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656B1 -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656B1
KR100226656B1 KR1019970037694A KR19970037694A KR100226656B1 KR 100226656 B1 KR100226656 B1 KR 100226656B1 KR 1019970037694 A KR1019970037694 A KR 1019970037694A KR 19970037694 A KR19970037694 A KR 19970037694A KR 100226656 B1 KR100226656 B1 KR 10022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multiplexing
multiplexing device
data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국
Original Assignee
유태로
성미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로, 성미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태로
Priority to KR101997003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656B1/ko
Priority to CN 97121614 priority patent/CN120830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6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자국 다중화 장치(200)를 이용하여 불특정한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측에 설치하는 MMI(100)와; 상기 MMI(100)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자국측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자국 다중화 장치(200)와;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 및 불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자국 원격제어장치(201)와; 불특정한 원격지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1 원격제어장치(301)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와;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2 원격제어장치(401)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및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와;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3 원격제어장치(30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DS1E 프레임 구조의 다중화 장치를 원격제어 하기 위해 소정의 MMI를 각각의 다중화 장치마다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한 사람이 한 대의 MMI로 자국은 물론 원격지에 있는 다수개의 다중화 장치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써, 인건비가 절감됨은 물론이고 다중화 장치를 효율적이고 일괄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어, 관리체계가 단순화 되고 상기 다중화 장치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DS1E(Digital Service Level-1 European)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자국과 원격지 다중화 장치들을 무인으로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인간 대 기계간의 정합장치(Man-Machine Interface : 이하 MMI라 칭함)를 자국측에 구비하고, 소정의 원격제어장치를 자국 및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 장착하여, 상기 자국및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CEPT계(Conference of European Postal and Telecommunication : 이하 CEPT라 칭함)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통신은 우리 사회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생활필수품으로 10여년 사이에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교환기는 수동기(자석식, 공전식)→기계식(ST, EMD)→반전자식(NO.1 A, M10CN)→전전자식(5-ESS, TDX계열, AXE-10, S-1240)→데이터 교환방식(패킷교환기, COLAN, 지능망) 등으로 발전하였고, 자석식, 공전식교환기는 1987년에, 기계식은 1994년에 우리나라에서 철거가 완료되었으며 반전자교환기도 다가오는 종합통신망(ISDN) 시대에 비음성통신이 곤란하게 되므로 약 20년 후에는 완전 철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송로도 나선로→단일 절연(ST, WT) 케이블→이중 절연(F/S) 케이블→광섬유케이블로, 전송방식은 비동기식에서 동기식으로 통신시설이 변경되어가고 있는 시점이고, ISDN 시대를 대비해서 교환기, 전송로 할 것 없이 음성통신과 비음성통신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디지탈식인 전전자교환기, 데이터교환기, 광전송장치, 광섬유케이블로 변경되어가고 있다.
종래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국측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자국 다중화 장치(1)와;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1)와 상호 연결하여 원격지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2)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2)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3)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2) 및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3)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의 동작 과정은, 각각의 다중화 장치에 상기 다중화 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사람(운용자)을 배치시켜 놓고, 자국 다중화 장치(1)에서 제어하는 내용을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2)와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3) 및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4)에서 사람이 제어명령을 인식하여, 각각의 장치 설치 지점에서 사람의 제어에 의해 다중화 장치는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는 상위계층의 네트워크에 연동이 되기도 하며, 직접 전송 매체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기도 하는데, 상위 네트워크 장치에서 하위 네트워크 장치의 관리는 불가능 하다.
