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524B1 - 실저장및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실저장및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524B1
KR100231524B1 KR1019930703928A KR930703928A KR100231524B1 KR 100231524 B1 KR100231524 B1 KR 100231524B1 KR 1019930703928 A KR1019930703928 A KR 1019930703928A KR 930703928 A KR930703928 A KR 930703928A KR 100231524 B1 KR100231524 B1 KR 10023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storage
seal
supply
directional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701474A (ko
Inventor
알베르드아케
헬스트롬저커
Original Assignee
스티그-아르네 볼롬
아이 알 오 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그-아르네 볼롬, 아이 알 오 에이비이 filed Critical 스티그-아르네 볼롬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2/00136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2022693A1/de
Publication of KR94070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70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16Devices for entraining material by flow of liquids or gases, e.g. air-blas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60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 B65H2557/65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for diagn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저장 및 공급장치(1,1',1")에 있어서, 주 몸체(4), 실(Y)이 감기는 권취요소(9), 실 저장(V)을 위한 저장표면(17), 및 압축공기 전송 시스템과 지향성제트 노즐들(32,33,33',35,37,37',73)을 작동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스레딩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실 와인딩 요소(9)에 공급점(11)과 실 저장 및 공급장치 또는 실 입구(Z)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2)은 공급점(11)과 가이드(22) 사이에 장치된 노즐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저장표면상에 남아 있는 저장된 실(V)에 의한 부분실패의 경우에서, 공급점(11)아래로 상기 실 단부를 불어 보낼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실 저장 및 공급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 실 저장 및 공급장치 4 : 주 몸체
9 : 실 와인딩 요소 14 : 저장드럼
22 : 가이드구멍 25 : 압력공급원
26, 27, 28 : 공급라인 32, 33, 37 : 지향성제트 노즐
A : 작동장치 E : 스레딩 장치
F : 실 제동장치 Z : 입구
Y : 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기의 전체실패(Total Failure) 또는 부분실패(Partial Failure)에 따라 기기 적소에 설치되어 있는 지향성제트 노즐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장치를 구비한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제DE-A1-37 34 284호에 공지된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서, 스레딩 장치는 지향성제트 노즐과 공기 안내면을 포함한다. 실이 파단되는 경우에서, 파단된 실이나 혹은 예비적인 실의 자유 단부는 모든 지향성제트 노즐의 동작에 의해 입구로부터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와인딩 요소를 통해 이동되고 그 다음에는 우회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그 통로는 저장드럼(Storage Drum)을 따라서 가이드구멍(Guide Opening)으로 이동하는 통상적인 실의 통로와 비교되며, 그 동작은 예정된 위치에서 멈춘다. 입구와 저장드럼 사이에서 실의 파단에 의한 부분실패의 경우에는 실이 가이드 구멍내로 정확하게 들어가게끔 하는 규칙적인 실의 공급이 저장드럼상에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이 무시된다. 불필요하면서 시간을 낭비하는 여분의 일이 스레딩 동작중에 수행되는데, 그 이유는 저장드럼상에 저장된 실이 또한 다 소모되었을 경우의 실의 파단에 의한 전체실패시에만 연속적인 스레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출원 제EP 0 420 176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서, 동시적으로 두 개의 동일한 스레드를 그 장치에 공급한 제1지향성제트 노즐부품이 입구에서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지향성제트 노즐이 또한 와인딩 요소(Winding Element)와 가이드구멍의 출구사이에 제공된다. 실의 파단후에 실이 저장표면상에 여전히 저장되는 부분실패이거나 혹은 저장표면상에 저장된 실이 실의 파단후에 다 쓰이는 전체실패이거나 상관없이, 파단된 한 실의 양측 자유 단부는 실패시 제거되고 다른 실이 후속으로 꿰어진다. 저장표면상에 여전히 저장되어 있는 실을 제거하기 위하여 와인딩 요소는 제자리로 다시 돌아오고 제1지향성제트 노즐 조립체로부터 상기 실이 흡착되어 방출된다.
