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567B1 - 알기네이트 직물,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및 외과용 지혈재 - Google Patents

알기네이트 직물,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및 외과용 지혈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567B1
KR100226567B1 KR1019930703294A KR930703294A KR100226567B1 KR 100226567 B1 KR100226567 B1 KR 100226567B1 KR 1019930703294 A KR1019930703294 A KR 1019930703294A KR 930703294 A KR930703294 A KR 930703294A KR 100226567 B1 KR100226567 B1 KR 10022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lginate
embossing
fibers
ray dete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마이클죤마호니
죤찰스펜튼
앨리슨프란세스키이스
Original Assignee
엘.더블유. 부쉬
씨.뷔.래보러토리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942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265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더블유. 부쉬, 씨.뷔.래보러토리즈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엘.더블유. 부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5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applying or inserting filamentary bind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519Plasters use for treating burn
    • A61F2013/00523Plasters use for treating burn with hydrog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Abstract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비-우븐 직물은, 알기네이트 섬유가 층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들 층은 직물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함께 연결되어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의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 패턴이 나타나고, 이때 엠보싱:비엠보싱 영역의 비가 1:1 내지 1:9임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은 상처용 드레싱, 특히 수술용 지혈재의 제조에 있어 유용하다.

Description

알기네이트 직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및 외과용 지혈재
본 발명은 알기네이트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하게, 본 발명은 알기네이트 섬유의 부직포로부터 제조한 고도의 흡수력 및 우수한 통합성(integrity)을 갖는 상처용 드레싱 또는 외과용 지혈재 및 상기와 같은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기네이트 섬유는 한동안 외과용 드레싱 제조에 유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1951년 공개된 영국 특허 제 653341호는 칼슘 알기네이트의 섬유로부터 제조한 외과용 드레싱을 기술하고 있다.
알기네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로부터 제조한 다양한 유형의 드레싱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디드 웨브(carded web)상태의 층을 이룬 알기네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외과용 드레싱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칼토스탓(Kaltostat)지혈 상처용 드레싱은 알기네이트 섬유의 카디드된 니들-접착된 웨브형태이다.
수술중에, 상처 부위로부터 혈액을 제거하여 집도의 시야를 명확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수술중 사용을 위해, 상처 부위에 출혈이 있는 경우, 이상적인 드레싱은 지혈작용을 나타내고 우수한 구조적 통합성, 고도의 흡수력 및 고도의 액체 보유 능력을 지녀야 한다. 혈액으로 포화되는 경우 상처 부위로부터 드레싱 전체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양호한 통합성은 수술중 사용하기 위한 드레싱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고도의 흡수력이란 삼출액 또는 혈액을 이와 관련된 독소 및 기타 비바람직한 물질과 함께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도의 액체 보유능이란 상처 부위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혈액이 드레싱내에 보유됨으로써 혈액 누출을 최소화시킴을 의미한다.
통상 이는 면 또는 면과 비스코스 가아제 형태의 흡수성 재료를 제공하여 달성한다. 상기 재료가 우수한 흡수력을 나타내지만, 이들은 낮은 액체-보유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드레싱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영역이 혈액으로 오염될 우려가 있고, AIDS 및 B형 간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 대한 현재 관점에서 상기와 같은 위험은 특별히 중요성을 갖는다.
또한, 현재 수술시 사용되는 가아제 드레싱은 지혈 작용이 없고, 따라서 이들은 출혈을 억제하지 못한다.
현재 입수되는 지혈용 알기네이트 드레싱은 이들이 충분한 구조적 통합성을나타내지 않고 분해되는 경향이 있어 수술중 사용하기에 적합치 않다.
유럽 특허원 제0344913호는, 통합성을 갖는 알기네이트 상처용 드레싱이 혈액 또는 기타 염수액으로 포화되는 경우조차 상처 부위로부터 하나의 조각으로 들려질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즉, 상기 문헌에서 제공된 상처용 드레싱은, 그의 교차점에서 섬유의 침윤 또는 어떠한 접착성 결합제도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부직포를 포함한다. 스테이플 알기네이트 섬유의 부직 웨브에 수압식 엉킴(entanglement) 공정 (바람직하게는 수엉킴(hydroentangle-ment)을 특징으로 함)을 수행하여 상기 문헌의 드레싱 직물에 필요로 되어지는 통합성을 부여한다.
