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682B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682B1
KR100234682B1 KR1019970035074A KR19970035074A KR100234682B1 KR 100234682 B1 KR100234682 B1 KR 100234682B1 KR 1019970035074 A KR1019970035074 A KR 1019970035074A KR 19970035074 A KR19970035074 A KR 19970035074A KR 100234682 B1 KR100234682 B1 KR 10023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essing member
main body
fit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385A (ko
Inventor
도모아키 아오시마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이끼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이끼,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이끼
Publication of KR1998006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0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pair of arms moved automatically to closed position by overcenter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과제) 항상 진동등이 가해지는 장소에 있는 관·봉상물을 소정의 위치와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클램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관·봉상물(P)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도록 본체(10)에 부착가능한 누름부재(20)를 구비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20)가 저지편(21)을 돌출형상으로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의 상기 저지편(21)이, 이 누름부재(20)가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램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 접속되는 연료파이프등의 관·봉상물을 소정의 위치와 상태로 고정하는 데에 적합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관·봉상물(P)을 고정하는 클램프로서 예를 들어 제19도 및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탄성편(100, 100)으로 이루어지는 홈형상부(101)를 구비하고, 이 홈형상부(101)의 끼움구멍에서 홈형상부(101)내로 탄성편(100)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끼워넣을 수 있음과 아울러, 끼워넣음 종료위치에서 탄성편(100)을 탄성복귀시킴으로써 상기 끼움구멍이 좁혀져 상기 관·봉상물(P)이 고정되는 구성의 클램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클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홈형상부(101)에 고정되는 관·봉상물(P)이 그 홈형상부(101)에 끼워넣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 즉 상기 탄성편(100)의 탄성변형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았을 경우 이러한 힘에 의하여 상기 탄성편(100)이 휘어지고, 이 휘어짐에 의하여 고정된 관·봉상물(P)이 상기 방향으로 어긋나는 사태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웠다.
즉, 상기 탄성편(100)의 탄성변형에 필요한 힘을 크게 설정하거나 상기 탄성편(100)의 길이(제20도에 있어서의 클램프의 폭방향 치수)를 길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탄성변형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에 대하여 상기 탄성편(100)이 저항하도록 할 수 있지만, 단순히 이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1쌍의 탄성편(100, 100) 사이로 관·봉상물(P)을 끼워넣는 데 필요한 힘이 커진다. 이 때문에, 상기 탄성변형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관·봉상물(P)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구성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또, 일본국 특허공고 평2-40156호에 게재된 파이프클램프에 있어서는, 파이프를 고정하는 1쌍의 탄성편을 구비한 본체와 이 본체에 있어서 1쌍의 탄성편 사이의 끼움구멍을 덮는 덮개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1쌍의 탄성편 외면에 접하고 이 덮개폐쇄 상태에서 탄성편을 더 내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조임편을 상기 덮개에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파이프클램프에 의하면, 상기 1쌍의 탄성편 사이에 고정되는 파이프에 상기 탄성편의 내면을 누름접합시킴으로써 고정되는 파이프가 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항상 진동등이 있는 곳에 있어서의 파이프의 고정,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에 접속되는 연료파이프 등을 소정의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클램프에 있어서는, 고정되는 파이프에 이 파이프가 상기 탄성편 사이로 끼워넣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편에 그 힘이 직접 가해져서 상기 탄성편의 외측에 누름접촉된 상기 조임편이 상측으로 밀려나 상기 탄성편이 외측으로 휘어질 가능성이 구성상 있으므로, 이러한 힘을 받은 파이프의 이동을 충분하게 저지할 수 없었다.
