(11)을 형성하고 있다. 벨트(4)의 다른쪽 가장자리부분(7)은 포켓내에 수용되어서 회전작동할 수 없으며,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연결로 인하여 강제적으로 표켓내에 유지되어 있다. 둘레부쪽으로 쐐기형상으로 테이퍼진 회전식 원판(15)이 프레임내에 장착되어서 포켓과 접촉하여 포켓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벨트의 밀봉위치에서 가장자리부분(7)의 자유단부가 포켓내로 삽입된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콘베이어 벨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제3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밀봉 혹은 밀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콘베이어 벨트의 구멍 및 원판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벨트에 사용되는 스트립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1)이 2개의 회전식 지지롤러(2 및 3)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지지롤러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각각 프레임(1)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롤러(2및3)는 재료운반경로 및 복귀경로내에서 각각 콘베이어 벨트(4)를 지지한다. 콘베이어 벨트(4)는 중앙부분(5), 2개의 가장자리부분(6,7), 및 가장자리부분(6,7)을 중앙부분(5)에 연결시키는 경첩부재(8,9)로 이루어져 있다. 콘베이어 벨트(4)는 서로 중첩된 여러층, 예를들면 서로 다른 보강층들이 제공되도록 가황처리된 고무등의 재료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다.
이와같은 보강층의 바람직한 형상은 국제출원 공개공보 제89/05765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보강층은 상당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가지는 횡방향 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비대칭형상으로 위치되어서 콘베이어 벨트(4)의 전체 폭을 가로지르며 뻗어 있다. 제2보강층은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부분의 크기는 각각 중앙부분(5), 가장자리부분(6) 및 가장자리부분(7)의 크기에 상응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보강층도 제1보강층과 마찬가지의 유형인 것이다. 제3보강층의 크기는 중앙부분(5)의 크기와 동일하며, 제1보강층과 제2보강층의 사이로 제공되어 있다. 제3보강층은 상당한 인장강도를 갖는 종방향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는 종래의 코드(cord)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보강층내의 섬유들은 예를들면 철등의 금속이나 예를들면 폴리에스터 혹은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래스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고무와는 달리, 콘베이어 벨트(4) 자체는 플래스틱이나 플래스틱과 고무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벨트(4)는 바람직하게 완전히 편평한 상태로 제조되며, 따라서 중앙부분(5)과 2개의 가장자리부분(6,7)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모두는 벨트의 횡방향으로 또는 벨트의 종축 둘레로 굽힘가능한 단단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중앙부분(5) 및 가장자리부분(6,7)은 경첩부재(8및9)에 의해서 서로 경첩식으로 연결된 단단한 판형태로 작용한다. 보강층들이 벨트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벨트의 횡방향으로 상당한 인장력 및 압축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굽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중앙부분(5)과는 달리, 가장자리부분(6,7)은 벨트의 종방향으로 양호한 신장성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경첩부재(8및9)에 대해서도 양호한 신장성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벨트의 종축에 대해서 가요성이 있는 경첩부재(8및9)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제1보강층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가장자리부분(6,7)이 중앙부분(5)에 겹쳐졌을 때 경첩부재(8,9)가 가장자리부분(6,7)을 중앙부분(5)으로부터 멀어지게 바깥쪽으로 피봇회전시킨다. 이와같은 바깥쪽으로의 탄성작동은 적어도 가장자리부분(6,7)이 중앙부분(5)의 윗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강하며, 따라서 바람직하게 가장자리부분(6,7)이 중앙부분(5)과 동일한 평면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피봇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첩부재(8및9)가 소정의 탄성 혹은 굽힘강도를 갖추고 있지만, 이러한 강도는 중앙부분(5)과 가장자리부분(6,7)의 강도 보다는 작아야만 하며, 따라서 소정의 연결부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장자리부분(6,7)의 전체 폭은 중앙부분(5)의 전체 폭 보다 넓으며, 그 결과 가장자리부분(6,7)의 바깥쪽부분들이 겹쳐진다. 따라서, 운반되는 재료가 어느 정도는 둘러싸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자리부분(6)의 종방향 자유단부에는 바깥쪽 스트립(10)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스트립(10)은 벨트의 전체 폭을 따라서 뻗어 있고 그 일부가 가황처리등에 의해서 가장자리부분(6)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트립(10)은 가장자리부분(6)의 종방향 자유단부에 인접하게 얇아서, 이러한 스트립(10)과 가장자리부분(6)의 자유단부(12)사이로 종방향 포켓(11)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스트립(10)은 벨트(4)의 다른 나머지 부분들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며, 벨트의 종방향으로는 신장가능하고 벨트의 횡방향으로는 굽힘가능한 상당한 강도를 갖추고 있다. 