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750B1 -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 Google Patents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750B1
KR100225750B1 KR1019960040118A KR19960040118A KR100225750B1 KR 100225750 B1 KR100225750 B1 KR 100225750B1 KR 1019960040118 A KR1019960040118 A KR 1019960040118A KR 19960040118 A KR19960040118 A KR 19960040118A KR 100225750 B1 KR100225750 B1 KR 10022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combustion
fl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304A (ko
Inventor
정석호
길용석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호 filed Critical 정석호
Priority to KR101996004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7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10Flame flash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연소가스가 곡면을 따라 염공으로 분출됨으로써 주위의 많은 외부공기를 흡입(entrainment)하여 최적의 혼합비를 형성하며, 또한 화염부상(liftoff)과 화염날림(blowout)현상 및 역화(flashback)현상을 억제하여 그 결과 가스의 조건에 따른 연소범위를 확대시켜 사용범위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 및 이를 응용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연소과정은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로 공급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공급된 가스를 염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버너로 부터 분출된 연소가스가 압력차에 의해 흡입되는 주위의 외부공기와 혼합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혼합되는 가스를 점화장치로 하여 점화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소과정중 상기 제2과정은 제1과정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의 외주변으로 안내한 후에 곡벽면을 타고 흐르게하면서 염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버너장치와 종래의 버너와의 차별성을 가지도록 하는 근본요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본 발명은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가스가 곡면을 따라 염공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체공학적 특성에 기인한 코안다(coanda) 효과로 인해 주위의 많은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또한 재순환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그 결과 화염부상(liftoff)과 화염날림(blowout)현상을 억제하고, 염공의 슬릿 폭(slit width)을 조절함으로써 역화(flashback)현상을 억제하여 연소범위를 확대시키고 안정성을 증대시킨 축대성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버너에 있어서 가스 연소방법은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곡률효과가 없는 가스유로를 통해 그대로 염공으로 분출시켜 염소시킨다. 제6도는 상기한 종래의 가스 연소방법에 의한 튜브형 버너장치(50)를 도시한 것이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가스유로와 동일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곡률효과가 배제된 형상의 염공(52)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염공(52)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는 버너내에서 어떠한 변화도 이루어지지 않고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과 압력등의 조건에 그대로 지배를 받게 된다. 이와같은 이유로, 화염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화염날림 또는 화염부상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화염의 화력정도를 결정하는 공급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야만 한다.
아울러, 종래의 버너장치(50)에서의 화염정도의 조절 및 그 사용범위는 이에 상응하는 전술한 요인들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즉, 버너에서 피어오르는 화염의 길이를 작게하기 위하여 가스의 공급유량을 줄이면 분출량 및 속도가 감소되어 역화현상이 일어나기 쉽고, 화염의 길이를 크게하기 위하여 가스의 공급유량을 증가시키면 분출량 및 속도가 커져서 화염부상 현상이 일어나며, 그 정도가 더욱 심하면 화염날림 현상이 일어나 화염은 소화되고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계속분출되어 공해문제와 가스폭발등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5도를 설명할 때 언급하기로 하고, 상기한 가스는 연소전 연료와 공기가 미리 혼합된 예혼합방식의 연소가스와 연소전 연료와 공기가 분리되어 공급되는 비예혼합방식에서의 연소가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상으로, 종래버너의 가스연소방법 및 이에 따른 버너장치에서 가스의 연소는 공급되는 조건에 따라 그대로 지배를 받기 때문에 화염부상(liftoff)과 화염날림(blowout)현상 및 역화(flashback)현상의 방지를 위해 공급가스유로에 저항을 감수하고서라도 메쉬(mash)를 설치하는 등 사용효율의 향상에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가스를 곡면을 따라 염공으로 분출하도록 하여 1) 주위의 많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혼합을 촉진하며, 또한 2) 재순환 유동장의 형성에 따라 화염부상(liftoff)과 화염날림(blowout)현상 및 역화(flashback)현상을 억제하여 버너의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더욱, 3) 염공의 면적을 조절하는 등의 가스분출 조건의 가변에 따라 역화 현상을 억제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화염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범위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작된 본 버너에서의 연소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로 공급된 연료/공기 혼합가스를 염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가스가 축대칭 곡면벽 제트의 유체공학적 특성에 기인하는 코안다(coanda)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혼합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혼합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과정은 제1과정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의 외주안내부로 안내한 후에 코어부 일측단의 곡면벽을 타고 흐르게하면서 염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켜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너부 내에 장착되는 코어부의 하측에 장착되어 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를 연소하기 까지는 가스공급공으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외주안내부와 코어부의 사이공간을 타고 염공으로 공급되어 라운딩면위를 흘러 분출된 후에 연소된다.
