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491B1 - 이동통신 시스템, 통신방법 및 이동국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통신방법 및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491B1
KR100229491B1 KR1019960700859A KR19960700859A KR100229491B1 KR 100229491 B1 KR100229491 B1 KR 100229491B1 KR 1019960700859 A KR1019960700859 A KR 1019960700859A KR 19960700859 A KR19960700859 A KR 19960700859A KR 100229491 B1 KR100229491 B1 KR 10022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zone
channel
communication
mas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408A (ko
Inventor
노리코 우치노
아키히로 마에바라
가츠미 고바야시
고지 야마모토
쇼이치 히라타
가즈오 스기야마
마스미 소토야마
고지 사사다
Original Assignee
다치카와 게이지
엔.티.티 이토츠신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치카와 게이지, 엔.티.티 이토츠신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치카와 게이지
Publication of KR96070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데이터통신 고정국(3) 및 음성통신 고정국(4)이 통신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이동국(5)과 데이터통신 고정국(3)간의 신속한 접속을 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채널정보(즉, 사용가능채널, 트래픽량)를 음성통신 고정국(4)으로 순차적으로 통신한다. 음성통신 고정국(4)은 음성통신용의 방송채널을 통해 채널정보를 수신하며, 이동국으로 채널정보를 방송한다. 이동국(5)이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 ISDN(1)과 패킷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국(5)은 그에 방송된 채널 중에서 적합한 채널을 선택하며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그 선택된 채널을 통지한다. 이로서 이동국(5)이 이동국(5)과 데이터통신 고정국(3)간에 실제의 통신이 발생하기 전에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동국(5)과 데이터통신 고정국(3)사이의 접속이 신속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동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및 이동국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신의 수행과정의 시퀀스 흐름도이다.
제 2도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일례의 구성도이다.
제 3도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마스터 시스템이 아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 4도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마스터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도이다.
제 5도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된 이동국의 일례의 구성도이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제 7도는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시퀀스 흐름도이다.
제 8도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시퀀스 흐름도이다.
제 9도는 제 3실시예에서의 각종 신호 포맷이다.
제 10도는 제 1 내지 제 3실시예의 개략 블럭도이다.
제 11도 및 제 12도는 통신요청을 방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설명도이다.
제 13도 내지 제 19도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상기 이동국으로 방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 20도 내지 제 37도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서 레벨측정채널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 38도 내지 제 43도는 이동국에서의 존 전달 프로토콜의 설명도이다.
제 44도 및 제 45도는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이 이동국으로 방송될 때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이다.
제 46도 및 제 47도는 마스터 시스템에서 레벨측정채널이 이동국으로 방송될 때에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이다.
제 48도는 이동국으로 방송되는 트래픽 채널 및 통신요청의 페이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및 이동국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동일 구역을 제어하는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구역내의 이동국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한다.
[배경기술]
최근의 이동통신시스템은 동일 서비스구역을 커버(cover)하는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음성신호 전송을 위한 TDMA 음성통신시스템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TDMA 패킷통신시스템이 동일한 서비스구역에 제공된다. 복수의 시스템이 통상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일 구역에 제공되면 이동국으로부터의 통신요청을 각각의 시스템이 통지받는다. 한편, 상기 이동국은 상기 시스템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기를 가지며,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요청을 개별적으로 수신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신서비스를 각각 제공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국이 복수의 통신시스템으로부터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은 상기 시스템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신요청을 동시에 수신한다. 이러한 상황은 이동국의 소형화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전력소모를 늘어나게 하므로 문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복수의 시스템에 이용되는 레벨측정채널과 관련하여서도 유사하게 발생하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소 존(zone) 구조 TDMA 시스템의 범위에 포함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고정국은, 일반적으로 모든 슬롯에서 일정 전송전력을 가지는 레벨측정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은 복수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며 최고의 전계전력레벨을 가지는 채널에 대응하는 존을 비지트(visit)한다.
또한, 상기 레벨측정채널 대신에 일반 트래픽 채널의 전계전력레벨을 측정함으로써 비지트되는 존을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전송전력을 변화시키는 전송전력제어가 다른 존과의 혼신을 감소시기도록 모든 이동국(즉, 모든 TDMA 슬롯)에 대하여 실행되어 상기 존이 상기 트래픽 채널의 수신 필드레벨에 의해 간단히 결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 시스템이 독립적인 레벨측정채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동국의 소형화에 난관이 있으며 전력소모가 증대된다. 또한, 다른 존에서 레벨측정채널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트래픽 채널에 대한 혼신이 증가하므로써 통신의 품질이 저하된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서비스를 향유하는 이동국을 소형화하는데 있으며, 제2목적은 상기 시스템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기가 없이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이동국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제3목적은 이동통신에 있어 복수의 시스템이 례벨측정채널을 공유하는 고정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제4목적은 상기 고정국 시스템에 적합한 이동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은, 상기 시스템중 한 시스템(예를 들면, TDMA 음성통신시스템)이 "마스터 시스템"에 해당하고 다른 시스템(예를 들면, TDMA 패킷통신시스템)이 "슬레이브 시스템"에 해당하게 구성하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발행된 이동국에 대한 통신요청이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이동국으로 전달된다. 결론적으로 비통신상태의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도 모든 통신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슬레이브 시스템과 관련한 통신요청이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이동국으로 전송될 때부터 이동국 및 슬레이브 시스템이 실제로 통신을 개시할 때까지 긴 지속시간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이동국이 슬레이브 시스템과 관련한 트래픽 채널에 대한 후보(candidate)(이미 이동국의 ROM에 기억되어 있음)를 검색해서 최상 수신 필드레벨을 가지는 트래픽 채널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의의 시스템을 "마스터 시스템"으로 취하고 있는 전술한 기술은 채널선택시 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접속지연을 증가시키고 비통신 기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통신의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이동국에서의 통신을 즉시 개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양태에서는, 사전 지정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제어 채널을 구비한 마스터 시스템 및, 상기 마스터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채널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채널은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하는 이동국용으로 요청된 채널 및, 존 판단에 이용되는 레벨측정채널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구역에서 이동국과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시스템을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데, 상기 통신방법은, 상기 시스템중 하나를 마스터 시스템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제외한 임의의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요청이 발행될 때 상기 이동국에 대한 통신요청을 상기 마스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제외한 임의의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통신요청을 마스터 시스템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요청의 정보변환을수행하여 상기 통신요청을 발행한 시스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정보변환이 수행된 통신요청을 상기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이동국이 임의의 시스템과 통신하지 않는 경우 이미 제공된 복수의 통신수단 중에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선택하는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변환된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요청이 발행된 시스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통신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식별된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시스템에서 발행된 통신요청에 대하여 그 시스템의 식별을 위하여 정보변환을 실행하고, 상기 변환 결과가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그러면, 이동국은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요청을 수신해서 그 통신요청을 발행한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시스템과 통신한다.
이로서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은 단일의 수신기에 의해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이동국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고 이동국의 전력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 지정 서비스구역을 비지팅하는 이동국에 레벨측정채널을 통해 제1정보를 전송하는 마스터 시스템과,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제2정보를 전송하는 슬레이브 시스템, 및 상기 제1정보에 트래픽 채널을 지정하는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채널통지장치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발생수단은 제1정보에 트래픽 채널을 지정한다. 그후,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통해서 이동국에 전송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수신하는 이동국은 신속히 트래픽 채널을 지정한다.
이로써 상기 채널통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채널을 지정하는 정보가 정보발생수단 및 마스터 시스템에 의해 상기 이동국으로 방송될 수 있으므로, 이동국은 슬레이브 시스템과의 통신이전에 상기 트래픽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이 제1존을 비지팅할 때 제1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상기 이동국으로 제1정보를 전송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일정레벨의 레벨측정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국이 제1존과 이웃한 제2존을 비지팅할 때 상기이동국으로 제1정보를 전송하는 인접시스템을 구비한 이동통신용 고정국 시스템으로 실시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국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제1존을 비지팅할 때 제2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이동국에 제2정보를 전송하고, 레벨측정채널을 방송하는 슬레이브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시스템은 제2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국에 제2정보를 전송하고 이동국에 레벨측정채널을 방송하므로, 이동국은 용이하게 레벨측정채널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트래픽 채널을 통해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 1통신장치와,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사전 지정된 레벨측정채널의 전계전력레벨을 측정하는 전계전력레벨측정장치와, 제 2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 2통신장치와, 제 2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에서 레벨측정채널을 획득하는 레벨측정정보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이동국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제 1통신장치는 제 1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하고, 제 2통신장치는 제 2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하며, 전계전력례벨측정장치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사전 지정된 레벨측정채널의 전계전력레벨을 측정한다. 상기 레벨측정정보수신수단은 상기 제2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그에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레벨측정레벨을 얻는다. 결론적으로, 이동국은 상기 제 2통신장치와 통신하여도 마스터 시스템에서의 레벨측정채널을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 또는 슬레이브 시스템과의 통신이 발생하더라도 비지팅 존과 인접 존의 레벨측정채널을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시스템이 레벨측정채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레벨측정채널의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혼신을 감소시킴으로써 고품질의 통신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양태]
[제 1실시예]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통신수행과정의 시퀀스 흐름도이며, 제 2도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일례의 구성도이며, 제 3도 내지 제 5도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된 구성요소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제 2도를 참조하여 제 1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기술한다. 제 2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201은 사전 지정된 마스터 시스템인 제 1시스템을 나타내며,202는 상기 제 1시스템(201)과 접속된 제 1고정통신망을 나타낸다. 208은 상기 제 1시스템(201)과 제 1고정통신망(202) 사이에서 통신요청 등의 제어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제어라인을 나타내며, 203은 마스터 시스템이 아닌 제 2시스템을 나타내며, 204는 상기 제 2시스템(203)과 접속된 제 2고정통신망을 나타낸다. 209는 제 2시스템(203)과 제 2고정통신망(204)사이에서 통신요청 등의 제어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다른 제어라인을 나타낸다. 207은 상기 제 2시스템(203)에 의해 통신요청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시스템(201)에 위임되는 통신요청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라인을 나타내고, 205는 상기 제 1시스템(201) 및 제2시스템(203)에 의해 커버되는 서비스구역을 나타낸다. 206은 상기 제 1시스템(201) 및 제 2시스템(203)용의 통신수단을 갖춘 이동국을 나타내며, 이동국(206)은 상기 서비스구역(205)내에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 3도를 참조하여 비마스터(non-master) 시스템인 제 2시스템(203)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3도에 있어서, 301은 상기 제2 고정통신망(204)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이동국에 전달될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통신요청수신수단을 나타낸다. 304는 상기 이동국이 제 1시스템(201)용의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이동국정보메모리수단을 나타낸다. 303은 상기 제 1시스템(201)에 통신요청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요청전달수단을 나타낸다. 302는 통신요청수신수단(301)이 통신요청을 수신할때 그 통신 요청의 목적지인 이동국이 상기 제 1시스템(201)용의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메모리수단(304)의 내용에 의해 판단하는 시스템제어수단을 나타내며, 상기 시스템제어수단(302)은 상기 이동국이 통신수단을 구비한 경우 통신요청전달수단(303)에 의해 상기 제1 시스템(201)으로 통신요청을 전달한다.
