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755B1 -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755B1
KR100229755B1 KR1019970008272A KR19970008272A KR100229755B1 KR 100229755 B1 KR100229755 B1 KR 100229755B1 KR 1019970008272 A KR1019970008272 A KR 1019970008272A KR 19970008272 A KR19970008272 A KR 19970008272A KR 100229755 B1 KR100229755 B1 KR 10022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setting
recording medium
displacement unit
print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965A (ko
Inventor
도모미 미야사카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7006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00Typewriting machines
    • Y10S400/903Stepping-motor drive for carriage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프린터의 기종마다 용지 이송 핏치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 이들에게 공통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기본 핏치 설정 코맨드에 의거해서 프린터는 자체의 프린터 메카니즘의 물리적인 최소 이송량을 가상적(假想的)인 기본 핏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계수를 계산하여 격납(格納)한다. 이후 프린터는 해당 기본 핏치에 의거해서 용지 이송 및 캐리지 이송량을 설정한다.

Description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기록매체 반송 기구 또는 인쇄(印字) 헤드 이동 기구를 갖춘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터의 기종마다 최소의 용지 이송량 또는 인쇄헤드 이동량이 다른 경우에서의 프린터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소의 용지 이송량 또는 인쇄헤드 이동량, 즉 최소 핏치량이 각 기종마다 다르므로 종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에는 프린터 각 기종 마다의 최소 핏치 단위에서 프로그래밍을 해야하였다.
용지 이송 기구에 관해서는 1 행당의 용지 이송량을 최소 핏치×n에 설정하는 제어 방법이 있으나 프린터의 기종에 따라 실제의 용지 이송량이 다르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서로 규격이 다른 복수 기종의 프린터에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프린터의 규격에 맞추어 넣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였다. 즉 1 행의 핏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n의 값을 프린터마다 설정해야 하였다.
현재 프린터를 사용한 시스템의 개발에 관해서 개발기간 단축, 개발 비용의 절감, 개발 인원 삭감의 방향으로 가고자 할 때 각각의 용도, 즉 사용하는 프린터의 기종에 따라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고쳐야 하는 것은 큰 손실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이고 개발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고쳐야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콘트롤보오드상의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이 부분을 조정하는 제어방법을 내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프린터의 각 기종마다 다른 최소 핏치량을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 통일화하기 위한 환산 방법을 제어 프로그램내에 내장시키는 것이다. 아래에 이 환산 방법에서 얻어지는 통일화된 핏치를 편의상 기본 계산핏치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의 방법을 실현하므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린터는 기록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헤드와 인쇄헤드의 기록매체의 상대 위치를 소정의 거리를 최소 변위단위로서 변위(變位)시키는 변위수단, 예를 들면 기록매체 반송 기구나 인쇄헤드 반송 기구 등을 갖춘 프린터에 있어서, 기준 변위단위를 설정하는 기준 변위단위 설정수단과, 최소 변위단위와 기준 변위단위의 변환 계수를 구하는 연산 수단과, 인쇄헤드와 기록매체와의 상대 이동량을 기준 변위단위에 의거해서 설정하는 상대 이동량 설정수단과, 상대 이동량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대 이동량과, 변환계수에 의거해서 변위수단을 제어하는 변위수단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 변위단위 설정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명령을 해석해서 기준 변위단위를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DIP 스위치 등이 있다. 또한 상대 이동량 설정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에서 송신되는 희망하는 상대 이동량을 지정하는 명령을 해석해서 그 값을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 프린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파악하는 것이 적당하고, 같은 공정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린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구동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지 이송용 스텝핑 모터 11 : 인쇄헤드(印字head)
12 : 인쇄 압반(印字platen) 13 : 인쇄용지(印字紙)
14 : 용지 이송 롤러 15 : 캐리지용 스텝핑 모터
16 : 캐리지 벨트 18 : 홈 위치 검출 수단
29 : 프린터 메카니즘 30 : 용지 이송 스위치(Paper Feed 스위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제까지 각 기종마다 다르던 프린터의 최소 핏치량이 제어 프로그램내에서 환산이 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다수기종의 프린터에 적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초로 최저한도의 소프트웨어를 변경을 하는 것만으로 대응이 된다. 이제까지는 명령에 의한 용지 이송량의 설정이나 인쇄(印字) 위치의 지정 등을 프린터에 고유의 최소 핏치 단위로 행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의 기구부로의 의존을 최소한도로 묶어서 명령에 의한 용지 이송량의 설정 등을 예를 들면 인치 단위로 설정된다.
