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527B1 -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527B1
KR100442527B1 KR10-2002-0009456A KR20020009456A KR100442527B1 KR 100442527 B1 KR100442527 B1 KR 100442527B1 KR 20020009456 A KR20020009456 A KR 20020009456A KR 100442527 B1 KR100442527 B1 KR 10044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olypeptide
anticancer
amino acid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50A (ko
Inventor
이병재
김선규
김석원
Original Assignee
(주)펩티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펩티팜 filed Critical (주)펩티팜
Publication of KR2002006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폴리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 이들의 제조방법 및상기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는 다양한 암세포주와 미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항암 및 항생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기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MDR(multi-drug resistance) 암에 대하여도 저항받지 않고 동일한 항암 효능을 보인다. 특히 또한 인체에 사용할 경우 용혈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세포내에서 분해될 경우에도 부작용이 적다:
F-L-X1-X2-L-X3-X4-X5-X6-X7-K-L-X8
상기 식에서,
X1및 X7은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이고,
X2, X5, X6및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X3는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X4는 라이신(K) 또는 류신(L) 잔기이고,
나머지 문자는 아미노산의 단문자표기이다.

Description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 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NOVEL POLYPEPTIDE HAVING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폴리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생물들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들 미생물에 대한 항생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점막이나 체액속으로 생산 분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펩티드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버만 등이 히아로포라 세크로피아(Hyalophora cecropia)의 번데기에서 발견한 세크로핀스(cecropins), 어택신스(attacins), 렉틴(lectin), 헤모린(hemolin) 등(Boman, H.C. and Hultmark, D., 1987, Annu. Rev. Microbiol., 41: 103-126)과 척추동물의 점막세포에서 발견된 디펜신스(defensins)(Lehrer, R.I., Ganz, T. and Seisted, M.E., 1991, Cell 64, 229-230), 및 제노푸스 래비스(Xenopus laevis)에서 발견된마게이닌(magainins)(미국특허 제4,810,777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부분의 항생활성 펩티드들은 그 생물학적 활성도가 낮고 그 대상 미생물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이를 인체에 사용할 경우 용혈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암, 폐암, 간암, 유방암, 직·대장암 등 각종 암의 발생률은 환경오염의 심화, 식생활의 서구화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여러 가지 타입의 암을 치료하기 위한 화학요법에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화학물질들은 독성이 강하여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까지도 영향을 미쳐서 탈모, 체중감소, 구토, 설사 등 심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들은 특정 타입의 암에 대해서만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한가지 항암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할 경우 이와 상관관계가 없는 다양한 항암제에 대하여도 저항성을 갖는 MDR로 인하여 기존 항암제의 한계점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화학요법보다 부작용이 적고 MDR의 영향을 받지 않는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그 결과로 생물학적 제제 등을 이용한 생물요법(biotherapy)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리신(ricin) 또는 다른 독소와 결합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인터페론만이 암 치료를 위한 생물학적 제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면서 저농도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생물학적 항암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우수한 항암 및 항생효과를 나타내며 MDR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신규 펩타이드를 탐색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한 결과, 특정 폴리펩티드들이 그러한 조건을 충족시킴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암 및 항생활성이 뛰어나면서도 적용 스펙트럼이 넓고 인체에 무해한 신규의 항암 및 항생활성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L-X1-X2-L-X3-X4-X5-X6-X7-K-L-X8
상기 식에서,
X1및 X7은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이고,
X2, X5, X6및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X3는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X4는 라이신(K) 또는 류신(L) 잔기이고,
나머지 문자는 아미노산의 단문자표기이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유도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해도 우수한 항암 및 항생활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항암 및 항생활성이란,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암세포, 포자 및 기타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 또는 사멸 활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로서 바람직한 것들은 X1이 라이신(K) 또는 글라이신(G) 잔기이고, X2, X5, X6가 각각 독립적으로 류신(L) 또는 알라닌(A) 잔기이고, X3가 라이신(K) 또는 페닐알라닌(F) 잔기이고, X4가 라이신(K) 또는 류신(L) 잔기이고, X7이 알라닌(A), 세린(S) 또는 라이신(K) 잔기이고, X8이 페닐알라닌(F) 또는 라이신(K) 잔기인 폴리펩티드들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들은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들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유도체란,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되거나 결실된 것으로서 항생 또는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들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폴리펩티드의 유도체로는 서열번호: 4 및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들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이들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유전공학적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은 다양한 미생물, 예를 들어, 세균, 바이러스, 포자, 원생동물 등에 대해 우수한 항암 및 항생활성을 나타내고 암 조직으로부터 확립된 암세포주들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기존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암세포주에 의해서도 활성이 저해 받지 않는다. 