유럽 특허 출원 제0 296 140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서 릴(Reel)과 저장드럼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확한 실 공급기를 구비한 저장드럼사이에서 실의 파단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실패는 자동적인 방법으로만 해결된다. 보조노즐은 파단된 실이나 혹은 예비적인 실 단부를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입구나 와인딩 요소의 출구위로 이동시킨다. 컷팅장치(Cutting Device)는 저장 드럼상에서 실 공급의 첫부분을 분리시켜 저장드럼에서 자유로운 실 단부를 만들어 낸다. 흡착공기노즐들은 하나의 스플라이서(Splicer)가 실단부로 연결하기 전에 실의 양단을 빨아들인다. 이러한 스레딩 장치는 빈 저장드럼에 의한 전체실패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실패제거시 여분의 일을 피할 수 있고 파단에 의한 부분실패의 경우 전체실패보다 더 빠르게 수리될 수 있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패제거에 관해 지능적이고 각종 실패를 변별할 수 있으며 가능한 적은 시간내에, 필요시 자동적으로 특정한 방식으로 실패(고장)를 제거할 수 있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 기계용 실 저장 및 공급장치(1,1',1"), 특히 직조기에 있어서, 주 몸체(4)에는 실 와인딩 요소(9)가 회전 구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접선으로 감긴 와인딩으로 이루어진 실 공급(V)을 위한 저장드럼상에 저장표면(17)이 제공되며, 상기 실(Y)은 상기 와인딩으로부터 상기 저장드럼의 위나 혹은 가이드(22)구멍을 통해서 회수되며, 스레딩 장치(E)는 상기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입구(Z)와 상기 가이드(22)구멍 사이에 배치된 지향성제트 노즐들(32,33,33',35,37,37',73)을 구비하는 압축공기 전송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지향성제트 노즐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장치(A)를 포함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의 입구(Z)와 상기 와인딩요소(9)의 출구(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3,33',35,37',73)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동장치(A)는 선택가능한 '부분실패'위치와 '전체실패'위치 사이에서 스위칭이 가능하되, 상기 '부분실패'위치(II)는 상기 입구와 상기 저장드럼 사이에서 실의 파단 이후에도 상기 저장 드럼상에 여전히 실이 저장되어 있을 때 스위칭이 가능하며, 상기 와인딩 요소(9)의 상기 입구(Z)와 상기 출구(11) 사이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2)은 상기 작동장치(A)의 상기 선택가능한 부분실패 위치에서만 배타적으로 작동되게끔 구성하고, 상기 '전체실패'위치(I)는 실의 파단에 의해 발생되는 완전한 고장시와 상기 저장표면(17)에서부터의 상기 실 공급(V)이 완전히 끝났을 시에 선택가능하되 상기 '전체실패'위치에서의 상기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2)보다 더 많은 다수의 지향성제트 노즐들(32,33,33',35,37,37',73)이 가급적이면 모두 다 작동되게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실 저장 및 공급장치는 씨실을 그리퍼 또는 사출형 직조기(미도시됨)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중공 샤프트 6에 대해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주 몸체 4를 포함한다. 커버 7은 주 몸체 4의 자유단부(공급점 또는 입구 Z)에 고정되어 있다. 동심 링 10은 중공 샤프트 6상에 배열되어 있다. 채널형의 권취요소나 와인딩 요소 9는 중공 샤프트 6의 내부에서 공급점 또는 출구 11까지 이른다. 영구 자석 13은 주 몸체내에서 영구 자석 15와 정렬되어 있고 그것은 중공 샤프트 6과 같은 축을 가진 저장드럼 14내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저장드럼 14는 중공 샤프트 6(베어링 46)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리고 영구자석 13과 15에 의해 동시 회전에 대하여 지지된다. 상기 저장드럼 14는 인접한, 가능하면 분리된 실 Y의 와인딩으로 이루어진 실 저장고 V를 위한 저장표면 17을 형성하는데, 상기 와인딩은 와인딩 요소 9에 의해 공급된다. 주 몸체 4의 암(Arm) 20은 측면을 따라 저장드럼 14와 간격이 벌어지도록 연장된다. 이것은 중앙 가이드 구멍 22를 보지하며, 동작을 모니터하고 제어하며 제어장치(미도시됨)용의 신호를 출력하는 실 감지기(미도시됨)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구멍 22는 폐쇄되거나 긴 구멍모양의 실 구멍 또는 직조기의 주 노즐(미도시됨)의 입구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 22는 주 몸체4로부터 분리된 지지 장치상에 배열된다.