또, 상기 조임편이 등을 맞대고 있는 2개의 탄성편 사이로 적절하게 들어가도록 상기 조임편을 상기 덮개에 형성하여야 하고, 특히 고정되는 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협소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탄성편 사이의 간격은 더욱 좁아지므로 상기 조임편을 상기 2개의 탄성편 사이에 들어가도록 박육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조입편의 강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횡방향의 힘을 받은 파이프의 이동을 한층 저지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하고, 또 항상 진동등이 가해지는 장소에 있는 관·봉상물을 소정의 위치와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클램프의 제공을 제 2의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한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한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제1도에 나타낸 클램프에 관·봉상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클램프를 횡단한 횡단면도).
제3도는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한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한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제3도에 나타낸 클램프에 관·봉상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클램프를 횡단한 횡단면도).
제5도는 제 1,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한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제 1,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한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7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제12도는 클램프의 측면도.
제13도는 클램프의 측면도.
제14도는 클램프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제17도는 클램프의 요부측면도.
제18도는 클램프의 요부측면도.
제19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0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관·봉상물 10 : 본체
11 : 끼워넣음부 12 : 끼움구멍
20 : 누름부재 21 : 저지편
M1 : 관·봉상물(P)의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
M2 : 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관·봉상물(P)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도록 상기 본체(10)에 부착가능한 누름부재(20)와; 상기 누름부재(20)가 저지편(21)을 돌출형상으로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의 상기 저지편(21)이, 상기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20)가, 그 누름부재(20)의 양측부에 적어도 1쌍의 저지편(21, 21)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의 상기 1쌍의 저지편(21, 21)이, 그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20)는, 그 누름부재(20)가 상기 본체(10)의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있어서의 상기 끼움구멍(12)에 임한 측면에 맞닿는 맞닿음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의 개요를 나타낸 제1도 내지 제7도에 의거하여 제 1, 제 2, 제 3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는, 먼저 관·봉상물(P)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도록 상기 본체(10)에 부착가능한 누름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에 관·봉상물(P)을 대고, 이 관·봉상물(P)을 상기 끼워넣음부(11)내로 눌러넣음으로써,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의 쌍방 또는 어느 일측을 상기 끼움구멍(12)이 확대되도록 탄성변형시킨 후 상기 눌러넣음 종료위치에서 탄성복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관·봉상물(P)이 상기 끼움구멍(12)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상기 끼워넣음부(11)에 상기 관·봉상물(P)을 고정시킨 후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이 덮이도록 누름부재(20)를 덮음으로써, 상기 고정된 관·봉상물(P)이 상기 끼움구멍(12)에서 빠지는 사태를 한층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는, 상기 본체(10)에 의하여 동시에 복수의 관·봉상물(P, 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복수 형성하여도 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에 의하여 구성되는 홈형상부(13)는, 복수의 홈형상부(13, 13...)을 각각 거의 평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관·봉상물(P, P...)을 서로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끼워넣음부(11)에 필요한 탄성변형 특성을 가지게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적어도 상기 끼워넣음부(11)를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와 누름부재(20)는 힌지부(30)에 의하여 연이어 형성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누름부재(20)의 일단부와 본체(10)의 일단부를 박육부(31)로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조작에 따라서 상기 박육부(31)의 대략 중앙에서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운동이 이와 같이 변형되는 박육부(31)의 대략 중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누름부재(20)와 상기 힌지부(30)가 연이어 형성된 연설측의 반대측과, 상기 본체(10)와 힌지부(30)가 연이어 형성된 연설측의 반대측에,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조작에 따라서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40)을 형성함으로써, 누름부재(20)에 의한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는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누름부재(20)와 상기 힌지부(30) 연설측의 반대측에, 상기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은 상태에 있어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탄성편(44)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측의 단부에 마주향하는 이 탄성편(44)의 단부에 상기 본체(10)측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45)를 형성하고, 이 돌기(45)에 상기 탄성편(44)의 기부(基部)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46)을 형성시킨다. 