다음으로, 제 4도를 참조해서 마스터 시스템인 제 l시스템(201)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제 4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401은 제 2시스템(203)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전달될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통신요청수신수단을 나타내며, 404는 상기 제2 시스템(203)으로부터의 통신요청에 의거하여 제2 시스템(203)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시스템(203)에 의해 발행된 통신요청에 대하여 상기 제 2시스템(203)을 식별하는 정보를 할당하는 정보변환수단을 나타내고, 403은 상기 제 1시스템(201)에 대응하는 사전 지정된 통신시퀀스에 따라 송신기를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통신요청을 전달하는 통신요청송신수단을 나타낸다. 402는 상기 통신요청수신수단(401)이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변환수단(404)에 의해 통신요청을 변환하고, 상기 통신요청송신수단(403)에 의해 이동국으로 상기 변환결과를 송신하는 시스템제어수단이다.
다음으로, 제5도를 참조해서 제 2도에 도시한 이동국(206)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제 5도에 있어서, 501은 상기 제 1 시스템(201)과 통신하는 제 1통신수단을 나타내며, 503은 상기 제2시스템(203)과 통신하는 제2통신수단을 나타내고, 504는 상기 제 1통신수단(501)과 제2통신수단(503)을 절환하는 스위칭수단을 나타내며, 502는 이동국제어기를 나타낸다. 이동국제어기(502)는 제어라인을 통해 제1통신수단(501) 및 제 2통신수단(503)으로 출력되는 또는 그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수단(504)에 의해 제 2통신수단(503) 또는 제 1통신수단(501)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도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통신요청을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 1도에 있어서, 제 2도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 2도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도에 있어서, 제 2시스템(203), 즉 비마스터 시스템은 이동국(206)에 대한 통신요청(101)이 발생된 경우 제 1시스템(206)인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한다.
그러면, 제 2시스템(203)은 상기 제 1시스템(201)에 통신요청(102)을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요청(102)이 발생되는 상황은 예를 들면 제 2고정통신망(204)으로부터 제어라인(209)을 통해 제 2시스템(203)으로 호가 전달될 때 나타날 수 있다.
제 2시스템(203)으로부터의 통신요청에 따라, 제 1시스템(201)은 제 2시스템(203)이 통신요청의 시원(始原; origin)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요청(103)을 상기 이동국(206)에 전송한다.
한편, 이동국(206)에 있어서 통신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 5도에 도시한 이동국제어기(502)는 제 1시스템(201)으로부터의 통신요청을 지켜보면서 스위칭수단(504)에 의해 제 1통신수단(501)을 적합한 조건으로 설정한다. 그후, 이동국제어기(502)가 제 1통신수단(501)을 통해 수신된 통신요청(103)에 의거하여 제 1시스템(201)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청의 시원이 제 2시스템(203)임을 식별하면, 상기 이동국제어기(502)는 사전 지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시스템(203)과의 접속을 수행하며, 제 2통신시스템(203)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는 이동음성통신시스템이 마스터 시스템이며 이동데이터통신시스템이 비마스터 시스템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한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국은 이동음성통신시스템용과 이동데이터통신시스템용의 두 개의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통신이 발생하지 않을 때 이동음성통신시스템에서의 통신요청을 주시한다. 이동데이터통신시스템에서 통신요청이 발생할 때에는 그 통신요청을 이동음성통신시스템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음성통신시스템이 상기 통신요청을 이동국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요청을 받은 이동국은 이동데이터통신시스템용 통신수단에 의해 이동데이터통신시스템과 통신한다.
[제 2실시예]
[A. 실시예의 구성]
제 6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4는 음성통신 고정국을 나타내고, 3은 데이터통신 고정국을 나타내는데, 이들 통신국은 동일 서비스구역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통신 고정국(4)은 마스터 시스템에 대응하고,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슬레이브 시스템에 대응한다. 상기 고정국(3,4)은 안테나 결합기(7)에 의해 안테나(8)를 공유하며 서비스구역에 비지팅하는 이동국(5)과 통신한다. 특히, 음성통신 고정국(4)은 음성통신망(2)과 이동국(5)간의 교환을 수행하고,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ISDN(즉, 종합서비스디지탈망: 1)과 이동국(5)간의 교환을 수행한다. 도면부호 9는 PC, 팩시밀리 등으로 구현되는 데이터전달용 데이터 터미널을 나타낸다.
이동국(5)에 있어서, 도면부호 802는 후술되는 시퀀스에 따라 이동국(5)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이동국제어기이고,805는 상기 시퀀스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며,801은 마이크로폰(808)의 음성신호에 따라 업링크(up-link) TDMA 기저대(baseband)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통신부이다. 특히, 음성통신부(801)는 음성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디지탈신호를 발생하며 버스트상황(burst situation)에서 사전 지정된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디지탈신호를 전송한다.
도면부호 803은 데이터터미널(9)로부터 공급된 디지탈신호에 의거하여 패킷을 구성하고, 그 패킷을 업링크 패킷 기저대신호로서 발생시기는 데이터통신부를 나타내며, 804는 이동국제어기(802)의 제어에 따라 업링크 TDMA 기저대신호 또는 업링크 패킷 기저대신호중 하나를 상기 송/수신기(806)로 공급하는 통신부 스위치를 나타낸다. 송/수신기(806)는 상기 공급된 기저대신호를 변조시켜서 안테나(807)을 통해서 변조결과를 전송한다. 특히, 업링크 TDMA 기저대신호가 상기스위치를 통해서 공급된 경우, 송/수신기(806)는 상기 신호를 변조시기며 상기변조결과를 반송주파수 f4를 가지는 업링크 TDMA RF신호로서 발생시킨다. 한편, 업링크 패킷 기저대신호가 통신부스위치(804)를 통해 공급되면, 송/수신기(806)는 상기 신호를 변조시키며, 반송주파수 f5를 가지는 업링크 패킷 RF신호로서 상기 변조결과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음성통신 고정국(4)의 내측에서 도면부호 703은 송/수신기를 나타낸다. 업링크 TD止 旴 신호가 안테나(8) 및 안테나 결합기(7)를 통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송/수신기(703)는 상기 신호를 복조시켜서 변조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복조신호는 인터페이스회로(701)를 통해 음성통신망(2)에 전송된다. 도면부호 702는 후술되는 시퀀스에 따라 상기 음성통신 고정국(4)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고 그로부터 각종 신호를 전달받는 고정국 제어유니트를 나타낸다. 704는 상기 시퀀스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나타낸다.
또한, 송/수신기(703)는 음성통신망(2)과 인터페이스회로(701)를 통해 복수의 비지팅 이동국에 대한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기(703)는 TDMA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변조하며, 그 변조된 결과를 반송주파수 f2를 가지는 다운링크 TDMA RF신호로서 전송한다. 다운링크 TDMA RF 신호가 안테나(807)를 통해 송/수신기(806)로 수신되면, 그 수신된 신호는 복조되어 TDMA 기저대신호로서 발생된다. 다운링크 TDMA 기저대신호는 통신부스위치(804)를 통해 음성통신부(801)로 공급된다. 음성통신부(801)에 있어서 이동국(5)에 대응하는 타임슬롯은 다운링크 TDMA 기저대신호의 타임슬롯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선택된 부분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809)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송/수신기(703)는 반송주파수 f1을 가지는 레벨측정채널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상기 레벨측정채널은 모든 타임슬롯에서 일정한 RF 신호를 가진다. 그러면, 이동국(5)의 레벨측정회로(810)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통신 고정국에 의해 발생된 레벨측정채널의 전계전력레벨이 측정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지팅 존이 결정된다. 특히, 이동국(5)은 최고의 전계전력레벨을 가지는 음성통신 고정국으로 비지트한다.