특히, 사용자가 바로 연결되는 DS1급 다중화 장치는 실제로 네트워크의 관리가 가장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네트워크를 관리 하는데에 있어서, 관리 상황 변동시에 대국 또는 원격지에 관리자가 있어야 하며, 따라서 부가적인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각각의 다중화 장치마다 고유의 ID(Identificat-
ion)를 부여하여 자국측은 물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 2 또는 제 3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는, 소정의 자국 다중화 장치를 이용하여 불특정한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측에 설치하는 MMI와; 상기 MMI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자국측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자국 다중화 장치와;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 및 불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자국 원격제어장치와; 불특정한 원격지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1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2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 및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3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를 원격제어 하는 방법중에서 자국측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은, 우선 자국측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서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ID 인식이 요구되었는지 판단하여, ID 인식의 요구가 없으면 ID 인식을 요구하게 되는 ID 인식요구단계와; 상기 ID 인식요구단계에서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ID가 인식되면 자국 다중화 장치에서 1번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게 되고, 자국 다중화 장치측에서 1번 데이터를 송신받은 후, 정상 데이터가 송신되면 계속해서 N번째까지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게 되는 데이터 송신요구단계와; 상기 데이터 송신요구단계에서 N번째 데이터의 송신이 요구되면 N번째의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MMI에서 요구하는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는 데이터 명령단계와; 자국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에서 1번 데이터 수신을 요구하게 되고, 1번 데이터를 수신 받은 후, 정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N번 데이터의 수신을 요구하게 되는 데이터 수신요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를 원격제어 하는 방법중에서 원격지 다중화 장치측의 원격제어 방법은, 우선 원격지 다중화 장치측에서 지정된 ID를 가지고 대기상태에 있다가, 자국 다중화 장치로 부터 ID가 선택되면 지정된 ID인가를 판단하여 지정된 ID가 아니면 지정된 ID가 선택될때까지 대기 하는 ID 판단단계와; 상기 ID 판단단계에서 자국 다중화 장치가 선택한 ID이면 자국 다중화 장치측에서 보내는 명령어를 받기 위해 대기 상태에 있다가, 자국 다중화 장치측과 불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측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와; 자국 및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끝나면 자국 다중화 장치에서 제어상황에 따라 루프백 설정 및 해제를 명령하게 되고, 이어 자국측의 원격제어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리셋 시키고 초기화 시키는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단.
도 1 은 종래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3 은 도 2의 각 다중화 장치에서 사용하는 원격제어장치의 구성상태를 나 타낸 기능 블럭도,
도 4 는 도 2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프레임 구성도,
도 5 는 도 4에서 추출된 타임슬롯 0번 중에서 Sa 비트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표,
도 6 은 도 2의 자국측 원격제어 상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7 은 도 2의 원격지측 원격제어 상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0 : 자국 다중화 장치
2, 300 :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
3, 400 :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
4, 500 :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
100 : MMI 201 : 자국 원격제어장치
301 : 제 1 원격제어장치 401 : 제 2 원격제어장치
501 : 제 3 원격제어장치 600 : E1 프레머
700 : FPGA부 710 : Sa 비트 추출부
720 : 직병렬 변환부 730 : 수신 데이터 저장부
740 : 송신 데이터 저장부 750 : 병직렬 변환부
760 : Sa 비트 삽입부 800 : 제어부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로, 소정의 자국 다중화 장치(200)를 이용하여 불특정한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측에 설치되어 있는 MMI(100)와, 상기 MMI(100)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자국측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자국 다중화 장치(200)와,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 및 불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자국 원격제어장치(201)와, 불특정한 원격지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1 원격제어장치(301)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와,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2 원격제어장치(401)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및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와,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3 원격제어장치(301)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같은 대국용 장치의 경우에는 자신의 ID 외에는 응답을 하지 않으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와 같은 분기용 장치의 경우에는 원격지 제어 신호가 자신의 ID인 경우에 응답을 하고 별도의 링크에는 원격지 제어신호에 대하여 별도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자신의 ID와 다를 경우에는 다른 링크로 패스(Pass) 시킨다.