이와 아울러 상기 본체(10)측의 단부에 돌기부(41)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41)에 상기 본체(10)의 상기 끼워넣음부(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42)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20)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양 걸어맞춤면(42, 46)이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써 상기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기 탄성편(44)의 돌기(45)에 상기 탄성편(44)의 선단에서 상기 걸어맞춤면(46)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상기 돌기부(45)의 돌출치수가 커지는 경사면(47)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측 단부의 돌기(41)에 상기 끼워넣음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서 상기 걸어맞춤면(42)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상기 돌기부(41)의 돌출치수가 커지는 경사면(43)을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기 양경 사면(43, 47)을 서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상기 탄성편(44)을 외측방향으로 서서히 탄성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양 경사면(43, 47)의 접촉이 종료되는 위치를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 종료위치(S)로 함으로써 이 위치에서 탄성편(44)을 탄성복귀시켜 상기 양 걸어맞춤면(42, 46)을 원활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서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50)을 상기 누름부재(20)와 본체(10)의 상기 힌지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힌지부(30)를 상기와 같이 박육부(31)로 구성한 경우 이 힌지부(30)가 상기 걸어맞춤수단(50)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필요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재(20) 탄성편(44)의 걸어맞춤면(46)과 상기 본체(10) 돌기부(41)의 걸어맞춤면(42)을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어맞춤수단(50)은,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의 상기 힌지부(30)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0)보다 상측에 돌기부(5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에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서 상기 본체(10) 돌기부(51)의 하측에 걸리는 돌기부(52)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는, 상기 누름부재(20)가 저지편(21)을 돌출상태로 구비함과 아울러, 이 누름부재(20)의 상기 저지편(21)이 이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에 의하면,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대하여 상기 누름부재(20)로 상기 본체(10)를 덮음으로써,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측면이고 상기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측의 측면에 상기 저지편(21)을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된 관·봉상물(P)이 상기 관·봉상물(P)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았을 경우에도, 상기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관·봉상물(P)의 상기 이동이 저지된다.
예를 들어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2개의 관·봉상물(P, P)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저지편(21)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2개의 관·봉상물(P, P) 사이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면, 제2도에 있어서 우측의 관·봉상물(P) 하단측에 우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제2도에 있어서 좌측의 관·봉상물(P) 하단측에 좌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2개의 관·봉상물(P, P)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등을 맞대고 있는 중앙의 끼워넣음부(11, 11)에 각각 상기 고정할 관·봉상물(P)을 고정시키는 홈형상부(13)에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W)를 형성하여 상기 저지편(21)이 상기 2개의 관·봉상물(P, P) 사이의 상기 연통부(W)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면, 제5도에 있어서 상기 관·봉상물(P)에 좌우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상기 누름부재(20)가 양측부에 적어도 1쌍의 저지편(21, 21)을 돌출형상으로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의 상기 1쌍의 저지편(21, 21)이 이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한 것이, 본 발명의 가장 좋은 실시형태의 1개가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대하여 상기 누름부재(20)를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까지 이동조작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이와 같이 고정된 관·봉상물(P)의 측면이고 또한 상기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측의 측면에, 각각 상기 1쌍의 저지편(21, 21)을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된 관·봉상물(P)이 상기 관·봉상물(P)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았을 경우에도, 상기 저지편(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2개의 관·봉상물(P, P)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1쌍의 저지편(21, 