다음으로,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있어서 도면부호 603은 송/수신기를 나타내며, 업링크 패킷 RF신호가 안테나(8) 및 안테나 결합기(7)를 통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송/수신기(603)는 공급된 신호를 복조해서 그 복조결과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조 신호는 인터페이스회로(601)를 통해서 ISDN(1)으로 전송된다. 도면부호 602는 후술하는 시퀀스에 따라 데이터통신 고정국(3)내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상기 음성통신 고정국(4)의 고정국 제어유니트(702)로부터 각종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음성통신 고정국(4)의 고정국 제어유니트(702)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고정국 제어유니트이다.
또한, 송/수신기(603)는 ISDN(1)을 통해 인터페이스회로(601)에 의해 복수의 비지팅 이동국용 패킷을 수신하며, 이 수신된 패킷을 재배열하고 반송주파수 f3으로 변조시키며 상기 변조결과를 다운링크 패킷 RF신호로서 발생시킨다. 다운링크 패킷 RF신호가 안테나(807)를 통해 상기 송/수신기(806)에 의해 수신되면, 그 수신된 신호는 복조되어 다운링크 패킷 기저대신호로서 발생된다. 상기 다운링크 패킷 기저대신호는 통신부스위치(804)를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부(803)에 공급된다. 상기 데이터통신부(803)에 있어서 이동국(5)에 대응하는 타임슬롯은 다운링크 패킷 기저대신호의 타임 슬롯중에서 선택된다. 그후 상기 선택된 부분은 분해되어 데이터 터미널(9)에 공급된다.
[B. 실시예의 동작]
[B-1. 음성 및 패킷 이동국에 대한 동작 ]
본 실시예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동국(5)이 음성통신 고정국(4)의 서비스구역을 비지트하면, 상기 이동국(5)으로부터 음성통신 고정국(4)으로 위치등록요청이 발행된다. 그러면 음성통신 고정국(4)은 가능한한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이 경우 음성통신 고정국(4)이 이동국(5)으로부터 가입자번호를 통지받는다.
또한, 이동국은 패킷통신에만 해당하는 한 그룹, 이동국(5) 등과 같은 음성 및 패킷통신 모두에 해당하는 다른 그룹, 음성통신에만 해당하는 또 다른 그룹으로 분류된다. 음성통신 고정국(4)에 대한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이동국은 후자의 두 그룹(음성통신에 해당)에 속해야만 한다. 이동국의 넘버링 시스템이 그룹마다 다를 경우, 이동국의 타입은 위치등록이 있을 때 바로 분류된다.
패킷통신과 관련한 이동국의 위치등록이 완료되면, 고정국 제어유니트(702)는 가입자번호를 고정국 제어유니트(602)에 통지한다. 그러면, 가입자 번호가 상기 고정국 제어유니트(602)에 의해 메모리(604)에 기억된 이동국의 리스트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제 7도를 참조해서 후속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이동국(5)이 비지팅 상태에 있든지 없든지간에, 사전 지정된 기간 T 마다 채널정보(즉, 상기 채널의 패킷통신 및 트래픽에 유용한 채널수)를 음성통신 고정국(4)에 통지한다. 채널정보는 메모리(70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방송채널을 통해 비지팅하고 있는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이동국(5)이 호접속에 있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스위치(804)는 음성통신부(801)측으로 전환된다. 방송채널이 음성통신부(801)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채널의 내용이 이동국 제어기(802)로 전달된다. 상기 이동국 제어기(802)는 채널정보가 상기 방송채널에 포함된 경우 그 채널정보를 메모리(805)에 기억시킨다. 결론적으로, 이동국(5)이 상기 음성통신 고정국(4)의 서비스구역에 비지트되는 경우, 사전 지정된 간격 T 마다 채널정보가 수신되며 메모리(805)의 내용은 매번 복구된다.
이하, ISDN(1)에서 호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7도의 시간 t1에서 ISDN(1)으로부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 이동국(5)에 대한 통신요청이 전달된다. 상기 통신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서는 상기 통신요구와 관련하여 해당 이동국이 메모리(604)에 기억된 이동국의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이동국이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는 ISDN(1)에 "통신장애"로 응답한다.
한편, 상기 이동국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으면 가입자번호에 따라 이동국의 타입(즉, 패킷 전용 이동국 또는 음성 및 패킷 이동국)이 판단된다. 그 후, 상기 이동국이 음성 및 패킷 이동국이면 상기 음성통신 고정국(4)의 고정국 제어유니트(702)로 상기 통신요청이 전달된다. 한편, 이동국이 패킷 전용 이동국인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5)이 메모리의 이동국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음성 및 패킷 이동국이므로, 상기 고정국 제어유니트(702)로 통신요청이 전달된다. 그후, 고정국 제어유니트(702)에 있어서는 이동국(5)과 음성통신망(2)사이의 통신이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통신이 발생하면 "이동국(5)이 비지(busy)"라는 응답이 고정국 제어유니트(702) 및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를 통해 ISDN(1)으로 전달된다. 한편, 이동국(5)이 음성통신망(2)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으면[즉, 이동국(5)이 음성통신 고정국(4)의 방송채널을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 고정국 제어유니트(702)는 데이터통신 고정국(3)이 통신요청의 시원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요청"을, 방송채널을 통해 이동국(5)으로 전송된다. 제 7도에서는 데이더통신요청이 수행되는 시간이 "t2"로 되어 있다.
데이터통신요청이 음성통신망(2)의 통신요청과 상위하므로 이동국(5)은 ISDN(1)과 음성통신망(2) 사이의 통신요청의 시원을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요청은 송/수신기(806), 통신부 스위치(804) 및 음성통신부(80l)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이동국 제어기(802)로 전송된다. 메모리(805)에 기억된 채널정보는 이동국 제어기(802)에 의해 검색되어 최소 트래픽 량을 가지는 채널이 선택된다.
이동국 제어기(802)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기의 반송주파수가 상기 선택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f5로 설정된다. 그러면 통신부스위치(804)는 데이터통신부(803)측으로 전환된다. 이어서, 시간 t3에서 "통신이 상기 선택채널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는 정보가 데이터통신부(803)에 의해 발생된다. 이 정보는 순차적으로 통신부 스위치(804), 송/수신기(806), 안테나(807), 안테나(8), 안테나결합기(7) 및 송/수신기(603)를 거쳐서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로 전송된다. 상기 정보를 받은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는 ISDN(1)에 대한 통신을 인증한다. 제 7도에서는 통신이 인증된 시간이 "t4"로 되어 있다.
그후,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 ISDN(1)과 이동국(5) 사이의 패킷통신이 수행된다. 통신이 종료되면 통신부스위치(804)는 음성통신부(801)측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전 지정된 간격 T 마다 채널정보가 수신되어 메모리(805)의 내용이 매번 복구된다.
다음으로, 이동국(5)에서 호가 개시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자가 이동국(5)에 대한 사전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면, 메모리(805)에 기억된 채널정보가 이동국 제어기(802)에 의해 검색되어 최소 트래픽 량을 가지는 채널이 선택된다.
상기 이동국 제어기(802)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기(806)의 반송주파수가 상기 선택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f5로 설정된다. 그후, 통신부 스위치(804)는 데이터통신부(803)측으로 전환된다. 이어서, 상기 채널(반송주파수 f5)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자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통신 상대자의 가입자번호[즉, ISDN(1)에 접속된 데이터터미널]를 포함한 통신요청이 데이터통신부(803)에 의해 발생된다. 제 7도에서는 통신요청이 발생되는 시간이 "t5''로 되어 있다. 상기 통신요청은 순차적으로 안테나(8), 안테나결합기(7) 및 송/수신기(603)를 통해서 고정국 제어유니트(602)에 전송된다. 상기 통신요청을 받은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는 시간 t6에서 ISDN(1)에 상기 통신요청을 발행한다.
ISDN(1)에서는 상기 상대자의 터미널이 호출된다. 호출의 종료가 확인된 시간(시간 t7)에 데이터통신 고정국에 대한 통신이 인증된다. 상기 통신의 인증은 즉시 고정국(5)으로 전달된다. 제 7도에 있어서는 이동국(5)에 대한 통신이 인증된 시간이 "t8"로 되어 있다. 그후,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 ISDN(1)과 이동국(5)간의 패킷통신이 수행된다. 상기 통신이 종료되면 통신부 스위치(804)는 음성통신부(801)측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전 지정된 간격 T마다 채널정보가 수신되어 메모리(805)의 내용이 매번 복구된다.
[B-2. 패킷통신에 전용되는 이동국과 관련한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이동국은 패킷통신용으로만 전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국(이하, "패킷 전용 이동국"이라 함)의 동작을 기술한다. 패킷 전용 이동국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그 구성은 상기 이동국이 음성통신용의 구성요소[즉, 음성통신부(801), 통신부스위치(804) 및 마이크로폰(808)]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데이터통신부(803)와 송/수신기(806)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이동국(5)의 구성과 동일하다.
