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737B1 -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737B1
KR100225737B1 KR1019950058477A KR19950058477A KR100225737B1 KR 100225737 B1 KR100225737 B1 KR 100225737B1 KR 1019950058477 A KR1019950058477 A KR 1019950058477A KR 19950058477 A KR19950058477 A KR 19950058477A KR 100225737 B1 KR100225737 B1 KR 10022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network
board
interfa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769A (ko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5005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737B1/ko
Publication of KR97005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6Network management, e.g. Intelligen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댁내장치, 분배장치, 전화국측 종단장치, 헤드엔드, 망 운용 감시 장치, 레벨1 게이트웨이 등과 연동하여 각 시스템들의 운용, 경보수집, 유지관리에 관련한 정보의 원활한 송·수신 및 처리를 담당하는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을 갖는 통신/영상 통합 접속 접속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광케이블TV 서비스 시스템이 Q-버스를 사용하여 가입자 선로가 직렬로 연결돼 있으므로, 한 가입자 장치가 다운될 경우 뒤의 모든 가입자 장치가 송·수신이 불가능해지고, 각 전송속도도 느렸던 것을, 주문형 비디오와 케이블TV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스위칭 허브를 사용하여 각 가입자 선로가 각각 스위칭 허브에 연결돼 있으므로 자기것만 관여하여 즉시 처리할 수 있어 전송속도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제1도는 기존 광케이블TV 망의 구성도.
제2도는 기존 광케이블TV 망에서 Q-버스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 망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 유지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Service User System)
200 : 전송 시스템(Transition System)
300 :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
10 : 가입자 정합 장치(NT : Node Termination)
20 : 분배장치(Distribution Center)
21 : 선 종단 장치(LTHK : Line Termination Hardware Block)
22 : 데이터 저장 뱅크부(DKHK : Data Storadge Bank Hardware Block)
23 : 분산공간 스위치 망(DNHK : Distribution Space Switch Network Hardwre Block)
24 : 분배장치 주 제어 프로세서부(DMHK : DC Main Control Processor Hardware Block)
25 : 유지 인터페이스부 I(MIHK I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I)
26 : 유지 인터페이스부 II-1(MIHK II-1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II-1)
27 : 유지 인터페이스부 II-2(MIHK II-2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II-2)
30 : 중심국(Central Office) 40 : 헤드엔드(Head End)
10 ' : 가입자 댁내 장치(STB : Set-Top Box)
20' : 분배장치(RT : Remote Terminal)
30' : 전화국측 종단장치(CT : Central Terminal)
40' : 헤드엔드(Head End) 50' : 비디오 서버(Video Server)
60' : 망 운용 감시장치(OAM : Operation and Management)
70' : 레벨1 게이트웨이(Level1 Gateway)
80' : 비디오 스위치(Video Switch) 1 :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2 :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NMHK : Network Management System Main Control Hardware Block)
3 : 알람부(ALHK : Alarm Hardware Block)
4 : 매니저 워크스테이션(MANAGER W/S)
5 :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NIHK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Hardware Block)
5-1 : 망 관리 인터페이스 백 보드(NIBB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Back Board)
5-2 : 직렬 입·출력 보드(SIOB : Serial Input Output Board)
5-3 : 망 관리 마스터 제어보드(NMCB : Network Management Master Control Board)
5-4 : 망 운용 이중화 제어보드(NDCB : Network Management Duplication Control Board)
6 : 유지 인터페이스부(MIHK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6-1 :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MIBB : Maintenance Interface Back Board)
6-2 :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DCCB : Data Communication Channel Board)
6-3 : 탈장 표시 수집 보드(DICB : Disconnection Indicating Collection Board)
6-4 : 유지 이중화 제어 보드(MDCB : Maintenance Duplication Control Board)
6-5 :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MMCB : Maintenance Master Control Board)
본 발명은 주문형 비디오(VOD : Video On Demand; 이하 주문형 비디오라 한다)와 케이블TV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TCP/IP 프로토콜 : 전송방식이 제어되는 내부 통신망 규약, 미국방성이 개발한 트랜스 포트층/네트워크층 상의 프로토콜; 이하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이라 한다)을 따르는 LA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한 개의 이중화된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를 가지므로 해서 정보 신호의 신뢰성을 높이고 삼만 가입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기존의 케이블TV 서비스에 광 통신을 도입한 광케이블TV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입자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정합장치(NT : Node Termination; 이하 가입자 정합장치라 한다)(10)와; 중심국(30)에서 출력한 신호를 각 가입자 정합장치로 분배하는 분배장치(DC : Distribution Center; 이하 분배장치라 한다)(20)와; 전화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 다중장치, B/2B+D 정합부 등으로 구성된 중심국(CO : Central Office; 이하 중심국이라 한다)(30)과; 동기장치, 비디오/오디오 코덱, 광 전송장치 등으로 구성된 헤드엔드(HE : Head End; 이하 헤드엔드라 한다)(40)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배장치(20)는 가입자 장치의 요구사항 또는 경보 등을 수집해서 분배장치 주 제어 프로세서부(24)로 송신하는 선 종단장치(LTHK : Line termination Hardware Block; 이하 선 종단장치라 한다)(21)와, 분배장치 주 제어 프로세서부(24)에 실시간 운용, 유지보스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 및 과금정보 등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와 카트리지 드라이브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 저장 뱅크부(DKHK : Data Storadge Bank Hardware Block; 이하 데이터 저장 뱅크부라 한다)(22)와, 분배장치 주 제어 프로세서부(24)로부터 가입자 채널 선택 신호를 받아서 입수된 프로그램을 분배하는 분산공간 스위치망(DNHK : Distribution Space Switch Network Hardware Block; 이하 분산공간 스위치 망이라 한다)(23)과, 광케이블TV망 