21)이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관·봉상물(P, P)사이로 각각 들어가도록 상기 1쌍의 저지편(21, 21)을 형성하면, 제7도에 있어서 우측의 관·봉상물(P) 하단측에 우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 제7도에 있어서 상측에 있는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하고, 하단측에 좌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 제7도에 있어서 하측에 있는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제7도에 있어서 좌측의 관·봉상물(P)에 대해서는 그 하단측에 우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 제7도에 있어서 하측에 있는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하고, 하단측에 좌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 제7도에 있어서 상측에 있는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힘에 의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에 의하면, 고정되는 상기 관·봉상물(P)에 이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끼워넣음부(11)에 대하여 상기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관·봉상물(P)을 끼워넣기 쉽도록 상기 끼워넣음부(11)를 쉽게 탄성변형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지장없이 상기 관·봉상물(P)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에 접속되는 연료파이프등 항상 진동등을 받는 관·봉상물(P)의 고정에 적합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에 의하면, 상기 진동등을 받은 관·봉상물(P)을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진동등에 의하여 관·봉상물(P)이 다른 관·봉상물(P) 또는 다른 부재 등에 닿아서 이음(異音)등이 발생하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21)은, 예를 들어 상기 누름부재(20)의 양측부에 돌출부(23)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20)가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서 상기 본체(10)를 마주보는 돌출부(23)측의 면에서 상기 저지편(21)이 하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 있어서 1쌍의 저지편(21, 21) 사이로 본체(10)가 들어가도록 본체(10)의 폭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에 의하여 구성되는 2개의 홈형상부(13, 13) 사이이고 또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상기 저지편(21)을 끼워 넣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부재(20)가, 이 누름부재(20)가 본체(10)의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12)에 임한 측면에 맞닿아지는 맞닿음부(22)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좋은 실시형태의 1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대하여 상기 끼워넣음부(11)에 더하여 상기 맞닿음부(22)에 의해서도 접촉되므로, 이러한 관·봉상물(P)을 고정하는 접촉면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정된 관·봉상물(P)의 축선을 따라 도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한 저지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상태를 한층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기 홈형상부(13)의 저면 및 측면은 고정되는 관·봉상물(P)의 외곽형상을 따르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22)는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의 상기 끼움구멍(12)으로 들어가서 고정되는 관·봉상물(P)의 외면을 따라 밀착되는 맞닿음면(22a)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촉면을 적절하고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시 구체적인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8도 내지 제18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8도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의 전체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누름부재(20)를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키기 전, 본체(10)에 관·봉상물(P)을 고정시킨 사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 제9도는 누름부재(20)를 회전운동 종료위치(S)까지 회전운동시켜 본체(10)의 상면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제10도는 제9도의 상태를 종단면 상태로 나타낸 것이고, 제11도는 제9도의 상태를 횡단면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또, 제12도는 클램프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우측에서, 제14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좌측에서 상기 클램프를 본 것이다. 또, 제15도는 클램크를 종단면 상태로 나타낸 것이고, 제16도는 저지편(21)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를 종단면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7도 및 제18도는 힌지부(3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힌지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장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제17도는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전의 상태를, 제18도는 누름부재(20)를 회전운동 종료위치(S)까지 회전운동시켰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부(30) 근방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 횡단면이 대략 원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관·봉상물{P, P...; 여기에서는 4개의 관·봉상물(P, P...)}을 각 관·봉상물(P, P...)이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고정하는 데 적합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는,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에 의하여 구성되는 4개의 홈형상부(13, 13...)