상기 문헌에 의해 제공되는 상처용 드레싱은 우수한 통합성을 갖지만, 이는 수술중 사용하는데 유용한 충분한 고도의 흡수력 및 액체 보유능을 갖지 못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3,937,223호는 생체 조직 내에 포함되는 경우 완전히 흡수되는 글리콜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지혈성 외과용 펠트를 기술한다. 펠트는 부분적으로 가압된 가열 엠보싱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엠보싱은 혈액 투과 속도의 감소를 야기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는 상이한 유형의 섬유로부터 제조된 드레싱에까지 그의 교시를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시사하지 않고 있다. 특히 알기네이트의 사용에 대한 제시는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4,128,612(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3,937,223호로부터 분할)는 텍스쳐(textured)되고 엠보싱되어 진 표면을 갖는 지혈성 외과용 펠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방법은 생체 조직 흡수성 중합체의 섬유를 무작위로 매트로 공기 배향(laying)시키고 매트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이를 엠보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128,612호는 매트의 무작위적 형성을 강조하고 섬유의 방위가 배제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방법이 알기네이트 섬유에 적용될 수 있거나, 층을 이룬 섬유의 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지적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이르러 외과용 지혈재를 위한 상기 범주에 합당한 드레싱을 알기네이트 섬유로부터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필요한 우수한 구조적 통합성은, 알기네이트 물질의 층을 다수의 지점에서 단단히 연결시켜 혼성 직물을 제조함으로써 알기네이트 드레싱에 부여된다. 이는, 예를 들면 스팃칭(stitching) 또는 바람직하게는 캘린더링(calendering)시켜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층을 이룬 알기네이트 직물 영역을 엠보싱화, 예를 들면 스팃칭 또는 캘린더링하여, 직물의 액체 보유 특성 또는 흡수력에 실질적인 영향 없이 우수한 통합성을 갖는 지혈재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물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층이 연결됨으로써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된 패턴이 나타나는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층을 포함하는 외과용 지혈재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직물의 엠보싱 영역은 충분한 정도로 통합성이 부여되지만, 가공된 직물의 흡수력에 역작용할 정도로 심하진 않아야 한다. 엠보싱 영역:비엠보싱 영역의 적합한 비는 1:1 내지 1:9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는 1:4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직물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층이 연결됨으로써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된 패턴이 나타나는 (이때, 엠보싱:비엠보싱 영역의 비는 1:1 내지 1:9 이다) 알기테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층을 포함하는 외과용 지혈재로서의 용도에 적합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직물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스팃칭 또는 캘린더링에 의해 층이 연결되어 직물 대부분의 외부 표면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 패턴이 나타나는,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층을 포함하는 외과용 지혈재로서의 용도에 적합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그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된 패턴이 나타나는,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층을 포함하는 캘린더링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 양면에 엠보싱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기네이트의 지혈 작용은 칼슘 이온 방출과 관련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혈액 또는 기타 염수액과 접초시, 칼슘 이온이 방출되어 나트륨 이온과 교환된다. 칼슘 이온은 혈액 응괴 캐스캐이드 기작으로 작용하여 응괴가 형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알기네이트 물질로부터의 칼슘 이온 방출이 조절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드레싱을 제조하여 적용을 차별화하는데 있어 적절한 정도로 칼슘 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칼슘 이온 방출 정도는 적절한 알기네이트 공급원 재료를 선별하고/하거나 알기네이트를 처리하여 이의 칼슘 이온 방출 특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알기네이트는 수용성 및 불수용성 알기네이트 모두를 포함하지만 불수용성 알기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불수용성 알기네이트는 칼슘 알기네이트이다. 하지만, 칼슘 알기네이트는 1.5중량% 이하의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99% 칼슘 알기네이트 섬유를 사용한다.