또한, 네트워크 구성은 단국용 및 분기용을 적절히 결합하여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하며, 자국 다중화 장치(200)와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는 분기용이고,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와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는 단국용인 것으로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도 3은 자국 및 원격지에 설치되는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부(201, 301, 401, 501)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기능 블럭도로, E1 프레머(6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8비트 정수배로 이루어지는 연속된 비트열로 만든후 송수신하고, 프로그램 가능한 전계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이하 FPGA라 칭함)부(700)는 상기 E1 프레머(600)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상태를 MMI(100)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키고, 제어부(800)는 상기 FPGA(7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ID가 현재 동작중인 장치의 ID와 일치할 경우에 명령 코드에 따라 시스템 운영에 관한 제반 동작을 수행하고, 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기형의 또다른 링크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FPGA(700)의 구성요소인 Sa(additional Squarebit) 비트 추출부(7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1 프레머(60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로 부터 ITU-T G.704 규격에 의해 2프레임당 5비트의 Sa 비트들을 추출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TU-T G.704의 멀티프레임 구성에서, 프레임 동기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짝수번째 프레임의 타임슬롯 0번 중에서 Sa 비트위치의 5 비트를 추출하며, 직병렬 변환부(720)는 상기 Sa 비트 추출부(710)에서 추출된 2개의 프레임마다 5비트씩 들어오는 Sa 비트들을 4개의 프레임마다 Sa 비트를 10비트의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상기 10비트의 데이터중 처음 2개의 프레임에서 들어온 Sa 비트중 Sa4가 1인경우 Sa5 ∼ Sa8은 상위 니블( 1 nibble = 4 bit )임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만약 나중 2개의 프레임에서 들어온 Sa4 비트가 0인 경우의 Sa5 ∼ Sa8 비트는 하위 니블임을 나타내며, 수신 데이터 저장부(730)는 상기 직병렬 변환부(720)에서 상위 및 하위 니블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10비트의 병렬 데이터가 완성되었을때, 니블구분 비트인 2개의 Sa4 비트는 니블이 구분되었으므로 상기 Sa4 비트를 뻬어버린 나머지 8비트를 수신 데이터 저장부(7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송신 데이터 저장부(740)는 상기 제어부(800)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병직렬 변환부(750)는 상기 송신 데이터 저장부(740)에 저장되어 있는 8비트 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함에 있어서, 상하위 니블구분비트 1, 0을 Sa4 비트의 위치에 세트시켜 Sa 비트 삽입부(760)에 삽입 시키기 위해 10비트의 직렬데이터로 변환시키며, Sa 비트 삽입부(760)는 상기 병직렬 변환부(750)에서 변환된 직렬데이터를 E1 프레머(600)에서 타임슬롯 0번의 Sa 비트들의 위치에 삽입시키는 장치로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도 4는 DS1E급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DS1E급은 #0∼#15까지 16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1 프레임당 0∼31까지 32개의 타임슬롯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32개의 타임슬롯중 타임슬롯 0번은 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 동기신호를 포함한 신호와 프레임 동기를 포함하지 않은 신호로 구분되며, 나머지 타임슬롯 1∼15번 까지 15개와 타임슬롯 17∼31번 까지 15개는 데이터로 사용하며, 마지막 타임슬롯 16번은 신호비트로 사용한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중 타임슬롯 0번의 구성을 나타낸 표로, ITU-T G.704에 권고된 2048Kbit/s 프레임의 타임슬롯 0번의 Sa4∼Sa8 비트들을 사용하며, 상기 Sa4∼Sa8 비트들은 국경을 통과하는 링크상에서는 1로 세트되어야 하지만, 국내용 비트로 사용시에는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비트들이며,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황 하에서 5비트 단위의 구조를 8비트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관리 신호들을 송수신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특정한 자국 다중화 장치(20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 및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는 각각 E1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만약 제어하고자 하는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수를 늘리고자 하면 E1라인의 갯수를 연장하여 다수개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연결하면 되고, 이때 상기 각각의 다중화 장치에는 소정의 ID가 부여된다.
이어,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측에 장착된, 상기 MMI(100)에 의해서 자국측에서 운용자로 하여금 불특정한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면,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에서는 상기 MMI(100)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원격지의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예를들어, 자국에서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를 관리하고자 할때, 자국의 MMI(100)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ID=04를 지정하면 정해진 명령 포맷에 의해 데이터는 E1라인을 통하여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에 전송되며(ID=03), 그러면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의 ID와 다르면 또 하나의 E1 링크 C로 원격제어 데이터를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가 자신의 ID를 인식했을 경우에는 정해진 포맷에 따라 자신의 ID를 포함하여 인식신호를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에 전송하고,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 역시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로 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 2 원격제어장치(401)의 제어부(800)에서 분석하여 자신의 ID와 다르므로 E1 라인을 통하여 자국 다중화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500)로 부터 인식신호를 인식한 자국의 데이터는 정해진 프로토콜 및 포맷의 형태로 네트워크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이렇게 데이터의 송수신을 완료한 후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원격지 장치를 리셋(Reset) 시킬 수 있다.
또한, 자국 다중화 장치(200)측의 MMI(100)에서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및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400)를 선택했을 경우, 데이터의 분석 및 송수신 과정은 상기의 방법과 같으며, 수신 데이터의 ID가 자신의 ID와 같으므로 별도의 링크에 대하여 다른 작업을 하지 않는다.
만일 ID를 십진수를 사용하고 ID의 자리수가 n 자리일 경우에 제어할 수 있는 원격지의 장치는 10n-1개 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자리의 ID를 사용할 경우에 제어할 수 있는 원격지의 장치는 자국의 장치를 뺀 99개이다.
또한,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의 원격제어 방법은, 우선 소정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가 자국 다중화 장치(200)의 자국 원격제어장치(201)로 부터 ID 인식이 요구되었는지 판단하여, 자국 원격제어장치(201)에서 ID 인식의 요구가 없으면 상기 자국 원격제어장치(201)가 ID 인식을 다시 요구하게 된다.