또한 인체에 사용할 경우 용혈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세포내에서 분해될 경우에도 부작용이 적으므로, 항암 및 항생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 활성 성분을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와 함께 혼합하거나 이들로 희석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캅셀, 새세이(sachet) 또는 기타 용기 형태의 담체 등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형은, 예를 들어, 정제, 환제, 과립제, 분말, 새세이, 엘렉실제, 현탁제, 유제, 액제,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액, 멸균 분말, 연고제, 패취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물, 생리식염수,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본 발명의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활성성분인 펩타이드로서 10 내지 50 ㎎/㎏ 체중,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 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 대상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폴리펩티드의 합성 및 정제
서열번호: 1 내지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폴리펩티드 1 내지 5로 명명함)를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phase peptide synthesis method;Merrifield, R. B., 1963, J. Am. Chem. Soc., 85: 2149)에 따라 합성한 후, H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HPLC 분석에서 컬럼으로는 C18 Vydac 218TP101522 (22 x 250 mm) 역상 HPLC 컬럼을 사용하고, 용출액으로 아세토니트릴을 10 ㎖/분의 유속으로 흘려주었다. 정제된 폴리펩티드들의 질량 스펙트럼을 거대질량분석기(MALDI-I(Matrix-associa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PerSeptive Biosystem, Votager Biospectrometry Workstation)로 측정하여 95 % 이상의 순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 : 폴리펩티드의 항생 활성 조사
폴리펩티드 1 내지 5의 항생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rept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ATCC 4698), 에쉐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ATCC 9637),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ATCC 10031),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ATCC 14028),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및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ATCC 25933)에 대한 최소 생장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LB 배지상에서 배양한 하기 표 1의 세균의 단일 콜로니를 채취하여 LB 액체 배지 5 ㎖에 접종한 후 37℃에서 진탕배양하여 2 X 106콜로니 형성단위(CFU)/㎖가 되게 한 뒤 이를 균주 접종원으로 준비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50 ㎕의 균주를접종한 후 펩타이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를 최종 농도가 1.56 ㎍/㎖ 내지 100 ㎍/㎖이 되도록 LB로 희석한 펩타이드 용액 50 ㎕를 처리하여(최종 부피 100 ㎕)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분광광도계(scanning multiwell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Versa Mas))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주의 생장정도를 측정하고 각 세균에 대한 최소 생장저해 농도를 계산하였으며, 비교군으로 항생활성이 보고된 바 있는 마게이닌 2(Magainin 2; Zasloff, M. et al., 1988,Proc. Natl. Acad. Sci. U.S.A., 85, 910-913)를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미생물 최소 생장저해 농도(MIC, ㎍/㎖)
펩타이드 1 펩타이드 2 펩타이드 3 펩타이드 4 펩타이드 5 마게이닌 2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ATCC 12228) 12.5 6.25 12.5 12.5 100 7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ATCC 4698) 6.25 3.13 3.13 6.25 6.25 -
에쉐리키아 콜리(ATCC 9637) 25 >100 12.5 25 25 100
클렙시엘라 뉴모니애(ATCC 10031) 12.5 50 12.5 12.5 12.5 100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ATCC 14028) 50 >100 25 25 100 70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ATCC 27853) - >100 25 - 100 >100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ATCC 25933)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2: 용혈 실험
인산완충 식염수(0.8 % 염화나트륨, 0.02 % 염화칼륨, 0.144 % Na2HPO4; pH는 염산으로 7.4로 조절함)로 10배 희석한 적혈구 용액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펩티드 1 내지 5를 각각 10 ㎍/㎖ 및 100 ㎍/㎖의 농도로 혼합한 다음 37℃에서 10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초원심분리기(VISION VS-1500)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의 흡광도를 35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트리톤 X-100의 최종 농도가 0.1 %(v/v)인 인산완충식염수에서 용혈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등액의 350 nm 흡광도를 100 %로 간주하고 이 값에 대한 상대적인 흡광도를 계산한 결과, 100 ㎍ 미만의 펩타이드 농도에서는 용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대조물질로는 항생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 폴리펩티드인 꿀벌의 멜리틴(Sigma Chemicals Co.)을 사용하였다.