이 스트립(10)에 의해서 가장자리부분(6)이 그 자유단부(12)에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서 포켓(11)을 형성하는 것이며, 포켓(11)은 2개의 날개부에 의해서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들 날개부 중 한쪽 날개부는 스트립(10)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다른쪽 날개부는 스트립(10)의 바깥쪽으로 뻗은 가장자리부분(6)의 자유단부(12)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가장자리부분(7)의 바깥쪽 자유단부(13)는 포켓(11)내로 수용되면서 동일한 횡단면 횟수를 가지는, 즉 횡단면의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 결과, 가장자리부분(6,7)사이의 비회전식 연결이 제공된다. 또한, 가장자리부분(6,7)이 중앙부분(5)과의 연결에 의해서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강제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들 가장자리부분(6,7)이 벨트(4)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단단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일단 가장자리부분(6,7)이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고정되면, 본 발명의 벨트 콘베이어가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로 인하여, 이들 가장자리부분(6,7)은 중앙부분(5)과 마찬가지로 일체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콘베이어 벨트(4)는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가장자리부분(6과7) 사이에 어떠한 연결 구조도 없이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4)의 밀폐된 혹은 고정된 위치의 안정성은, 근본적으로 2개의 단단한 가장자리부분(6및7)이 포켓(11)의 평면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분리되게 구성됨으로써 제공된 것이다. 이와같은 분리이동은 경첩부재(8,9)의 곡률반경을 감소시켜 준다. 경첩부재(8,9)의 탄성 혹은 굽힘강도로 인하여, 밀폐된 위치에서 가장자리부분(6,7)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유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보유력은 가장자리부분들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에만 비례하며, 이러한 힘보다 더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경첩부재(8,9)의 굽힘강도는 본 발명의 효과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며, 포켓(11)의 깊이는 그 폭에 비해서 적어도 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배 이상으로 크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제1도에 도시된 벨트 콘베이어의 제1실시예에서, 윗쪽의 벨트경로는 재료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에서는, 가장자리부분(7)이 가장자리부분(6)에 대해서 압착되도록 유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벨트에서 사용되는 압력식 롤러가 필요치 않다. 단지, 스트립(10)의 바깥쪽으로 작용되는 안전롤러들만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안전롤러는 지지롤러(2)보다 더 넓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도 좋다. 지지롤러(2)가 벨트의 회전경로를 따라서 안전롤러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벨트(4)는 지지롤러(2및3)에 대해서 평행하게 안내롤러를 통과한 후에 그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180° 더 회전하여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를 따르게 된다. 그러나, 벨트(4)가 그 이동경로를 따라서 지지롤러(3)에 대해서 작용하도록 하부에서 스트립(10)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벨트의 아랫쪽 경로가 재료의 운반에 이용되고 윗쪽경로는 회전복귀되는 부분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콘베이어 벨트(4)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스트립(10)의 바깥쪽 부분이 체결용 날개부 안으로 예비성형되어서, 포켓(11)이 그 구멍쪽으로 더 좁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자유단부(13)가 포켓(11)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 가장자리부분(7)이 벨트(4)의 횡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단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여도, 가장자리부분(7)의 바깥쪽 부분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켓(11)의 바깥쪽으로 가장자리부분(7)의 나머지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가장자리부분(6과7) 사이의 연결부의 소정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포켓(11)의 깊이가 그 폭보다 훨씬 크게, 즉 그 내부에 수용되는 자유단부(13)의 두께 보다 크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에서 본 발명의 콘베이어 벨트(4)의 밀봉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벨트(4)는 중앙부분(4)으로부터 윗쪽으로 접혀지는 가장자리부분(6및7)을 갖추고 있는 저장부(14)를 포함하고 있으며, 벨트(4)는 이 저장부(14)다음에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내에 회전식 원판(15)이 장착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15)은 그 둘레부분이 쐐기형태로 테이퍼져 있다. 또한, 원판(15)이 포켓(11)과 접촉하여 그 폭을 넓혀줄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어서, 이와같이 폭이 넓혀진 후에는 가장자리부분(7)의 자유단부(13)가 포켓(11)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같은 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추가의 얇은 미끄럼식 원판(16)이 프레임(도시안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원판(16)은 벨트(4)의 이동방향에서 볼 때 원판(15)의 바로 다음에 자유단부(13)와 스트립(10)의 사이에서 포켓(11)내로 돌출해 있다. 바람직하게, 원판(15)은 저마찰 탄성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벨트(4)를 포켓(11)안으로 삽입시키는데 사용되는 원판으로만 이용될 수도 있다.