이어, 상기 ID 인식요구단계(S1)에서 소정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의 ID가 각 원격제어장치(301, 401, 501)에서 인식되면 자국 다중화 장치(200)에서 1번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게 되고, 자국 다중화 장치(200)측에서 1번 데이터를 송신받은 후, 정상 데이터가 송신되었으면 계속해서 N번째까지 데이터의 송신을 각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에 요구하게 되며, N번째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면 N번째의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MMI(100)에서 요구하는 명령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의 자국 원격제어장치(201)에서 1번 데이터 수신을 각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에 요구하게 되면, 상기 각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에서는 1번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따라 자국 다중화 장치(200)가 원격지로부터 1번 데이터 수신 확인응답을 받은 후, 정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N번 데이터의 수신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에서 불특정한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면, 각각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에서는 우선 각각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에 지정된 소정의 ID를 가지고 대기상태에 있다가, 자국 다중화 장치(200)로 부터 ID가 선택되면 소정의 원격제어장치(301, 401, 501)의 제어부(800)에서 지정된 ID 인가를 판단하여 지정된 ID가 아니면 지정된 ID가 선택될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가 선택한 ID 이면 자국 다중화 장치(200)측에서 보내는 명령어를 받기 위해 대기 상태에 있다가,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200)와 붙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300, 400, 500)측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고, 송수신이 끝나면 자국 다중화 장치(200)에서 제어상황에 따라 루프백 설정 및 해제를 명령하게 되고, 이어, 자국 원격제어장치(201)에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리셋 시키고 초기화 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은, DS1E 프레임 구조의 다중화 장치를 원격제어 하기 위해 소정의 MMI를 각각의 장치마다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한 사람이 한대의 MMI로 자국은 물론 원격지에 있는 다수개의 다중화 장치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 절감은 물론이고 장치의 효율적이고 일괄적인 관리를 할 수 있어 다중화 장치의 관리체계를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신속한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소정의 자국 다중화 장치를 이용하여 불특정한 원격지의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측에 설치하는 MMI와; 상기 MMI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자국측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자국 다중화 장치와;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및 불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제어하는 자국 원격제어장치와; 불특정한 원격지의 각종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 시키는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1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2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 및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와;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무인으로 제어하는 제 3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MI는 일반적인 PC나 터미날을 이용하여 자국측의 다중화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에 연결되는 각 원격지 다중화 장치는 마지막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 소정의 E1라인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 및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는 소정의 ID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다중화 장치, 제 1 원격지 다중화 장치, 제 2 원격지 다중화 장치 및 제 3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 부여된 ID는 십진수를 사용하고, ID 자리의 수가 n 자리일 경우 제어할 수 있는 원격지의 장치는 10n- 1개 이며, 두자리의 ID를 사용할 경우에 제어할 수 있는 원격지의 장치는 자국의 장치를 뺀 99개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8비트 정수배로 이루어지는 연속된 비트열을 송수신하는 E1 프레머와; 상기 E1 프레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상태를 MMI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키는 FPGA부와; 각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 부여된 ID가 현재 동작중인 장치의 ID와 일치할 경우에 명령 코드에 따라 시스템 운영에 관한 제반 동작을 수행하고, 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기형의 또다른 링크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FPGA부는, E1 프레임에서 수신된 데이터로 부터 5 비트들을 추출하는 Sa 비트 추출부와; 상기 Sa 비트 추출부에서 추출된 2개의 프레임마다 5비트씩 들어오는 Sa 비트들을 4개의 프레임마다 10비트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직병렬 변환부와; 상기 직병렬 변환부에서 상위 및 하위 니블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10비트의 병렬 데이터가 완성되었을때,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송신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송신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8비트 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병직렬 변환부와; 상기 병직렬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렬데이터를 E1 프레임에서 타임슬롯 0번의 Sa 비트 위치에 삽입시키는 Sa 비트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Sa 비트 추출부는 E1 프레임에서 수신된 데이터로 부터 2프레임당 5비트의 Sa 비트들을 추출하는데, ITU-T G.704의 멀티프레임 구성에서 프레임 동기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짝수번째 프레임의 타임슬롯 0번 중에서 Sa 비트들위치의 5 비트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직병렬 변환부는, 상기 Sa 비트 추출부에서 추출된 10비트의 데이터중 처음 2개의 프레임에서 들어온 Sa 비트중 Sa4가 1인경우 Sa5 ∼ Sa8은 상위 니블임을 나타내고, 나중 2개의 프레임에서 들어온 Sa4가 0인경우 Sa5 ∼ Sa8은 하위 니블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데이터 저장부는, 니블구분 비트인 2개의 Sa비트를 빼어버린 나머지 8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병직렬 변환부는, 상하위 니블구분비트 1과 0을 Sa4의 위치에 세트시켜 10비트의 직렬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12. 