패킷 전용 이동국용 메모리(805)는 데이터통신 고정국(3)의 트래픽 채널에 대한 복수의 후보를 기억하고 있다. 패킷 전용 이동국의 전원이 턴온되고, 이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에 대한 후보가 검색되어, 최고의 수신필드레벨을 가지는 트래픽 채널이 선택된다. 그후, 패킷 전용 이동국은 상기 선택된 트래픽 채널에 대하여 대기상대로 전환된다. 특히, 패킷 전용 이동국은 상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 위치등록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고정국(3)은 가능한한 그 등록을 확인한다. 또한, 트래픽 채널은 퍼치 채널(perch channel)을 이용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패킷전용이동국 내에서 호가 발생해서 이동국과 ISDN(1)간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패킷 전용 이동국은 상기 선택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대해 통신요청을 발행한다. 그 다음의 동작은 상기한 이동국(5)의 경우와 유사하다(제 7도의 시간 t5∼t8 참조). 특히, 이동국(5)의 경우에는 패킷통신에 대한 채널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므로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상기 채널을 통지받아야 한다. 그러나, 패킷 전용 이동국의 경우에는 트래픽 채널이 이전에 선택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정보는 필요치 않다.
다음으로, ISDN(1)에서 호가 발생해서 패킷 전용 이동국과 ISDN(1)간의 통신이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ISDN(1)으로부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 패킷 전용 이동국에 대한 통신요청이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서는 상기 통신요청과 관련한 이동국이 이동국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등재되어 있는 경우, 이동국의 타입(즉, 패킷 전용 이동국 또는 음성 및 패킷 이동국)이 가입자번호에 근거하여 판단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은 이동국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패킷 전용국이다. 결론적으로, 데이터통신 고정국(3)이 상기 선택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패킷 전용 이동국으로 통신요청을 발행하며, 상기 패킷 전용 이동국은 상기 요청에 대해 응답한다. 그후,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 ISDN(1)로부터 패킷 전용 이동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통신요청이 이동국(5)으로 전송되면, 메모리(805)에 이전에 기억된 채널정보에 의거하여 즉시 채널통지가 수행된다(시간 t3). 마찬가지로, 이동국(5)이 통신요청을 발행하는 경우(시간 t5)에는 그 통신요청이 발행된 때에 채널이 할당된다. 따라서, 이동국(5)이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패킷통신의 채널을 검색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이 즉시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ISDN(1)에 의해 통신요청이 발행되면, 이동국(5)(즉, 음성 및 패킷이동국)이 음성통신 고정국(4)을 통해 호출되고 패킷 전용 이동국이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 호출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국(3,4)에 의해 호출되기 위해서는 이동국(5)은 상기 음성통신 고정국(4)의 방송채널을 수신해야만 한다.
[제 3실시예]
[A. 실시예의 구성]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기술한다.
제 3실시예의 구성은 제 2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제 6도 참조). 그러나, 그 동작은 이하와 같이 제 2실시예와 상이하다.
[B. 실시예의 동작]
[B-1. 주변 존 정보와 채널정보의 발생]
먼저, 음성통신 고정국(4)은 반송주파수 f1의 값을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주기적으로 통지한다. 이러한 방식은 음성통신 고정국과 관련한 존 및 다른 주변 존에서의 트래픽량에 따라서 상기 고정국에 할당된 채널이 변화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이동통신용의 고정국 시스템을 통해 다른 존의 데이터통신 고정국(도시하지 않음)과 통신한다. 상기 고정국(3)은 반송주파수 f1을 다른 존의 데이터통신 고정국에 통지하며, 역으로 다른 존의 레벨측정채널에 대한 반송주파수를 통지받는다.
이렇게 해서 데이터통신 고정국(3)이 홈 존(home zone) 및 다른 존의 레벨측정채널에 대한 반송주파수를 획득하면, 고정국(3)은 상기 주파수를 메모리(604)의 주변 존 정보에 합한다. 제 9C도는 상기 주변 존 정보의 내용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상기 주변 존 정보의 등재된 존 수가 상기 주변 존 정보의 상부에 기억된다. 또한, 존의 식별부 및 상기 존의 레벨측정채널에 대한 반송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한편,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패킷 정보 관련 채널정보를 음성통신 고정국(4)에 주기적으로 통지하며, 그 정보가 메모리(704)에 기억된다. 상기 채널정보의 내용을 제 9B도에 도시한다. 도면에서, 상기 채널정보에 등재된 트래픽 채널수가 상기 채널정보의 상부에 기억되며, 또한 각각의 반송주파수 및 트래픽 채널의 트래픽량이 채널에 맞게 기억된다.
데이터통신 이동국(3)으로부터 비지팅 이동국으로 주변 존 정보가 주기적으로 방송된다.
데이터통신 이동국(3)은 메모리(604)에 기억된 주변 존 정보를, 패킷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으로 간헐적으로 방송한다. 특히, 임의의 이동국에 대한 패킷이 ISDN(1)로부터 데이터통신 이동국(3)으로 전송되면, 상기 패킷에 주변 존 정보가 부가되어 상기 주변 존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대응 이동국으로 전달된다.
[B-2. 이동국 등에 대한 비지팅의 인증]
이동국(5)의 메모리(805)는 복수의 반송주파수, 즉 레벨측정채널에 대한 후보들의 주파수가 기억되는 ROAI영역을 구비한다. 이동국(5)의 전원이 턴온되면, 먼저 ROM영역이 판독되며,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후보들이 순차적으로 검색된다. 그후, 이동국(5)은 최고의 수신필드레벨을 가지는 레벨측정채널에 대응하는 존을 비지트한다. 여기서, 음성통신 고정국(4)의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반송주파수 fl)이 최고의 레벨로 가정한다.
그후, 이동국(5)은 상기 레벨측정채널상에 멀티플렉스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통신 고정국(3)의 일시적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며, 상기 일시적 트래픽 채널을 통해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대한 위치등록요청을 발행한다. 또한, 음성통신 고정국(4) 및 데이터통신 고정국(3)이 제어신호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레벨측정채널을 통해 위치등록이 발행될 수 있다. 가능한 한 상기 데이터 통신 고정국(3)은 위치등록을 적절하게 수행한다. 이 경우, 이동국(5)은 데이터 통신 고정국(3)에 자신의 가입자번호를 통지하며, 그 가입자번호는 고정국 제어유니트(602)에 의해 메모리(604)의 이동국 리스트에 기억된다.
[B-3. 패킷통신]
다음으로, 제 8도를 참조해서 ISDN(1)에서 호가 발생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8도에서, 시간 t1에서 ISDN(1)로부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 이동국(5)에 대한 통신요청이 발행된다. 통신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서는 상기 통신요청과 관련한 이동국이 메모리(604)에 저장된 이동국의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상기 이동국이 이동국의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지 않으면,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는 ISDN(1)로 "통신장애"의 응답을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국(5)이 이동국의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으므로, "데이터통신요청"이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부터 이동국(5)으로 전송된다. 제 8도에서 통신요청이 발행되는 시간이 "t2"로 되어 있다. 데이터통신 요청은 순차적으로 송/수신기(806), 통신부 스위치(804) 및 데이터통신부(803)를 통해 이동국 제어기(802)로 전송된다. 상기 메모리(805)에 기억된 채널정보는 상기 이동국 제어기(802)에 의해 검색되어서 채널이 선택된다.
그후, 이동국 제어기(802)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기(806)의 반송주파수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f5로 설정된다. 이어서, 시간 t3에서 채널(반송주파수 f5)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자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데이터 통신부(803)에 의해 발생된다. 이 정보는 순차적으로 안테나(8), 안테나결합기(7), 및 송/수신기(603)를 통해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로 전송된다. 그후, 통신요청을 받은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는 ISDN(1)에 대한 통신의 인증을 발행한다. 제 8도에서 통신의 인증이 발행된 시간이 "t4"로 되어 있다.
이어서, ISDN(1)과 이동국(5)간의 패킷통신이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 수행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 존 정보가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의해 간헐적으로 패킷에 부가된다. 새로운 주빈 존 정보가 이동국(5)으로 전달되면 그 내용이 메모리(805)에 기억된다.
또한, 이동국(5)은 신호수신이 필요치 않은 타이밍(즉, TDMA시스템에 타임슬롯이 할당되지 않은 타이밍)에서 음성통신 고정국(4)의 레벨측정채널 및 다른 인접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특히, 송/수신기(806)의 수신주파수는 이동국 제어기(802)에 의해 래벨측정채널로 전환되며,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 필드레벨은 레벨측정회로(810)에 의해 측정된다.
그후, 상기 측정된 수신필드레벨은 메모리(805)에 기억된다. 다른 존에 있는 임의의 수신필드레벨이 비지팅 존(반송주파수 fl)의 레벨측정채널의 레벨보다 소정치 만큼 높은 경우, 이동국(5)은 선달 목적지 존의 레벨측정채널을 통해서 다른 존(이하 "전달 목적지 존"이라 함)에 대하여 일시 트래픽 채널을 지정한다. 그후, 이동국(5)은 상기 전달 목적지 존에서 데이터통신 고정국으로 위치등록요청을 발행한다. 이어서, 전달 목적지 존의 데이터통신 고정국은 가능한한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그후, 상기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서는 이동국(5)에 관한 이전의 위치등록은 삭제된다.
