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645B1 -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645B1
KR100233645B1 KR1019960004830A KR19960004830A KR100233645B1 KR 100233645 B1 KR100233645 B1 KR 100233645B1 KR 1019960004830 A KR1019960004830 A KR 1019960004830A KR 19960004830 A KR19960004830 A KR 19960004830A KR 100233645 B1 KR100233645 B1 KR 10023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user
video
challen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236A (ko
Inventor
박경찬
김범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645B1/ko
Publication of KR97006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반주기에 노래연습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사용자가 영상반주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을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계, 재생계에 의해 재생된 영상 및 음성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마이크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부, 영상반주기의 각종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사용자가 설정한 도전점수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가 노래한 음악을 채점하는 채점기, 및 전술한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는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소정분량의 정보를 신호처리하고, 신호처리된 음성신호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합성한 복합음성신호를 상기 채점기를 이용하여 채점한 후, 채점된 점수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도전점수를 비교하여, 채점된 점수가 도전점수보다 낮으면 동일한 정보를 반복 재생하고, 채점된 점수가 도전점수보다 높으면 다음 정보를 재생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노래연습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입력부 2 : 재생계
3 : 모니터 4 : 영상신호 처리부
5 : 음성신호 처리부 6 : 마이크로신호 처리부
7 : 스피커 8 : 합성기
9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10 : 메모리
11 : 채점기 12 : 마이크로 컴퓨터
본 발명은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영상반주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노래연습기능을 추가하여 해당곡의 각 소절마다 채점한 점수와 사용자가 설정한 도전점수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따라 영상반주기능의 수행여부를 제어하도록 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하게 개발, 보급되고 있는 영상반주장치는 통상의 모니터를 구비하여 노래반주와 함께 가사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크게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aser disc player: LDP)를 이용한 LD영상반주기와,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compact disc graphic player: CDG)를 이용한 CDG영상반주기, 및 메모리(memory)를 이용한 컴퓨터영상반주기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영상반주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곡의 재생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점수로 채점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영상반주기의 기능을 진일보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반주기에 노래연습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노래실력향상에 일조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사용자가 영상반주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을 다양하게 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계, 재생계에 의해 재생된 영상 및 음성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마이크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부, 영상반주기의 각종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사용자가 설정한 도전점수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가 노래한 음악을 채점하는 채점기, 및 전술한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는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소정분량의 정보를 신호처리하고, 신호처리된 음성신호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합성한 복합음성신호를 상기 채점기를 이용하여 채점한 후, 채점된 점수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도전점수를 비교하여, 채점된 점수가 도전점수보다 낮으면 동일한 정보를 반복 재생하고, 채점된 점수가 도전점수보다 높으면 다음 정보를 재생하도록 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키입력부를 통하여 도전점수를 입력함에 따라 입력된 도전점수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생계를 통하여 소정분량의 정보를 재생하며; 재생된 소정분량의 정보를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신호처리하고; 음성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신호 처리된 음성신호와 마이크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신호처리된 음성신호가 합성된 복합음성신호를 검출한 후, 채점기를 통하여 채점하며; 채점기에 의해 채점된 점수와 메모리에 저장된 도전점수를 비교하여 채점된 점수가 도전점수 이상이면, 재생계를 제어하여 다음 소정분량의 정보를 재생하고; 채점기에 의해 채점된 점수 메모리에 저장된 도전점수 이하이면, 재생계를 제어하여 현재 재생된 정보를 반복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를 보면, 사용자가 영상반주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기능키가 복수개 장착된 키입력부(1)와, 기록매체(도시되지 않았음)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재생계(2)와, 재생계(2)에 의해 분리된 영상신호(화상 및 자막데이타)를 신호처리하여 모니터(3)에 최종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4)와, 재생계(2)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반주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5)와, 마이크(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는 마이크신호 처리부(6)와, 전술한 음성신호 처리부(5)와 마이크신호 처리부(6)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복합음성신호(반주신호+음성신호)를 스피커(7)에 최종 출력하는 합성기(8)와, 합성기(8)에 의해 합성된 아날로그형태의 복합음성신호를 디지탈형태의 복합음성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9)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도전점수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10)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9)로부터 입력된 복합음성데이타를 분석하여 소정점수를 환산하는 채점기(11), 및 전술한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2)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2)는 노래연습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체크하여(S1), 노래연습기능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영상반주기내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일반영상반주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
만약, 사용자가 키입력부(1)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키 중 노래연습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기능키를 조작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노래연습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전점수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한 후(S3), 모니터(3)를 제어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초기화면은 사용자의 취향에 의해 결정된 제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영상반주기를 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설정된 제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사용자가 도전점수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도전점수의 입력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S4), 재생계(2)를 제어하여 기록매체(도시되지 않았음)에 기록된 정보 중 한소절분량의 정보를 재생시킨다(S5). 이에 따라, 재생계(2)는 기록매체로부터 한소절분량의 정보를 검출하여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한 후, 분리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각각의 신호처리부(4,5)에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신호 처리부(4)는 재생계(2)로부터 인가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와 별도의 자막신호 발생수단(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발생된 자막신호가 합성된 복합영상신호를 모니터(3)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곡에 대응하는 화상과 가사정보 및 기타 각종 문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성신호 처리부(5)는 재생계(2)로부터 인가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한 후, 신호처리된 음성신호(반주신호)를 합성기(8)에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는 마이크신호처리부(6)에 의해 신호처리된 후, 합성기(8)에 인가된다. 합성기(8)는 음성신호 처리부(5)로부터 인가된 음성신호(반주신호)와 마이크신호 처리부(6)로부터 인가된 음성신호를 합성한 후, 합성된 복합음성신호를 스피커(7)로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곡의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자신이 부른 노래소리를 직접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합성기(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형태의 복합음성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9)를 통하여 디지탈형태의 복합음성데이타로 변환된 후, 마이크로 컴퓨터(12)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9)로부터 한소절 분량의 디지탈형태의 복합음성데이타를 검출하고(S6), 검출된 디지탈형태의 복합음성데이타를 채점기(11)에 출력한 후, 채점기(11)를 통하여 해당 복합음성데이타를 채점하도록 제어한다(S7). 여기서, 채점기(11)에 의한 채점방식은 통상적인 영상반주기의 기능에 이미 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언급은 생략한다.
