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488B1 -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488B1
KR100230488B1 KR1019970032213A KR19970032213A KR100230488B1 KR 100230488 B1 KR100230488 B1 KR 100230488B1 KR 1019970032213 A KR1019970032213 A KR 1019970032213A KR 19970032213 A KR19970032213 A KR 19970032213A KR 100230488 B1 KR100230488 B1 KR 10023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ignal
password
ring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717A (ko
Inventor
황정훈
전정호
이상우
오상국
Original Assignee
기옥연
대구도시가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옥연, 대구도시가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옥연
Priority to KR101997003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48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시 전화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집안의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횟수의 링 신호가 인가된 후 5초이내에 추가 신호가 없으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A), 대기 상태시 일정 시간내에 링 신호가 감지되면 음성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B), 안내 신호에 따라 입력된 비밀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C), 입력된 비밀 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경우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외출시 전화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집안의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장치등과 같은 가스를 이용한 기기를 집안에서 사용하다 갑작스런 일로 외출을 하게 되는 경우, 가스 용구를 완전히 잠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외출중 가스 용구를 완전히 잠그지 못함을 깨닫는 경우, 필요한 용무를 마치지 못하고 귀가를 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전화선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하여 집안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전화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서,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 링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인지한 제어기기는 링 신호를 카운트하여, 링 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한 횟수(예: 2 회)가 되는 지 판단하여, 일정한 횟수인 경우에는 전화를 건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를 송출한 후,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지만, 링 신호가 일정한 횟수 미만이면 일반 전화 통화로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전화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화 신호가 일정 횟수가 되는 순간부터 기기가 외부의 제어를 받도록 되어 있어, 2개의 기기가 동시에 전화선에 연결되어 전화를 이용한 제어를 받을 경우, 외부에서 들어오는 링 신호의 인지 횟수가 다른 일측의 기기보다 적게 프로그램된 기기만 조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링 신호가 3회 인가되면 외부의 제어를 받도록 프로그램된 보일러와 링 신호가 5회 인가되면 외부의 제어를 받도록 되어 있는 자동 응답기를 동시에 설치하였다면, 외부에서 기기의 제어를 위해 전화를 걸 경우 3회의 신호음을 인식한 보일러가 먼저 동작하므로 자동 응답기는 5회의 벨을 인식할 수 없어, 보일러는 자동 제어가 가능하지만 자동 응답기는 자동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화제어 방법은 일반 전화 사용을 위하여 제어기를 항상 작동하도록 할수가 없으므로, 외출시에는 제어기의 작동 버튼을 누른 후 외출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작동 버튼을 누르지 않고 외출을 하는 경우 외부 전화로 제어할 수 없으며, 항상 작동하도록 조작해 놓으면 일반 전화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전화선을 이용하여 집안의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횟수의 링 신호가 인가된 후 5초이내에 추가 신호가 없으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대기 상태시 일정 시간내에 링 신호가 감지되면 음성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안내 신호에 따라 입력된 비밀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입력된 비밀 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경우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전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전화 제어 기기와 전화기의 접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의 제어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화기 2:전화 라인
3:전화국 10:제어부
12:링 감지부 13:통화 회로
14:톤 디코더 15:콘트롤러
16:구동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로우 차트로서, 일정 횟수의 링 신호가 인가된 후 5초이내에 추가 신호가 없으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A), 대기 상태시 일정 시간내에 링 신호가 감지되면 음성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B), 안내 신호에 따라 입력된 비밀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C), 입력된 비밀 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경우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게 되면, 전화선을 통해 집안의 전화에 링 신호가 인가되고, 링 신호는 제어부(10)의 링 감지부(12)에 의해 검출된다. 링 감지부(12)는 인가된 링 신호를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수, 예를 들어 1회 또는 2회의 링 신호만 카운트되는 경우에는 기기의 제어를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콘트롤러(15)에 입력시킨다.
일반적으로 전화의 링 신호는 신호와 신호간의 간격이 대략 3초이내 이기 때문에, 1번째 또는 2번째 링 신호후 일정 시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동안 이전의 2회의 링 신호이외의 추가의 링 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기기 제어를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하지만, 추가의 링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일반 전화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추가의 링신호를 기다리는 시간은 5초정도가 적당하다.(A 단계)
사용자는 1회 또는 2회의 링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 후, 일단 전화를 끊어 5초이상 지난 후, 다시 전화를 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0)는 대기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이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대기 시간 안에 사용자가 다시 통화를 시도하여 링 신호가 제어부(10)의 링 감지부(12)에 의해 감지되면, 비밀 번호 입력을 위한 음성 안내를 통화 회로(13)를 통해 전화를 건 사용자에게 송출하도록 하고(B 단계), 2차 신호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때 1회 또는 2회 링신호 인가 방법은 사용자가 전화를 건 후, 수화기에서 들리는 발신음을 들은 후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되는 것으로, 전화의 종류(예:공중 전화, 이동 전화)에 따라 수화기에서 들리는 발신음의 횟수와 실제 전화기의 링신호 횟수는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수화기에서 들리는 발신음이 1회들리면 바로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된다.
2차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로서, 사용자는 전화 다이얼의 숫자판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C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는 톤디코더(14)에서 변환되어 출력되고, 콘트롤러(15)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설정되어 있는 비밀 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구동부(1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기를 제어한다. (D 단계)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발명은 전화기기에 여러 가지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1)

  1. 일정 횟수의 링 신호가 인가된 후 5초이내에 추가 신호가 없으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A), 대기 상태시 일정 시간내에 링 신호가 감지되면 음성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B), 안내 신호에 따라 입력된 비밀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C), 입력된 비밀 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경우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KR1019970032213A 1997-07-11 1997-07-11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KR10023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13A KR100230488B1 (ko) 1997-07-11 1997-07-11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13A KR100230488B1 (ko) 1997-07-11 1997-07-11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17A KR19990009717A (ko) 1999-02-05
KR100230488B1 true KR100230488B1 (ko) 1999-11-15

Family

ID=1951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213A KR100230488B1 (ko) 1997-07-11 1997-07-11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4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17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243A (en) Call forwarding system and method
GB2268028A (en) Telephonic control of VCR
KR100230488B1 (ko) 전화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KR900007280B1 (ko) 전화제어장치
JPS62272648A (ja) 電話コントロ−ラ
KR970009546B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선로선택을 위한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JPS6350244A (ja) ホ−ムコントロ−ル装置
KR19980065571A (ko)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940003508B1 (ko) 전화기의 신호경로와 통화경로 자동 복구방법 및 장치
KR950001548B1 (ko) 키폰전화기의 장난전화 방지 방법 및 그것의 장치
KR0121980B1 (ko) 전화기의 발신제어장치 및 방법
KR900005358B1 (ko) 보일러 외부 제어회로
KR100190917B1 (ko) 튜브 용기의 마개
JP2001245364A (ja) 通信装置
KR970011413B1 (ko)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시 자동 루프 오프 장치 및 방법
JP4345713B2 (ja) 回線端末装置
KR980013183A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KR940003260A (ko) 전화기 및 그의 자동수신방법
KR19980065959A (ko)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도어폰장치와 그 제어방법
JPH01252056A (ja) 公衆回線による遠隔操作制御装置
KR19980077583A (ko) 전화기의 키락킹 방법
JPS63276348A (ja) 電話機装置
KR960009526A (ko) 리모콘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
JPH0522441A (ja) 内線交換機
KR19980051641A (ko) 자동스피커폰을 내장하는 팩시밀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