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580B1 - 배터리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580B1
KR100231580B1 KR1019950028191A KR19950028191A KR100231580B1 KR 100231580 B1 KR100231580 B1 KR 100231580B1 KR 1019950028191 A KR1019950028191 A KR 1019950028191A KR 19950028191 A KR19950028191 A KR 19950028191A KR 100231580 B1 KR100231580 B1 KR 10023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pport
fixing
stan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409A (ko
Inventor
김호경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2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580B1/ko
Publication of KR97001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고정구조의 부품구성이 많거나 조립시 불편함이 따르고 배터리크기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대(20)의 지지홀(22)에 측면지지대(26)이 고정턱(34)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6')를 하부고정대(20)에 보울트(8)과 너트(10)로 체결시킴으로써 그 조립이 간단하고 측면지지대(26)(26')의 지지보울트(30)로 배터리(100) 측면을 고정시키고 상부고정대(38)의 탄성편(40)이 배터리(100) 상부를 눌러 하부고정대(20)와 함께 배터리(100)의 상·하부로 고정시킴으로써 배터리(100) 크기의 변화에 따른 구조대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고정구조
제1a도는 종래 배터리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1b도는 종래 배터리고정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제1c도는 종래 배터리고정구조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고정구조를 나타낸 조립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고정구조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터리 2, 2', 2" : 하부고정판
3 : 상부고정판 4 : 클램프아암
6, 6' : 걸림턱 8 : 보울트
10 : 너트 12 : 고정브라켓
14 : 지지대 20 : 하부고정대
22 : 지지홀 24, 24' : 관통홀
26, 26' : 측면지지대 28 : 웰드너트
30 : 지지보울트 32 : 지지판
34 : 고정턱 36 : 힌지
38 : 상부고정대 40 : 판성편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BATTERY)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고정대와 측면지지대와 상부판을 형성시켜 상기 부품 사이에 배터리를 위치시키고 고정시켜 조립이 간단하고 배터리제품들의 크기 차이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는 배터리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가솔린차량, 디젤차량을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시도면 제1도는 이러한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배터리를 고정대에 설치하고, 미도시되었지만 엔진룸의 일측에 결합시켜 배터리가 차량의 진동등으로 차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1a도는 배터리(100)의 하부를 안착시키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사면이 상방으로 절곡된 직사각형 형상의 하부고정판(2)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클램프아암(4)을 형성시켜 일단은 걸림턱(6)을 형성시켜 하부고정판(2)에 관통시키고 타단은 나사선을 형성시키고 상부고정판(3)에 관통시켜 나사선에 너트(10)를 결합시켜 너트(10)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걸림턱(6)이 하부고정판(2)에 견고히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1b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고정판(2')의 일측면에 걸림턱(6')을 형성시키고 배터리(100)의 일측면 하단돌출부를 상기걸림턱(6')에 삽입시키고 타측면 하단돌출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2)을 형성시켜 일단은 배터리(100)의 타측면 하단돌출부를 누르고 타단은 하부고정판(2')에 보울트(8)로 고정시켜 결과적으로 배터리(100)의 양측면 하단돌출부를 걸림턱으로 고정시키게 되어 있는 것이다.