알긴산은 D-만뉴론산 및 L-글루론산(이의 상대 비율은 식물원의 성숙 상태 및 식물원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을 포함하는 선형 중합체이다. 고비율의 글루론산을 포함하는 알기네이트는 고급 G 알기네이트로서 공지되어 있고, 저비율의 글루론산을 포함하는 알기네이트는 저급 G 알기네이트로서 공지되어 있다.
고급 및 저급 G 알기네이트 모두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고급 G 알기네이트는 저급 G 알기네이트보다 강하게 칼슘을 킬레이팅한다. 따라서, 고도의 칼슘 이온 방출이 필요한 적용에 있어서는 저급 G 알기네이트를 선별할 수 있다. 기타의 적용에 있어서는, 고급 G알기네이트가 바람직할 수 있다. 고급 G알기네이트는 예를 들면 라미나리아 하이퍼보레아(laminaria hyperborea)로부터 수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업체[Protan Ltd.]로부터 LF 10/60으로서 시판되어 수득할 수 있다. 저급 G알기네이트는, 예를 들면 아스코필룸 노도섬(ascophyllum nodosum)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Lamitex(Protan Ltd) 및 Manucol DM(Kelco)로서 시판되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특정 알기네이트로부터의 칼슘 이온 방출이 알기네이트 물질을 산화제로 처리하는 경우 증가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한 산화제는 차아염소산염 이온이다.
추가의 또는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알기네이트 물질을 산화제로 처리함을 특징으로하여 이로부터 칼슘 이온 방출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수술시 적용을 위하여, 환자 체내에서 드래싱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X-선 검출 가능한 물질을 드레싱 내로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X-선 검출 가능한 물질을 엠보싱된 직물로 혼입시킬 수 있음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 층(이 층은 직물 전체를 통하여 수많은 점에 서로 연결되어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의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 패턴을 생성한다)을 포함하여 X-선 검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외과용 지혈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직물에 사용하기 위한 X-선 검출가능 물질은 예를 들면 사(薩,yarn), 리본, 테이프 또는 스트립 형일 수 있다. X-선 검출가능 물질이 연성이고 유연한 것이 중요하다. X-선 불투과 물질의 예로 황산 바륨, 텅스텐 및 비스무트가 있다. 수많은 X-선 불투과물질용 담체물질이 시판되고 있으며, PVC,폴리우레타(PU) 및 실리콘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X-선 검출가능 물질은 황산 바륨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PVC X-선 검출 가능한 스트립이다.
X-선 검출가능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알기네이트 직물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담체 물질이 열 융합성 물질, 예를 틀어 PVC 또는 PU와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X-선 검출가능 물질을 알기네이트 직물에 결합시키는 것은 X-선 검출가능 물질을 직물에 삽입시키는 전 또는 도중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공정중 담체물질을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성취할 수 있다.
캘린더링은 통사적으로 재료의 웨브를 가열 롤로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공정이다.
엠보싱 패턴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캘린더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택스쳐된 표면을 가져야만 한다. 예를 들면, 롤러 하나 또는 둘다가 조각(engraving) 또는 바람직하게는 융기된 부위 중 하나를 다수 가질 수 있다. 편리하게는, 롤러중 하나만이 텍스쳐된 표면을 갖는다.
텍스쳐된 롤러를 사용한 캘린더링의 효과는, 직물 표면 영역이 상이한 정도로 압축되어 압축이 덜 된 영역이 압축이 크게 된 영역에 비해 올라가도록 엠보싱 패턴이 생성되는 것이다.
캘린더 롤러중 하나만이 텍스쳐된 표면을 갖는다 하더라도, 최종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 둘다에 엠보싱 패턴이 생성된다. 이는 접촉되는 직물의 표면상에서 텍스쳐된 롤러 압축이 직물의 반대편 대부분의 외부 표면상에, 생성된 엠보싱 패턴의 역 또는 네가티브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네가티브 패턴은 직접적인 엠보싱에 의해 생성된 패턴보다 상당히 덜 두드러진다.