를 각 홈형상부(13, 13...)가 폭방향을 따라서 거의 평행하도록 일면측에 구비한 가늘고 긴 형상의 판상체로 본체(10)를 구성하고 있다. 또, 이와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를 일단측에서 박육편상을 이루는 힌지부(30)에서 본체(10)에 연이어 형성된 상기 본체(10)와 거의 같은 길이를 구비한 판상체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본체의 각 홈형상부(13)를 구성하는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를 각각 상기 본체(10)의 일면측에서 돌출된 1쌍의 탄성편(11a, 11a)으로 구성하고 있다. 서로 아웃하는 2개의 홈형상부(13, 13)를 구성하는 등을 맞대고 있는 2개의 탄성편(11a, 11a) 사이에는 상기 탄성편(11a)이 각각 상기 관·봉상물의 끼워넣음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데 필요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홈형상부(13, 13...)는 홈저면 및 이 홈저면에 연결된 상기 탄성편(11a)에 의하여 구성되는 측면을 고정시킬 관·봉상물(P)의 원호에 따르는 면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누름부재(20)는 길이방향에 달하는 양측부에 각각, 이 누름부재(20)를 상기 본체(10)의 끼워넣음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덮도록 상기 본체(10)에 중합시켰을 때{즉,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누름부재(20)를 본체(10)를 향하여 회전운동 종료위치(S)까지 회전운동시켰을 때},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에 달하는 상기 누름부재(20)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돌출부(23)에는 각각 거의 등간격으로 3개의 저지편(21, 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서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3개의 저지편(21, 21...)중 한중간에 위치하는 저지편(21)은 상기 4개의 홈형상부(13, 13...) 중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홈형상부(13, 13)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 2개의 홈형상부(13, 13)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관·봉상물(P, P) 사이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3개의 저지편(21, 21...) 중 외측에 위치하는 저지편(21)은 각각 상기 4개의 홈형상부(13, 13...) 중 본체(10)의 단부에 위치하는 홈형상부(13)와 이에 이웃하는 홈형상부(13)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 2개의 홈형상부(13, 13)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관·봉상물(P, P) 사이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저지편(21, 21...)에 있어서 관·봉상물(P)에 접하는 측면도 상기 관·봉상물(P)의 원호에 따르는 면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저지판(21)은 상기 돌출부(23)의 누름부재(20) 측면 자장자리(24)에서의 돌출폭 만큼의 길이를 구비한 리브형상으로 되어 있어 강성이 높다. 또, 각 저지편(21)은 그 측면이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 있어서 상기 홈형상부(13)의 내면과 거의 동일면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저지편(21, 21...)은 상기 홈형상부(13)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측면을 따라서 그 측면을 따라서 그 측면을 밀착시킨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4개의 홈형상부(13, 13...)에 고정된 4개의 관·봉상물(P, P...)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관·봉상물(P)의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에 있는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과 상기 저지편(21)의 측면을 상기 본체(10)의 양측에서 접하게 할 수 있어, 상기 관·봉상물(P)이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았을 경우라도 상기 저지편(21)에 의하여 상기 홈형상부(13)를 구성하는 탄성편(11a)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관·봉상물(P)의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와 누름부재(20)의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연이어 형성된 연설측의 반대측에, 상기 누름부재(20)를 본체(10)의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어맞춤수단(40)은, 누름부재(20)에 형성된 탄성편(44)과, 상기 누름부재(20)를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까지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상기 탄성편(44)에 형성된 돌기부(45)에 닿도록 그 탄성편(44)을 외측으로 휘게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서 그 탄성편(44)을 탄성복귀시키는 상기 본체의 측단부에 형성된 돌기부(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44)의 돌기부(45)는 상기 탄성편(44)의 기초부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46)을, 본체(10)의 돌기부(41)는 본체(10)의 하면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42)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편(44)의 탄성복귀에 의하여 양 걸어맞춤면(42, 46)이 걸어맞춰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힌지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상기 누름부재(20)의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 있어서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50)을 상기 누름부재(20)와 본체(10)에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 상기 힌지부(30)보다 상측에 돌기(5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에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돌기(51) 하측에 걸리는 돌기(52)를 형성하여 상기 걸어맞춤수단(50)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박육부(31)로 구성되는 상기 힌지부(30)가 상기 걸어맞춤수단(50)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필요이상으로 늘어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누름부재(20) 탄성편(44)의 걸어맞춤면(46)과 상기 본체(10) 돌기(41)의 걸어맞춤면(42)을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20)에는 이 누름부재(20)의 상기 회전운동 종료위치(S)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홈형상부(13, 13...)