제6도에는 U자 형상의 스트립(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스트립(10)의 분기부(17,18)의 사이로 포켓(11)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부(17)가 가장자리부분(6)의 자유단부(12) 전체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립(10)이 자유단부(1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가 있다. 벨트(4) 및 스트립(10)이 고무로 제조된 경우에, 이러한 견고한 고정은 전체 접촉면을 가황처리함으로써 제공된다. 분기부(18)의 외부에는, 자유단부(13)가 포켓(11)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날개부를 바깥쪽으로 보다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10)은 벨트의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이러한 벨트를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접촉하거나 또는 스트립과의 연결부에서 이들 부재를 함께 연결시켜주는 작용을 개선시키는 추가의 홈(20 및 21)을 갖추고 있는데, 이들 홈(20 및 21)은 연결부재들을 연결부로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작용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및 개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가장자리부분들이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단단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벨트가 가장자리부분들 사이의 비회전식 연결부에 보유력을 가할 수만 있다면, 얼마든지 다른 형상으로 벨트를 구성할 수가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스트립(10)은 가장자리부분(6)의 안쪽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소정의 굽힘가능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보강구조물이 벨트의 폭에 대한 벨트의 두께를 변경시킴으로써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비교적 크기가 작은 벨트의 경우에는, 벨트를 적절한 플래스틱 재료에 의해서 단일편으로 압출시켜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포켓(11)은 가장자리부분(6)에 대해서 대칭구조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무한 콘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운반되는 재료를 둘러싸는 방식의 콘베이어 벨트로서,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단단한 평면 중앙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단단한 평면 중앙부분에 경첩연결되어 있는 2개의 평면 가장자리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무한 콘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방식의 콘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벨트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벨트의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벨트를 운반하기 위한 지지롤러를 갖춘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벨트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유형의 콘베이어 벨트는 예를들어서 국제출원 공개공보 제89/05765호 및 제92/120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국제출원 공개공보에 개시된 콘베이어 벨트들에 있어서, 중앙부분은 편평하고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단단하며 벨트의 종방향으로는 거의 신장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콘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부분들은 벨트의 종방향으로 신장가능하며, 중앙부분의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경첩연결되어 있다. 가장자리부분의 전체 폭은 적어도 중앙부분의 폭과 동일하다. 그리고, 중앙부분에 각각의 가장자리부분을 연결시키기 위한 2개의 경첩부재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경첩부재는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고 벨트의 종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추고 있어서 이들 경첩부재가 중앙부분과 겹쳐지는 지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가장자리부분들을 피봇회전시킨다. 경첩부재는 중앙부분 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이와같은 방식의 벨트 콘베이어는 여러 가지 중요한 잇점들을 갖추고 있다. 예를들면, 간단하고 단순하며 경제적이라는 잇점이 제공된다. 또한, 밀봉된 운반부가 작은 곡률반경의 굴곡부내에 배열될 수 있고, 복귀경로를 따라서도 재료가 떨어지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경사부 또는 수직한 경로부를 따라서도 이러한 운반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재료에 대해서는 이와같은 방식의 콘베이어가 그 가장자리부분들의 겹쳐지는 지역에서의 밀봉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국제출원 공개공보 제92/12076호에도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개시되었다.