농도(㎍/㎖) 펩타이드 1 펩타이드 2 펩타이드 3 펩타이드 4 펩타이드 5 멜리틴
10 0.12 0.06 0.03 0.00 0.00 2.90
100 1.36 5.93 17.37 0.05 0.72 100.00
시험예 3 : 폴리펩티드의 항암 활성 조사
항암 활성 조사를 위해 다음과 같이 MTT 분석법(Carmichael, J.et al.,Cancer Res.,47:936-942, 1987)을 통하여 50 % 성장억제농도(IC50)를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293 세포주(인체신장암 세포주; ATCC CRL-1573), A549 세포주(인체 폐암 세포주; ATCC CCL-185), MCF-7 세포주(인체 유선암 세포주; ATCC HTB-22) 및 MCF-7의 MDR 세포주인 MCF-7-DOX 세포주(김성진 박사, NCI, NIH 미국) 각 5 X 103세포를 90 ㎕ 의 해당 배지 (293 세포주는 10 % FBS가 포함된 DMEM배지(GIBCO BRL 12800-017), A549 세포주, MCF-7 세포주 및 그의 MDR 변형인 MCF-7-DOX 세포주는 10 % FBS가 포함된 RPMI 1640 배지(GIBCO BRL 31800-022)와 함께 접종한 후 37℃, 5 % CO2조건하에서 1일간 배양하고, 펩타이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를 최종농도가 0.8 ㎍/㎖ 내지 100 ㎍/㎖이 되도록 각각의 배지로 희석한 펩타이드 용액을 처리하였다(최종 부피 100 ㎕). 이 플레이트들을 37℃, 5 % CO2조건하에서 4일간 배양한 후 살아있는 세포를 측정하는 MTT 용액(인산염 완충용액에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티아졸리움 브로마이드가 2 ㎎/㎖ 농도로 녹아있는 용액) 50 ㎕를 처리하고 37℃, 5 % CO2에서 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배지와 MTT 용액을 제거하고 200 ㎕의 DMSO(dimethyl sulfoxide)를 가하여 형성된 결정을 녹여 분광광도계(scanning multiwell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Versa Max))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광도 데이타로부터 IC50을 계산함으로써 항암효능을 조사하여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세포주 IC50(㎍/㎖)
펩타이드 1 펩타이드 2 펩타이드 3 펩타이드 4 펩타이드 5
A549 13.9 8 8.9 21 65
293 14 6.7 19.8 21.3 34
MCF-7 17.6 5.3 17.8 22.8 36
MCF-7-DOX 17.8 5 16.7 28.9 48.6
본 발명의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은 다양한 암세포주들 및 미생물에 대해 우수한 항암 및 항생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기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MDR(multi-drug resistance) 암에 대하여도 저항받지 않고 동일한 항암 효능을 보인다. 또한 인체에 사용할 경우 용혈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세포내에서 분해될 경우에도 부작용이 적으므로 항생제 및 항암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110> Peptipharm Inc. <120> Novel polypeptide having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130> FPD/200202-0037 <150> KR 10-2001-0008893 <151> 2001-02-22 <160> 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polypeptide <400> 1 Phe Leu Lys Leu Leu Lys Lys Leu Ala Ala Lys Leu Phe 1 5 10 <210> 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polypeptide <400> 2 Phe Leu Gly Ala Leu Phe Lys Ala Leu Ser Lys Leu Leu 1 5 10 <210> 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polypeptide <400> 3 Phe Leu Lys Ala Leu Phe Lys Ala Leu Lys Lys Leu Leu 1 5 10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polypeptide <400> 4 Phe Leu Lys Leu Leu Lys Leu Ala Ala Lys Leu Phe 1 5 10 <210> 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polypeptide <400> 5 Phe Ala Lys Leu Ala Lys Leu Leu Ala Lys Leu Phe 1 5 10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
    화학식 1
    F-L-X1-X2-L-X3-X4-X5-X6-X7-K-L-X8
    상기 식에서,
    X1은 라이신(K) 또는 글라이신(G) 잔기이고,
    X2, X5및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류신(L) 또는 알라닌(A) 잔기이고,
    X3는 라이신(K) 또는 페닐알라닌(F) 잔기이고,
    X4는 라이신(K) 잔기이고,
    X7은 알라닌(A), 세린(S) 또는 라이신(K) 잔기이고,
    X8은 페닐알라닌(F) 또는 라이신(K) 잔기이고,
    나머지 문자는 아미노산의 단문자표기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5.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6.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7.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8.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의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암세포 및 포자를 포함하는 미생물에 대해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세균이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reptococcus epidermidis),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에쉐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또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유선암, 신장암, 전립선암, 간암, 백혈병, 위암 및 폐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2-0009456A 2001-02-22 2002-02-22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 KR100442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893 2001-02-22