대부분의 외부 표면 둘다에 엠보싱 패턴을 갖는 직물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경우, 직접적으로 엠보싱된 표면과 엠보싱 패턴의 0b네가티브0c를 포함하는 표면을 둘다 갖는 직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엠보싱 패턴의 성질은 캘린더링 공정중 롤러의 온도, 압력 및 속도에 따른다. 패턴이 확실하게 엠보싱되지 않은 경우, 직물의 캘린더링 영역이 역위되는 경향이 있으며 상당히 짧은 시간내에 엠보싱 효과가 상실된다. 본 발명자들은 분당 1 내지 40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m, 더욱 바람직하게는 3m의 롤러 속도에, 약 80℃ 내지 약 210℃, 바람직하게는 130℃에 1 내지 15톤, 바람직하게는 대략 6톤에서 최상의 결과가 성취됨을 발견하였다.
권취 인장은 최소로 유지되어야 한다. 권취됨에 따라 과도한 인장력을 받는 웨브는 캘린더 닙을 벗어남에 따라 물질을 신장시키는 경향이 있게된다. 이것은 최종 제품의 흡수력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직층화된 알기네이트 섬유의 웹이 영역을 캘린더링함으로써 웹의 하나 이상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상에 엠부싱된 패턴을 생성시킴을 포함하여, 흡수력이 양호되고 구조적 통합성이 우수한 알기네이트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링 방법은 80 내지 210℃의 온도 및 1톤 내지 15톤의 압력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화된 알기네이트 섬유의 웨브를 교차 랩핑(cross-lapping)에 의해 제조한다. 교차-립핑은, 웨브의 목적하는 중량이 수득될때까지 하나의 섬유층을 다른 것 위에 연속해서 적층시킴으로써 웨브를 구축하는 것이다. 편리하게는, 교대층의 섬유들이 서로 직교로 배향되어 있지만, 이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교차-랩핑에 의해 제조된 알기네이트 섬유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법을 사용하여 함께 태킹(tacking)한다.
추가의 또는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a) 층을 이룬 알기네이트 섬유의 경량 웨브를 제공하고;
(b) 웨브 및 층을 이룬 알기네이트 섬유의 추가의 웨브 사이에 하나 이상의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을 위치시키며;
(c) 전체를 함께 니들링시키고 ;
(d) 직물 영역을 캘린더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을 알기네이트 직물내로 혼입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캘린더링동안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에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캘린더의 상부 및 하부 롤러의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그루브가 제공된다. 직물내에 각각의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은 롤러내 그루브와 일치되게 정렬시킨다. 정렬은 예를 들면, 광학, 적외선 또는 전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 또는 반자동적으로 달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직물은 전형적으로 자체 중량의 10.5배 범위내의 흡수력 및 자체 중량의 9.5배 범위의 수분-보유능을 지닌다. 이것은 자체 중량의 6.5배 영역내의 흡수력 및 통상적인 외과 가아제에 대해 자체 중량의 6.5배 영역내의 수분-보유능과 비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외과용 지혈재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해도, 이것은 또한 비-외과적 적용을 위한 상처용 드레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또한 치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기네이트 직물은 기본 중량 범위, 전형적으로 약 120g/m2내지 약 360g/m2바람직하게는 약 16.g/m2내지 약 24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0g/m2에서 제조됨이 적합하다. 주어진 직물의 기본 중량은 일반적으로 용도, 예를 들면, 직물이 들어가는 상처용 드레싱 또는 외과용 지혈재로서의 용도에 일반적으로 의존한다. 예를 들어, 120g/m2영역의 기본 중량은 경미한 삼출성 상해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반면 280g/m2의 기본 중량은 심한 삼출성 상처 또는 극심한 출혈성 상처에 대한 것을 나타낸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섬유 직물층이 직물 전체를 통해 다수의 점에서 함께 연결됨으로써 엠보싱 패턴을 생성하는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층과, 임의로 X-선 검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또는 외과용 지혈재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술 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지혈재를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을 받고 있는 포유동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추가적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처에 본 발명에 따른 상처용 드레싱을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를 입은 포유동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중 사용된 용어 상처란 절상, 통증, 궤양, 포진, 화상, 피진 또는 문제를 일으킨 피부의 기타 병변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기네이트 직물로부터 형성된 상처용 드레싱 또는 외과용 지혈재는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된 통상적인 드레싱이 유리할 것이다. 적합한 드레싱의 예로는 붕대, 접착성 스트립 드레싱, 아일랜드(island)드레싱, 다양한 종류의 패드, 외과용 스폰지 및 팩, 병원용 드레싱 및 예를 들면 칸디다성 질염(아구창성 질염)을 치료하기 위해 미코나졸과 같은 항진균제로 함침될 수 있는 탐폰과 같은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드레싱은 통상적으로 당해분야로부터 공지된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은 통상적으로 밀봉하여 봉인되는 포장지로 포장하고, 예를 들면, 에틸렌 옥사이드로 또는 감마선-조사에 의해 멸균시킨다.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칼슘 알기네이트 섬유를 WO-A-89/12471의 제법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여, 크림핑하고, 스테이플 커팅하여 통상적인 카딩(carding), 교차-랩핑 및 니들 펀칭 기술에 의해 부직포를 전환시킨다.