이로서 이동국(5)은 ISDN(1)과 통신하면서 필요한 경우 그 비지팅 존을 변경한다. 통신이 완료되면, 사전 지정된 간격 T 마다 채널정보가 수신되어 메모리(805)의 내용이 매번 복구된다.
다음으로, 이동국(5)에서 호가 발생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자가 이동국(5)에 대한 사전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면, 메모리(805)에 기억된 채널정보가 이동국 제어기(802)에 의해 검색되어 채널이 선택된다.
그후, 이동국 제어기(802)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기(806)의 반송주파수가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f5로 설정된다. 이어서, 상기 채널(반송주파수 f5)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자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대자[즉, ISDN(1)에 접속된 데이터 터미널]의 가입자번호를 수반하는 통신요청이 데이터통신부(803)에 의해 발행된다. 제 8도에 있어서 상기 통신요청이 발행되는 시간이 "t5"로 되어 있다. 상기 통신요청은 순차적으로 안테나(8), 안테나결합기(7), 및 송/수신기(603)를 통해서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로 전송된다. 통신요청을 받은 고정국 제어유니트(602)는 시간 t6에서 ISDN(1)에 대한 통신요청을 발행한다.
ISDN(1)에서는 상대자의 터미널을 호출한다. 그후, 그 호출의 종료가 확인되는 시간(시각 t7)에서 데이터통신 고정국(3)에 대한 통신이 인증된다. 그러면, 그 통신의 인증이 즉시 이동국(5)으로 전달된다. 제 8도에 있어서 이동국(5)에 대한 통신이 인증되는 시간이 "t8"로 되어 있다. 이어서, 데이터통신 고정국(3)을 통해서 ISDN(1)과 이동국간의 패킷통신이 수행된다. 통신이 종료되면, 통신부 스위치(804)는 음성통신부(801)측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통신정보가 사전 지정된 간격 T마다 수신되어 메모리(805)의 내용이 매번 복구된다.
물론, 이동국(5)측에서 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국(5)의 비지팅 존이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이 경우의 제어 동작은 ISDN(1)에서 호가 발생된 경우의 동작과 유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존의 레벨측정채널이 음성통신 고정국(4) 및 ISDN(1)로부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 방송되고, 이에 따라 상기 주변 존 정보가 상기 데이터통신 고정국(3)으로부터 이동국(5)으로 방송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국에 의해 레벨측정채널이 공유될 수 있고, 레벨측정채널의 수가 감소되어 신호 영향이 저감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통신품질을 얻을 수 있다.
[C. 변형예]
다음 예에서와 같이, 제 3실시예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i ) 데이터통신 고정국(3)은 다른 존의 데이터통신 고정국으로부터 채널정보를 수신하며, 제 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대응정보"를 생성하여 그 정보를 이동국으로 방송하여도 된다. 상기 "채널대응정보"는 존의 수, 레벨측정채널의 주파수 및 채널정보[제 9b도 참조]가 모든 존마다 등재되게 구성된다. 상기 이동국(5)은 채널대응정보를 메모리(805)에 기억한다. 따라서, 패킷통신이 발생한 때에 비지팅 존을 변경하고자 하면, 상기 전달 목적지 존에 대한 데이터통신 고정국과 관련한 트래픽 채널이 즉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로서 존 전달이 보다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
(ii) 제 3실시예에서 고정국 제어유니트(602,702)는 채널정보 및 주변 존 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레벨측정채널 및 트래픽 채널이 상기 존에서 트래픽량 등에 의해 변경된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한편, 여러 채널이 고정되어 있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이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메모리(604,704)가 채널정보 및 주변 존 정보를 이미 기억하고 있어서 그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이동국(5)으로 방송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을 기술한다. 이하, 기술되는 프로트콜의 일부는 제 1 내지 제 3의 복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의 설명에 이용되는 시스템 구성은 제 10도에 도시한 제 1 내기 제 3실시예의 축약이다. 제 10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11은 마스터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이 시스템은 동일 서비스 구역을 커버하는 임의의 복수의 통신시스템(예를 들면, 데이터통신, 음성통신, 페이거 및 PHS)으로 구현될 수 있다. 12는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마스터 시스템을 제외한 시스템을 일반화하고 있다. 13은 콤바이너-디바이더를 나타낸다.
(1) 통신요청의 통지
(i) 주요동작
다음으로, 제 11도를 참조하여 통신요청의 통지에 대한 주요 프로토콜을 기술한다.
먼저,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슬레이브 시스템(12)으로 이동국(5)에 대한 통신 요청이 발행된다. 그후, 슬레이브 시스템(12)에서 이동국(5)이 마스터 시스템용 통신기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상기 판단이 참이면 실선 화살표를 따라 통신요청이 전달된다. 특히, 통신요청이 마스터 시스템(11)으로 전달되며 이어서 이동국(5)으로 전달된다.
한편, 이동국(5)이 마스터 시스템용의 통신기능을 가지지 않는 경우 슬레이브 시스템(12)은 직접적으로 파선 화살표에 따른 통신요청을 이동국(5)에 통지한다.
어느 경우든 이동국이 상기 통신요청에 수반하여 선택가능한 트래픽 채널을 통지받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48도는 통신요청 페이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통신요청은 관련 이동국의 이동국 수, 선택가능 이동국채널의 수, 상기 트래픽 채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요청이 트래픽 채널정보를 수반하면, 통신요청의 수신 전후에 트래픽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ii) 존 구조
이동통신시스템의 존 구조는 일반적으로 옴니 구조(omni-structure) 및 섹터 구조(sector-structure)로 분류된다. 동시에, 마스터 시스템(11) 및 슬레이브 시스템(12)이 동일 구조를 가지는 경우와 상기 구조가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다시 마스터 시스템(11) 및 슬레이브 시스템(12)이 섹터구조와 옴니구조로 분류되며, 그 예는 제 12a도 및 제 12b도에 도시되어 있다.
(2) 홈 존의 트래픽 채널의 통지
다음으로, 슬레이브 시스템(12)이 마스터 시스템(11)을 통해 사용될 트래픽 채널을 통지받는 프로토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로토콜은 마스터 시스템(11)과 슬레이브 시스템(12)의 존 구조마다 다르므로 그 설명을 분리해서 한다.
(i) 마스터 시스템 및 슬레이브 시스템은 동일 존 구조를 가짐.
마스터 시스템(11)과 슬레이브 시스템(12)이 옴니 구조를 가지면, 마스터 시스템(1l)은 이동국(5)으로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활용가능한 모든 트래픽 채널을 방송한다. 한편, 마스터 시스템(11) 및 슬레이브 시스템(12)이 섹터 구조인 경우, 슬레이브 시스템의 각 섹터에 할당된 트래픽 채널이 마스터 시스템의 대응 섹터로부터 방송된다.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이동국(5)은 제공된 트래픽 채널 중에서 사용될 채널을 선택한다.
(ii)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짐
첫째로, 슬레이브 시스템(12)에서 활용가능 주파수(즉, 트래픽 채널)는 f1 내지 f6으로 한다. 제 14a도에 도시된 시스템에 었어서, 모든 주파수 f1 내지 f6은 상기 마스터 시스템(11)에서 상기 섹터에서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특히, 모든 섹터로부터 동일한 정보가 방송된다.
한편, 제 14b도에 있어서 활용가능 주파수 f1 내지 f6이 더 분할되어 상기 마스터 시스템(11)의 섹터에 할당되며, 단지 그 할당주파수만이 각 섹터의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전자의 경우는 트래픽 채널이 이동국에 할당되는 자유도에 있어서 장점이 있으나 여러 채널을 방송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실제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량이 억제된다. 한편, 후자의 경우는 방송된 채널의 수가 작으므로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량의 효율적인 이용에 있어서 장점이 있지만, 이동국의 수가 한 부분의 섹터에 집중되면 전체 시스템내에서 트래픽 채널의 수가 충분하여도 섹터내의 트래픽 채널의 수가 불충분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들이 장점과 단점을 가지므로 상황에 따라 한 시스템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슬레이브 시스템(12)의 존에 점유된 채널의 수가 사전 지정된 값 이상이면 제 14A도에 도시한 시스템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하이면 제 14b도의 시스템이 선택될 수 있다.
(iii) 마스터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슬례이브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짐.
슬레이브 시스템(12)의 셀은 3섹터(즉, 제 1 내지 제 3존)로 분할되며, 그들 제 1 내지 제 3존에 각각 (f1 및 f2),(f3 및 f4),(f5 및 f6)이 할당된다. 제 15a도에 도시된 시스템에 따르면, 모든 주파수 f1 내지 f6은 마스터 시스템(11)에 의해 이동국(5)으로 방송된다.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이동국은 그 비지팅 존을 식별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국은 그에 방송된 트래픽 채널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측정해야 하며, 사전 지정 레벨 이상의 수신전력레벨을 가지는 트래픽 채널을 선택해야 한다.
한편, 제 15b도의 시스템에 따르면, 활용가능 주파수 f1 내지 f6이 방송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대응 존을 식별하는 정보가 방송된다. 이동국은 사용될 채널을 선택하기에 앞서 존 내의 임의의 각 채널(주파수 fl, f3, f5)의 수신전력레벨을 측정한다. 이동국은 최고 수신전력레벨을 가지는 채널에 대응하는 존을 비지팅한다. 이동국이 비지팅 존의 채널 간의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므로 채널선택간격이 단축된다.
