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734B1 -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734B1
KR100228734B1 KR1019960064876A KR19960064876A KR100228734B1 KR 100228734 B1 KR100228734 B1 KR 100228734B1 KR 1019960064876 A KR1019960064876 A KR 1019960064876A KR 19960064876 A KR19960064876 A KR 19960064876A KR 100228734 B1 KR100228734 B1 KR 10022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load
sensor
vehicle
lar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517A (ko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7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 차량의 화물칸 아래의 앞/뒤에 각각 하중 센서를 설치하여 가속도 및 하중에 따라 최고속도를 제한하는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물의 하중 및 가속량에 기초하는 최고속도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대형 차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주행 효율 및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본 발명은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차량의 화물칸 아래에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화물칸의 앞/뒤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속도 및 그 차량 적재물의 하중에 따라 최고속도를 제한하도록 한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차량은 그 부피나 차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고속으로 주행도중 즉각 제동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최근에는 이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차속센서(S1) 및 가속페달개도 센서(S2)를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시키고, 일정 기준치 이상으로 가속시킬경우 공전속도 조절기구(1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쓰로틀밸브(12)의 개도(開度)를 조정하여 대형 차량의 과속을 방지한다.
여기서, 차량을 가속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와같은 흡입공기량의 조정은 공전시 상기 쓰로틀밸브(12)의 개도에 의한것이고, 상기 쓰로틀밸브(12)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제어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공전속도 조절기구(Idle speed control servo ; ISC-servo ,11)에 의해 조정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속도제한장치는 가속량에 의존한 것이어서 화물을 전혀 싣지 않은 경우에도 최고속도의 제한을 받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화물을 가득 싣고 주행할 경우에는 최고속도로 달리다가 제동시 적재물 자체의 하중때문에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 차량의 화물칸 아래의 앞/뒤에 각각 하중 센서를 설치하여 가속도 및 하중에 따라 최고속도를 제한하는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대형 차량의 속도 제한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속도 제한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차속 센서S2 : 가속페달 개도 센서
S3 : 하중센서10 : 전자제어장치
11 : 공전속도 조절기구12 : 쓰로틀밸브
13 : 공기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량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 센서와 ; 악셀레이터의 밟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페달 개도 센서와 ; 상기 차속 센서 및 가속페달 개도 센서가 입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에는 공전속도 조절기구가 연결된 전자제어장치와 ; 상기 공전속도 조절기구와 연결되어 공기관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쓰로틀밸브를 포함하는 대형차량의 속도 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와 ;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하중센서 및 차속 센서, 그리고 가속페달 개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쓰로틀밸브의 개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공전속도 조절기구로 출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속도 제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속 센서(S1)와, 자동차 가속페달레이터의 밟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페달 개도 센서(S2)와, 대형차량의 화물칸 아래의 앞/뒤에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센서(S3)가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고, 그 출력단에는 쓰로틀밸브(12)의 열리는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공전속도 조절기구(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쓰로틀밸브(12)는 공전속도 조절기구(11)와 연결되되, 흡입공기의 통로인 공기관(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수단이 된다.
이와같은 장치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10)는 상기 차속 센서(S1), 가속페달 개도 센서(S2)에 의하여 차량의 가속량 및 상기 하중센서(S3)에 의한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여 이에 따르는 차량의 최고속도를 연산한 후, 이 최고속도를 넘어서지 못하도록 상기 공전속도 조절기구(1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른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공전속도 조절기구(11)는 쓰로틀밸브(12)를 조정하여 공기관(13)을 통하여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대형차량의 과속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물의 하중 및 가속량에 기초하는 최고속도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대형 차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주행 효율 및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차량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 센서(S1)와 ; 악셀레이터의 밟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페달 개도 센서(S2)와 ; 상기 차속 센서(S1) 및 가속페달 개도 센서(S2)가 입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에는 공전속도 조절기구(11)가 연결된 전자제어장치(10)와 ; 상기 공전속도 조절기구(11)와 연결되어 공기관(13)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쓰로틀밸브(12)를 포함하는 대형차량의 속도 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S3)와 ; 상기 전자제어장치(10)는 하중센서(S3) 및 차속 센서(S1), 그리고 가속페달 개도 센서(S2)로부터 입력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쓰로틀밸브(12)의 개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공전속도 조절기구(11)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의 속도 제한 장치.
KR1019960064876A 1996-12-12 1996-12-12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KR10022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76A KR100228734B1 (ko) 1996-12-12 1996-12-12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76A KR100228734B1 (ko) 1996-12-12 1996-12-12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17A KR19980046517A (ko) 1998-09-15
KR100228734B1 true KR100228734B1 (ko) 1999-11-01

Family

ID=1948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76A KR100228734B1 (ko) 1996-12-12 1996-12-12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7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534U (ja) * 1983-09-30 1985-04-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オ−トクル−ズ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534U (ja) * 1983-09-30 1985-04-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オ−トクル−ズ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1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547A (en) Wheel slip controlling system
US440107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al spee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93657A (en) Exhaust braking control apparatus
KR950029766A (ko) 자동차 주행도로의 기울기 측정장치 및 그 방법
US45663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essure sensor
US53797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xhaust gas recycled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82002B1 (en) Vehicle acceleration based traction control
KR870007354A (ko) 자동차용 엔진의 아이들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242977B (zh) 用于计算带有汽油机的汽车的制动力放大器中低压的方法
JPH06241105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4917206A (en)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speed control
SE520778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dämpning av lastväxlingsreaktioner hos motorfordon
US5235950A (en) System for the electronic open-loop and/or closed-loop control of the pow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KR100228734B1 (ko) 대형차량의 속도제한장치
JPS63192924A (ja) 自動車の前進駆動制御装置
US592953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idle of a drive unit
US4854411A (en)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motor vehicle is on an uphill road upon starting of the vehicle
US711386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ystem
US541918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hecking the operation of an actuator in a motor vehicle
JPH03249474A (ja) 加速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流体継手の締結力制御装置
JP3481650B2 (ja) 車両のアクチュエータ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6654679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system for determining the air mass which is su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ia an intake manifold
US8078380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utomatic running
KR0153458B1 (ko) 브레이크 부스터의 압력저하보정장치
KR100373032B1 (ko) 수동 변속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