이때, 점화된 가스불꽃의 상태에 따라 염공의 실질적인 면적의 조절이 필요할 때에, 작업자는 작동부를 조작하여 코어부를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켜 염공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인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에 따른 버너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의 염공면적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인 버너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가스 버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성능과 종래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에 의한 연소성능을 실험, 분석, 비교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5a도는 동일한 면적의 염공을 가진 종래에 따른 버너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버너장치의 비예혼합 연소실험에서의 유속 및 연료농도에 대한 화염부상(liftoff)과 화염날림(blowout)을 측정한 결과이고,
제5b도는 예혼합 연소실험에서 당량비를 변화시키며 종래에 따른 버너장치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버너장치의 화염 안정화에 대한 특성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제5c도는 제5a도에서와 같이 동일면적의 염공에서 종래의 버너장치와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의 화염길이를 측정한 결과이고,
제5d도는 제5b도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화염길이를 측정한 결과이며,
제5e도는 비예혼합 연소실험에서 출구면적에 따른 화염날림특성을 관찰한 결과이고,
제5f도는 예혼합 연소실험에서 출구면적에 따른 화염날림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제6도는 종래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너장치 12 : 염공
14 : 외주안내부 16 : 코어부
20 : 가스공급부 24 : 가스공급공
26 : 혼합기 안정실 28 : 가이드공
30 : 작동부 32 : 지지실린더
34 : 염공 면적 조절 수단 40 : 선회수단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너의 안전성 및 안정성의 향상, 연소부하의 확장, 그리고 사용공간의 축소화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버너의 가스연소방법은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가스유로를 통해 염공으로 분출시키는 제1과정, 그리고 상기 제1과정에서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가스를 버너 내부의 가스유로를 통해 코어부 출구의 곡면벽(curved wall)을 타고 흐르게 하면서 염공에서 제트의 형태로 분출시켜 보다 많은 주위공기의 유입시키는 제2과정을 유도하여 중심축상의 일정 지점에 제트가 모아지면서 재순환 영역(recirculation zone)을 형성케하고 이를 통해 그 하류 영역에서 난류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과정에서 가스가 곡면을 따라 염공을 통해 곡면벽 제트(curved-wall jet)의 형태로 분출되면, 제트의 양측에서 낮은 압력장이 생성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자유제트(free jet)보다 많은 주위 공기의 흡입(entrainment)을 가져오게 된다. 가스의 제트 유속이 커질 수록 이러한 효과가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또한, 상기한 제트가 곡면을 따라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모아지면서 가스가 다시 염공을 향하는 재순환지역이 형성된다. 특히 예혼합 연소의 경우 화염 전파 특성으로 인해 이곳에 화염면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화염이 부상(liftoff)하거나 날림(blowout)하는 등의 현상이 억제되고, 또한 유동장에서의 난류강도 증가로 인해 활발한 연소작용으로 화염 길이도 짧게 된다.