도1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일 실시예에서 프린터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인쇄헤드와 용지 이송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10은 용지 이송 구동원을 이루는 스텝핑 모터, 11은 인쇄헤드이고 이 인쇄헤드를 탑재하는 캐리지가 스텝핑 모터(15) 및 이것에 접속된 벨트(16)에 의해 차례로 좌우로 이동되는데에 동기해서 구동되고 희망하는 문자나 기호를 인쇄(印字)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알기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는 인쇄헤드(1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인쇄 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12는 압반(platen)이고 보통은 경질재료를 사용한다. 13은 인쇄용지이다. 14는 용지 이송롤러이고 인쇄헤드(11)에 의해 희망하는 1행 분의 인쇄(印字)가 종료하면 용지 이송용 스텝핑 모터(10)가 구동되므로서 용지 이송롤러(14)가 회전해서 인쇄 용지(13)가 화살표 B 방향으로 1 라인분이 도출된다. 18은 인쇄헤드(11)의 홈 위치 검출 수단이고 앰프를 내장한 포토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인쇄헤드(11)의 홈 위치를 검출하여 캐리지의 이동이 정상인가 어떤가의 판정에 사용된다.
도2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인쇄 처리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20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21은 CPU, 22, 23, 24는 I/O 포트, 25는 ROM, 26은 RAM, 29는 프린터 기구, 28은 프린터 기구부내의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 27은 인쇄헤드를 구동 제어하는 헤드 드라이버, 30은 용지 이송용 스위치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RAM(26)내에는 인쇄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하는 입력 버퍼와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의 인쇄헤드의 도트 데이터로 변환해서 격납하는 인쇄 버퍼를 갖추고 있다. CPU(21)는 ROM(25)내에 격납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서 프린터 전체를 통괄 제어한다. ROM(25)내에는 프로그램 코드의 다른 문자 폰트를 데이터화하는 캐릭터 제네레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인터페이스(20)에서 입력되는 문자열 데이터에서 특정한 코드를 읽어서 이들의 요구하는 명령을 해석하고 이에따라 제어를 하면서 인쇄 동작을 하고 있다.
용지 이송 스위치(30)는 일반적으로 프린터 완성품으로서 정리되었을 때 프린터 몸체의 표면에 조작 패널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이 스위치의 신호는 I/O(24)를 거쳐서 CPU(21)로 입력된다.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어 방법은 ROM(25)내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에 있어서 프린터 메카니즘에 의존해서 기종마다 다른 용지 이송량을 통일화하기 위한 기본 계산핏치의 제어방법을 갖도록 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른 기종의 프린터는 모두 외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터페이스(20)를 거쳐서 입력되는 동일한 명령 체계를 사용해서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 명령 체계에 속하는 제어 명령을 사용하므로서 동일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기본 계산핏치란 프린터 메카니즘의 최소 핏치 대신에 소프트웨어에 의한 가상적인 최소핏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행하는 코드를, GS P nl n2로 규정한다. 여기에 GS와 P는 제어 코드이고 nl, n2는 변수이다.
스텝(101)에서는 사용자가 각 프린터의 규격에 맞추어서 nl, n2를 설정한다. n1은 가로 방향의 핏치를 환산하는 변수로 n2는 세로 방향의 핏치를 환산하는 변수이다. 통상은 초기치로서 프린터에 고유의 최소 핏치에 대응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들면 가로 방향의 최소 핏치가 1/150인치, 세로 방향의 최소 핏치가 1/144인치인 프린터에 있어서는 n1=150, n2=144로 설정된다. 스텝(102)에 있어서 사용자가 n1=0, n2=0으로 설정하였는가의 판단을 한다. 그와같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설정치가 0으로 되는 일은 있을 수 없으므로 스텝(103)에서 n1 및 n2는 상기의 초기치로 재설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초기치의 상태이면 프린터 메카니즘은 가로 방향 핏치가 최소 1/150인치에서 제어되고 세로 방향 핏치는 최소 1/144인치에서 제어되게 된다. 또한 n2=240으로 설정하면 프린터는 가로 방향 핏치가 최소 1/150인치로, 세로 방향 핏치는 최소 1/240인치에서 제어되게 된다. 이와같은 값은 프린터의 메카니즘의 고유의 값이므로 다른 프린터 메카니즘 간에서는 최소 핏치가 달라져버려 이것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용지 이송량 및 캐리지 이송량에 관한 설정을 프린터 메카니즘마다 변경해야만 하였다.