의 끼움구멍(12) 각각에 넣어져 상기 홈형상부(13)에 고정되는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움구멍(12)에 임한 윗면에 접하는 맞닿음부(2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맞닿음부(22)는 모든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접하는 맞닿음면(22a)을 상기 관·봉상물(P)의 원호에 따르는 원호면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에 의하면, 고정된 관·봉상물(P)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부(22)의 맞닿음면(22a)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어 상기 관·봉상물(P)의 축선을 따라 도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를 나타내는 제8도 내지 제18도에 있어서, 부호 60은 상기 저지편(21)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의 두께를 소정의 두께로 하기 위하여 형성한 오목부이고, 부호 70은 상기 맞닿음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장소의 두께를 소정의 두께로 하기 위하여 형성한 오목부이다.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에 의하면,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대하여 상기 누름부재(20)로 눌러덮음으로써, 상기 본체(10)에 고정돤 관·봉상물(P)의 측면이고 상기 관·봉상물(P)의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의 측면에 저지면(21)을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된 관·봉상물(P)이 상기 관·봉상물(P)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았을 경우에도 상기 저지편(21)에 의하여 이러한 힘에 대한 상기 관·봉상물(P)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관·봉상물(P)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쌍을 이루는 끼워넣음부(11, 11)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도록 상기 본체(10)에 부착가능한 누름부재(20)와; 상기 누름부재(20)가 저지편(21)을 돌출형상으로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의 상기 저지편(21)이, 상기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20)가, 그 누름부재(20)의 양측부에 적어도 1쌍의 저지편(21, 21)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0)의 상기 1쌍의 저지편(21, 21)이, 그 누름부재(20)가 상기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의 상기 끼워넣음부(11)로의 끼워넣음방향(M1)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는 방향(M2)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봉상물(P)의 측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누름부재(20)는, 그 누름부재(20)가 상기 본체(10)의 끼워넣음부(11)의 끼움구멍(12)을 덮었을 때 상기 끼워넣음부(11)에 고정된 관·봉상물(P)에 있어서의 상기 끼움구멍(12)에 임한 측면에 맞닿는 맞닿음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19970035074A 1996-12-18 1997-07-25 클램프 KR100234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53816A JPH10185003A (ja) 1996-12-18 1996-12-18 クランプ
JP353816 1996-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85A KR19980063385A (ko) 1998-10-07
KR100234682B1 true KR100234682B1 (ko) 2000-03-02

Family

ID=1843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074A KR100234682B1 (ko) 1996-12-18 1997-07-25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85003A (ko)
KR (1) KR100234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8285B2 (ja) 2012-04-27 2014-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却器、電装品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JP2016038146A (ja) *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6682A (ja) * 1990-12-13 1992-09-22 A Raymond & Co 振動減衰形の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6682A (ja) * 1990-12-13 1992-09-22 A Raymond & Co 振動減衰形の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85A (ko) 1998-10-07
JPH10185003A (ja) 199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277B2 (en) Antivibration clamp for elongated objects
KR960018269A (ko) 플라스틱 파스너, 특히 차량용 패널 파스너
JP2000346245A (ja) 棒状体ホルダー
US4691883A (en) Device for holding rod-like objects
US4904000A (en) Connection fitting for a corrugated tube
JP2019075235A (ja) グロメット
US6145173A (en) Article attaching device
KR100234682B1 (ko) 클램프
KR910014018A (ko) 래치장치
KR0146395B1 (ko) 클립
KR0157352B1 (ko) 고정구
JP3890536B2 (ja) 管体が接続可能なボックス
KR19980086760A (ko) 플라스틱 부재
JPH07310864A (ja) 長尺物保持具
JP3861653B2 (ja) 樹脂インナー付きグロメット
JP2000074020A (ja) 部材の取付具
JP2546998Y2 (ja) クリップ
JPH04337104A (ja) 固定クリップ
JP3685342B2 (ja)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パッキンの装着方法
KR20050003396A (ko) 고정 요소
KR0148555B1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200194065Y1 (ko) 커넥터 고정구
JP3427662B2 (ja) 桟材取り付け構造
JP2005076644A (ja) クリップ
JPH0783214A (ja) 樹脂成形部品におけるブラケットに対する嵌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