압축공기 공급 시스템은 스레딩 장치 E의 역할을 한다. 압력공급원 25는, 예를 들면 팬이나 압축공기 저장수단은 압축공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압력공급원 25는 실통로를 따라서 다수의 정지된 지향성제트 노즐들 32, 33, 37, 73에 작동장치 A와 공급라인 26, 27, 28과 필요시 76을 통하여 연결되며, 그 공급라인에는, 예를 들면, 부피나 압력제어밸브들 30이 배열되어 있다. 지향성제트 노즐 32는 중공 샤프트 6과 와인딩 요소 9를 거쳐 출구11을 넘어 실 Y를 이동하기 위한 중공 샤프트 6을 향하여 입구 Z에 배열된다. 그 다음 지향성제트 노즐 33은 출구 11의 둥근 통로구역에 배열되어 있고 튜브 52에 대하여 대략 축선상으로 배향되고 튜브 52는 암 20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내부에 세로로 또는 비스듬히 구멍이 뚫려 있다. 암 20상에 배열되어 있고 저장드럼 14상에 제동요소 48을 구비한 실 제동장치 F는 튜브 52를 통해 연장된다. 안쪽으로 거의 방사상으로 배향된 또다른 지향성제트 노즐 37은 튜브 52의 출구에 배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또다른 지향성제트 노즐 73은 제1도에서 우측으로 배치되어 가이드 구멍 22에 배열되어도 좋다. 적어도 노즐 73은 대부분의 경우 없어도 좋다.
주 몸체 4에서 실 Y가 가이드 구멍 22(전체실패 스레딩 위치)까지 이동될 때 고정핀 61은 링 10의 홈 62내로 미끄럼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석 수단에 의해, 상기 지향성제트 노즐 27구역에서 출구 11의 위치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목적으로 구동 모터(미도시됨)는 연장된 고정핀 61이 고정될 때까지 작동제어장치에 의하여 전방이나 후방으로 저속도로 회전된다. 부분실패와 전체실패 두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위치에 출구11을 유지하기 위해 링 10에 배치된 다수의 홈들 62가 있을 수 있다. 구동 모터에서 제어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이런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장치 A는 저지위치와 통과위치 사이의 탄성력에 대해 솔레노이드(Solenoid) 19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는 밸브 8을 포함하고 제로위치 N(밸브8의 폐쇄위치)으로부터 전체실패위치 I 그리고 부분실패위치 II로 스위칭 가능한 스위칭장치 18을 포함한다. 더욱이 작동장치 A는 공급라인 27과 28에서 금지밸브 16과 21을 포함한다. 위치 I에서 밸브 8, 16, 21은 통과로 전환된다. 위치 II에서는 단지 밸브 8만이 통과로 전환되고 반면에 밸브 16과 21은 저지된다. 작동장치 A는 제1도에서 수동조작이 가능하다. 원격제어 방식으로 작동장치 A를 작동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더욱이, 그것은 동작제어장치(미도시됨)에 의하여 또한 동작될 수 있다.
