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125B1 -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 Google Patents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125B1
KR100228125B1 KR1019960080322A KR19960080322A KR100228125B1 KR 100228125 B1 KR100228125 B1 KR 100228125B1 KR 1019960080322 A KR1019960080322 A KR 1019960080322A KR 19960080322 A KR19960080322 A KR 19960080322A KR 100228125 B1 KR100228125 B1 KR 10022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oupled
seat belt
bolt
spoo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954A (ko
Inventor
이판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1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별도의 시트벨트 버클 길이 확장장치 없이도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를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체구가 큰 탑승자도 별 불편함 없이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는, 원형의 몸체 끝단에 시트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하우징과,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풀과, 스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스풀 하우징과 볼트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와셔와, 상기 볼트를 고정하는 나사와, 일측이 상기 스풀의 외주면 상에 감겨지며, 타측은 스풀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버클에 고정되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연결띠와, 일측이 스풀 하우징의 통과공에 결합되고 타측은 버클에 고정되어 다단계 절첩되며 내부에 연결띠가 통과하는 절첩식 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본 발명은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벨트 버클이 스풀에 감겨진 연결띠와 다단계 절첩되는 부트에 의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시트벨트 버클 길이 확장장치 없이도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를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체구가 큰 탑승자도 별 불편함 없이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에어백 전개시 시트벨트 버클에 연결된 연결띠를 감아주는 전자장치를 추가 적용하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는 시트벨트 버클, 스풀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래의 버클은 시트트랙에 스풀 하우징이 고정 결합되고, 이 스풀 하우징의 타단에 시트벨트 버클이 결합됨으로서, 탑승자가 시트벨트 어셈블리를 상기 버클에 결합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는 버클이 시트트랙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체구가 큰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 버클이 스풀에 감겨진 연결띠와 다단계 절첩되는 부트에 의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시트벨트 버클 길이 확장장치 없이도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를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체구가 큰 탑승자도 별 불편함 없이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 전개시 시트벨트 버클에 연결된 연결띠를 감아주는 전자장치를 추가 적용하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풀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풀 하우징 2 : 결합부
4 : 스풀 5 : 볼트
6 : 와셔 8 : 버클
9,21 : 연결띠 10 : 절첩식 부트
20 : 보오링 22,23 : 구동기어
24 : 모터 25 : 에어백 센서
26 : 제어부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는, 원형의 몸체 끝단에 시트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 하우징과,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풀과, 스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스풀 하우징과 볼트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와셔와, 상기 볼트를 고정하는 나사와, 일측이 상기 스풀의 외주면 상에 감겨지며, 타측은 스풀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버클에 고정되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연결띠와, 일측이 스풀 하우징의 통과공에 결합되고 타측은 버클에 고정되어 다단에 절첩되며 내부에 연결띠가 통과하는 절첩식 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의 몸체 끝단에 시트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 하우징과,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풀과, 스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스풀 하우징과 볼트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와셔와, 와셔와 스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보오링과, 일측이 상기 스풀의 외주면 상에 감겨지며, 타측은 스풀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버클에 고정되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연결띠와, 상기 스풀 하우징의 일측면 상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에 축지되는 제1구동 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구동기어와, 입력전원에 따라 제2구동기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 센서와, 에어백이 전개되면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연결띠가 감기도록 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모터를 역회전 구동하여 연결띠가 풀리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상기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풀 하우징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구조는 스풀 하우징(1), 스풀(4), 연결띠(9), 절첩식부트(10)를 포함한다.
상기 스풀 하우징(1)은 시트버클(8)을 시트트랙(3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몸체 끝단에 결합부(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연결띠(9)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4)은 연결띠(9)가 감겨지는 것으로, 상기 스풀 하우징(1)의 내부에 결합되며, 그 중앙에는 볼트(5)가 관통 결합된다. 상기 볼트(5)는 스풀 하우징(1)의 측면 중앙 외부에서 삽입되어 그 타단이 너트와 결합되며, 스풀 하우징(1)과 볼트(5) 사이에는 와셔(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5)는 별도의 나사(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연결띠(9)는 스풀(4)에 감겨지고, 그 연장부가 토출공(3)을 통해 시트버클(8)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띠(9)를 풀 때에는 볼트(5)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를 풀어 스풀(4)이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서 가능해진다.
상기 절첩식 부트(10)는 다단계 절첩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스풀 하우징(1)의 토출공(3) 부근에 결합되고, 타측은 시트버클(8)에 결합되어 그 내부로는 연결띠(9)가 통과한다. 스풀(4)에 감겨진 연결띠(9)가 풀리게 되면 절첩식 부트(10)가 연장 가능하게 되므로 시트버클(8)의 결합길이 조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구가 큰 탑승자가 시트버클(8)의 길이를 연장사기 위해서는 볼트(5)를 결합하고 있는 너트를 풀어 스풀(4)이 회전 가능해지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버클(8)을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스풀(4)에 감겨있던 연결띠(9)가 풀리면서 절첩식 부트(10)가 연장되어 시트버클(8)이 원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시트벨트 버클(9)이 연장되면 상기 너트를 다시 조여 스풀(4)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착용된 시트벨트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4도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구동기어(22)(23), 모터(24),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22)(23)는 스풀(4)을 회전시켜 스풀(4)에 감겨진 연결띠(21)가 풀리거나 감겨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구동기어(22)는 스풀(4)의 중앙을 관통하는 볼트(5)의 축상에 결합하여 제1구동기어(22)가 회전하면 스풀(4)이 연동 회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2구동기어(23)는 상기 제1구동기어(22)에 맞물리도록 결합한다.
상기 모터(24)는 그 회전축을 상기 제2구동기어(23)에 결합시켜 모터(24) 구동시 제1 및 제2구동기어(22)(23)가 연동하여 스풀(4)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24)는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26)는 에어백 센서(25)에서의 에어백 전개여부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24)를 정/역회전 구동한다. 즉, 제어부(26)는 에어백이 전개되면 상기 모터(24)를 정회전 구동하여 스풀(4)에 감겨진 연결띠(21)가 더욱 당겨지도록 하고, 에어백이 전개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모터(24)를 역회전 구동하여 스풀(4)에 감겨진 연결띠(21)가 다시 풀어져 시트벨트 버클(8)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에서 본 발명과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 표기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버클(8)의 길이조정을 본 발명과 동일하므로, 추가된 기능만을 설명한다.
차량이 충돌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면, 에어백 센서(25)는 에어백이 전개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6)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6)는 모터(24)를 정회전 구동한다. 상기 모터(24)가 정회전 구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구동기어(22)(23)가 연동 회전하고, 스풀(4)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스풀(4)에 감겨있던 연결띠(21)가 더욱 당겨지게 된다.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시트벨트 버클(8)의 길이가 당겨져 시트벨트가 조여지게 되면, 탑승자의 상체가 시트에 더욱 밀착되어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이 에어백이 전개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6)는 모터(24)를 역회전 구동하여 스풀(4)이 역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스풀(4)에 감겨있던 연결띠(21)가 느슨해져 재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벨트 버클이 스풀에 감겨진 연결띠와 다단계 절첩되는 부트에 의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시트벨트 버클 길이 확장장치 없이도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를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체구가 큰 탑승자도 별 불편함 없이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구조이다.