기존의 콘베이어에 있어서, 다른 문제점은 소정의 밀봉효과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압력식 롤러등의 부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유형의 무한 벨트 콘베이어에서는, 콘베이어 벨트의 한쪽 가장자리를 고리부재(hook)로 설계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는 고리부재에 상응하는 횡단면 형상의 슬롯을 제공함으로써 밀봉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콘베이어에서는 콘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들이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고리부재를 슬롯내로 집어 넣거나 빼내는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또한, 운반될 재료가 슬롯내로 유입되어서 이러한 슬롯내에 끼워져버림으로써, 고리부재가 슬롯안으로 삽입되어서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작업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콘베이어 벨트는 예를들어서 유럽 특허출원 제0,371,180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823,941호에는 콘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부분들을 형상끼워맞춤식이 아닌 방식으로 연결시킨 구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콘베이어 벨트는 관형, 예를들면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벨트의 가장자리들을 독립적으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고가의 보강재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콘베이어 벨트에서는 벨트의 가장자리들이 확실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벨트의 가장자리들을 형상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키지 않고서도 개선된 밀봉작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봉작용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콘베이어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밀봉 또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벨트 콘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명세서의 서두에 언급된 바와같은 방식의 본 발명의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콘베이어 벨트에서는 한쪽 평면 가장자리부분이 그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인접한 2개의 부분들로 분할되어 있어서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개방된 종방향의 편평한 포켓을 형성하고 있고, 이 포켓의 두께가 그 폭보다 크며, 다른쪽 평면 가장자리 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내에 수용되어 있어서, 그러한 자유단부의 두께가 포켓의 폭과 동일하고 또한 2개의 평면 가장자리부분의 폭의 합이 중앙부분의 폭 보다 더 크기 때문에 다른쪽 평면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내에서 벨트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게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평면 가장자리부분과 평면 중앙부분 사이의 경첩연결부는 마치 중앙부분이 일체식 구조물로서 작동하도록 단단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쪽 평면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내에 단단히 고정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포켓의 형상으로 인하여 2개의 가장자리부분들이 서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부분과의 일체식 구조물로서 작동하며, 따라서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한 단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결코 형상끼워맞춤식 체결작용에 의해서 제공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편평한 포켓(flat pocket)”이라는 말의 의미는 이러한 포켓내로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포켓의 폭이 포켓의 전체 깊이를 따라서 동일하거나 또는 그 하부를 따라서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결코 형상끼워맞춤식 결합을 제공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포켓은 그 개방단부에서 적절히 신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한다는 점을 강조해 둔다.
