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780B1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780B1
KR100232780B1 KR1019920020751A KR920020751A KR100232780B1 KR 100232780 B1 KR100232780 B1 KR 100232780B1 KR 1019920020751 A KR1019920020751 A KR 1019920020751A KR 920020751 A KR920020751 A KR 920020751A KR 100232780 B1 KR100232780 B1 KR 10023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pin
handle
head
hel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552A (ko
Inventor
지네트 롤랜드
뤼트빌레르 로베르트
뤼트빌레르 베르너
Original Assignee
차알스 제이. 메츠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알스 제이. 메츠,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차알스 제이. 메츠
Publication of KR93000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6Threaded or screw connections for brist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30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screwed sockets or ta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3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in association with, or including, tang, bolt, or other member passing axially through whole length of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cap interacting with the nut, connected to the bolt by a pin or cotter pi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2Biased catch or latch by separate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솔헤드(22)가 치솔손잡이(24)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치솔(20)에 관한 것이다. 나선가공된 핀(26)은 치솔헤드(22)가 상기 핀상에 나사조임될 때 치솔헤드(22)의 정지캐치(36)과 치솔손잡이(24)의 오목부(38)와 결합하고 치솔헤드를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시키기까지 선응력스프링(32)이 치솔손잡이(24)에 대한 선응력하에서 치솔헤드(22)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선응력스프링(32)의 작용에 저항하여 치솔손잡이(24)의 바깥쪽으로 제한된 범위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치솔손잡이와 치솔헤드의 형태에 무관하게 단단한 연결이 그러한 부품간에 간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치솔
제1도는 치솔헤드가 설치된 치솔의 평면도.
제2도는 종방향중심선을 따라 취한 제1도의 치솔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나선가공된 핀을 위한 미끄럼베어링슬리브와 치솔헤드가 제거된 상태의 제2도의 치솔의 부분 절결도.
제4도와 제5도는 선응력장치를 갖는 나선가공된 핀의 2개의 또다른 변화예를 도시하는 종방향중심선을 따라 수직으로 취한 부분절결단면도.
제6(a)도와 제6(b)도는 제3도의 B-B선에 따르는 치솔헤드의 후방단부의 삽입위치 및 작동위치에서의 도면.
제7(a)도와 제7(b)도는 2선 또는 3선 나사를 갖는 제6(b)도와 유사한 치솔헤드의 후방단부의 도면.
제8도는 나선가공된 핀을 위한 삽입슬리브를 갖는 제3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치솔손잡이 속에 결합되는 나선가공된 핀을 위한 미끄럼베어링을 갖는 제3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치솔 22 : 치솔헤드
24 : 치솔손잡이 26 : 나선가공된 핀
28 : 나선가공된 구멍 29 : 강모
30 : 미끄럼 베어링 31 : 손잡이목부
32 : 선응력장치 33 : 강모베드
34 : 나선 36 : 정지캐치
38 : 오목부 40 : 단부면
42 : 2선나사 44 : 3선나사
46 : 조심링 48 : 매끈한 원통부
50 : 생크 52 : 가로벽
54 : 환형숄더 56 : 축방향구멍
58 : 공동 60 : 안내슬리브
62 : 안내로드 64 : 지지디스크
66 : 나선형 수축스프링 70 : 가로핀
72 : 슬롯 74 : 삽입슬리브
76 : 원통형구멍 78 : 외곽
80 : 나선가공된 핀 82 : 세로늑재
84 : 세로홈 85 : 미끄럼베어링
86 : 치솔손잡이 88 : 가로벽
90 : 판스프링 92 : 가로못
94 : 판스프링 96 : 치솔손잡이
98 : 가로벽
본 발명은 치솔헤드가 치솔손잡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치솔헤드에 대면한 치솔손잡이의 전방단부에서 돌출한 나사가공된 핀이 치솔손잡이에 대면한 치솔헤드의 후방단부의 나선가공된 구멍속에 상호비틀림식으로 나사조임되는 치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류의 치솔은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등록 제7,600,205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치솔에서는 치솔손잡이의 나사가공된 구멍속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고정나사가 치솔손잡이의 종방향나사구멍을 통해 연장하고 치솔손잡이의 단부에 있는 회전식 노브에 의해 작동되는 스핀들에 배치된다. 치솔헤드에 대한 치솔손잡이의 각도위치는 치솔헤드의 대응구멍에 결합하는 치솔손잡이에 안내핀으로 고정된다. 치솔조립체에서 치솔헤드는 먼저 치솔손잡이의 안내핀에 배치되고, 이어서, 안내핀상에서 치솔손잡이를 향한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마지막으로, 치솔손잡이의 단부에 있는 회전식 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조여진다.
