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281B1 -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 Google Patents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281B1
KR100229281B1 KR1019960052673A KR19960052673A KR100229281B1 KR 100229281 B1 KR100229281 B1 KR 100229281B1 KR 1019960052673 A KR1019960052673 A KR 1019960052673A KR 19960052673 A KR19960052673 A KR 19960052673A KR 100229281 B1 KR100229281 B1 KR 10022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peptide
amino acid
synthetic peptide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575A (ko
Inventor
함경수
이명규
신송엽
김길룡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6005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2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친화성 부위,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로 구성되고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들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 합성 펩타이드들은 세포 독성이 낮아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유용한 항암제로 인체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도 1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 (CA-MA) 및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 (CA-ME)의 헬리스 휠 다이아그램 및 그들의 아미노산 서열 상의 치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들이 소세포 폐암 세포주(SCLC)에 항암 효과가 있음을 이에 대한 50% 성장 억제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들이 갖는 세포 독성을 적혈구 파괴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목적]
본 발명은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양친화성 부위,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로 구성되고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들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 합성 펩타이드들은 세포 독성이 낮아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유용한 항암제로 인체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양친화성 펩타이드 (amphiphilic peptide)는 세포막의 지질 성분과 유사한 구조를 지니므로 세포막의 지질들과 결합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구체적으로 양친화성 펩타이드는 미생물의 세포막에 구멍을 내어 이를 파괴되거나 세포막의 전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통해 미생물을 파괴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양친화성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를 이용한 세균에 대한 항생제들을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시도되었다.지금까지 보고된 대표적인 양친화성 펩타이드로는 마가이닌 2 (magainin 2, MA 2) 펩타이드, 멜리틴 (mellitin, ME) 펩타이드 및 세크로핀 A (cecropin A) 펩타이드 등이 있다.
우선 마가이닌 2 (아미노산 서열 : G I G K F L H S A K K F G K A F V G E I M N S) 펩타이드는 세포 독성은 없으면서 항균 활성과 함께 항진균, 항암 및 항원생생물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Zosloff, M., Proc. Natl. Acad. Sci. USA, 84: 5449, 1987). 멜리틴 (아미노산 서열 : G I G A V L K V L T T G L P A L I S W I K R K Q Q) 펩타이드는 벌독의 성분 중 고형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펩타이드로서, 세포 독성이 높아 고등 동물세포를 낮은 농도에서도 잘 파괴하고, 미생물인 그람 음성균 및 양성균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 (Habermann, E., Science, 177: 314, 1972; Steiner, H. et al., Nature, 292: 246, 1981).
또한, 세크로핀 계열의 양친화성 펩타이드는 초파리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후 누에 번데기 및 돼지의 작은 창자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중 세크로핀 A (cecropin A, CA)는 항균 활성이 높고 항진균 및 항암 활성은 미미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Boman, H. G. and Hultmark, D., Annu. Rev. Microbiol., 41: 103, 1987).
또한, 상기한 양친화성 펩타이드들의 활성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이들이 갖는 아미노산 서열 및 단백질 구조 등의 특성을 살펴보면, 그 서열상의 특성 등이 본 펩타이드가 나타내는 항균, 항진균 및 항암 활성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친화성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이용하여 그 서열의 특정 부위에서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키거나, 일부 서열들을 재조합하여 융합 펩타이드 (hybrid peptide)를 제조하거나, 펩타이드 서열의 일부 기능 부위를 서로 도치시킴으로써 (translocate)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암 활성이 더욱 탁월한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Chan, H. C., et al., FEBS Lett., 259: 103, 1989; Boman, H. G., et al., FEBS Lett., 259: 103, 1989; Wade, D., et al., Int. J. Pept. Prot. Res., 40: 429, 1992).