한편, 버너의 불꽃을 소화하거나 가스의 불꽃을 작게 하려고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줄이면 역화(flashback)현상이 일어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한 역화현상은 염공의 면적 또는 가스유로의 간격이 크면 클수록 일어날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에 화염이 통과하는 실질적인 면적 또는 간격을 작게하면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를 근거로 하여 역화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화염이 분출되는 버너부의 내부 형상과 상응한 형상을 가지면서 버너부의 내부면적과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수단을 버너 내부에 끼워 장착하여 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종래 버너에서와 같은 염공면적을 훨씬 작은 간격으로 생성함으로써 상기한 역화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제1도는 상기한 본 발명인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에 따른 버너장치(10)의 일실시예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하는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염공(12)은 외주안내부(14)의 끝단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안내부(14)는 중공의 봉모양을 가지고 상기 염공(12)의 하측 내부에서는 소정의 곡률로 축대칭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주안내부(14)의 내측에는 외주안내부(14)의 내부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주안내부(14)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코어부(16)가 동일 축(Z)으로 장착되어 외주안내부(14)와의 사이에 가스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외주안내부(14)의 내벽면과 코어부(16)의 표면사이에서 가스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16)의 끝단은 반구형의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바, 이에 의해 가스가 따라 흐르는 내측 곡면이 개구된 염공(12)에서도 연속적인 곡면을 유지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분출되는 제트의 방향을 바꾸며 보다 많은 주위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염공(12)에서 분출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곡면을 따라 흐르는 가스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제트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분출축(Z)을 중심으로 모아지는데, 이경우 상기 코어부(16)의 표면으로부터의 점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부분의 가스입자는 상기 가스 제트가 모아지는 일정싯점 부위 하측에서 박리하여 재순환영역(Recirculation zone; RC)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코어부(16)는 상기 염공(12)과의 간격에 따라 실질적인 염공면적을 조절하여 가스의 흐름상태를 조절하여 능동적인 화염제어의 수단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의 염공면적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코어부(16)가 상기 제1도에서보다 하향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에 상기 염공은 그 열림정도가 커지면서 가스가 분출되는 데에 기여하는 실질적인 면적은 커지게 됨에 따라, 가스의 분출속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출되는 가스의 속도가 낮거나 유량이 작아 역화의 우려가 있을때에는 그 정도에 따라 코어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염공의 가스의 통과 면적 및 간격을 작게하고, 상기 가스의 분출속도가 크거나 하는 등의 원인으로 화염부상 또는 화염날림의 위험이 있을 때에는 코어부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염공의 가스통과면적을 크게하여 유속을 감소시킨다.
제3도는 본 발명인 버너장치의 전체 측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기한 제1도 및 제2도에서 설명한 버너장치(10)를 터잡아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버너장치(10)가 외주안내부(14)와 코어부(16)외에 가스공급부(20) 및 작동부(30)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20)는 가스공급공(24)과 연결되는 혼합기 안정실(26)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혼합기 안정실(26)의 일측(위측)에 이보다 작은 크기의 가이드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20)의 혼합기 안정실(26)과 가이드공(28)을 통해 혼합기 안정실(26)에 코어부(1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16)의 하측에 작동부(30) 하측부위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코어부(16)을 상,하로 이동시켜 염공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30)는 상기 코어부(16)의 상하이동시에 동일한 중심축을 유지하도록 지지실린더(3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실린더(32)내부에서 이동하는 코어부(16)를 작동시키는 염공 면적 조절수단(3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실린더(32)는 상기 코어부(16)가 분출축(z)을 유지하며 이동하여야 가스의 흐름에 이상이 생기지 않으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둥과 같은 긴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코어부(16)가 상,하로 수직이동시 중심을 잃지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염공 면적 조절수단(34)은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의 볼트를 사용하여 코어부(16)의 하측면에 작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염공 면적 조절수단(34)은 사용자의 편의나 상황에 따라 작동유체나 전동모터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방법등이 강구될 수 있다.