이와같이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를 포켓안으로 삽입하기 위해서, 포켓이 2개의 날개부에 의해서 적절하게 경계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 날개부중에서 한쪽 날개부는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단단한 형태로 제공되어 있고, 반면에 다른쪽 날개부는 한쪽 날개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소정의 굽힘가능한 강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와같이 굽힘가능한 단단한 형태의 한쪽 날개부가 다른쪽 날개부 보다 더 신장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내에 삽입될 때 그러한 자유단부의 위치조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의 자유단부의 비회전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굽힘가능한 날개부를 예비성형함으로써 포켓의 폭이 그 구멍쪽으로 인접하게 좁혀질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 포켓은 한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에 단단히 연결된 U자 형상의 스트립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는, 이러한 스트립을은 한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에 단단히 연결시키기 위한 넓은 표면을 제공하며, 예를들어서 서로 마주하는 스트립의 표면과 한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의 표면을 가황화처리된 고무등의 재료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명세서의 서두에서 언급된 바와같은 유형의 콘베이어 벨트에 적합하며, 이러한 콘베이어 벨트는 그 중앙부분의 편평하고 벨트의 종방향으로는 거의 신장되지 않으며 벨트의 횡방향으로는 굽힘가능하게 단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 가장자리부분들도 편평하며, 각각의 가장자리부분이 중앙부분의 측방향 가장자리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벨트의 종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부분들의 폭의 합이 중앙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 가장자리부분을 중앙부분에 연결시키는 2개의 경첩부재가 각각 제공되어 있고, 이들 경첩부재가 벨트의 횡방향으로는 굽힘가능하고 벨트의 종방향으로는 신장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추고 있어서, 각각의 가장자리부분들이 중앙부분과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가장자리부분들을 바깥쪽으로 피봇회전시킬 수가 있으며, 그리고 경첩부재가 중앙부분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켓내에 수용된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한쪽 가장자리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콘베이어 벨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를 포켓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압력식 롤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본 명세서의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은 방식의 본 발명의 벨트 콘베이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벨트 콘베이어에서는 한쪽 평면 가장자리부분이 그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인접한 2개의 부분들로 분할되어 있어서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개방된 종방향의 편평한 포켓을 형성하고 있고, 이 포켓의 두께가 그 폭 보다 크며,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내에 수용되어 있어서, 그러한 자유단부의 두께가 포켓의 폭과 동일하고 또한 2개의 가장자리부분의 폭의 합이 중앙부분의 폭보다 더 크기 때문에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내에서 벨트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게 구성되어 있으며, 포켓과 접촉하여서 포켓의 폭을 넓혀 주도록 프레임내에 회전식 원판이 장착되어 있어서, 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벨트의 밀봉위치에서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가 포켓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의 자유단부는 포켓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가 있다.
벨트가 굴곡지역을 통과할 때 2개의 가장자리부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같은 경향은 벨트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벨트의 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피해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밀봉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이는, 밀봉의 곤란성이 있는 재료의 경사방향 혹은 수직방향 운반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켜 준다. 또한, 이와같이 개선된 밀봉는 세멘트, 카올린(kaolin) 및 알루미늄 산화물 등과 같은 유동가능한 무거운 재료를 경사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가장자리부분이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을 눌러주도록 롤러를 밀봉시킬 필요가 없다. 단지, 안전롤러들만이 필요하며, 이들 롤러가 서로에 대해서 상당한 거리를 두도록 설치되면 그만이다. 이는, 콘베이어의 이동경로의 회전등에 있어서 재료의 운반을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에 있어서 이와같이 롤러의 숫자를 엄청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이동질량 및 마찰 그리고 벨트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롤러시스템을 사용치 않고서도 벨트의 개방부를 하향으로 유지시키면서 벨트가 이동될 수도 있다.