(iv) 트래픽 채널의 통지의 상세 설명
다음으로 트래픽 채널의 통지를 위한 동작의 예를 기술한다.
(iv-1) 첫째로, 제 44도를 참조해서 이동국으로의 호출이 종료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마스터 시스템은 "T1=로 지정된 기간에서 이동국에 대한 트래픽 채널정보를 간헐적으로 방송함으로써, 상기 정보의 내용이 이동국에 기억된다.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통신요청이 발행되면 그 통신요청이 마스터 시스템으로 전달되어서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이동국에서 사전 기억된 채널들 중에서 사용할 채널이 선택되면, 슬레이브 시스템은 그 선택채널을 통지받는다. 따라서, 그후 상기 제공된 채널을 통해서 슬레이브 시스템과 이동국간의 통신이 수행된다.
(iv-2) 다음으로, 제 45도를 참조해서 이동국에서 호출이 개시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마스터 시스템은 "T1"로 지정된 기간에서 이동국에 대한 트래픽 채널정보를 간헐적으로 방송함으로써 상기 정보의 내용이 이동국에 기억된다. 상기 이동국에서 통신요청이 발행되면, 이동국은 사전 기억된 채널들 중에서 사용을 위한 채널을 선택해서 그 선택채널을 슬레이브 시스템에 통지한다. 따라서, 그후 상기 제공된 채널을 통해서 슬레이브 시스템과 이동국간의 통신이 수행된다.
(3) 인접 존의 트래픽 채널의 통지
이동국에 의해 트래픽 채널이 선택되고 이동국과 슬레이브 시스템간의 통신이 개시되면, 이동국은 필요하다면 채널의 이전을 위해 주변 존내의 트래픽 채널을 간헐적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다. 채널의 선택에는 두가지 기술이 있는데,하나는 비지팅 존에서 주변 존의 트래픽 채널 및 홈 존의 통신채널을 방송하고 그 채널을 직접적으로 선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비지팅 존에서 주변존의 레벨측정채널을 방송하고 존 선택이 완료된 후 레벨측정채널에 의해 상기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면, 전자의 실시를 위한 설명을 한다. 프로토콜이 마스터 시스템(11)과 슬레이브 시스템(12)의 존 구조마다 다르므로 그내용을 분리해서 설명한다.
(i) 마스터 시스템과 슬레이브 시스템은 동일한 존 구조를 가짐
마스터 시스템(11)과 슬레이브 시스템(12)이 옴니 구조를 가지면, 상기마스터 시스템(11)은 이동국(5)으로 주변 존에 이용되는 채널 그룹 F2 내지 F7(각각의 그룹은 복수의 주파수를 가짐)을 방송한다. 마스터 시스템(11) 및 슬레이브 시스템(12)이 섹터 구조를 가지는 경우, 유사한 동작이 수행되어서 주번 존내의 채널그룹이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결론적으로, 이동국이 현 채널의 수신전력레벨(채널그룹 F1의 한 채널)과 채널그룹 F2 내지 F7의 임의의 주파수의 수신전력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의거 채널전환(존 스위칭)을 수행한다.
(ii)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짐
첫째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슬레이브 시스템(12)의 주변 존은 단지 제 1 및 제 2존으로 한다. 제 1존의 채널그룹 F1은 주파수 f1 및 f2, 제 2존의 채널그룹 F2는 주파수 f3 및 f4로 이루어진다.
제 17a도에 있어서 모든 주파수 f1 내지 f4는 마스터 시스템(11)의 섹터로부터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특히, 모든 섹터로부터 동일 정보가 방송된다. 또한, 제 17a도에 도시한 시스템에 따르면 주변 존(제 1 또는 제 2존)과 주파수 f1 내지 f4간의 일치를 구별하는 정보가 방송된다.
한편, 제 17c도에 도시한 시스템에 따르면, 슬레이브 시스템(12)의 주변존의 주파수 f1 내지 f4가 분할되어, 마스터 시스템(11)의 섹터에 할당되며 그 섹터에서 할당된 주파수만이 이동국으로 방송된다. 또한, 제 17d도의 시스템에 따르면, 제 17C도의 내용 이외에 주변 존(제 1 또는 제 2존)과 주파수 f1 내지 f4간의 일치를 구별하는 정보가 방송된다.
제 17a도 및 제 17b도에 도시된 시스템에 따르면, 채널전환 등이 필요한 경우, 그 채널전환 후의 트래픽 채널의 자유도가 개선되지만, 여러 채널을 방송하는 데에는 많은 데이터량이 필요하므로, 실제통신을 위한 데이터량이 억제된다. 한편, 제 17c도 및 제 17d도에 따르면, 방송된 채널수가 적으므로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량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이동국의 수가 한 부분의 섹터에 집중되면 전체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의 수가 충분하여도 섹터의 트래픽 채널의 수가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4a도 및 제 14b도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환경에 따라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i) 마스터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슬레이브 시스템은 섹터 구조를 가짐.
그러면 마스터 시스템은 옴니 구조에서 6각형으로 배열된 셀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제 1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7개의 셀[이동국(5)은 센터 셀을 비지팅 함]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마스터 시스템의 센터 셀에 대응하는 셀은, 제 1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존(상기 존은 각기 채널그룹 F1 내지 F3에 해당)으로 분할된다.
이동국(5)이 마스터 시스템(11)의 센터 셀을 비지팅하는한 이동국(5)은 제 1 내지 제 3존중 하나를 비지팅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상기 존들중에서 이동국이 비지팅하는 특정 존을 마스터 시스템(11)이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는 주변 존(특히, 주변 존으로 되는 존)이 제 1 내지 15존(채널 그룹 F1 내지 F15)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국(5)은 전체 채널 그룹 F1 내지 F15를 통지받는다. 이 경우, 상기 채널그룹 F1 내지 F15에 통지하는 두가지 기술이 있는데, 하나는 이동국(5)이 상기 채널 그룹 F1 내지 F15를 단순히 통지받는 기술이고[제 19a도 참조], 다른 하나는 이동국(5)이 주변 존의 식별번호와 더불어 채널그룹 F1 내지 F15를 통지받는 기술이다[제 19b도 참조]
(4) 마스터 시스템의 레벨측정채널의 통지
(i) 주요동작
제 3실시예에 있어서 레벨측정채널이 마스터 시스템에만 제공되므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은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레벨측정채널을 통지받아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동국은 제 20도에 도시된 마스터 시스템 또는 제 21도에 도시한 슬레이브 시스템에 의해 레벨측정채널을 통지받을 수 있다.
두 경우에 있어서 이동국이 슬레이브 시스템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면, 이동국은 이미 통지된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이동국에 대한 마스터 시스템의 레벨측정채널의 통지의 제어흐름은 제 46도 및 제 47도에 도시된다. 제 46도는 레벨측정채널의 통지가 이동국에 의해 수행된 제어흐름을 도시하며, 제 47도는 상기 통지가 슬레이브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다른 순서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마스터 시스템 또는 슬레이브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이동국에 레벨측정채널을 통지하며, 상기 이동국에 정보의 내용이 기억된다. 또한, 기억된 레벨측정채널에 근거하여 통신이 발생할 때 수신필드레벨이 측정된다.
(ii)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마스터 시스템의 주변 존을 식별하는 정보가 마스터 시스템에 의해 통지됨.
제 22a도 및 제 2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시스템이 섹터구조를, 슬레이브 시스템이 옴니구조를 가지면, 이동국은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 등의 통지를 수신하도록 주변 존의 어느 한 존을 비지트한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시스템의 어느 존이 주변 존으로 되느냐와 관련하여 여러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ii-1) 마스터 시스템의 비지팅 존과 인접한 마스터 시스템의 존이 주위 존(surrounding zone)으로 됨.
이동국이 레벨측정채널 Flm을 가지는 비지팅 존인 경우, 주변 존은 레벨측정채널 F2m 내지 F11m을 가지는 존으로 된다. 특히, 이동국은 레벨측정채널 F2m 내지 F11m을 통지받는다. 이동국은 비지팅 존의 레벨측정채널 Flm의 수신필드레벨과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 F2m 내지 Fllm의 수신필드레벨을 비교해서 비교결과에 따라 존 전환을 수행한다.
레벨측정채널 F2m 내지 F11m의 이동국을 통지하기 위한 여러 실시예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3a도 및 제 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벨측정채널은 슬레이브 시스템의 관련 존을 나타내는 식별부 없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 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가지는 최소 하나의 슬레이브 존을 식별하도록 슬레이브 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이동국이 비지팅하는 슬레이브 존과 관련한 레벨측정채널(레벨측정채널 F2m, F3m)을 통지받을 수 있다.
(ii-2) 슬레이브 시스템의 비지팅 존과 인접한 마스터 시스템의 존이 주위 존으로 됨
제 26a도에 있어서 이동국이 레벨측정채널 F1m을 가지는 마스터 존을 비지팅하는 경우, 상기 이동국은 또한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제 26b도의 "슬레이브 존 1"을 비지트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존이 레벨측정채널 F4m 내지 F15m을 가지는 존이 된다. 특히, 이동국은 레벨측정채널 F4m 내지 F15m을 통지받는다. 이 경우, 이동국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측정채널 F4m 내지 F15m과 관련한 슬레이브존을 지정하지 않고서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통지받는다.