한편, 가스공급부(20)에 장착된 미설명된 부호 29는 상기 지지실린더(3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코어부(16)에 분출축(Z)을 중심으로 나선의 홈을 형성하는 선회수단(40)을 주어 가스유로를 통하여 염공(12)을 통해 분출하는 가스가 선회(swirl)하도록 하여 반경방향 운동량 생성에 다른 분출축(z) 방향의 운동량을 감소시켜 재순환 현상과 함께 화염부상과 화염날림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인 축대칭 곡면벽 제트 연소방법에 코안다(coanda)효과를 이용한 연소성능과 종래 튜브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에 의한 연소성능을 실험, 분석, 비교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5a도는 동일한 면적의 염공을 가진 종래에 따른 버너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버너장치의 비예혼합연소실험에서의 유속 및 연료농도에 대한 화염부상(liftoff)과 화염날림(blowout)을 측정한 결과이고, 제5b도는 예혼합 연소 실험에서 당량비를 변화시키며 종래에 따른 버너장치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버너장치의 화염 안정화에 대한 특성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제5c도는 제5a도에서와 같이 동일면적의 염공에서 종래의 버너장치와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의 화염길이를 측정한 결과이고, 제5d도는 제5b도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화염길이를 측정한 결과이며, 제5e도는 비예혼합연소실험에서 출구면적에 따른 화염날림특성을 관찰한 결과이고, 제5f도는 예혼합연소실험에서 출구면적에 따른 화염날림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5a도는 종래에 의한 버너장치의 염공의 면적과 본 발명에 의한 버너장치의 염공의 면적을 39.87mm2으로 같게 하여 비예혼합 연소실험에서 화염의 안정화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을 응용하여 제작된 버너장치(coanda)가 종래의 버너의 가스 연소방법에 따른 버너장치(tube)에 비하여 높은 유속에서 화염부상(L.O.)과 화염날림(B.O.)이 발생하였다. 이는 종래의 노즐제트에서의 경우에 비하여 버너의 곡벽면 제트의 효과가 수반되는 본 버너의 경우가 보다 많은 주위 공기의 흡입(entrainment)을 수반하여 연료와 산화제의 활발한 혼합을 가져오고, 또한 분출된 제트의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출구를 벗어난 직후의 유속이 일반노즐의 경우에 비해 빨리 감소하게 되는 점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제5b도는 예혼합 연소에서의 화염안정화 특성을 관찰한 실험결과이다. 이는 제5a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버너장치(coanda)가 종래에 의한 버너장치(tube)보다 높은 유속에서 화염날림(B.O.)이 발생하였으며 그 차이는 제5a도의 비예혼합연소실험에서 보다 훨씬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비예혼합 연소와는 달리 연료와 산화제가 미리 섞여있는 예혼합 연소의 경우 화염 전파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버너의 끝단부 주위에 생성된 재순환영역(recirculation zone)속에 화염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곡면 제트의 특성을 가지는 유동장의 특성 뿐 아니라 음의 속도분표를 가지는 재순환영역에 의해서도 화염안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예혼합 화염의 경우 안전성 측면에서 역화(flashback)현상이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험 결과에서 한가지 더 주목할 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버너장치(tube)의 경우 역화현상이 관축되는 데에 반해 본 발명의 버너장치(coanda)의 경우에는 역화가 일어나지 않고 바로 소염(extinction; Ext.)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보다 작은 염공의 직경으로도 동일한 출구면적을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된 버너의 기하학적 형태에 기인하고 있으며 안전성 제고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버너 출구부분의 내벽에 선회(swirl)를 가하면 반경 방향이 운동량 생성으로 인하여 축방향 운동량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화염 안정화에 보다 기여할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는 제4도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히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화염 안정화 특성의 향상(연소부하의 확장)이 다른 측면에서는 어떠한 결과를 수반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소 반응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화염길이 관점에서 본 발명이 버너장치와 종래의 버너장치를 비교해 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5c도는 제5a도와 같은 조건에서 화염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서 L.O.H는 화염 부상 높이(liftoff height)를 뜻하며, F.O.H는 화염 총 높이(Flame of Height)를 일컫는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버너장치(coanda)는 종래의 버너장치(tube)보다 10~20%정도 화염길이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d도는 제5b도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화염길이를 측정한 결과이다. 비예혼합 실험인 제5c도에서보다 화염길이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화염길이의 감소는 노즐제트가 곡면을 따라가면서 주위 공기의 흡입과 중심축상에서 마주 오는 제트와 충돌로 인한 난류강도의 향상으로 인해 연소반응이 일반 노즐제트에 비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5e도는 비예혼합 연소실에서 염공의 면적을 바꿔가면서 화염날림(B.O.)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출구면적이 감소하면서 본 발명의 버너장치(coanda)의 경우 화염날림되는 속도가 종래의 버너장치(tube)에 비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화염안정화가 뚜렷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f도는 예혼합 연소실험에서 염공의 면적을 바꿔가면서 화염날림(B.O.)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비예혼합에서와 마찬가지로 출구 면적이 감소하면서 최대화염날림속도의 증가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대 화염날림속도가 관측되는 당량비 값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인 탄화수소계열의 화염전파속도가 당량비 1.1근처에서 최대가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실험결과는 고속연소일수록 주위 공기의 흡입이 보다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화염 안정화의 원인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예혼합연소와 비예혼합 연소에 모두 영향을 끼치는 곡면을 타고 흐르는 곡면벽 제트 유동장의 특성이고, 둘째는 예혼합 연소의 경우에 특히 재순환영역의 특성으로 인한 화염보염 효과가 부가적으로 화염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 예혼합 연소의 경우가 종래기술에서의 버너장치에 비하여 화염안정화의 향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바로 이러한 원인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연소부하 확장을 통한 연소 안정성 향상과 단위 출구 면적당 연료 소모량의 증가로 인한 버너 출력의 증대.