아래에 기재된 2개의 문건은 그 부품이 선응력장치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에 대한 직동관계에 이동되는 그 부픔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과 이러한 조작의 끝에서의 스냅식 결합을 설명하고 있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31 30 703 A1호는 손잡이 및 공구에 각각 부착된 연결슬리브와 삽입꼭지를 포함하는 손잡이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 사각형단면의 삽입꼭지는 판스프링의 직각부가 삽입꼭지의 고정구멍에 결합됨에 따라 커플링슬리브의 삽입구멍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푸시버튼이나 미끄럼슬리브의 형태인 래치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푸시버튼은 판스프링의 각진 단부에 놓여져 판스프링의 직각부가 삽입구멍의 밖으로 인양되게 한다. 미끄럼슬리브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슬리브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경사면을 갖는 미끄럼조인트를 거쳐 인양될 수 있다.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등록 제87 00 502 U1은 자루나 손잡이 등과 같은 것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을 설명한다. 고정돌기가 꼭지의 자유단부에서 꼭지의 한쪽 종방향측부에 배치된다. 그 대향하는 종방향측부상에서 꼭지는 꼭지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꼭지의 전폭에 걸쳐 연장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그 전장은 슬리브의 꼭지의 삽입 길이보다 작다. 슬리브는 최대 꼭지단면에 필적하는 내부단면을 갖는다. 한 측부에서 슬리브는 상기 고정돌기용 고정오목부를 구비하며, 반대편 측부에서는 혀모양부재용 종방향홈을 구비하고, 혀모양부재는 종방향 홈속으로 안내되어 슬리브의 내부단면속으로 돌출한다. 혀모양 부재는 축방향스프링에 지지되고 슬리브외측에 배치된 슬라이드에 연결된다. 고정상태에서 혀모양부재는 고정돌출부의 반대편에 놓인 종방향측부상의 꼭지아래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말한 공지의 일반형태의 치솔을 치솔헤드가 치솔손잡이에 신속하고 신뢰할 만하며 어린이에 의한 연결의 분리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치솔손잡이와 치솔헤드의 형태에 무관하게 치솔헤드용 재료의 절감을 가능한 한 크게하는 형태로 한다.
본 발명은 나사가공된 핀이 선응력장치의 힘에 대항하여 치솔손잡이의 외부로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까지 이동될 수 있으나 회전될 수 없는 방식으로 치솔손잡이의 전방단부의 축방향 미끄럼베어링에 설치되고, 치솔헤드의 나선가공된 구멍속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나사부와 치솔헤드의 후방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정지캐치가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정지캐치는 치솔손잡이의 전방 단부의 축방향 오목부와 대응하고, 치솔헤드가 나선가공된 핀에 대해 나사 조임될 때 치솔헤드가 정치캐치에 의해 치솔손잡이의 전방 단부에 지지되고 나선가공된 핀은 정지캐치가 치솔손잡이의 오목부와 결합할 때까지 선응력장치의 작용에 대항하여 인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한다.