(ii-3) (ii-1)과 (ii-2)의 결합이 주위 존으로 됨
제 23a도 및 제 26a도의 주변 존의 결합이 주변 존으로 된다. 제 28a도는 상기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이동국의 비지팅 존에 있어서 레벨측정채널을 수반한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 F2m 내지 F15m을 통지받는다. 동시에,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에 수반하여 이동국은 제 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측정채널중 한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슬레이브 존을 통지받는다. 또한, 제 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레벨측정채널 Flm 내지 F3m을 통지받는다. 상기 채널은 이동국이 비지팅하는 슬레이브 존에 대응하여서 이동국이 상기 레벨측정채널 Flm 내지 F3m이 상기 비지팅 슬레이브 존에 대응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iii)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 구조를 슬레이브 존은 옴니구조를 가지며 마스터 시스템의 주변 존을 식별하는 정보가 슬레이브 시스템에 의해 통지됨.
(iii-1) 슬레이브 시스템의 비지팅 존과 인접하는 마스터 시스템의 존이 주위 존으로 된다.
이동국이 "슬레이브 존 1"을 비지팅하는 경우, 제 31a도 및 제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시스템의 주변 존이 레벨측정채널 F4n1 내지 F15m을 가지는 존으로 되며, 특히 이동국은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통지받는다. 이동국은 비지팅 존의 레벨측정채널중 임의 채널(즉, 레벨측정채널 Flm 내지 F3m)과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 F2m 내지 Fllm의 임의 채널을 비교해서 그 비교결과에 따른 존 전환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 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상기 레벨측정채널 F4m 내지 F15m과 관련한 슬레이브존을 지정함이 없이 레벨측정채널을 통지받을 수 있다.
(iii-2) 비지팅 슬레이브 존에 대응하는 마스터 시스템의 존 및 상기 비지팅 슬레이브 존에 인접하는 마스터 시스템의 존이 주위 존으로 됨.
슬레이브 시스템의 비지팅 존과 인접하는 마스터 시스템의 존이 주변 존에 합해질 수 있다. 제 33도는 이 경우를 도시한다. 도면의 예에 따르면, 주변 존은 레벨측정채널 Flm 내지 F15m을 가지는 존으로 될 수 있다.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존이 제 34도에 도시한 레벨측정채널과 함께 통지된다. 또한, 제 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상기 레벨측정채널 Flm 내지 F3m을 통지받으며, 상기 채널은 이동국이 비지팅하는 슬레이브 존에 대응한다.
(5) 전원 턴온시 이동국의 동작
다음으로, 상기 동작을 설명한다. 첫째로,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하는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의 레벨측정채널의 후보들을 기억한다. 이동국의 전원이 턴온되면, 이동국은 그에 기억된 채널 후보들을 검색하고 최고 수신필드레벨을 가지는 레벨측정채널을 지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지정된 레벨측정채널에 대응하는 슬레이브 존에 위치등록요청을 발행하고, 그 요청이 확인된 경우 슬레이브 존을 비지트한다. 또한, 상술한 동작은 마스터 시스템과 무관하게 옴니 구조(제 36도 참조)나 섹터 구조(제 37도 참조)에 적용 가능하다.
(6) 존 전달동작의 정확한 예
상술한 여러가지 프로토콜을 전제로 해서 존 전달동작의 정확한 예를 설명한다.
첫째로, 통신요청의 서빙 통지방법, 홈 존의 트래픽 채널의 서빙 통지방법, 주변 존의 트래픽 채널의 서빙 통지방법 및 마스터 시스템의 레벨측정채널의 서빙 통지방법이 여러가지로 각각 실현된다. 이동국의 존 전달이 상기 방법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므로 다음의 여러가지 예를 고려할 수 있다.
(i) 제 38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거 주변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존 전달 목적지의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을 수신한다.
(ii) 제 39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주변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존 전달 목적지의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을 수신한다.
(iii) 제 40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거 주변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정보에 의거 트래픽 채널을 선택한다.
(iv) 제 41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거 주변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정보에 의거 트래픽 채널을 선택한다.
(v) 제 42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거 주변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정보에 의거 트래픽 채널을 선택한다.
(vi) 제 43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거 주변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한다. 그러면, 이동국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정보에 의거 트래픽 채널을 선택한다.
(7) 채널선택방법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에 이용되는 트래픽 채널은 이동국 자체에 의거 결정될 수 있으므로 고정국의 프로세싱 부하가 적게 되며, 동시에 이동국에 의해 지정된 트래픽 채널을 면화시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히 이동국의 수(즉, 이동국의 가입자 수 또는 일련번호)에 의거 상이한 트래픽 채널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 이동국의 수가 "I", 선택가능 트래픽 채널의 수가 "N'', 채널 리스트중에서 이동국에 의해 선택된 트래픽 채널이 "M"으로 표시되는 경우(여기서, M은 1,2,....N), 다음 식으로 채널 수 M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 = I mod N
예를 들면, 일련번호 "123456''이 이동국의 수로 이용되는 경우, 선택가능 트래픽 채널의 수 "N"은 "5"이며, 채널수 M은 "1"이 되고, 상기 번호 "123456"의 나머지는 "5"가 된다. 따라서, 주파수 f1 내지 f5가 채널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열거되는 경우 주파수 f1이 트래픽 채널로 선택된다.

Claims (51)

  1. 하나의 제어채널을 가지고 사전 지정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마스터시스템;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채널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하는 이동국; 및
    상기 이동국과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간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레벨측정채널이며,
    상기 제어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해서 비지트되는 존을 판단하는 이동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발행된 통신요청을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전달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과의 통신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통한 통신요청을 대기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가능한 제 1이동국인가 또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불가능한 제 2이동국인가를 판단하는 수단 ;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 1이동국에 통신요청을 통지하는 수단 및 ;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2이동국에 통신요청을 통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이동국이 상기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신요청을 대기하며, 상기 제 2이동국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신요청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한 존의 트래픽 채널을 통지하며, 상기 존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존과 동일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통지된 트래픽 채널에 의거하여 사용될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한 존의 트래픽 채널을 통지하며, 상기 존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다른 존과 인접하고, 상기 다른 존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존과 동일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통지된 트래픽 채널에 의거하여 사용될 존 및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복수의 존을 각각 비지팅하고 있는 이동국에 공통정보를 통지하며, 상기 복수의 존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복수의 존을 각각 비지팅하고 있는 이동국에 상이한 정보를 통지하며, 상기 복수의 존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섹터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동국은 사용될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기 이전에 사용가능한 트래픽 채널의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상기 존들에 있는 각 이동국에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채널을 각각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 내의 존을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트래픽 채널과 함께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존들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들중에서 상기 존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선택된 존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는 수단; 및
    상기 측정된 결과에 의거하여 비지트될 존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섹터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을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때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주변 존의 레벨측정채널을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때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고,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상기 존의 레벨측정채널을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존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마스터 시스템의 다른 존과 인접하는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존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레벨측정채널이 상기 존에 포함된 사실을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상기 레벨측정채널과 함께 통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존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레벨측정채널이 상기 존에 포함된 사실을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상기 레벨측정채널과 함께 통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고,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
    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상기 존의 레벨 측정채널을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존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다른 존과 인접하는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통지받는 레벨측정채널과 함께,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존에 제공되는 다른 레벨측정채널을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 및
    상기 레벨측정채널 중 적어도 한 채널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대응 존을 식별하는 정보를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통지받는 존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제공되며 상기 이동국에 의해 비지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고,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상기 존의 레벨측정채널을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존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다른 존과 인접하는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통지받는 레벨측정채널과 함께,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측정채널을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슬레이브 시스템의 존에 제공되는 다른 레벨 수단; 및
    상기 레벨측정채널 중 적어도 한 채널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대응 존을 식별하는 정보를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통지받는 존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제공되며 상기 이동국에 의해 비지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 및
    상기 이동국 전원의 턴온시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섹터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옴니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레벨측정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존과 동일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존의 트래픽 채널들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며, 상기 이동국에 주번 존들의 레벨측정채널들을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은 그에 제공되는 트래픽 채널들 중에서 사용될 한 채널을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함으로써 비지트될 존을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레벨측정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이 비지팅하고 있는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존과 동일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존의 트래픽 채널들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주변 존들의 레벨측정채널들을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이동국에 제공되는 트래픽 채널들 중에서 사용될 한 채널을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레벨측정채널들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함으로써 비지트될 존을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주변 존들의 트래픽 채널들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5. 사전 지정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채널을 구비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채널을 이용하는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통신요청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6. 사전 지정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채널을 구비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채널을 이용하는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사용가능한 트래픽 채널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수신하는 트래픽 채널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7. 사전 지정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하나의 레벨측정채널을 구비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제어채널을 이용하는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 또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을 통해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정보수신수단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때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 존 스위칭을 수행하는 존 스위칭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9. 사전 지정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는 하나의 레벨측정채널을 구비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한 서비스구역을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제어채널을 이용하는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 및;
    상기 이동국의 전원이 턴온될 때 상기 레벨측정채널의 수신필드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0.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내지 제3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 중 어느 하나는 음성통신시스템이며, 다른 하나는 데이터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1. 제 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 중 어느 하나는 음성통신시스템이며, 다른 하나는 데이터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2. 동일 서비스구역을 제어하고 이동국과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중 하나를 마스터 시스템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제외한 임의의 시스템으로부터 통신요청이 발행될 때 상기 이동국에 대한 통신요청을 상기 마스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제외한 임의의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통신요청을 마스터 시스템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서 상기통신요청의 정보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요청을 발행한 시스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정보변환이 수행된 통신요청을 상기 마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이동국이 임의의 시스템과 통신하지 않는 경우 이미 제공된 복수의 통신수단 중에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변환된 통신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요청이 발행된 시스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통신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식별된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3.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수단;
    상기 통신수단 중 임의의 수단을 선택하는 스위칭수단; 및
    통신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해 복수의 통신수단 중에 특정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선책하며, 상기 선택된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통신요청에 의거하여 통신요청이 발행되는 시스템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시스템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선택하는 이동국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4. 특정 서비스구역을 비지팅하고 있는 이동국으로 레벨측정채널을 통해 제1정보를 전송하는 마스터 시스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제 2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시스템; 및
    상기 제 1정보중에서 상기 트래픽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통지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음성통신 고정국이고,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데이터통신 고정국이며,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서비스구역은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서비스구역과 동일하며, 상기 제 1정보는 상기 트래픽 채널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통지장치.