이 캘린더를 130℃까지 가열시킨다. 웨브(기본 중량 180g/m2)를 공급 롤러에 올려 놓는다. 중심부를 와인드 업에 올려 놓고 그 위치에서 잠근다. 이 웨브를 직물 리더(leader)의 표면 제일위에 놓고 X-선 검출 가능한 스트립을 캘린더내 그루브와 정렬시킨다. 이 물질을 캘린더 닙을 통해 통과 시키고 와인드 업 롤러상에 수집한다.
[시험법]
흡수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나 있고, 0.9%(w/w)식염수 용액을 함유한 수욕 1, 흡수 스트랩2, 뷰렛 3, 탑-판 저울 4 및 오버플로우(overflow)5로 구성된다.
흡수 스트립 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드레싱 7의 두께와 동일하다. 여과지 8은 실질적으로 드레싱 7과 동일한 평면 크기를 갖지만 반드시 크기가 동일한 필요는 없다.
이 장치를 탑-판 저울 4의 상층 표면과 동일 수준으로 식염수 용액의 표면 6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뷰렛 3으로부터의 액체 유동을 1분당 대략 1.5ml로 조정한다. 그런 다음, 제 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스트립 2를 포화시키고 욕 1 및 저울 4 사이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저울 4로 칭량한다. 칭량된 드레싱 7 및 여과지 8(크기로 절단)을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시킨다.
6분후, 저울 4에 나타난 중량을 기록한다. 그런 다음, 드레싱 7 및 여과지 8을 제거하고 저울 4의 남은 중량을 기록한다.
흡수력은 하기 식을 기초로하여 측정된다.
흡수된 액체의 중량 = 저울상 총 중량 드레싱 건조 중량 + 포화된 여과지 중량 + 저울상 잔류 중량
[결과]
상술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흡수력 및 시판되는 외과용 가아제(4층)의 흡수력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직물의 12개 샘플, 후자의 경우에는 직물의 6개 샘플을 취하여, 흡수력의 평균 값을 계산한다. 수득된 결과는 하기와 같다.
상기 표 Ⅰ로부터, 실시예 Ⅰ의 알기네이트 직물의 평균 흡수력이 드레싱 g당 염수 10.56g 임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표 Ⅱ로부터 시판 외과용 가아제(4층)의 평균 흡수력은 드레싱 g당 염수 6.42g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보유능 연구]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샘플 및 시판되어 유용하 외과용 가아제(4층) 샘플을 약 5×10cm 크기로 절단하여 디쉬에 넣는다. 충분한 송아지 혈청을 가해 드레싱을 단지 덮는다. 6분 드레싱을 주의하여 제거하고 가장자리를 붙들어 흘려본다. 보유된 및 상실된 액체 중량을 기록한다. 수득된 결과는 하기와 같다:
상기 표 3으로부터, 실시예 Ⅰ의 알기네이트 직물의 평균 보유능이 드레싱 g당 혈청 9.48g임을 계산 할 수 있다; 한편, 표 Ⅳ로부터, 시판되는 외과용 가아제의 평균 보유능은 드레싱 g당 혈청 6.4g으로 계산될 수 있다.

