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924B1 -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 Google Patents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924B1
KR100229924B1 KR1019960043908A KR19960043908A KR100229924B1 KR 100229924 B1 KR100229924 B1 KR 100229924B1 KR 1019960043908 A KR1019960043908 A KR 1019960043908A KR 19960043908 A KR19960043908 A KR 19960043908A KR 100229924 B1 KR100229924 B1 KR 10022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wheels
bevel gear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678A (ko
Inventor
김용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92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924B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차축에 기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베벨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력 전달을 받아 그 회전 방향이 역전될 수 있는 주차 구동축에 의해 차량의 좌우 방향 구동력을 제공받는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하여금 주차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차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베벨기어 2 : 제2베벨기어
3 : 제3베벨기어 4 : 주차 구동축
5 : 주차 프레임 6,7 : 전, 후 주차 휠
8 : 보조 휠 9 : 브레이크 장치
10 : 제1유압 실린더 11 : 제2유압 실린더
12 : 제3유압 실린더 C : 차체
S : 구동차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차시 핸들의 조작에 의한 주차성(Parkability)의 한계를 극복하여 자동차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자동차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차시 자동차의 조작이 더욱 간편하도록 한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핸들에 의해 자동차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가 변화되어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전륜과,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자동차가 진행할 수 있는 힘을 지면에 전달하도록 자동차의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후륜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와 바와 같은 자동차의 조향 장치는 자연적으로 전륜의 각도 변화 범위에 따라 자동차의 최소 회전 반경이 결정되며, 이는 자동차가 종렬 주차시 앞차와 접촉하지 않고 핸들을 한 번 조작하여 빠져나갈 수 있는 최소의 차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게 되며, 이를 그 자동차의 주차성(Parkability)라 한다.
따라서, 모든 자동차는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이유로 자연적으로 자동차의 주차시 앞, 뒤 차량간에 일정한 공간이 요구되며, 이는 최근 주차 문제의 심각성으로 고려할 때, 주차 공간의 큰 손실을 의미하게 된다.
물론, 주차 공간 절약을 위해 앞, 뒤 차량간의 이격 거리가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운전자의 조작 능력도 더욱 정확하게 향상되어야 함을 요구하게 되어 차량 운전에 따른 운전자의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현실을 고려하여 주차시 종래차량의 구조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자동차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자동차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도록하여 주차시 자동차의 조작이 더욱 간편하도록 하며 주차 공간을 최대한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장치는 차량의 구동차축에 기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2베벨기어와, 상기 제1,2베벨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3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한 주차 구동축과, 상기 주차 구동축을 지지하는 주차 프레임과, 상기 주차 구동축의 전 후에 각각 설치된 전, 후 주차 휠과, 상기 주차 프레임을 차체에 연결하여 주차시 상기 전, 후 주차 휠을 하강시켜 차량을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3베벨기어가 상기 제1,2베벨기어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프레임 작동 수단과, 제3베벨기어가 상기 제1,2베벨기어 중 하나에 연결되어 동력 전달을 받도록 주차 구동축을 주차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주차 구동축 작동 수단과, 상기 전, 후 주차 휠을 도와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차 프레임에 설치된 보조 휠과, 상기 전, 후 주차휠 또는 보조휠의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차축(S)에 기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2베벨기어(1,2)와, 상기 제1,2베벨기어(1,2)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3베벨기어(3)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한 주차 구동축(4)과, 상기 주차 구동축(4)을 지지하는 주차 프레임(5)과, 상기 주차 구동축(4)의 전 후에 각각 설치된 전, 후 주차 휠(6,7)과, 상기 주차 프레임(5)을 차체(C)에 연결하여 주차시 상기 전, 후 주차 휠(6,7)을 하강시켜 차량을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3베벨기어(3)가 상기 제1,2베벨기어(1,2)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하는 프레임 작동수단과, 제3베벨기어(3)가 상기 제1,2베벨기어(1,2) 중 하나에 연결되어 동력 전달을 받도록 주차 구동축(4)을 주차 프레임(5)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주차 구동축 작동수단과, 상기 전, 후 주차 휠(6,7)을 도와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차 프레임(5)에 설치된 보조휠(8)과, 상기 전, 후 주차 휠(6,7) 또는 보조휠(8)의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작동 수단은 차체(C)의 전후에 제1,2유압 실린더(10,11)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2유압 실린더(10,11)는 피스톤의 스트로크 방향이 차량의 전방과 하방 사이를 향하는 사선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구동축 작동 수단은 주차 프레임(5)에 별도의 제3유압 실린더(12)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물론, 상기 제1,2,3유압 실린더(10,11,12)는 공지된 기술과 같이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보조휠(8)은 