  46. 제 44항 또는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 제 2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요청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통신요청수신수단;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가능한 가를 판단하는 이동국타입 판단수단;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가능한 경우 통신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마스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국을 호출하는 제 1호출수단;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통신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국을 호출하는 제 2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통지장치.
  47. 이동국이 제 1존을 비지팅할 때 상기 제 1트래픽 채널을 통해 제 1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일정레벨을 가지는 레벨측정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 1존과 인접하는 제 2존을 비지팅할 때 상기 제 1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인접 시스템을 구비한 이동통신용 고정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 1존을 비지팅할 때 제 2트래픽 채널을 통해 제 2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국으로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방송하는 슬레이브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국.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제 2트래픽 채널을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공급하는 채널정보공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으로 상기 제 2트래픽정보를 방송하는 채널정보방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국.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으로 상기 제 2존의 트래픽 채널을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국.
  50. 제 1트래픽 채널을 통해 마스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 1통신장치;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사전 지정된 레벨측정채널의 전계전력레벨을 측정하는 전계전력레벨측정장치;
    상기 제 2트래픽 채널을 통해 슬레이브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 2통신장치; 및
    제 2트래픽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레벨측정채널을 획득하는 레벨측정정보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측정채널은 상기 제2트래픽 채널에 대한 후보들을 방송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레벨측정채널에 대한 복수의 후보를 기억하는 채널후보메모리수단;
    상기 이동국 전원의 턴온시 상기 채널후보메모리수단에 기억된 후보를 판독하며, 상기 판독된 채널후보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며, 최고 수신필드레벨을 가지는 후보를 상기 레벨측정채널로 결정하는 레벨측정채널결정수단; 및
    상기 제 2트래픽 채널에 대한 후보들 중에서 한 후보를 선택해서 그 선택된 후보를 제 2트래픽 채널로 설정하는 트래픽 채널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19960700859A 1994-10-11 1995-10-09 이동통신 시스템, 통신방법 및 이동국 KR100229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45519 1994-10-11
JP24551994 1994-10-11
JP32016794 1994-12-22
JP94-320167 1994-12-22
JP32016694 1994-12-22
JP94-320166 1994-12-22
PCT/JP1995/002066 WO1996011552A1 (fr) 1994-10-11 1995-10-09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procede de communication et post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408A KR960704408A (ko) 1996-08-31
KR100229491B1 true KR100229491B1 (ko) 1999-11-01

Family

ID=2733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859A KR100229491B1 (ko) 1994-10-11 1995-10-09 이동통신 시스템, 통신방법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84165A (ko)
EP (2) EP0734191B1 (ko)
JP (1) JP3101666B2 (ko)
KR (1) KR100229491B1 (ko)
CN (1) CN1209935C (ko)
DE (2) DE69536026D1 (ko)
WO (1) WO1996011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201A (en) * 1994-07-01 1998-12-01 Noller Communications, Inc. Subscriber RF telephone system having distributed channel switching capability
JPH09261153A (ja) * 1996-03-27 1997-10-03 Aiwa Co Ltd 携帯用端末装置
DE19651334A1 (de) * 1996-12-10 1998-06-25 Ericsson Telefon Ab L M Betriebstest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führung eines Betriebstests für ein zu testendes System
DE19651244C2 (de) * 1996-12-10 1998-11-19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Testen einer Kommunikationsvorrichtung
DE19651275C2 (de) * 1996-12-10 1999-02-11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Testen einer Kommunikationsvorrichtung
KR100446515B1 (ko) 1997-09-13 200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접속 방법
US6111867A (en) * 1997-12-12 2000-08-29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shedding in a TDMA packet data system
KR100272109B1 (ko) 1998-08-21 2000-11-15 윤종용 효율적 무선 자원 할당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640908B1 (ko) * 1998-10-01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랜스포트 포맷 설정 방법 및 송신 장치
JP2001008249A (ja) * 1999-06-24 2001-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ケット通信対応移動機、ゾーン移行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515985B2 (en) 2000-02-08 2003-02-04 Airslide Systems Ltd. Convergence of telephone signaling, voice and data over a packet-switched network
US20030012173A1 (en) * 2000-11-08 2003-01-16 Johan Rune Coordinated inquiry and page procedures in an ad-hoc wireless network
WO2002082732A1 (fr) * 2001-03-30 2002-10-17 Yozan Inc. Systeme de reseau local radio, procede de commande de reseau local radio et programme de commande
JP2004064341A (ja) * 2002-07-26 2004-02-26 Uniden Corp 無線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FR2856876B1 (fr) * 2003-06-24 2005-09-30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controle d'acces a des ressources d'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 et de station de base pour la mise en oeuvre de procede
JP4937031B2 (ja) * 2007-07-24 2012-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
CN104427585B (zh) * 2013-08-29 2018-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081B2 (ko) * 1973-04-18 1977-05-19
US4775999A (en) * 1986-10-31 1988-10-04 Motorola, Inc. Registration of radiotelephones in networked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s
US4723266A (en) * 1987-01-21 1988-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sharing control channels between cells to reduce number of control channels
US4887265A (en) * 1988-03-18 1989-12-12 Motorola, Inc. Packet-switched cellular telephone system
IL93444A (en) * 1989-04-27 1994-05-30 Motorola Inc Method and unit for communication with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fferent operating modes
US5093926A (en) * 1989-09-29 1992-03-03 Motorola, Inc.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US5123110A (en) * 1989-12-21 1992-06-16 Motorola, Inc. Channel assignment method for multi-site trunked radio system
US5179721A (en) * 1990-11-05 1993-01-12 Motorola Inc. Method for inter operation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unking communication system
US5353332A (en) * 1992-09-16 1994-10-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ontrol in a radiotelephone system
US5499386A (en) * 1993-07-09 1996-03-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Best server selection in layered cellular radio system
US5586338A (en) * 1994-12-22 1996-12-17 Bell Atlantic Mobile Systems, Inc. System identification (SID) list for selecting operating frequencies
US5613204A (en) * 1994-12-22 1997-03-18 Bell Atlantic Mobile Systems, Inc. Beacon system for roaming cellular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212A (zh) 1996-10-23
EP0734191A4 (en) 1999-04-07
CN1209935C (zh) 2005-07-06
EP0734191B1 (en) 2009-12-09
JP3101666B2 (ja) 2000-10-23
US5884165A (en) 1999-03-16
WO1996011552A1 (fr) 1996-04-18
DE69535983D1 (de) 2009-08-27
KR960704408A (ko) 1996-08-31
EP1605712A1 (en) 2005-12-14
DE69536026D1 (de) 2010-01-21
EP0734191A1 (en) 1996-09-25
EP1605712B1 (en)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491B1 (ko) 이동통신 시스템, 통신방법 및 이동국
US6967944B2 (en) Increasing link capacity via concurrent transmissions in centralized wireless LANs
US4926421A (en)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KR100209771B1 (ko) 퍼치 채널과 수신된 sir를 활용하는 cdma 셀방식 시스템의 기지국 선택 방식
RU2149518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5553074A (en) Transmission format in packet based communications
US5229995A (en) Radio link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0633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akeup channel for mode transition in sleeping stat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6504307A (ja) 自己組織化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分散同期方法
JP3313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固定ユニットおよび移動ユニット
JP3034281B2 (ja) 無線通信方式
EP1039696B1 (en) Radio transmission in a local area network
RU2216100C2 (ru) Способ планирования показания переменных блоков с помощью флага состояния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передач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JP4288008B2 (ja) Gprs移動機ページング方法
RU2152694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ямым вызовом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абонентскими терминалами в мобиль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EP1062749B1 (en) Modular base station with variable communication capacity
US6993001B1 (en) Modular base station with variable communication capacity
JPH05206941A (ja) 回線制御方式
JP3267944B2 (ja) 無線チャネル割り当てシステム
EP1063855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symmetric data in a radiocommunications system
JP3071338B2 (ja) スーパーフレーム送出タイミング指定装置
JPH05191336A (ja) チャネル制御方式
JPH10507882A (ja) デジタルセルラ移動通信網のための基地局システム
KR100785569B1 (ko) 무선 고정 장치의 셀 영역 확장 방법 및 시스템
JP3361754B2 (ja) Tdma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