Claims (21)

  1. 알기네이트 섬유가 층으로 배열된 상태이고, 이러한 층은 직물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함께 연결되어 직물의 대부분의 외부 표면의 한면 이상에서 엠보싱 패턴이 타나나며, 이때 엠보싱:비엠보싱 영역의 비가 1:1 내지 1:9의 범위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엠보싱:비엠보싱 영역의 비가 약 1:4인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엠보싱 패턴이 캘린더링(calendering)에 의해 생성되는 직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 표면 양면의 대부분이 엠보싱 패턴을 나타내는 직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가 99% 칼슘 알기네이트를 포함하는 직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선 검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X-선 검출가능한 물질이 황산바륨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PVC 스트립인 직물.
  8. 제6항에 있어서, X-선 검출가능한 물질이 알기네이트 직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직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약 1200g/m2내지 약 36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약 160g/m2내지 약 24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직물.
  11. 직물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캘린더링에 의해 층이 함께 연결되어 직물의 외부 표면 양면의 대부분에서 엠보싱 패턴이 나타나는 (이때 엠보싱:비엠보싱 영역의 비는 약 1:4이다) 99%칼슘 알기네이트 스테이플 섬유의 층을 포함하고, 황산바륨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PVC 스트립을 함유하는, 기본 중량 약 180g/m2인, 외과용 지혈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직포.
  12. 제11항에 있어서, PVC 스트립(들)이 알기네이트 직물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직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직물을 포함하는 외과용 지혈재.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직물을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15. (a) 알기네이트 섬유의 제1층을 제공하는 단계;
    (b) 제1층을 위로 알기네이트 섬유의 또다른 층을 배열하여 웨브를 형성하는 단계;
    (c) 웨브 전체에 걸쳐 다수의 지점에서 층들을 함께 연결시키는 단계;
    (d) 웨브의 영역을 캘린더링시켜 직물의 외부 표면 하나 이상의 대부분에서 엠보싱 패턴을 생성(이때, 엠보싱:비엠보싱 영역의 비는 1:1 내지 1:9이다)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단계(d)에서의 캘린더링이 80 내지 210℃의 온도 및 1 내지 15톤의 압력하에서 수행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단계(a) 및 (b)에서 생성된 알기네이트 섬유의 웨브 사이에 하나 이상의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을 단계 (c)이전에 위치시키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캘린더의 상부 및 저부 롤러 중 하나 이상에 그루브(groove)가 하나 이상 제공되고 각각의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은 롤러(들)내의 그루브와 일치되도록 정렬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X-선 검출가능한 스트립을 알기네이트 직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알기네이트 직물을 산화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차아염소산염 이온인 방법.
KR1019930703294A 1991-05-01 1992-04-30 알기네이트 직물,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및 외과용 지혈재 KR100226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9109367A GB9109367D0 (en) 1991-05-01 1991-05-01 Surgical dressing
GB9109367.4 1991-05-01
PCT/GB1992/000792 WO1992019802A1 (en) 1991-05-01 1992-04-30 Alginate fabric, its use in wound dressings and surgical haemostats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6567B1 true KR100226567B1 (ko) 1999-10-15

Family

ID=1069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294A KR100226567B1 (ko) 1991-05-01 1992-04-30 알기네이트 직물,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및 외과용 지혈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583276B1 (ko)
JP (1) JP3037754B2 (ko)
KR (1) KR100226567B1 (ko)
AT (1) ATE145679T1 (ko)
AU (1) AU663316B2 (ko)
CA (1) CA2109217A1 (ko)
DE (1) DE69215513T2 (ko)
DK (1) DK0583276T3 (ko)
ES (1) ES2094909T3 (ko)
GB (1) GB9109367D0 (ko)
GR (1) GR3022700T3 (ko)
IE (1) IE79239B1 (ko)
WO (1) WO1992019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3316B (it) * 1993-02-12 1996-08-0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Tessuto non tessuto multistrato in cui uno degli strati e' costituito essenzialmente da esteri dell'acido ialuronico