미끄럼베어링을 수용한 치솔손잡이의 전방단부가 치솔헤드에 접하는 치솔손잡이의 목부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나선가공된 구멍이 치솔헤드의 강모를 수용한 강모베드에 결합되는 것이 양호하다. 치솔헤드상의 나선가공된 연결부의 이러한 밀접배치에 의해 소모성 치솔헤드를 위한 재료절감을 되도록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조심링이 나선가공된 핀의 전방 단부에서 나선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거리에 배치되고, 치솔헤드의 나선가공된 구멍의 개구구역에 배치된 나선가공된 구멍의 매끈한 원통부는 조심링을 수용한다. 나사의 직경 및 나선가공된 핀의 조심링의 직경이 치솔손잡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나선가공된 핀의 생크보다 크면 좋다. 나사 및 조심링은 동일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치솔헤드와 치솔손잡이의 사이의 고강도연결이 이루어진다.
치솔손잡이의 나선가공된 핀을 위한 축방향미끄럼베어링이 나선가공된 핀상의 적어도 하나의 정지소자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가로벽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나선가공된 핀의 후방단부는 기로벽의 구멍을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핀은 선응력장치의 일부에 연결되며, 선응력장치의 다른 부분은 치솔손잡이에 고정된다. 선응력스프링은 압축스프링이나 또는 선택사양적으로 인장스프링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치솔손잡이와 치솔헤드의 사이의 이동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는 연결이 적절한 특성의 스프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치솔손잡이의 미끄럼베어링의 나선가공된 핀의 축방향안내는 단지 축방향운동만을 허용하면서 미끄럼베어링의 종방향으로 지향된 오목부에 결합되는 나선가공된 핀상의 방사방향돌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중나선나사에 의해 치솔손잡이에 치솔헤드를 고정하는 데는 180°의 회전각으로 충분하다.
나선가공된 핀을 위한 치솔손잡이의 미끄럼베어링과 치솔헤드의 나선가공된 구멍은 치솔손잡이와 치솔헤드를 이루는 재료로서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치솔손잡이와 치솔헤드에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편, 미끄럼베어링과 나선가공된 구멍은 치솔손잡이와 치솔헤드의 대응하는 축방향 구멍에 고정된 삽입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몇개의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치솔헤드(22)가 치솔손잡이(2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치솔(20)을 도시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따르면 치솔헤드(22)에 대면하는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로부터 돌출한 양호하게는 플라스틱제인 나선가공된 핀(26)이 강모 베드(33)의 보강된 부분에 배치된 일체형의 나선가공된 구멍(28)속에 나사조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된 부분은 치솔헤드(22)의 후방단부에 치솔헤드(22)의 강모(29)를 수용하고, 후방단부는 치솔손잡이(24)를 대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가공된 핀(26)은 치솔손잡이(24)의 목부(31)의 전방단부의 축방향미끄럼베어링(30)에 그것이 선응력장치(32)의 힘에 대항하여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밖으로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까지 이동할 수 있지만 회전할 수 없게 설치된다. 그 전방단부에서 나선가공된 핀(26)은 치솔헤드(22)의 나선가공된 구멍(28)속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나사(34)를 구비한다. 정지캐치(36)가 강모(29)의 측부상에서 치솔헤드(22)의 후방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축방향오목부(38)가 거기에 대응한다. 치솔헤드(22)가 조여질 때 정지캐치(36)은 약간의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단부면(40)에 안착된다. 치솔헤드(22)의 나사조임운동이 계속되거나 또는 치솔헤드(22)속으로의 치솔손잡이(24)의 대응하는 나사조임운동이 행해지면 나선가공된 핀(26)은 정지캐치(36)가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오목부(38)에 결합되고 그것이 치솔손잡이(24)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될 때까지 나사피치에 따라 선응력장치(32)에 대항하여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밖으로 인출된다. 치솔헤드(22)가 다른 것, 즉, 새로운 치솔헤드로 대체되어야 한다면 치솔헤드는 반대방향의 회전으로 나사(34)로부터 치솔손잡이(24)를 나사조임이 해제되도록 선응력장치(32)의 힘에 대항하여 정지캐치(36)의 전장에 의해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단부면(4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하게 당기기만 하면 된다. 제6(a)도는 반원구로 연장하는 화살표와 함께 치솔손잡이(24)에 설치되는 치솔헤드(22)의 출발위치를 도시하며, 상기 화살표는 치솔손잡이(24)에 설치하는 치솔헤드(22)의 절반회전이 제6(b)도에 따른 작업위치를 취하기에 충분함을 나타낸다. 제7(a)도와 제7(b)도에 보이듯이 2선나사(42) 또는 3선나사(44)가 치솔헤드(22)와 치솔손잡이(24)의 결합에 양호하다. 나선(34)과 조심링(46)은 편의상 동일직경을 갖는다.