실제적으로 상기의 양친화성 펩타이드를 응용하여 항암 효과가 있는 합성 펩타이드 mag A 및 mag G 등이 제조되고 그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Ohsaki, et al., Cancer Res., 52: 3534-3538, 1992). 그외에도 마가이닌 2 및 멜리틴 펩타이드들의 양친화성 부위 및 유연성 부위와 소수성 부위 등을 상호 결합시킨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합성 펩타이들이 개발되었고, 이들은 특히 아스퍼질러스 속 균주에 특이적으로 작용함이 알려져 항진균성 합성 펩타이드로서 특허 출원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6-27996호).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양친화성의 합성 펩타이드는 그의 인체 내에서의 안정성 및 체내에서의 운반 시스템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실제로 인체에 사용되지는 못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발명자들은 항암 효과가 탁월하면서 독성이 적어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세크로핀 A, 마가이닌 2 또는 멜리틴 펩타이드 등의 각 부위를 재조합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융합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하여 본 융합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일부가 치환된 다양한 합성 펩타이드를 제조하고 이들의 항암 효과 및 세포 독성 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발명은 아미노 말단에 양친화성 부위, 카복시 말단에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를 포함하는 세포 독성이 낮으면서 항암 효과가 우수한 합성 펩타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세크로핀 A 및 마가이닌 2 펩타이드의 각 부위를 재조합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 (CA-MA)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세크로핀 A 및 멜리틴 펩타이드의 각 부위를 재조합하여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CA-ME)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일부를 치환시킨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들 (P1, P2, P3 및 P4)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 펩타이드들의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기 또는 카복시 말단의 카복시기를 다른 기능기로 치환시킨 합성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들 합성 펩타이드들의 카복시 말단을 아미노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합성 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항암제로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구성및작용]
본 발명은 양친화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우수한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양친화성(amphiphilic) 부위, 유연성 (flexible) 부위 및 소수성 (hydrophobic) 부위로 구성되는 합성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한다.
우선, 본 발명은 기존에 양친화성 펩타이드로 알려진 세크로핀 A (cecropin A, CA), 마가이닌 2 (magainin 2, MA) 및 멜리틴 (mellitin) 등의 아미노산 서열을 이용하여 항암 효과가 있는 합성 펩타이드를 설계한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은 세크로핀 A 펩타이드의 양친화성 부위인 아미노산 서열 1-8 을 아미노 말단에 위치시키고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가 연속된 부위인 마가이닌 2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 1-12 은 카복시 말단에 위치시킨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타이드 (CA-MA)를 설계하여 제조한다(서열표 1 참조). 또한 상기와 아미노 말단은 동일하고 카복시 말단은 멜리틴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 1-12 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타이드 (CA-ME)를 설계하여 제조한다 (서열표 2 참조).
또한, 상기에서 각 부위를 융합하여 제조한 합성 펩타이드들을 이용하고 그들의 헬릭스-휠 다이아그램(helical-wheel diagram)의 2차 구조를 기초로 하여 양친화성을 증진시키는 α-헬릭스 경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미노산을 치환시킨다 (도 1 참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의 아미노산 번호 16번 위치의 세린을 루이신으로 치환시킨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1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한다 (서열표 3 참조).
또한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의 아미노산 번호 12번 위치의 리신을 알라닌으로 16번 위치의 세린을 루이신으로 동시에 치환시킨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2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한다 (서열표 4 참조).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아미노산 번호 15번 위치의 히스티딘을 리신으로 16번 위치의 세린을 루이신으로 동시에 치환시킨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3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한다 (서열표 5 참조).
또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CA-ME)를 이용하여 그의 아미노산 번호 18번 및 19번 위치의 트레오닌을 리신으로 동시에 치환시킨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4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한다 (서열표 6 참조).
이 때, 이들 합성 펩타이드의 카복시 말단은 아미노화(amidation)시킨다.또한, 상기 합성 펩타이드에 일부 아미노산 서열을 첨가하거나, 특정 부위의 아미노산을 이와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합성 펩타이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 말단 또는 카복시 말단을 다른 기능기로 치환한 펩타이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들을 합성하기 위하여, Fmoc 아미노기 보호 용기를 이용한 메리필드 (Merrifield)의 고상법 등을 이용한다 (Merrifield, R. B., J. Am. Chem. Soc. 85: 2149, 1963). 상기에서 합성한 펩타이드는 역상 C18칼럼을 이용한 HPLC 칼럼으로 분리·정제하고, 그의 분자량을 MALDI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질량 분석법 등으로 확인한다 (Hill, et al., Rapid Commun. Mass Spectrometry, 5: 395, 1991).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합성 펩타이드의 항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50% 성장 억제 농도(IC50)를 측정한다. 먼저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rcinoma, SCLC) 세포주인 NCI H-69, NCI H-128 및 NCI H-146 세포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합성 펩타이드가 상기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인 50% 성장 억제 농도를 측정한다 (도 2 참조).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가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혈구 파괴능을 조사한다. 먼저 사람 적혈구 농축액에 합성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414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합성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을 측정한다. 이 때 인산 완충용액을 처리하여 음성 대조군(0% 적혈구 파괴 측정군)으로 트라이톤 X-100을 처리하여 양성 대조군(100% 적혈구 파괴 측정군)으로 한다.