예시도면 제1c도는 종래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일단은 배터림(100) 상부를 누르고 타단은 하부고정판(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측으로 판을 절곡시킨 지지대(14)를 2개 형성시켜 배터리(10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 각각 위치시키고 보울트(8)로 체결시키고 있으며 배터리(100)의 측면과 지지대(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 제품종류에 따른 배터리(100)측의 크기차이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체결이 간편하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고정구조에 있어서 예시도면 제1a도는 그 부품구성이 많고, 부품들간의 조립공차로 인하여 클램프아암(4)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6)을 하부고정판(2)에 결합시 높은 조립기술력을 요구하여 배터리(100) 교환시 불편함이 따르고, 예시도면 제1b도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100)를 하부고정판(2') 상단에 올려 놓고 고정턱(6)에 배터리(100)의 일측면 하단 돌출부를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어 고정턱(6)에 상기 돌출부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 타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2)의 관통홀과 하부고정판(2')의 관통홀이 일치되지 않아 배터리(100)의 위치로 다시 재조정해야 하며 배터리(100) 교환시 제품이 다른 경우 그 폭의 크기가 약간의 차이가 있으면 타제품의 선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예시도면 제1c도는 고정이 간단하고 배터리(100) 제품마다 그 폭의 크기차이가 있어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나, 엔진룸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높이의 차이가 있는 배터리(100)는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측면이 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지지홀이 형성된 하부고정대와 상기 지지홀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측면지지대와 하부고정대에 보울트로 체결되는 측면지지대를 2개 형성시키며 상부고정대를 형성시켜 상기 2개의 측면지지대의 일끝단과 상부고정대의 양끝단을 힌지결합시키되 상부 고정대는 탄성편을 형성시켜 배터리 상부로 지지시키며 지지대에는 각각 웰드너트와 보울트로 형성시켜 배터리 양측부로 지지시킴으로써 배터리의 크기 차이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고정시키며 배터리 고정구조의 조립은 1개의 지지대 하단과 하부고정대에 보울트 1개로 조립되고 2개의 지지대와 상부고정대가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배터리착탈이 간편하도록 한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배터리고정구조에 있어서, 3면을 직상방으로 절곡시킨 하부고정대(20)를 형성시키되, 일면의 일부를 연장시켜 지지홀(22)을 형성시키고 절곡되지 않은 타면을 연장시켜 관통홀(24)을 형성시키며 상부고정대(38)를 형성시키고 측면지지대(26)(26')를 형성시켜 상기 상부 고정대(38)의 양끝단과 상기 측면지지대(26)(26')의 일끝단을 힌지(36) 결합시켜 상기 힌지(36)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상부 고정대(38)는 양측에 일부를 절단시켜 곡면형상으로 하방향으로 절곡시킨 탄성편(40)을 각각 성형시키며 상기 측면지지대(26)(26')는 웰드너트(28)를 각각 형성시켜 지지보울트(30)를 각각 결합시키고 지지판(34)을 각각 설치시키며 상기 측면지지대(26)(26') 중 하나의 측면지지대(26) 타단은 고정턱(34)을 형성시켜 상기 지지홀(22)에 체결시키고 다른 측면 지지대(26)의 타단은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하부고정대(20)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절곡부분에 관통홀(24)을 형성시켜 하부고정대(20)의 관통홀(24')과 일치시키고 보울트(8)와 너트(20)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시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고정구조의 조립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예시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고정구조에 배터리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부고정대(20)는 3면을 직상방으로 절곡시켰고 절곡시키지 않는 타면은 측면지지대(26')가 하부고정대(20)와 체결되므로 배터리(100)가 차량진동등이나 급정지, 급출발시 하부고정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1면을 상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지지홀(22)을 형성시켜 후술하는 측면지지대(26)의 고정턱(34)이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측면지지대(26)(26')는 일단은 상부고정대(38)의 양끝단과 힌지(36) 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하부고정대(20)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측면지지대(26)(26') 각각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너트를 관통홀과 일치시켜 고정시킨 웰드너트(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웰드너트(28)에 지지보울트(30)를 삽입시키고 끝단에 지지판(32)을 설치시켜 배터리(100)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배터리(10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측면지지대(26))(26')와 배터리(100) 사이는 다소 거리가 있으므로 배터리(100) 폭의 차이가 제품마다 다소 있더라도 효과적으로 배터리(100)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지지대(26)(26')를 하부고정대(20)에 체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측면지지대(26)의 타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절곡시켜 