KR20010008893 200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50A KR20020069150A (ko) 2002-08-29
KR100442527B1 true KR100442527B1 (ko) 2004-07-30

Family

ID=2769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56A KR100442527B1 (ko) 2001-02-22 2002-02-22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75A (ko) * 1996-11-07 1998-08-05 박원훈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US5981698A (en) * 1997-06-03 1999-11-09 Cyberchemics, Inc. Antimicrobial polypeptides
US6040291A (en) * 1998-03-25 2000-03-21 Seikagaku Corporation Antimicrobial peptide
KR20020069151A (ko) * 2001-02-22 2002-08-29 (주)펩티팜 항암 및 항생 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 및 그를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75A (ko) * 1996-11-07 1998-08-05 박원훈 항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US5981698A (en) * 1997-06-03 1999-11-09 Cyberchemics, Inc. Antimicrobial polypeptides
US6040291A (en) * 1998-03-25 2000-03-21 Seikagaku Corporation Antimicrobial peptide
KR20020069151A (ko) * 2001-02-22 2002-08-29 (주)펩티팜 항암 및 항생 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 및 그를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50A (ko)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0950A (en) Biologically active amphiphilic pept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for
US5239059A (en) Ion-channel forming peptides
AU674525B2 (en)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having N-terminal substitutions
US5424290A (en)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and uses therefor
KR20200144066A (ko) 라이신 치환을 포함하는 Romo1 유래 항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Strøm et al. The effects of charge and lipophilicity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undecapeptides derived from bovine lactoferricin
US5235038A (en) Deletion and substitution analogues of melittin peptide
KR100879211B1 (ko) 개불 유래의 새로운 항균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US5654274A (en)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having N-terminal substitutions
KR100438416B1 (ko) Ca-ma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치환하여 + 전극과 소수성 영역이 증가된 신규한펩타이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U2161592A (en) Composition and treatment with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having c-terminal substitutions
US5459237A (en) Pept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for
KR100935031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유래의 유사체펩타이드로부터 풀림구조를 절단한 양이온 증가 항생펩타이드 및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KR100442527B1 (ko) 항암 및 항생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와 그를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생제 조성물
KR100441402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을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465230B1 (ko) 항암 및 항생 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티드 및 그를함유하는 항암 및 항생제 조성물
KR100459808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 유래의새로운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847051B1 (ko) 병원균에 대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생 펩타이드 조성물
KR100911375B1 (ko) 개불 유래의 새로운 유사체 항균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JPH09507669A (ja) N末端修飾を有する両親媒性のイオンチャンネル形成ペプチド
WO2015099535A1 (en) Thrombocidin-derived antimicrobial peptides
KR100438414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 유래의새로운 항생제용 접합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0849162B1 (ko) 세포 용혈활성이 감소된 항균 펩타이드
KR100935029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유래의 새로운접힘 구조를 갖는 항생 펩타이드 및 조성물
CA2294518A1 (en)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with reduced toxicity in animals and a method for prepa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