이때 적혈구 파괴능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된 % 헤모리시스(hemolysis)로 나타낸다 (도 3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에서 양친화성이 증진되도록 아미노산을 치환시킨 서열번호 3(P1), 서열번호 4(P2) 및 서열번호 5(P3)의 합성 펩타이드는 항암 효과가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 보다 약 4 - 12배 정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CA-ME)에서 아미노산을 치환시킨 서열번호 6(P4)의 합성 펩타이드는 약 3 - 10배 정도 항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는 상기와 같이 항암 효과가 높으면서도 기존의 멜리틴 펩타이드보다 세포 독성이 낮으므로, 특히 서열번호 3(P1), 서열번호 5(P3), 서열번호 6(P4) 및 서열번호 1(CA-MA)의 합성 펩타이드는 항암제로서 인체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양친화성 펩타이드의 제조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는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반응기에서 Fmoc 아미노기 보호 용기를 이용한 메리필드 (Merrifield)의 고상법으로 합성하였다 (Merrifield, R. B., J. Am. Chem. Soc. 85: 2149, 1963).
본 발명은 세크로핀 A 펩타이드의 양친화성 부위인 아미노산 서열 1-8을 아미노 말단에 위치시키고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마가이닌 2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 1-12 및 멜리틴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 1-12 를 각각 카복시 말단에 위치시킨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CA-MA)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CA-ME)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서열표 1 및 서열표 2 참조).
또한, 상기 합성 펩타이드들을 이용하고 그들의 헬릭스-휠 다이아그램(helical-wheel diagram)의 2차 구조를 기초로 하여 양친화성을 증진시키는 α-헬릭스 경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미노산을 치환시켰다 (도 1 참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의 아미노산 번호 16번 위치의 세린을 루이신으로 치환시킨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1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서열표 3 참조). 또한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의 아미노산 번호 12번 위치의 리신을 알라닌으로 16번 위치의 세린을 루이신으로 동시에 치환시킨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2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서열표 4 참조).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아미노산 번호 15번 위치의 히스티딘을 리신으로 16번 위치의 세린을 루이신으로 동시에 치환시킨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3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서열표 5 참조).
또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CA-ME)를 이용하여 그의 아미노산 번호 18번 및 19번 위치의 트레오닌을 리신으로 동시에 치환시킨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P4 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서열표 6 참조).
이 때 이들 합성 펩타이드의 카복시 말단은 아미노화(amidation) 시키고, 그들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목록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양친화성 펩타이드의 분리 및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는 다음과 같이 분리·정제하였다. 상기 합성 펩타이드들을 역상 C18컬럼을 이용한 HPLC 로 분리하고 분석용 HPLC 로 그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상기 과정을 통해 합성된 펩타이드는 95% 이상의 순도를 나타냈다. 또한 그들의 분자량을 MALDI 질량 분석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측정치와 계산치가 일치하여, 원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합성 펩타이드들이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합성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 조사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50% 성장 억제 농도(IC50)를 측정하였다. 먼저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rcinoma, SCLC) 세포주인 NCI H-69, NCI H-128 및 NCI H-146 세포 등을 10%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1-2×104개의 세포를 접종하여 1일 동안 배양하고 상기의 합성 펩타이드를 50μM 농도로부터 1/2 씩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최종 부피 170μl). 이 플레이트들을 3일간 배양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를 측정하는 MTT 용액 (인산염 완충용액에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티아졸리움 브로마이드가 5mg/ml 녹아있는 용액) 20μl를 처리하고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다음 용해용액 (20% SDS, 0.02M 염산)을 웰당 40μl씩 가하고 37℃에서 하루 방치한 다음 57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0% 성장 억제 농도는 멜리틴이 3 종류의 SCLC 세포에 대하여 0.42 - 0.66μM 로 매우 높았고, 융합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 는 15.80 - 16.14μM 로 나타났으며,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CA-ME)는 28.63 - 32.27μM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유도체인 서열번호 3(P1), 서열번호 4(P2) 및 서열번호 5(P3)의 합성 펩타이드는 1.3 - 4.2μM 농도 (소세포 폐암 NCI-H146 세포주에 대한 서열번호 5의 합성 펩타이드(P3)의 활성은 제외)에서 세포의 50% 성장 억제가 나타나 항암 활성이 매우 높았으며, 서열번호 6(P4)의 합성 펩타이드는 3.37 - 9.49μM 농도에서 50% 성장 억제가 나타나 (표 1 및 도 2 참조)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CA-ME)보다 항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합성 펩타이드(P1, P2, P3, P4 및 CA-MA)들은 세포 독성이 높은 멜리틴에 비하여 1/3 이하의 낮은 항암 활성을 나타내나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CA-ME)에 비해서는 항암 활성이 2 - 20 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기존에 항암 활성이 높다고 보고된 mag A 및 mag G 펩타이드와 비교하여 SCLC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이 2 - 3배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4>합성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
본 발명의 합성 펩타이드가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혈구 파괴능을 조사하였다.