이와같은 경우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어 방법을 예를 들면 프린터의 초기화시에 행하면 핏치에 관계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할 때에는 최소 핏치를 고려하지 않고 용지 이송량 혹은 인쇄 문자의 위치를 인치 단위로만 생각하면 된다. 구체적인 계산방법을 다음에 표시한다. 용지 이송의 최소 핏치가 다른 2개의 프린터 메이커의 일예를 든다. 즉 프린터 A 및 프린터 B의 최소 핏치를 각각 1/144인치, 1/240인치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개행량(改行量) 설정 명령 「ESC3n」에 의한 개행량을 동일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에서 「ESC」와「3」은 제어 코드에서 「m」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변수이다.
다음에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 즉 개행량(改行量)에 관계하는 방향, 즉 이송량에 대해서만이 설명한다. 프린터 A 및 B는 각각의 프린터 기구가 갖는 최소 핏치(본 예에서는 용지 이송용 스텝 모터의/스텝당의 용지 이송량으로 한다)를 알고 있고 이 값과 제어 명령으로 지정된 용지 이송량으로 스텝핑 모터의 회전 스텝수를 산출한다. 그래서 개행 명령에 대응해서 이 스텝 수만큼 스텝 모터를 구동해서 개행을 행한다. 이제 기본 계산핏치를 초기치의 상태로 하고 「ESC3(48)」로 하면 프린터 A 및 B의 개행량은 각각 다음과 같다.
프린터 A : 48×(1/144)=1/3인치
프린터 B : 48×(1/240)=1/5인치
다음에 기본 계산핏치 명령을 사용해서 기본 계산핏치를 변경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본 계산핏치 명령「GS P (0) (720)」을 수신하면 프린터 A 및 B는 이것에 의거해서 변환 계수를 계산한다. 프린터 A 의 고유 최소 핏치 Pa 는 1/144 인치이므로 변환 계수 Ka를
Ka=1/(n2×Pa)=144/720=1/5
로 설정한다. 또한 프린터 B 의 고유 최소 핏치는 1/240인치이므로 변환 계수 Kb를
Kb=1/(n2×Pb)=240/720=1/3
로 설정한다. 그래서 그후 개행량 설정 명령 「ESC 3(144)」를 실행한다. 이에 의하면 개행량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프린터 A : n×Ka×Pa=144/(5×144)=1/5인치
프린터 B : n×Kb×Pb=144/(3×240)=1/5인치
따라서 이 경우의 프린터 A 및 B의 개행량은 함께 1/5인치로 된다. 여기에서 n×Ka, n×Kb는 각각 개행시의 스텝 모터의 구동 펄스 수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야 한다. 이와같이 기본 계산핏치 명령을 사용해서 핏치 계산을 하므로 프린터 메카니즘의 차이는 개행량 설정 명령 「ESC 3n」의 실행 결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스텝(102)에서 기본 계산핏치를 설정한 후 스텝(104)에 있어서 프린터 제어명령을 실행한다. 상기의 제어명령 체계 중 개행량 설정 명령과 동류의 명령 즉 개행량의 설정이나 캐리지 이송량의 설정에 관한 명령은 아래대로이다.
인쇄 및 용지 이송.
인쇄 및 역방향 용지 이송.
문자의 우측 스페이스량의 설정.
문자의 위치 지정.