2)화염길이의 감소로 인한 연소 소요공간의 감소.
3)예혼합연소의 경우 역화방지를 통한 연소 안전성향상.

Claims (2)

  1. 가스의 공급을 위해 중공을 형성하고 일끝단에 곡면을 형성하면서 염공을 이루는 외주안내부와; 상기 외주안내부 내에 장착되며 외주안내부의 내부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형성하고 외주안내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 상기 외주안내부와의 사이에 가스유로를 형성하고, 일측단이 곡면벽으로 이루어져 곡면벽 제트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코어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분출축을 중심으로 나선의 홈으로 선회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KR1019960040118A 1996-09-16 1996-09-16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KR10022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18A KR100225750B1 (ko) 1996-09-16 1996-09-16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18A KR100225750B1 (ko) 1996-09-16 1996-09-16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04A KR19980021304A (ko) 1998-06-25
KR100225750B1 true KR100225750B1 (ko) 1999-10-15

Family

ID=1947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118A KR100225750B1 (ko) 1996-09-16 1996-09-16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124A1 (en) 2013-12-04 2015-06-11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and material synthesis
WO2015083006A3 (en) * 2013-12-04 2015-10-29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124A1 (en) 2013-12-04 2015-06-11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and material synthesis
WO2015083006A3 (en) * 2013-12-04 2015-10-29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CN105940265A (zh) * 2013-12-04 2016-09-14 阿卜杜拉国王科技大学 用于燃烧和材料合成的设备和方法
CN105980774A (zh) * 2013-12-04 2016-09-28 阿卜杜拉国王科技大学 用于燃烧的设备和方法
JP2017503991A (ja) * 2013-12-04 2017-02-02 キング アブドゥーラ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燃焼および材料合成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7504776A (ja) * 2013-12-04 2017-02-09 キング アブドゥーラ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燃焼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3077722A4 (en) * 2013-12-04 2017-08-30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US10088152B2 (en) 2013-12-04 2018-10-02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and material synthesis
US10295178B2 (en) 2013-12-04 2019-05-21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bus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04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2913B2 (ja) 空気/燃料混合体をターボ機械燃焼室内に噴射する空気機械式システム用の発泡噴射器
JP2528894B2 (ja) ガスタ―ビン燃焼器
JP3183053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RU2153129C2 (ru) Горел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горелкой
US4587809A (en) Premixing swirling burner
JP4959620B2 (ja) 燃焼器及び燃焼器の燃料供給方法
JP3344694B2 (ja) 微粉炭燃焼バーナ
KR100537700B1 (ko) 미분탄 연소 버너 및 그에 의한 연소 방법
CN104246372B (zh) 燃烧器
JPH0587340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空気燃料混合器
JPH05231617A (ja) 低NOx短火炎バーナー
JPH08240129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燃焼器
CA1120848A (en) Apparatus for burning gases
CN106016364A (zh) 一种燃气轮机干式低污染燃烧室用单元二分旋流预混燃烧喷嘴
JPH1061916A (ja) 前混合バーナ及び該バーナを運転する方法
JPH09166326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7146697A (ja) 燃焼器及び燃焼器の燃焼空気供給方法
KR100225750B1 (ko) 축대칭 곡면벽 제트를 응용한 버너장치
KR101204457B1 (ko) 저녹스형 버너
CA1141652A (en) Blue flame burner
JPH07127817A (ja) 低NOxガス焚バーナ
JP2006242399A (ja) 燃焼装置および燃焼装置による燃焼方法
KR20120082647A (ko) 저녹스형 버너
JPH05332512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バーナ
CN202884929U (zh) 锯齿形燃气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