고정턱(34)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홀(22)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다른 측면지지대(26')의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시켜 하부고정대(20)와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절곡부분에 형성된 관통홀(24')을 상기 하부고정대(20)에 형성된 관통홀(24)과 일치시키고 보울트(8)과 너트(10)로 체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하방으로 곡면을 형성시킨 탄성편(40)이 성형되어 있으며 탄성편(40)은 상부고정대(38) 상부에 일부를 절단시켜 하방으로 곡면형상으로 절곡시켜 재료의 탄성으로 배터리(100) 상부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곡면형상의 탄성편(40) 하부와 상부고정대(38)의 거리 범위내에서 탄성편(40)은 유동적이므로 배터리(100)의 제품마다 높이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효과적으로 배터리(10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조에서 배터리(100)의 착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홀(22)에 고정턱(34)을 삽입시켜 체결시키고 상부고정대(38)와 측면지지대(26)(26')는 힌지(36) 결합되어 한지(36)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측면지지대(26')와 상부고정대(38)를 측면지지대(26) 외측으로 젖혀놓고 배터리(100)를 하부고정대(20)에 안착시킨 다음 측면지지대(26)의 절곡부분을 하부고정대(20)에 밀착시켜서 관통홀(24)(24')을 일치시키고 보울트(8)와 너트(10)로 체결시킨 다음 측면지지대(26)(26')의 지지보울트(30)를 돌려 지지판(32)으로 배터리(100)의 측면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배터리(100)의 상부 및 하부는 상부고정대(38)의 탄성편(40)의 재료의 탄성으로 고정되며 탈거는 상기 순서의 역순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홀(22)에 고정턱(34)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1개의 보울트(8)와 너트(10)로 고정대를 조립시키고 지지보울트(30)를 이용해 배터리(100)로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배터리(100)의 착탈과 고정이 간단하고 배터리(100) 크기의 변화에 따른 구조대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배터리고정구조에 있어서, 3면을 직상방으로 절곡시킨 하부고정대(20)를 형성시키되 그 절곡부 일측에 지지홀(22)을 형성시키고, 저면 일측에 관통홀(24)을 형성시키며, 상부고정대(38)와 측면지지대(26)(26')를 형성시켜 상기 상부고정대(38)의 양단과 측면지지대(26)(26')의 일단을 힌지(36) 결합시키되, 측면지지대(26)의 타단은 내측 상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턱(34)을 형성시켜서 상기 지지홀(22)과 체결되도록 하고 측면지지대(26')의 타단은 외측으로 절곡시키고 관통홀(24')을 형성시켜 보울트(8)와 너트(10)로 상기 관통홀(24)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지지대(26)(26')에는 일면에 웰드너트(28)를 각각 형성시키고 지지보울트(30)를 각각 체결하고, 상기 지지보울트(30)의 끝단에 지지판(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고정대(38)는 양측 일부를 절단시키고 곡면형상으로 하방향으로 절곡시킨 탄성편(40)을 양측에 각각 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고정구조.
KR1019950028191A 1995-08-31 1995-08-31 배터리고정구조 KR10023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191A KR100231580B1 (ko) 1995-08-31 1995-08-31 배터리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191A KR100231580B1 (ko) 1995-08-31 1995-08-31 배터리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409A KR970010409A (ko) 1997-03-27
KR100231580B1 true KR100231580B1 (ko) 1999-11-15

Family

ID=1942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191A KR100231580B1 (ko) 1995-08-31 1995-08-31 배터리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5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409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9540A (en) Unitized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 luminaire
KR100231580B1 (ko) 배터리고정구조
US5403981A (en) Steering wheel including speed control switch and its mounting
KR100199603B1 (ko) 자동차의 배선 고정용 홀더
US5192218A (en) Lampholder assembly
JPH073522Y2 (ja) ランプ受け金具
KR0126817Y1 (ko) 배터리 고정대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JPH026649Y2 (ko)
KR100198037B1 (ko) 밧테리 고정장치
CA2117456C (en) Trim and lamp socket unit for recessed lighting fixtures
JPH0526689Y2 (ko)
KR013235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267116B1 (ko) 배터리 체결장치
KR19980062316A (ko) 배터리 취부구조
KR0132565Y1 (ko) 밧테리 고정장치
KR970035433A (ko) 자동차 배터리 고정대
KR200160023Y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200145839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너의 쿨러 브래킷 유닛
JPH0817229A (ja) 埋込み形照明器具
JPS596501Y2 (ja) レコ−ドプレ−ヤ
KR20010056709A (ko) 자동차의 번호판 장착용 팝너트
JPH08200316A (ja) 箱体の取着構造
KR19980062321A (ko) 배터리 취부구조
KR950031670A (ko) 차량의 백미러 가도축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