정상적인 동작중에 실 Y는 와인딩 요소 9를 통해서 입구 Z로부터 공급 V까지 그리고 실 제동장치 F와 가이드 구멍 22를 통하여 상기 공급에서 소비처에 이른다. 상기 언급된 실 감지기는, 예를 들면, 공급 V의 사이즈를 감시하고 그리고 공급 사이즈에서 실 소모와 그 결과적인 변화에 반응하여 동작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하여 또는 상기 동작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낸다.
실 감지기(미도시됨)에 의해 지시된 실의 파단시에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뿐만아니라 하류의 소비자는 비활성화되고 그 실패가 통고된다. 작동자는 실 공급 V가 저장드럼표면 17상에서 여전히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공급 V가 존재한다면 이것은 부분실패의 경우이다. 작동장치 A는 부분실패의 배제를 위하여 위치 II로 전환된다. 파단된 실의 단부나 예비적인 실은 지향성제트 노즐 32 수단에 의하여 출구 11위로 공급되며 그리고 나서 공급 V의 실 단부와 연결되는데, 그 목적을 위해 자동접차기가 필요시 제공되어도 좋다. 작동장치 A는 그때 중립위치 N으로 다시 전환되고 작동이 시작된다. 부분실패는 와인딩 요소 9의 어떤 회전위치에서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인딩 요소 9는, 예를 들면, 고정핀 61에 의해 소정의 부분실패 스레딩 위치로 편리하게 위치한다.
빈 저장드럼표면 17에 의한 전체실패의 경우라면, 작동기는 작동장치 A를 위치 I로 전환시킬 것인가를 결정하여 모든 의도된 지향성제트 노즐이 와인딩 요소 9의 전체실패 스레딩위치에서 동작하도록 하며, 실 단부는 입구 Z로부터 가이드 구멍 22까지 불어 보내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실 제동장치 F에 의해 지시되는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하여 튜브 52의 도움을 받는다. 고정핀 61은 이 경우에 고정된다. 전체실패의 제거시 고정핀 61은 풀리어 작동이 개시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서 스레딩 장치 E는 자동으로 작동된다. 장치 1'의 구조적인 배치는 상기 제1도의 것에 대개 상응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8의 하부측의 작동장치 A는 온-오프(On-Off)밸브 56을 포함하는데 그 밸브는 자석에 의하여 스위칭이 가능하고 한 스위칭위치에서 단지 공급라인 26만을 압력공급원 25에 연결시키는 한편, 다른 스위칭위치에서 그 밸브는 공급라인 26, 27, 28을 압력공급원 25에 모두 연결한다. 바람직한 구조는 두 실 감지기 50과 51은 암 20(단지 하나의 실 감지기가 이 목적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에 배열되어 있다. 감지기는 저장드럼 표면 17에서 공급 V의 사이즈를 감지하고 52에 의하여 소정의 작동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내고 이는 구동모터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전환하며 그 결과로 공급이 소정의 최대 사이즈를 가지는지 아니면 최소 사이즈를 가지는지를 지시한다. 정상적인 동작중에 작동제어장치 52는 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미도시됨)를 제어한다. 작동제어장치 5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53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동작상의 특정변수 및 실 감지기 신호들을 처리한다. 더욱이, 실패분별기 54는 동작제어장치 52나 마이크로프로세서 53에 통합되고, 이것은 또한 오-오프 밸브 56의 작동 자석을 작동하기 위한 회로 55를 포함한다.