먼저 사람 적혈구 농축액을 인산염-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BS, 35mM 인산나트륨, 150mM 염화나트륨, pH7.0)으로 세 번 씻어준 다음, 같은 완충용액으로 적혈구를 4% (v/v)로 희석하였다. 이 적혈구 용액 0.5ml에 400μg/ml 및 100μg/ml 농도로 인산 완충용액에 합성 펩타이드가 녹아있는 용액을 동량으로 가하여 최종 펩타이드 농도가 200μg/ml 및 50μg/ml 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이 반응용액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1000 × 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414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합성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을 측정하였다. 이 때 음성 대조군(0% 적혈구 파괴 측정군) 및 양성 대조군(100% 적혈구 파괴 측정군)으로는 합성 펩타이드 용액 대신 인산완충용액 및 2% 트라이톤 X-100 용액을 처리한 군을 사용하였다. 다음 % 헤모리시스(hemolysis)를 계산하였다 (도 3 참조).
세포 독성을 측정하는 기준인 적혈구 파괴능은 50μg/ml 농도에서는 서열번호 3(P1), 서열번호 5(P3) 및 서열번호 6(P4) 합성 펩타이드 각각에서 1%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200μg/ml 농도에서도 5%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는 50μg/ml에서 0.2% 이고, 200μg/ml 농도에서 1.1% 의 적혈구 파괴능을 나타내어 세포 독성이 거의 없슴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세포 독성이 크다고 알려진 멜리틴은 50μg/ml 농도에서 100% 의 적혈구 파괴능을 나타내고.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CA-ME)는 50μg/ml 에서 5.4%, 200μg/ml 에서 34.5% 그리고 서열번호 4(P2) 합성 펩타이드는 50μg/ml 농도에서 11.6%, 200μg/ml 농도에서 53.8%의 적혈구 파괴능을 나타내어 세포 독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각 합성 펩타이드의 50% 성장 억제 농도 및 적혈구 파괴능
펩타이드 50% 성장 억제 농도(μM) % 헤모리시스
NCI-H69 NCI-H128 NCI-H146 50μg/ml 200μg/ml
멜리틴 0.42 0.66 0.66 100 100
서열번호 1 15.80 16.14 15.80 0.2 1.1
서열번호 2 32.17 28.63 28.63 5.4 34.5
서열번호 3 1.85 1.32 2.80 0.7 3.5
서열번호 4 2.91 2.91 3.19 11.6 53.8
서열번호 5 1.65 1.98 4.13 0.9 4.3
서열번호 6 3.37 3.50 9.49 0.4 2.5
[발명의효과]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합성 펩타이드(CA-MA) 및 이에 양친화성이 증진되도록 아미노산을 치환시킨 서열번호 3(P1) 및 서열번호 5(P3)의 합성 펩타이드그리고 본 발명의 서열번호 2의 합성 펩타이드(CA-ME)에서 아미노산을 치환시킨 서열번호 6(P4)의 합성 펩타이드는 항암 효과가 우수하면서 세포 독성이 낮으므로 인체에 사용되는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서 열 목 록〕
서열번호 : 1
서열의 길이 : 20
서열의 형 : 아미노산
쇄의 수 : 1본쇄
형태 : 직쇄상
서열의 종류 : 펩타이드
[서열표 1]
〔서 열 목 록〕
서열번호 : 2
서열의 길이 : 20
서열의 형 : 아미노산
쇄의 수 : 1본쇄
형태 : 직쇄상
서열의 종류 : 펩타이드
[서열표 2]
〔서 열 목 록〕
서열번호 : 3
서열의 길이 : 20
서열의 형 : 아미노산
쇄의 수 : 1본쇄
형태 : 직쇄상
서열의 종류 : 펩타이드
[서열표 3]
〔서 열 목 록〕
서열번호 : 4
서열의 길이 : 20
서열의 형 : 아미노산
쇄의 수 : 1본쇄
형태 : 직쇄상
서열의 종류 : 펩타이드
[서열표 4]
〔서 열 목 록〕
서열번호 : 5
서열의 길이 : 20
서열의 형 : 아미노산
쇄의 수 : 1본쇄
형태 : 직쇄상
서열의 종류 : 펩타이드
[서열표 5]
〔서 열 목 록〕
서열번호 : 6
서열의 길이 : 20
서열의 형 : 아미노산
쇄의 수 : 1본쇄
형태 : 직쇄상
서열의 종류 : 펩타이드
[서열표 6]

Claims (7)

  1. 아미노 말단에 양친화성 부위, 카복시 말단에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를 포함하고 세포 독성이 낮으면서 항암효과가 있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타이드.