벨트의 밀봉이 개선됨으로써, 벨트가 그 경로를 따라서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잇점이 제공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앞서 언급된 국제출원 공개공보 제92/12076호에 개시된 유형의 밀봉구조와 조합될 수도 있으며, 또한 분리식 운반용 벨트를 사용하는 스웨덴 특허출원 제9101158-5호에 개시된 유형의 콘베이어 벨트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스웨덴 특허출원 제9101158-5호에 개시된 콘베이어 벨트의 경우에는, 콘베이어가 주로 긴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숫자의 감소 및 단순화된 구조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Claims (12)

  1. 벨트(4)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한 강도를 갖추고 있는 편평한 중앙부분(5) 및 상기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한 강도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중앙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편평한 가장자리부분(6,7)을 포함하고 있으며, 운반재료를 둘러싸는 방식의 콘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분(6)이 그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인접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상기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개방된 편평한 종방향 포켓(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포켓의 깊이가 그 폭보다 크며, 상기 가장자리부분(7)의 자유단부(13)가 상기 포켓(11)내로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13)의 두께가 상기 포켓의 폭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2개의 가장자리부분(6,7)의 폭의 합이 상기 중앙부분(5)의 폭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자유단부(13)가 상기 포켓(11)내에서 상기 벨트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으며, 2개의 가장자리부분(7)과 상기 중앙부분(5) 사이의 경첩식 연결부가 일체식 구조로 작동되는 단단한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장자리부분(7)의 상기 자유단부(13)가 상기 포켓(11)내에서 강제식으로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의 폭이 상기 포켓의 전체 깊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이 그 개방부쪽으로 신장되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분(7)의 자유단부(13)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의 폭이 그 개방부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이 상기 가장자리부분(6)의 상기 자유단부(12)에 단단히 연결된 U자 형상의 스트립(10)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5)이 상기 벨트(4)의 종방향으로 거의 신장되지 않으며, 상기 가장자리부분(6,7)이 상기 벨트의 종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분(6,7)을 상기 중앙부분에 연결시키기 위한 2개의 경첩부재(8,9)가 각각 제공되어 있고, 상기 경첩부재가 상기 벨트(4)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하고 상기 벨트(4)의 종방향으로 신장가능하며 상기 가장자리부분(6,7)이 상기 중앙부분과 겹쳐지는 지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가장자리부분을 피봇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경첩부재의 폭이 상기 중앙부분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벨트.
  8.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한 강도를 갖추고 있는 편평한 중앙부분(5)과, 상기 벨트의 횡방향으로 굽힘가능한 강도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중앙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편평한 가장자리부분(6,7)과, 그리고 상기 벨트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2,3)를 가지는 프레임(1)을 갖추고 있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분(6)이 그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인접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상기 종방향 자유단부쪽으로 개방된 편평한 종방향 포켓(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포켓의 깊이가 그 폭 보다 크며, 상기 가장자리부분(7)의 자유단부(13)가 상기 포켓(11)내에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13)의 두께가 상기 포켓의 폭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2개의 가장자리부분의 폭의 합이 상기 중앙부분의 폭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자유단부(13)가 상기 포켓(13)내에서 상기 벨트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프레임(1)내에는 상기 포켓(11)과 접촉하여 상기 포켓의 폭을 넓혀주는 회전식 원판(15,16)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상기 벨트의 밀봉위치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7)의 상기 자유단부(13)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16)이 저마찰 탄성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16)이 상기 포켓(11)의 폭을 넓혀 주는 상기 원판(15)의 다음으로 상기 벨트(4)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포켓(11)안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원판(15)의 둘레부가 쐐기 형상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
  11.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4)의 폭이 증가 되어서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