실의 파단에 의해 야기된 실패의 경우에서 분별기 54는 이것이 부분실패인지 전체실패인지를, 예를 들어, 실 감지기 50과 51에서 나오는 신호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달성되는데, 공급 V의 존재를 나타내는 실 감지기 50과 51로부터 나오는 '미싱'신호나 혹은 동작중 또는 단지 실패의 경우에 사용되는 분리된 실 감지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은 빈 저장드럼표면 17을 가진 전체실패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온-오프 밸브 56이 감지된 실패에 반응하여 작동되거나 되지않거나 간에 그 결과로 모든 공급라인 26, 27, 28은 압력공급원 25에 연결되어 밸브 8이 전체실패의 경우에서 작동되자마자 모든 지향성제트 노즐은 작동되고, 반면에 전원 밸브는 작동이 안되면서 단지 부분실패의 경우에서 공급라인 26에 연결된다. 적어도 전체실패의 경우에서, 구동 모터는 저속으로 고정핀 61이 고정되는 위치에 이동된다. 실 단부가 입구 Z에서 가이드 구멍 22에 통과되자마자, 작동은 다시 시작되고 고정핀 61은 앞으로 수축된다. 동시에 작동장치 A는 온-오프 밸브 8에 의해서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와인딩 요소 9의 각 스레딩 위치는 분류장치 53에 의해 결정기준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왜냐하면 전체 스레딩 위치는 전체실패의 경우에서만 단지 사용되는 반면에 부분실패의 경우에서 실 단부는 모든 회전위치나 와인딩 요소의 부분실패 스레딩 위치에서 불어 보내지기 때문이다. 결정을 더 쉽게 하기 위해, 동작중 또는 독립적인 실패시 경보로서 사용되는 다른 실 감지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은 제거된 실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M 때문에 앞선 두 실시예와 다른 데, 예를 들어 제트노즐 직조기(미도시됨)대 대한 씨실 공급을 위한 것이다. 지향성제트 노즐 대신에 정지된 링 노즐 33', 35, 37'은 출구 11로부터 빠져 나오는 실단부를 와인딩 요소 9가, 다시 말하면 가이드 구멍 22에 대하여 공기커튼 39, 40, 38의 수단에 의하여 정지되는 회전위치와는 독립적으로 만들기 위해 제공된다. 측정장치 M은 링모양이고 암 20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구멍 22는 분리 지지장치 75상에 배열되어 있다. 정지요소 24는 주변으로 분배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측정장치 M속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지요소 24의 각각은 작동자석(미도시됨)에 의해 통과 구멍 L을 방사상모양으로 하는 수축위치로부터 통과 갭 L을 거쳐 저장몸체 14까지 이동가능하고 공지된 방법으로 바람직한 회수길이가 될 때 실의 회수를 막는다. 측정장치 M과 그것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EP-A 2-101 110호에 개시되고 아래에 언급된다. 링 노즐 35의 상부측에 배열된 깔대기 모양의 가이드 표면 42는 공기커튼 39를 안내한다.
스레딩장치 E를 위한 작동장치 A는 회전 슬라이드 16'을 포함하는데 그 슬라이드는 레버 18'의 수단에 의하여 수동조작이 가능하며 세곳의 스위칭 위치를 가진다.
첫 번째 스위칭 위치에서 압력공급원 25는 공급라인 26, 27, 28과 부가적인 공급라인 29로부터 링 노즐 35까지 분리된다. 두 번째 스위칭 경우에서 단지 공급라인 26만이 압력공급원 25에 연결된다. 세 번째 스위칭 경우에서, 모든 공급라인은 압력공급원 25에 연결된다.