상기 전, 후 주차 휠(6,7)과 함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주차 프레임(5)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장치(9)는 공지된 기술과 같은 드럼식 브레이크를 상기 전방의 주차 휠(6)에 브레이크 패드가 작용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는 주차시 상기 제1,2유압 실린더(10,11)를 구동하여 주차 프레임(5)이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차량의 전, 후륜이 모두 지면에서 이격되도록하고, 상기 전, 후 주차 휠(6,7)과 보조휠(8)이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좌우 방향 이동은 상기 제3유압 실린더(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3베벨기어(3)가 제1베벨기어(1) 또는 제2베벨기어(2)에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3베벨기어(3)가 제1베벨기어(1)에 연결되었을 때와, 제3베벨기어(3)가 제2베벨기어(2)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주차 구동축(4)의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되므로,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적절한 거리만큼 이동된 후에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9)를 구동하여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3유압 실린더(12)는 재빨리 제3베벨기어(3)를 제1,2베벨기어(1,2)의 중간 위치로 이동시켜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좌우 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2유압 실린더(10,11)를 구동하여 상기 주차 프레임(5)을 상승시킴으로써, 다시 차량의 전, 후륜이 차체를 지지하도록 하여 평상시의 주행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종래의 전륜 최소 회전 반경에 의해 제한되는 차량의 주차성과 무관하게 차량을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좌우 방향으로 차량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주차의 편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주차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차축에 기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베벨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력 전달을 받아 그 회전 방향이 역전될 수 있는 주차 구동축에 의해 차량의 좌우 방향 구동력을 제공받는 주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하여금 주차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차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구동차축에 기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2베벨기어와, 상기 제1,2베벨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3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한 주차 구동축과, 상기 주차 구동축을 지지하는 주차 프레임과, 상기 주차 구동축의 전 후에 각각 설치된 전, 후 주차 휠과, 상기 주차 프레임을 차체에 연결하여 주차시 상기 전, 후 주차 휠을 하강시켜 차량을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3베벨기어가 상기 제1,2베벨기어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프레임 작동 수단과, 제3베벨기어가 상기 제1,2베벨기어 중 하나에 연결되어 동력 전달을 받도록 주차 구동축을 주차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주차 구동축 작동 수단과, 상기 전, 후 주차 휠을 도와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차 프레임에 설치된 보조 휠과, 상기 전, 후 주차휠 또는 보조휠의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KR1019960043908A 1996-10-04 1996-10-04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KR10022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08A KR100229924B1 (ko) 1996-10-04 1996-10-04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08A KR100229924B1 (ko) 1996-10-04 1996-10-04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78A KR19980025678A (ko) 1998-07-15
KR100229924B1 true KR100229924B1 (ko) 1999-12-01

Family

ID=1947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908A KR100229924B1 (ko) 1996-10-04 1996-10-04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1236A (zh) * 2020-06-22 2020-10-02 武汉理工大学 一种辅助泊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300B (zh) * 2017-11-30 2023-11-21 攀枝花学院 泊车辅助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1236A (zh) * 2020-06-22 2020-10-02 武汉理工大学 一种辅助泊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78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24B1 (ko) 주차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US5718535A (en) Finisher for road surfaces with a tire drive
JP2007106387A (ja) 車両駆動装置
CN211568084U (zh) 一种新型电驱动转向轮组
GB2229682A (en) Assembly for laterally displacing a vehicle
JP3268568B2 (ja) 走行車輌の操向制御装置
JP3579983B2 (ja) トラクタのオート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447747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H06265Y2 (ja) 作業車の前輪変速構造
KR100259652B1 (ko) 자동차의 스포일러 장치
US20230371423A1 (en) Work vehicle
JPH08300921A (ja) 軌条走行車両移動機の路上駆動装置
JP3242367B2 (ja) トラクターの旋回制御装置
JP3432027B2 (ja) トラクタ
KR20030006345A (ko) 자동차용 동력 조향 장치
JP3387490B2 (ja) トラクターの旋回制御装置
JP3365408B2 (ja) トラクターの旋回制御装置
JP2545554Y2 (ja) 作業車両における走行安全装置
JPH0231335Y2 (ko)
JP2575679B2 (ja) 車両の4輪操舵装置
SU965830A1 (ru) Портальный автомобиль
JPH07112821B2 (ja) 車両の操舵装置
JPH085414Y2 (ja)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遠隔式変速装置
JPH056182Y2 (ko)
KR200353984Y1 (ko) 차량의 시트 평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