GB9320232D0 (en) * 1993-10-01 1993-11-17 C V Lab Ltd Alginate wound dressing
IT1294797B1 (it) * 1997-07-28 1999-04-1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Uso de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nella preparazione di biomateriali aventi attivita' emostatica fisica e tamponante
FR2778081B1 (fr) * 1998-04-29 2000-08-25 Fabrice Thevenet Implants de renfort pour sutures tissulaires
KR20070117589A (ko) 2005-02-15 2007-12-12 버지니아 커먼웰스 유니버시티 급성 지혈 및 급성 상처와 만성 궤양의 치료를 위한 광물기술
US7604819B2 (en) 2006-05-26 2009-10-20 Z-Medica Corporatio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thereof
JP5771602B2 (ja) 2010-04-06 2015-09-02 日立化成株式会社 生体組織牽引用高分子成形体、それを用いた医療用牽引部材及び医療用牽引具
US8858969B2 (en) 2010-09-22 2014-10-14 Z-Medica, Llc Hemostatic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KR102037150B1 (ko) 2012-06-22 2019-10-28 지-메디카 엘엘씨 지혈 장치
WO2015108100A1 (ja) * 2014-01-20 2015-07-23 株式会社瑞光 止血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9158A (en) * 1973-02-15 1975-01-02 Wallace Cameron Co Ltd Surgical dressings
US3937223A (en) * 1974-04-19 1976-02-10 American Cyanamid Company Compacted surgical hemostatic felt
US4088726A (en) * 1974-04-26 1978-05-0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Method of making non-woven fabrics
IE49193B1 (en) * 1979-04-18 1985-08-21 Courtaulds Ltd Process for making a non-woven alginate fabric useful as a wound dressing
AU546556B2 (en) * 1981-08-18 1985-09-05 Courtaulds Plc Alginate fibre material and process
JPS60234653A (ja) * 1984-04-30 1985-11-21 ジヨンソン・アンド・ジヨンソン・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手術用スポンジ
DE3700609A1 (de) * 1987-01-10 1988-07-21 Corovi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festigen eines faservlieses
EP0344913B1 (en) * 1988-05-31 1997-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lginate wound dressing of good integrity
GB8815132D0 (en) * 1988-06-24 1988-08-03 Britcair Ltd Wound dr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2019802A1 (en) 1992-11-12
GB9109367D0 (en) 1991-06-26
EP0583276B1 (en) 1996-11-27
JPH06506989A (ja) 1994-08-04
IE79239B1 (en) 1998-04-22
GR3022700T3 (en) 1997-05-31
ATE145679T1 (de) 1996-12-15
DE69215513T2 (de) 1997-03-27
EP0583276A1 (en) 1994-02-23
AU1660192A (en) 1992-12-21
CA2109217A1 (en) 1992-11-02
DE69215513D1 (de) 1997-01-09
AU663316B2 (en) 1995-10-05
DK0583276T3 (da) 1997-04-14
IE921402A1 (en) 1992-11-04
ES2094909T3 (es) 1997-02-01
JP3037754B2 (ja) 200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0497B2 (ja) 改善された吸収力のあるアルギネート織布、外傷及び火傷の手当用品としての使用、及びその調製法
US7745681B1 (en) Nonwoven fabrics and their manufacture and use
US4128612A (en) Making absorbable surgical felt
US5296290A (en) Absorbent laminates
US3122140A (en) Flexible absorbent sheet
EP0151018B1 (en) Absorbent laminates
EP0531096B1 (en) Composite fabrics
WO2015081769A1 (zh) 一种具有三层结构的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
EP1520687A1 (en) Absorbent article
SK282204B6 (sk) Absorpčná štruktúra absorpčného výrobku a spôsob jej výroby
US20020168911A1 (en) Absorbent layer for use in hospital supplies
KR100226567B1 (ko) 알기네이트 직물,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 및 외과용 지혈재
US5714232A (en) Alginate fabric, its use in wound dressings and surgical haemostats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6153214A (en) Wound dressing and manufacture thereof
US3053253A (en) Bandage
CA2345417A1 (en) A wound dressing
US3051171A (en) Surgical dressing
CZ281012B6 (cs) Textilní zdravotnický materiál vysoké sorpční mohutnosti
CS264590B1 (cs) Způsob výroby absorpčního vrstveného výrobk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