이들의 명령은 용지 이송 기구 및 인쇄 문자 위치에 관계하기 때문에 프린터 메카니즘의 최소 핏치의 차이에 의해 통상 같은 각 명령의 변수를 모두 합쳐주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린터 제어 방법을 사용하므로서 기본 계산핏치 명령의 변수를 한번 설정하는 것만으로 이들의 명령의 변수를 바꾸지 아니하고 제어할 수가 있다. 즉 프린터 메카니즘으로의 의존을 기본 계산핏치 명령의 변수의 설정이란 최소한의 처리로 그치며, 이후는 인치 단위로 상기의 이송량의 설정을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프린터 제어 방법인 기본 계산핏치 명령을 실행해도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각종 프린터의 설정은 변하지 아니한다. 즉 상기의 인쇄 및 용지 이송, 인쇄 및 역방향 용지 이송, 문자의 우측 스페이스량의 설정, 개행량의 설정, 문자의 위치 지정등의 설정은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타기종 프린터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경우 프린터의 초기화시에는 본 발명의 기본 계산핏치 명령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을 변경한다면, 그밖의 명령에 대해서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와같은 제어 방법에 의해 각 기종마다 다른 프린터 메카니즘의 최소 핏치량을 소프트웨어 상에서 가상적으로 통일화하고 사용자가 통상의 명령을 사용해서 인치 혹은 다른 단위계의 단위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제까지 각 기종마다 다르던 프린터의 최소 핏치량이 제어 프로그램 내에서 환산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기종의 프린터에 적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초로 최저한도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이 된다. 이제까지는 명령에 의한 용지 이송량의 설정이나 인쇄(印字) 위치의 지정 등을 프린터에 고유의 최소 핏치 단위로 행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의 기구부로의 의존을 최소한도로 묶어서 명령에 의한 용지 이송량의 설정 등이 예를 들면 인치 단위로 설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프린터 제어 방법인 기본 계산 핏치 명령을 실행해도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각종 프린터의 설정은 변하지 아니한다. 즉 상기의 인쇄 및 용지 이송, 인쇄 및 역방향 용지 이송, 문자의 우측 스페이스량의 설정, 개행량의 설정, 문자의 위치 지정 등의 설정은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타 기종 프린터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경우 프린터의 초기화시에는 본 발명의 기본 계산 핏치 명령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을 변경한다면, 그밖의 명령에 대해서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해 각 기종마다 다른 프린터 메카니즘의 최소 핏치량을 소프트웨어상에서 가상적으로 통일화하고, 사용자가 통상의 명령을 사용해서, 인치 혹은 다른 단위계의 단위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Claims (5)

  1. 기록매체에 인쇄를 하는 인쇄헤드와, 상기 인쇄헤드의 가록매체와의 상대 위치를 소정 거리의 최소 단위로 하여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을 갖춘 프린터에 있어서, 기준 변위단위를 설정하는 기준 변위단위 설정수단과, 최소 변위단위 및 기준 변위단위의 변환계수를 구하는 연산 수단과, 인쇄헤드 및 기록매체와의 상대 이동량을 기준 변위단위에 의거해서 설정하는 상대 이동량 설정수단과, 상대 이동량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대 이동량과 변환 계수에 의거해서 변위수단을 제어하는 변위수단의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기록매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기록매체 반송 수단을 가지는 것과, 상기 기준 변위단위의 설정수단은 기록매체의 반송 방향의 기준 변위단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인쇄헤드를 기록매체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인쇄헤드 반송수단을 가지는 것과, 상기 기준 변위단위 설정수단은 인쇄헤드의 반송 방향을 기준 변위단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 설정수단은 개행량(改行量)과 문자의 우측 스페이스량과 문자 위치내의 최소한 1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기록매체에 인쇄를 하는 인쇄헤드와, 이 인쇄헤드의 기록매체와의 상대 위치를 소정 거리의 최소 변위 단위로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을 갖춘 프린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준 변위단위를 설정하는 기준 변위단위 설정 공정과, 최소 변위단위 및 기준 변위단위의 변환 계수를 구하는 연산공정과, 인쇄헤드 및 기록매체의 상대 이동량을 기준 변위단위에 의거해서 설정하는 상대 이동량 설정 공정과, 연산공정 및 상대 이동량 설정공정의 결과에 의거해서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상대 이동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KR1019970008272A 1996-03-12 1997-03-12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0229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55213 1996-03-12
JP96-055213 1996-03-12
JP5521396 1996-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65A KR970064965A (ko) 1997-10-13
KR100229755B1 true KR100229755B1 (ko) 1999-11-15

Family