제2도와 제3도로부터 조심링(46)은 나선(34)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거리에 나선가공된 핀(26)의 전방단부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치솔헤드(22)의 나선가공된 구멍(28)의 개구구역에는 나선가공된 핀(26)의 조심링(46) 및 나선(34)의 직경은 치솔손잡이(2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나선가공된 핀의 생크(30)보다 크다. 나선(34)과 조심링(46)은 편의상 동일 직경을 갖는다.
제2도와 제3도에서 또한 알 수 있듯이 나선가공된 핀(26)을 위한 치솔손잡이(24)의 미끄럼베어링(30)은 나선가공된 핀(26)이 내단부상의 환형숄더(54)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가로벽(52)으로 경계를 이룬다. 가로벽(52)은 축방향구멍(56)을 구비하며, 그것은 나선가공된 핀(26)의 생크(5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치솔손잡이(24)의 내공동(58)을 향해 안내슬리브(60)로 계속된다. 안내로드(62)는 가로벽(52)의 상기 구멍(56)을 통하여 환형숄더(54)를 형성하는 나사가공된 핀(26)의 생크(50)의 단부로부터 안내슬리브(60)를 통해서 연장하며, 지지디스크(64)는 이러한 안내로드(62)의 외단부에 고정된다. 제2도와 제3도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나선형 수축스프링으로 설계된 선응력장치(32)는 가로벽(52)의 안내슬리브(60)로 안내되고 가로벽(52)과 지지디스크(68)의 사이에 그 두개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가공된 핀(26)은 가로벽(52)의 방향으로 계속 응력이 유지된다.
나선가공된 핀(26)의 생크(50)는 축방향운동만 허용하면서 미끄럼베어링(30)의 세로지향된 오목부와 결합되는 반경방향돌출부를 구비한다. 제2도와 제3도에 따른 생크(50)의 반경반향돌출부는 서로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로핀(70)을 포함하며, 가로핀은 나선가공된 핀(26)의 생크(5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나선가공된 핀(26)의 축방향 이동만 허용하고 회전을 불허하는 길쭉한 슬롯(72)에 결합된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가로핀(70)을 위한 직경상에 마주하는 길쭉한 슬롯(72)이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원통형구멍(76)속에 삽입되고 축방향이동을 방지하고 회전되지 않게 내장된 삽입슬리브(74)에 구비된다. 삽입슬리브(74)는 편의상 제8도에 보이듯이 다각형외곽(79)을 갖는다.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가공된 핀(8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추상에 분포된 세로늑재(82)를 구비하며, 치솔손잡이(86)의 미끄럼베어링(85)의 대응하는 세로홈(84)에 가로이동가능성이 제한된 채로 결합되고, 상기 세로홈(84)은 단부에서 경계를 이루며 치솔손잡이(86)에 재료와 일체로 직접성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나선가공된 핀(80)은 전방단부 및 치솔손잡이(86)의 일체형 부품과 마찬가지로 치솔손잡이(86)의 가로벽(88)을 통해 동일직경으로 관통한다. 선응력장치를 형성하는 판스프링(90)의 한쪽단부는 가로벽(88)으로부터 돌출한 나선가공된 핀(80)의 내단부에 고정되며 그 다음 단부는 치솔손잡이(86)의 가로못의 둘레에 배치된다.