실패의 경우에 있어서 회전 슬라이드 16'은 작동기에 의해서 조절되어 전체실패나 혹은 부분실패의 존재에 대응하여 상기 실패를 제거한다. 수동조작이 가능한 작동장치 대신에 제1도와 제2도에 따른 작동장치는 반자동이나 완전자동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는 부분실패시, 입구부분의 지향성제트 노즐만 작동하도록 하고 다른 이용가능한 지향성제트 노즐들은 작동이 안되게끔 하여 저장드럼상에 저장된 실은 파단되지 않으며, 또한 뒤엉키거나 제거되지 않아도 되고, 잔존하는 실 공급의 제거를 위해 시간을 낭비할 필요도 없으며, 전체실패시에는 이용가능한 모든 지향성제트 노즐들이 작동하도록 하여 새 실의 단부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입구로부터 가이드 구멍까지 신속히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섬유 기계용 실 저장 및 공급장치(1,1',1"), 특히 직조기에 있어서, 주 몸체(4)에는 실 와인딩 요소(9)가 회전 구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접선으로 감긴 와인딩으로 이루어진 실 공급(V)을 위한 저장드럼상에 저장표면(17)이 제공되며, 상기 실(Y)은 상기 와인딩으로부터 상기 저장드럼의 위나 혹은 가이드(22)구멍을 통해서 회수되며, 스레딩 장치(E)는 상기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입구(Z)와 상기 가이드(22)구멍 사이에 배치된 지향성제트 노즐들(32,33,33',35,37,37',73)을 구비하는 압축공기 전송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지향성제트 노즐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장치(A)를 포함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의 입구(Z)와 상기 와인딩 요소(9)의 출구(11)사이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3,33',35,37',73)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동장치(A)는 선택가능한 '부분실패'위치와 '전체실패'위치 사이에서 스위칭이 가능하되, 상기 '부분실패'위치(II)는 상기 입구와 상기 저장드럼 사이에서 실의 파단 이후에도 상기 저장드럼상에 여전히 실이 저장되어 있을 때 스위칭이 가능하며, 상기 와인딩 요소(9)의 상기 입구(Z)와 상기 출구(11) 사이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2)은 상기 작동장치(A)의 상기 선택가능한 부분실패 위치에서만 배타적으로 작동되게끔 구성하고, 상기 '전체실패'위치(I)는 실의 파단에 의해 발생되는 완전한 고장시와 상기 저장표면(17)에서부터의 상기 실 공급(V)이 완전히 끝났을 시에 선택가능하되 상기 '전체실패'위치에서의 상기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2)보다 더 많은 다수의 지향성제트 노즐들(32,33,33',35,37,37',73)이 가급적이면 모두 다 작동되게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작동장치 부품을 포함하되, 그 중 하나는 상기 와인딩 요소(9)의 입구(Z)와 출구(11)사이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32)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출구(11)와 상기 가이드 구멍(22) 사이의 상기 지향성제트 노즐들(33,33',35,37,37',7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작동장치 부품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작동장치 부품과 결합하여 연관된 지향성제트 노즐들을 각각 작동하는 위치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제트 노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작동장치(1) 또는 상기 작동장치 부품은, 전체실패를 배제하기 위한 소정의 스레딩 위치를 상기 와인딩 요소(9)의 모든 회전 위치에서 상기 지향성제트 노즐(32)을 작동하는 위치로 전환 가능하되 바람직하게는 전체실패 배제를 위한 상기 스레딩 위치에 대하여 원주상으로 상쇄되는 상기 와인딩 요소(9)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실패 위치에서 스위칭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수동조작 가능한 전환 스위치(18,18')는 상기 작동장치(A)와 상기 작동장치 부품용으로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작제어장치(52)가 제공되면서, 상기 작동장치(A) 또는 상기 작동장치부품은 상기 동작제어장치(52)의 수단에 의해서 스위칭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장치(52)는 적어도 하나의 실 감지기(50,51)와 신호전달관계에 있고, 부분실패 또는 전체실패를 나타내는 상기 실 감지기(50,51)로부터 신호를 처리하는 실패분별기(54)가 제공되며, 상기 작동장치(A)는 상기 실패분별기(54)와 스위칭통신관계에 있고, 그리고 상기 작동장치(A)는 상기 부분실패위치와 상기 전체실패위치 사이에서 상기 실패분별기(54)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패분별기(54)에 관련된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실 감지기(50,51), 바람직하게는 실 공급량 감지기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들이고, 상기 신호들은 상기 저장표면상에 남아 있는 저장된 실(V)에 의한 부분실패 또는 빈 저장표면(17)에 의한 전체실패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요소(9)는 소정의 스레딩 위치에서 상기 동작제어장치(52)로써 조정될 수 있고, '전체실패'는 상기 전체실패 스레딩 위치로 상기 와인딩 요소(9)의 변위에 의해서 상기 실패분별기(54)로 표시될 수 있고 그리고 '부분실패'는 상기 부분실패 스레딩 위치의 상기 와인딩 요소(9)의 변위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패분별기(54)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53)을 포함하는 상기 동작제어장치(52)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KR1019930703928A 1991-06-18 1992-06-16 실저장및공급장치 KR100231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101941-1 1991-06-18