  12. 제8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내에 수용된 상기 가장자리부분(7)의 상기 자유단부(13)가 상기 가장자리부분의 다른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
KR1019940701337A 1991-10-22 1992-10-22 벨트 콘베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콘베이어 벨트 KR100236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103078-3 1991-10-22
SE9103078A SE508610C2 (sv) 1991-10-22 1991-10-22 Transportband samt detta utnyttjande transportör
PCT/SE1992/000733 WO1993008106A1 (en) 1991-10-22 1992-10-22 Belt conveyor and conveyor belt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6512B1 true KR100236512B1 (ko) 2000-01-15

Family

ID=2038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337A KR100236512B1 (ko) 1991-10-22 1992-10-22 벨트 콘베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콘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400899A (ko)
EP (1) EP0608349B1 (ko)
JP (1) JP3532194B2 (ko)
KR (1) KR100236512B1 (ko)
AT (1) ATE156771T1 (ko)
AU (1) AU660330B2 (ko)
BR (1) BR9206779A (ko)
CA (1) CA2121588A1 (ko)
DE (1) DE69221631T2 (ko)
FI (1) FI941821A (ko)
RU (1) RU2102302C1 (ko)
SE (1) SE508610C2 (ko)
WO (1) WO1993008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70097B (sv) * 1992-02-14 1993-11-08 Lennart Tingskog Transportör för in- eller utmatning av gods inom ett långsträckt område, vilken transportör innefattar ett enda ändlöst transportband
US5670230A (en) * 1994-10-11 1997-09-23 Xerox Corporation Endless seamed belt with high strength
DE19544026A1 (de) * 1995-11-25 1997-05-28 Habasit Gmbh Schlauchfördergurt
SE9602127D0 (sv) * 1996-05-31 1996-05-31 Lennart Tingskog Bandtransportör
SE517062C2 (sv) 1999-11-15 2002-04-09 C Materials Handling Ltd As Bandtransportör
US7051868B2 (en) * 2004-02-19 2006-05-30 Atbc, Llc Prestressed tubular belt and method for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62091A0 (en) * 1981-02-09 1981-03-31 Furman V Installation for the transportation of bulk material between a shore and an offshore marine vessel
US4823941A (en) * 1985-11-20 1989-04-25 Alex Mindich High speed tubular belt conveyor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BR8807855A (pt) * 1987-12-18 1990-11-13 Lennart Tingskog Correia transportadora de material elastico e transortador de correia
EP0371180A1 (fr) * 1988-11-25 1990-06-06 Dominique Mareau Installation de téléférage par bande souple conformable tubulairement
US5107983A (en) * 1991-01-07 1992-04-28 Harrison Handling, Inc. Fold-over conveyo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41821A0 (fi) 1994-04-20
DE69221631T2 (de) 1998-03-26
AU2798792A (en) 1993-05-21
EP0608349B1 (en) 1997-08-13
ATE156771T1 (de) 1997-08-15
BR9206779A (pt) 1995-10-31
SE508610C2 (sv) 1998-10-19
FI941821A (fi) 1994-04-20
AU660330B2 (en) 1995-06-22
US5400899A (en) 1995-03-28
RU94020743A (ru) 1996-08-20
RU2102302C1 (ru) 1998-01-20
WO1993008106A1 (en) 1993-04-29
SE9103078L (sv) 1993-04-23
DE69221631D1 (de) 1997-09-18
CA2121588A1 (en) 1993-04-29
JP3532194B2 (ja) 2004-05-31
SE9103078D0 (sv) 1991-10-22
EP0608349A1 (en) 1994-08-03
JPH07500307A (ja) 199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1223A (en) Stretchable belt conveyor
US7530452B2 (en) Conveyor guard
US3880274A (en) Cover belt conveyor
US3750864A (en) Material conveyors
FI92040B (fi) Hihnakuljettimella oleva laite
KR100236512B1 (ko) 벨트 콘베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콘베이어 벨트
US20010045344A1 (en) Foldable belt with internal cables
GB2231319A (en) Conveyor belt with internal stretch limiting means
JPH0211485B2 (ko)
US6471048B1 (en) Conveyor belt system
US6279729B1 (en) Article conveyance having mechanical drive
US20200131845A1 (en) Rolling door
US6161684A (en) Herringbone conveyor belt
JP3053866B2 (ja) コンベヤベルト
JP2001514144A (ja) コンベヤ
CA3052588A1 (en) Belting connection mechanism
US3545598A (en) Laterally flexible belt conveyor
JPH0680223A (ja) エンドレスベルトコンベヤ
WO1989012593A1 (en) Belt conveyor
JPS5939607A (ja) トラフコンベヤチエン
CA1072037A (en) Drive means for roller conveyors
US2925903A (en) Conveyor
CA1278763C (en) Arrangement in belt conveyors
GB2145683A (en) Conveyors
JPS6386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