제5도는 제4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동일부품은 제4도와 동일한 인용부호를 갖는다. 제4도에 보이듯이 단일의 판스프링(94)이 나선가공된 핀(80)의 내단부에 고정되지만 치솔손잡이(96)의 내부를 향해 S자형으로 지향된다. 나선가공된 핀(80)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스프링(94)의 외단부는 치솔손잡이(86)의 가로벽(98)에 고정된다.
앞서 말한 다양한 치솔손잡이의 실시예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증공형 손잡이의 세로절반부를 포함하며, 그 속으로, 앞서 말했듯이, 양호하게는 역시 플라스틱제인 나선가공된 핀의 미끄럼베어링용 삽입슬리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일례로 고주파용접에 의해 나선의 관련접반부가 서로 단단히 용접되기전에 미끄럼베어링이 사출에 의해 치솔손잡이의 절반부의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성형된다. 치솔헤드가 관련나선이 일체로 성형되는 나선가공된 구멍을 위해서나 또는 선택사양적으로는 치솔헤드가 둘레에 성형되거나 치솔헤드의 성형후에 치솔헤드의 대응 구멍속에 삽입되는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나선가공된 구멍을 위해서는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해 치솔헤드가 성형될 수 있다. 치솔손잡이의 증공형태는 상기 손잡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재료를 절감하며 보다 깨끗한 양치질이 가능하게 한다. 앞서 말한 실시예가 일반적으로 선호될지라도 필요하다면 나선가공된 핀은 치솔헤드 및 치솔손잡이의 나선가공된 구멍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된 모든 경우에서 스프링강도는 어린이가 치솔헤드로부터 치솔손잡이를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선응력스프링도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치솔손잡이의 전방단부가 치솔헤드에 대면하고 치솔헤드의 후방단부가 치솔손잡이에 대면하여 치솔헤드의 후방단부의 나사가공된 구멍속에 비틀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치솔손잡이의 전방단부로부터 돌출한 나선가공된 핀의 나사조임됨으로써 치솔헤드가 치솔손잡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치솔에 있어서, 나선가공된 핀(26)이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축방향미끄럼베어링(30)에 설치되어 선응력장치(32)의 힘에 저항하여 치솔손잡이(24)의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제한된 범위까지 이동될 수 있으나 회전은 불가하며 그 전방단부에는 치솔헤드(22)의 나선가공된 구멍(28)속에 나사조임될 나선이 구비되고, 치솔헤드(22)의 후방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정지캐치에 대해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의 축방향오목부(38)가 대응하여 치솔헤드(22)가 나선가공된 핀(26)상에 나사조임될 때 치솔헤드(22)가 정치캐치(36)에 의해 치솔손잡이(24)의 전방단부에 지지되며 나선가공된 핀(26)은 정치캐치(36)가 치솔손잡이(24)의 오목부(38)와 결합하기까지 선응력장치(32)의 작용에 저항하여 당겨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제1항에 있어서, 미끄럼베어링(30)을 수용한 치솔손잡이(24)의 전방 단부는 치솔헤드(22)에 인접한 치솔손잡이목부(31)의 단부로 이루어지고, 나선가공된 구멍은 치솔헤드(22)의 강모(29)를 수용한 강모베드속에 일체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3. 제1항에 있어서, 조심링(46)이 나선가공된 핀(26)의 전방단부에서 나선(34)으로부터 일정한 축방향거리에 배치되고 치솔헤드(22)의 나선가공된 구멍(28)의 개구구역에 배치된 나선가공된 구멍(28)의 매끈한 원통부(48)가 조심링을 수용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4. 제3항에 있어서, 나선(34) 및 나선가공된 핀(26)의 조심링(46)의 직경이 치솔손잡이(2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나선가공된 핀(26)의 생크(5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5. 제4항에 있어서, 나선(34)과 조심링(46)이 동일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솔손잡이(24)의 나선가공된 핀(26)을 위한 축방향 미끄럼베어링(30)이 나선가공된 핀(26)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소자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가로벽(52)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나선가공된 핀(26)의 후방단부는 가로벽(52)의 구멍(56)을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나선가공된 핀(26)이 선응력 장치의 일부에 연결되며, 선응력장치의 다른 부분은 치솔손잡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7. 