소정의 자국측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은, 우선 자국측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서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ID 인식이 요구되었는지 판단하여 ID 인식의 요구가 없으면 ID 인식을 요구하게 되는 ID 인식요구단계(S1)와; 상기 ID 인식요구단계(S1)에서 원격지 다중화 장치의 ID가 인식되면 자국 다중화 장치에서 1번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게 되고, 자국 다중화 장치측에서 1번 데이터를 송신 받은후, 정상 데이터가 송신되면 계속해서 N번째까지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게 되는 데이터 송신요구단계(S2)와; 상기 데이터 송신요구단계(S2)에서 N번째까지 송신받은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MMI에서 요구하는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는 데이터 명령단계(S3)와; 자국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로 부터 1번를 데이터 수신받은 후, 정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N번 데이터의 수신을 요구하게 되는 데이터 수신요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13. 소정의 원격지 다중화 장치측의 원격제어 방법은, 우선 원격지 다중화 장치측에서 지정된 ID를 가지고 대기상태에 있다가, 자국 다중화 장치로 부터 ID가 선택되면 지정된 ID인가를 판단하여 지정된 ID가 아니면 지정된 ID가 선택될때까지 대기 하는 ID 판단단계(S1)와; 상기 ID 판단단계(S1)에서 자국 다중화 장치가 선택한 ID이면 자국 다중화 장치측에서 보내는 명령어를 받기 위해 대기 상태에 있다가 자국 다중화 장치측과 불특정한 원격지 다중화 장치측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S2)와; 자국 및 원격지 다중화 장치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끝나면 자국 다중화 장치에서 제어 상황에 따라 루프백 설정 및 해제를 명령하게 되고, 이어 자국측의 원격제어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리셋 시키고 초기화 시키는 데이터 저장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KR1019970037694A 1997-08-07 1997-08-07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2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694A KR100226656B1 (ko) 1997-08-07 1997-08-07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CN 97121614 CN1208301A (zh) 1997-08-07 1997-11-07 Cept一次组多路处理装置用的远地控制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694A KR100226656B1 (ko) 1997-08-07 1997-08-07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6656B1 true KR100226656B1 (ko) 1999-10-15

Family

ID=1951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694A KR100226656B1 (ko) 1997-08-07 1997-08-07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6656B1 (ko)
CN (1) CN12083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81B1 (ko) 2015-01-24 2015-12-24 (주)태화기업이엔지 연속 주입이 가능한 블레이드형 그라우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7066B (zh) * 2018-11-02 2021-08-0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一种基于fpga的专线通信分路控制实现方法及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81B1 (ko) 2015-01-24 2015-12-24 (주)태화기업이엔지 연속 주입이 가능한 블레이드형 그라우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8301A (zh) 199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224B1 (ko) 교환장치 및 통신로 설정방법
WO1996038957A1 (en) Subscriber terminal monitor system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16171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577623B1 (en) Fixed-length cell data and time-division data hybrid multiplexing apparatus
CN101729358A (zh) 一种信息传递和接收方法、系统和装置
GB2326317A (en) Protocol conversion
CN115037837A (zh) 基于IPoE及光传输承载的电力调度小号放号系统
JP2001044961A (ja) 時分割多重装置
KR100226656B1 (ko)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JPH0787538A (ja) 加入者端局装置
JPH1188332A (ja) 同期ディジタルインタフェースへのセル多重装置及び方法
CN201690569U (zh) 虚拟ddf配线系统
KR100239925B1 (ko) Cept계 1차군 다중화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KR100286974B1 (ko) 디지탈 종합정보통신망용 통합단말장치
US5027344A (en) Integrated office controller (IOC)
KR100330197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 및 그 채널 전송방법
CN114124285B (zh) 一种承载多业务的pcm复接设备及通信系统
JP3531526B2 (ja) 通信システム
CN215072447U (zh) 一种多路通讯转换can通讯的系统
JP2000004461A (ja) 光通信回線切替システム
JP3033038B2 (ja) 専用線用isdn端末収容装置
Arnon et al. Customer access system design
KR0164107B1 (ko) 음성 통신용 타합선 처리 장치
KR100299660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중계선채널과다중모뎀채널의통화로설정방법및전화망정합장치
JP2687705B2 (ja) ディジタル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