  2. 아미노 말단에 양친화성 부위, 카복시 말단에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를 포함하고 세포 독성이 낮으면서 항암효과가 있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타이드.
  3. 아미노 말단에 양친화성 부위, 카복시 말단에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를 포함하고 세포 독성이 낮으면서 항암효과가 있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타이드.
  4. 아미노 말단에 양친화성 부위, 카복시 말단에 유연성 부위 및 소수성 부위를 포함하고 세포 독성이 낮으면서 항암효과가 있는,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타이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기 또는 카복시 말단의 카복시기가 다른 기능기로 치환된 합성 펩타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카복시 말단을 아미노화시킨 합성 펩타이드.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합성 펩타이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암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
KR1019960052673A 1996-11-07 1996-11-07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KR10022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673A KR100229281B1 (ko) 1996-11-07 1996-11-07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673A KR100229281B1 (ko) 1996-11-07 1996-11-07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575A KR19980034575A (ko) 1998-08-05
KR100229281B1 true KR100229281B1 (ko) 1999-11-01

Family

ID=1948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673A KR100229281B1 (ko) 1996-11-07 1996-11-07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27B1 (ko) * 2001-02-22 2004-07-30 (주)펩티팜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
KR101595440B1 (ko) * 2014-01-17 2016-02-18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Cm-ma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 cma3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575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3211B2 (en) Bioactive peptides
JP3147904B2 (ja) 広域スペクトル抗菌化合物と使用方法
US7001983B1 (en) Antipathogenic synthetic peptid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EP1614691B1 (en) Antibacterial peptide
DE102007036128A1 (de) Antibiotische Peptide
AU730069B2 (en) Antipathogenic peptid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US9856298B2 (en) Modified antibiotic peptides having variable systemic release
US5585353A (en) Antibiotic peptides containing D-amino acids
US5217956A (en) Composition and treatment with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and certain anions
KR100438416B1 (ko) Ca-ma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치환하여 + 전극과 소수성 영역이 증가된 신규한펩타이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229281B1 (ko)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KR100935031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유래의 유사체펩타이드로부터 풀림구조를 절단한 양이온 증가 항생펩타이드 및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KR100459808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 유래의새로운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US20080019993A1 (en) Inhibition of tumour growth
KR100811745B1 (ko)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Pep 1으로부터 설계된 신규한항균 펩타이드 Pep 1 K 및 그의 용도
Son et al. Effects of C-terminal residues of 12-mer peptides on antibacterial efficacy and mechanism
CA2042468A1 (en) Compositions of and treatment with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having d-amino acid residues
KR100438414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 유래의새로운 항생제용 접합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0935029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유래의 새로운접힘 구조를 갖는 항생 펩타이드 및 조성물
KR100232642B1 (ko) 트리코스포론 베이젤리에 작용하는 항진균성 펩타이드
KR100980300B1 (ko) 라이신 펩토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새로운 박테리아선택성을 갖는 피시딘 유도체 항생 펩타이드 및 그 용도
NZ618829B2 (en) Modified antibiotic peptides having variable systemic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