이후,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채점기(11)를 제어하여 채점된 현재점수데이타를 검출하고(S8), 메모리(10)를 제어하여 메모리(10)에 저장된 도전점수데이타를 검출한 후(S9), 채점기(11)로부터 검출된 현재점수가 메모리(10)로부터 검출된 도전점수 이상인가를 체크한다(S10). 이 단계(S10)에서 현재점수가 도전점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사용자에 의해 노래연습기능이 중지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1), 노래연습기능이 중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단계(S2)로 귀환하여 영상반주기가 일반영상반주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위의 단계(S11)에서 노래연습기능이 중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전술한 단계(S5)로 귀환하여 단계(S5) 이후의 전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소절의 음악 정보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단계(S10)에서 현재점수가 도전점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사용자에 의해 노래연습기능이 중지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2), 노래연습기능이 중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단계(S2)로 귀환하여 영상반주기가 일반영상반주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위의 단계(S12)에서 노래연습기능이 중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재생계(2)를 제어하여 다음 한소절분량의 정보를 재생시킨 후(S13), 해당곡이 모두 재생되었는가를 체크한다(S14). 이 단계(S14)에서 해당곡이 모두 재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전술한 단계(S6)로 귀환하여 단계(S6) 이후의 전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음소절의 음악정보를 계속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위의 단계(S14)에서 해당곡이 모두 재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전술한 전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소절의 정보가 재생되면, 채점기(11)에 의해 채점된 현재점수를 모니터(3)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전점수를 설정하고,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한소절분량으로 재생한 후, 한소절분량의 노래점수를 채점하여 도전점수와 비교한 후, 채점된 점수가 도전점수보다 높을 때에만 다음 한소절분량의 정보가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노래를 보다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반주기에 노래연습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을 확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1) 사용자에 의해 노래연습기능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2) 상기 과정(1)의 판단 결과, 노래연습기능이 온된 경우 도전점수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 의해 도전점수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3) 상기 과정(2)의 판단 결과, 도전점수가 입력된 경우 재생계를 제어하여 한 소절분량의 정보를 재생하는 과정; (4) 상기 과정(3)에서 재생되는 신호의 음성데이터를 검출하고, 채점기를 이용하여 검출된 음성데이터를 채점하며, 채점된 현재 점수 데이터를 검출하는 과정; (5) 상기 과정(4)에서 현재 점수 데이터가 검출되면 메모리로부터 도전점수 데이터를 검출하는 과정; (6) 상기 과정(4)에서 검출된 현재 점수가 과정(5)에서 검출된 도전점수보다 높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7) 상기 과정(6)의 판단 결과, 현재 점수가 도전점수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재생계를 제어하여 다음 한 소절분량의 정보를 재생되도록 하고, 현재 점수가 도전 점수보다 낮은 경우 재생계를 제어하여 상기 과정(3)에서 재생되는 정보를 반복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KR1019960004830A 1996-02-27 1996-02-27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KR10023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830A KR100233645B1 (ko) 1996-02-27 1996-02-27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830A KR100233645B1 (ko) 1996-02-27 1996-02-27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236A KR970063236A (ko) 1997-09-12
KR100233645B1 true KR100233645B1 (ko) 1999-12-01

Family

ID=1945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830A KR100233645B1 (ko) 1996-02-27 1996-02-27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62B1 (ko) * 2002-01-23 2004-11-18 심의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악절 반복 재생 시스템 및이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479A (ja) * 1992-09-25 1994-04-22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479A (ja) * 1992-09-25 1994-04-22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62B1 (ko) * 2002-01-23 2004-11-18 심의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악절 반복 재생 시스템 및이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236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4940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0010574A (ja) カラオケ装置
KR100233645B1 (ko)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JP2000029472A (ja) カラオケ装置
JP3010936B2 (ja) 音楽再生装置
JP2000137490A (ja) カラオケ装置
JP2000047677A (ja) カラオケ装置
JP3067087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3673385B2 (ja) 音楽演奏装置
JPH1195770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再生方法
KR0146596B1 (ko)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JP2000010572A (ja) 歌声発生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4161714B2 (ja) カラオケ装置
JP2823673B2 (ja) ビデオディスクプレーヤ
JPH08292782A (ja) 曲の間や間奏中に音量を下げるカラオケ装置
JP2001034278A (ja) 歌唱練習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H09106294A (ja) Midiカラオケにおける歌唱力採点装置
KR20010090680A (ko) 영상 댄스게임 노래반주 시스템
JP2002041070A (ja) イントロ当てゲーム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KR0119894B1 (ko) 영상가요반주기능을 갖춘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
JPH1063286A (ja) 選曲装置
KR20060110689A (ko)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H0473695A (ja) カラオケ装置
JPH09212182A (ja) カラオケ装置
JPH1130991A (ja) 反響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