제6항에 있어서, 치솔손잡이(24)의 가로벽(52)으로부터 돌출한 나선가공된 핀(26)의 후방단부는 그 단부에서 지지디스크(64)를 갖고, 나선가공된 핀(26)의 후방단부(62)에 배치된 선응력 장치로서의 나선형 압축스프링(66)의 양단부가 지지디스크(64) 및 가로벽(52)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선가공된 핀의 생크가 단지 축방향운동만을 허용하면서 미끄럼베어링의 벽의 폐쇄단부를 갖는 세로지향된 오목부와 결합하는 반경방향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9. 제8항에 있어서, 나선가공된 핀(26)의 생크(50)상의 반경방향돌출부는 나선가공된 핀(26)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배치된 가로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0. 제8항에 있어서, 생크(50)의 반경방향돌출부는 상기 생크의 원주상에 분포되고 미끄럼베어링(85)의 대응하는 세로홈(84)에 오직 축방향이동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세로늑재(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1. 제1항에 있어서, 정지캐치(36)가 치솔헤드의 강모를 수용한 쪽에 치솔헤드(22)의 중앙세로방향으로 돌출해서 혀모양부재로서 성형되고, 오목부(38)가 치솔손잡이(24)의 강모를 갖는 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2. 제1항에 있어서, 치솔손잡이(24)의 치솔헤드(22)를 고정하기 위해 180°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3. 제1항에 있어서, 나선가공된 핀과 치솔헤드와 나선가공된 구멍의 나선으로는 다중나선(42,4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4. 제1항에 있어서, 나선가공된 핀(26)을 위한 미끄럼베어링(30) 및 나선가공된 구멍(28)의 나선(34)은 각각 치솔손잡이(24) 및 치솔헤드(22)의 재료로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5. 제5항에 있어서, 인장스프링(90,94)의 한 단부가 나선가공된 핀(80)의 후방단부에 연결되고 인장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치솔손잡이(2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솔손잡이(24)의 나선가공된 핀(26)이나 치솔헤드(22)의 나선가공된 구멍(28) 또는 양자 모두는 치솔손잡이(86) 및 치솔헤드(22)의 대응하는 축방향 원통형 구멍(76)의 각각에 고정되는 삽입슬리브(74)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17. 제16항에 있어서, 삽입슬리브(74)의 외주의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KR1019920020751A 1991-11-06 1992-11-05 치솔 KR100232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36537A DE4136537C1 (ko) 1991-11-06 1991-11-06
DEP4136537.2 1991-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552A KR930009552A (ko) 1993-06-21
KR100232780B1 true KR100232780B1 (ko) 1999-12-01

Family

ID=644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751A KR100232780B1 (ko) 1991-11-06 1992-11-05 치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64152A (ko)
EP (1) EP0541096B1 (ko)
JP (1) JP3216922B2 (ko)
KR (1) KR100232780B1 (ko)
AT (1) ATE158481T1 (ko)
AU (1) AU654590B2 (ko)
CA (1) CA2077517C (ko)
DE (2) DE4136537C1 (ko)
GR (1) GR1002586B (ko)
HK (1) HK1010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1468C2 (de) * 1992-12-09 1997-09-25 Johnson & Johnson Ag Zahnbürste
DE4345003C1 (de) * 1993-12-30 1995-05-04 Johnson & Johnson Ag Zahnbürste
AU712020B2 (en) * 1993-12-30 1999-10-28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Toothbrush
DE4409817C1 (de) * 1994-03-22 1995-07-27 Johnson & Johnson Ag Zahnbürste
US5875510A (en) * 1996-09-27 1999-03-0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Replaceable head toothbrush
US6079075A (en) * 1997-07-29 2000-06-27 Velez-Juan; Diego R. Toothbrush with improved handle and detachable bristled cartridge
US6202245B1 (en) * 1999-03-05 2001-03-20 Ramin Khodadadi Musical toothbrush
US6487748B1 (en) 2000-08-30 2002-12-03 Jonathan Dardar Toothbrush with replaceable head