Claims (2)

  1. 원형의 몸체 끝단에 시트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 하우징과,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풀과, 스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스풀 하우징과 볼트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와셔와, 상기 볼트를 고정하는 나사와, 일측이 상기 스풀의 외주면 상에 감겨지며, 타측은 스풀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버클에 고정되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연결띠와, 일측이 스풀 하우징의 통과공에 결합되고 타측은 버클에 고정되어 다단계 절첩되며 내부에 연결띠가 통과하는 절첩식 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2. 원형의 몸체 끝단에 시트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 하우징과,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풀과, 스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스풀 하우징과 볼트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와셔와, 와셔와 스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보오링과, 일측이 상기 스풀의 외주면 상에 감겨지며, 타측은 스풀 하우징의 토출공을 통해 버클에 고정되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연결띠와, 상기 스풀 하우징의 일측면 상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에 축지되는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구동기어와, 입력전원에 따라 제2구동기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 센서와, 에어백이 전개되면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연결띠가 감기도록 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모터를 역회전 구동하여 연결띠가 풀리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KR1019960080322A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KR10022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322A KR100228125B1 (ko)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322A KR100228125B1 (ko)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54A KR19980060954A (ko) 1998-10-07
KR100228125B1 true KR100228125B1 (ko) 1999-11-01

Family

ID=1949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322A KR100228125B1 (ko) 1996-12-31 1996-12-31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911B1 (ko) * 2000-08-24 2002-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버클의 높이조절장치
KR102468607B1 (ko) * 2017-11-20 202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장치
JP7132141B2 (ja) 2019-02-04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バックル装置のシート搭載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5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122B1 (ko) 차량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EP1238873B1 (en) Seat belt retractor
US4669680A (en) Webbing retractor
US8584980B2 (en) Belt retractor having a force limitation device and a tightening device
US6702056B2 (en) Seatbelt retractor
WO2003099619A3 (de)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r vorstraffeinrichtung
EP1516789B1 (en) Seatbelt retractor
US2005028497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elt retractor and a belt retractor for a safety belt
KR100228125B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시트벨트 버클구조
JP2003170809A (ja) シートベルト緊締装置
DE10052112B4 (de) 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4518570A (ja) ベルト緊張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巻取り機
JP2001130376A (ja) 乗員拘束保護装置
JP4750107B2 (ja) プリテンショニングホイールとスプールとの間の連結システム
JPH07267046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装置
JPH06255447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203486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
KR200173968Y1 (ko) 자동차의 리트렉터
GB2326623A (en) Pretensioner and comfort device driven by two ratio epicyclic gear.
KR100534313B1 (ko) 차량의 2차 충돌 및 전복 사고에 대비한 시트벨트의포스트 텐셔너
JP3870633B2 (ja) エアベルト装置
JPS602218B2 (ja) 安全ベルト巻取装置
JP2001180440A (ja) 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2000016240A (ja) エアベルト装置
KR20024447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