SE9101941-4 1991-06-18
SE9101941A SE9101941D0 (sv) 1991-06-18 1991-06-18 Traadlagrings- och matningsanordning
DE4120413A DE4120413A1 (de) 1991-06-18 1991-06-20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DEP4120413.1 1991-06-20
PCT/EP1992/001362 WO1992022693A1 (de) 1991-06-18 1992-06-16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1474A KR940701474A (ko) 1994-05-28
KR100231524B1 true KR100231524B1 (ko) 1999-11-15

Family

ID=2038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928A KR100231524B1 (ko) 1991-06-18 1992-06-16 실저장및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31524B1 (ko)
DE (1) DE4120413A1 (ko)
SE (1) SE9101941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860B1 (ko) * 2004-02-11 2013-07-17 엘리콘 텍스타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다수의 실 다발을 감는 장치
CN101003923B (zh) * 2007-01-09 2011-07-20 青岛天一集团红旗纺织机械有限公司 全自动高速宽幅喷气织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0176A1 (en) * 1989-09-27 1991-04-03 ROJ ELECTROTEX S.p.A. Weft feeder for fluid jet looms
KR960001892A (ko) * 1994-06-29 1996-01-26 강박광 정색성 고감도 인쇄제판용 사진감광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0176A1 (en) * 1989-09-27 1991-04-03 ROJ ELECTROTEX S.p.A. Weft feeder for fluid jet looms
KR960001892A (ko) * 1994-06-29 1996-01-26 강박광 정색성 고감도 인쇄제판용 사진감광재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1474A (ko) 1994-05-28
SE9101941D0 (sv) 1991-06-18
DE4120413A1 (de) 199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476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especially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4896732B2 (ja) 被覆弾性糸の製造及び供給スプールの自動交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429690B (zh) 用于操作自由端转子纺纱机的方法和装置
JPH026639A (ja) オープンエンド紡績装置において糸継ぎを行う方法及び装置
EP0195469B1 (en) Weaving machine with improved feed for the woof
US5111852A (en) Weft inserting nozzle with separate threading duct
US4832091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repairing the weft supply on weaving machines in case of an interruption between the supply package and the weft accumulator
US5441087A (en) Yarn storage and feed device utilizing correctional air jet nozzles
US5012844A (en) Weft yarn threading device for a jet loom
KR100231524B1 (ko) 실저장및공급장치
JPH0413272B2 (ko)
US4998567A (en) Weft thread break detector with a time delay circuit
KR100375717B1 (ko) 실을 예비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공급장치
US4926911A (en) Detection and standby weft supply apparatus break
EP0388680B1 (en) Weft processing apparatus in a jet loom
JP2791806B2 (ja) よこ糸通し装置
EP0908411B1 (en) Service interruption processing system for yarn winding machine
JP2997949B2 (ja) 紡糸通し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0580267B1 (en) A device for feeding a periodically operating yarn-consuming device
EP0421518B1 (en) Device for the supply of weft threads in weaving machines
JP2715591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給糸処理装置
JPS63501225A (ja) 糸供給装置
JP3584568B2 (ja) 織機における製織異常検出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78407A (ja) 織機の給糸異常検出装置
JPH03236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