US20020123703A1 (en) * 2000-11-14 2002-09-05 Phillip Mark Vibratory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a coating material
JP3886050B2 (ja) * 2003-05-20 2007-02-28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歯間ブラ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26032B1 (en) * 2005-10-25 2010-06-01 Hernandez Elisa M Safety razor handle assembly
EP2782739B1 (en) * 2011-11-22 2018-10-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510664B2 (en) 2011-11-22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63593B2 (en) 2011-11-22 2016-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756931B2 (en) 2011-11-22 2017-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20877B2 (en) 2011-11-22 201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JPWO2021131526A1 (ko) * 2019-12-23 2021-07-01
CN217525462U (zh) * 2022-05-07 2022-10-04 深圳术叶创新科技有限公司 电动牙刷的刷头组件及电动牙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122C (ko) *
FR393154A (fr) * 1907-08-09 1908-12-15 Carl Jaegler Guide-outil pour dispositif servant à faconner les feuillures dans le bois
GB287022A (en) * 1927-11-15 1928-03-15 Walter Ryser Improvements in tooth brushes
US1859129A (en) * 1930-12-19 1932-05-17 John H Costenbader Toothbrush
US1942931A (en) * 1932-11-05 1934-01-09 Earl J Mcwhirter Toothbrush
US2749567A (en) * 1951-08-07 1956-06-12 Krueger Max Adjustable tooth brush
US2679657A (en) * 1952-10-17 1954-06-01 Krueger Max Adjustable toothbrush or related article
DE7600205U1 (de) * 1976-01-07 1976-05-13 Gaedke Geb. Pahnke, Erika, 5330 Koenigswinter Kleinkinderzahnbuerste
DE3130703C2 (de) * 1981-08-03 1983-10-13 Wolf-Geräte GmbH, 5240 Betzdorf Stielbefestigungskupplung, insbesondere für Haus- und Gartengeräte
DE8600750U1 (de) * 1986-01-15 1986-02-27 Peters, Heinrich Josef, 4178 Kevelaer Kupplung zum Anschluß eines Besens od. dgl. an einen Stiel
DE8607168U1 (ko) * 1986-03-15 1987-07-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1096B1 (en) 1997-09-24
ATE158481T1 (de) 1997-10-15
CA2077517C (en) 2004-03-02
JP3216922B2 (ja) 2001-10-09
CA2077517A1 (en) 1993-05-07
HK1010320A1 (en) 1999-06-17
KR930009552A (ko) 1993-06-21
GR1002586B (el) 1997-02-11
EP0541096A1 (en) 1993-05-12
DE69222392T2 (de) 1998-03-19
GR920100478A (el) 1993-07-30
JPH05317125A (ja) 1993-12-03
AU654590B2 (en) 1994-11-10
US5564152A (en) 1996-10-15
DE69222392D1 (de) 1997-10-30
AU2810192A (en) 1993-05-13
DE4136537C1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780B1 (ko) 치솔
US11399924B2 (en) Refill for electric toothbrush
AU671264B2 (en) Tooth brush
EP3644897B1 (en) Electric toothbrush
EP3644895B1 (en) Coupling mechanism for electric toothbrush
US7794483B2 (en) Compression bone screw
US6880871B2 (en) Drive-in latch with rotational adjustment
US5673453A (en) Toothbrush with detachable bristle head capable of changing orientation relative to its handle
US4039013A (en) Hand tool with helical drive
US4130929A (en) Wound spring receptacle
EP0601574B1 (en) Toothbrush
JPS5818193B2 (ja) コウグノ センタンニカイテンウンドウオアタエルテコウグト ソノクミタテホウホウ
KR200201781Y1 (ko) 청소용 비
EP1782712A1 (en) Adjustable broom
JPH07266252A (ja) ねじの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