ID=1299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272A KR100229755B1 (ko) 1996-03-12 1997-03-12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18991A (ko)
EP (1) EP0795839B1 (ko)
KR (1) KR100229755B1 (ko)
CN (1) CN1074998C (ko)
DE (1) DE69733376T2 (ko)
HK (1) HK1009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8975B2 (en) * 2003-08-25 2005-09-0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reducing printing defects in an ink jet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7484A (en) * 1980-05-30 1981-12-23 Canon Inc Printer
JPS587374A (ja) * 1981-07-07 1983-01-17 Canon Inc 印字装置
US4517503A (en) * 1983-09-27 1985-05-14 Mechatr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the speed of an element positionable by a servomechanism
US4522517A (en) * 1983-11-10 1985-06-11 Wade Kenneth B Encoder system for dot matrix line printer
DE3412105A1 (de) * 1984-03-31 1985-10-10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Verfahren in einer schreib- oder aehnlichen maschine zur einstellung eines aufzeichnungstraegers auf eine schreibzeile
US4652159A (en) * 1984-05-02 1987-03-24 Kabushiki Kaisha Seiko Epson Printer
JPS6151353A (ja) * 1984-08-21 1986-03-13 Brother Ind Ltd ドツトマトリツクス型シリアルプリンタ
JPS61209169A (ja) * 1985-03-13 1986-09-17 Casio Comput Co Ltd プリント装置
EP0227609A3 (en) * 1985-11-15 1989-04-19 Casio Computer Company Limited Print head pitch control for an electronic printer
JPS62181169A (ja) * 1986-02-06 1987-08-08 Fujitsu Ltd プリンタにおける改行制御装置
JP3149168B2 (ja) * 1989-05-16 2001-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字装置
KR950005669B1 (ko) * 1991-11-15 1995-05-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칼라비디오프린터의 프린팅방법 및 장치
KR940003635B1 (ko) * 1992-04-17 1994-04-25 주식회사 금성사 프린터 제어방법
DE4319715C2 (de) * 1993-06-15 1995-08-17 Kodak Ag Verfahren zum Bewegen eines Drehkörp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5839B1 (en) 2005-06-01
DE69733376D1 (de) 2005-07-07
EP0795839A2 (en) 1997-09-17
EP0795839A3 (en) 1998-09-16
KR970064965A (ko) 1997-10-13
DE69733376T2 (de) 2006-04-27
US5918991A (en) 1999-07-06
HK1009418A1 (en) 1999-06-04
CN1178170A (zh) 1998-04-08
CN1074998C (zh) 200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2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out a form by a machine
US5069556A (en) Method for correcting drift of printing position and printing apparatus for practising the same
JP6102604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S6144074B2 (ko)
JP2859499B2 (ja) 印刷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における項目設定方法
KR100229755B1 (ko) 프린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4688956A (en) Carriage feed control method for bold and shadow printing
JPH07319868A (ja) 文書編集処理装置
EP0221747B1 (en) Document processor
GB2203579A (en) Bi-directional printer for efficient printing of stored data and real-time input data
JP3861938B2 (ja) 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H0725101A (ja) 印刷制御方法
US4815878A (en) Printing apparatus and a paper controlling method for a printer wherein paper slack is cancelled
US4772145A (en) Document preparing apparatus which automatically capitalizes characters at the head of a sentence
JPH0546935Y2 (ko)
EP0290219B1 (en) Carriage movement control in a printer
JPS60236781A (ja) シリアルプリンタの制御方式
JP3124985B2 (ja) 印刷装置
JP2836026B2 (ja) 印刷制御装置
KR900000259B1 (ko) 데이지휠 타자기 및 데이지휠 프린터의 양방향 인자방법
JPH079723A (ja) 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S6274664A (ja) プリンタの印字開始位置調整装置
JPS622996B2 (ko)
JPS63134276A (ja) プリンタ
JPH05212947A (ja) 印字位置自動変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