시스템 내의 모든 하드웨어장치들을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를 통합관리 및 처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 뱅크부(22)에 저장하는 분배장치 주제어 프로세서부(DMHK : DC Nain Control Processor Hardware Block; 이하 분배장치 주제어 프로세서부라 한다)(24)와, RS-23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외부시스템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전기적 신호를 맞추어 주는 유지 인터페이스부 I(MIHK I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I; 이하 유지 인터페이스부 I라 한다)(25)과, 외부시스템의 탈장감시 정보들을 수집하여 RS-232 프로토콜로 만들어 유지 인터페이스부 I에 송신하는 유지 인터페이스부II-1(MIHK II-1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II-1; 이하 유지 인터페이스부 II-1이라 한다)(26)과, 국설간에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의 송수신을 전송시스템을 통해 D채널용 링크 액세스 프로토콜(LAP-D; 이하 D채널용 링크 액세스 프로토콜이라 한다)로 통신할 수 있게 한 뒤에 이 정보를 처리하고 다시 LAN 인터페이스에 저 레벨 접근 (LLA)프로토콜로 분배장치 주 제어 프로세서부(24)와 통신하는 유지 인터페이스부 II-2(MIHK II-2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II-2; 이하 유지 인터페이스부 II-2이라 한다)(2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의 케이블TV 서비스에 광 통신을 도입한 광케이블TV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의 분배장치 주 제어 프로세서부(24)에 선 종단 장치(21)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각 가입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n번째 선 종단장치(21)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 각 선 종단장치(21)마다 주기적으로 나누어진 자기시간에만 송수신을 해야하므로, 전송 속도가 떨어지며, 어느 보드나 버스비지상태로 다운되면 모든 보드는 송·수신이 불가능하고 연결을 최대 16개 미만으로만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케이블TV 서비스에 광 통신을 도입한 광케이블TV는 스위칭부가 따로 없어 한 개의 주제어부에 여러 프로토콜의 버스 통신이 연결되므로 프로토콜에 맞추어 새로 정립해야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해결 및 운용, 유지관리에 관련한 정보의 원활한 송·수신과 처리를 도모하기 위해 LAN인터페이스에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기본 구조로 하여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즉, 고속 가입자 신호 변환 장치인 가입자 댁내 장치(STB : Set-Top Box)와; 전화국축 종단장치에서 출력한 신호를 각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 입력하기 위한 분배장치(RT : Remote Terminal)와;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국측 종단장치(CT : Central Terminal)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공급자(SP : Servoce Provider)로 구성된 통신/영상 통합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망 운용 시스템의 구조가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고, 메세지 핸들링 서비스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횡단하여 해당 연결 포트끼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게 접속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와; 중계 시스템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LAN 인터페이스, 소형 컴퓨터시스템 정합부 인터페이스 및 TTL 레벨 인터페이스로 외부 블록과 송수신되며 신시간 운용 시스템이 탑재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NMHK : Network Management System Main Control Hardware Block)와;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 내의 경보 제어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경보상태를 가시가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람부(ALHK : Alarm Hareware Block)와; 맨 머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시스템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서버급 워크스테이션인 매니저 워크스테이션(Manager W/S)와; RS232 또는 RS422로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외부 시스템과 LAN통신을 지원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 사이에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고 LAN통신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로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드웨어블록인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NIHK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Hardware Block)와; 탈장감시에서 제공되는 TTL 레벨의 경보정보와 헤드엔드의 동작과 운용시스템 및 배분장치에 데이터 통신 제어(DCC : Data Communication Control)를 통한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고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와의 LAN 통신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로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드웨어 블록인 유지 인터페이스부(MIHK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로 구성되어, 운용 및 유지관리에 관련한 정보의 송·수신 처리를 원활히 해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100)과; 전송 시스템(200)과; 서비스 공급자(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100)은 고속 가입자 신호 변환 장치인 가입자 댁내 장치(STB : Set-Top Box; 이하 가입자 댁내 장치라 한다)(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시스템(200)은 전화국측 종단장치에서 출력한 신호를 각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 입력하기 위한 분배장치(RT : Remote Terminal; 이하 분배장치라 한다)(20')와;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국측 종단장치(CT : Central Terminal; 이하 전화국측 종단장치라 한다)(30')와; 케이블TV 서비스를 지원하는 헤드엔드(40')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비디오 서버(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화국 내부에는 상기의 전화국측 종단장치(30')와;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는 망 운용 감시장치(OAM : Operation and Management; 이하 망 운용 감시장치라 한다)(60')와;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망 지원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레벨1 게이트웨어(70') 및 다수의 비디오 서버(50')로 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화국측 종단장치(30')로 라우팅 시키는 비디오 스위치(8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망 운용 감시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 이하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이라 한다)인터페이스 모듈은, 헤드엔드(40'), 전화국측 종단장치(30'), 분배장치(20'), 가입자 댁내장치(10'), 망 운용감시장치(60') 및 레벨1 게이트웨이(70') 등과 연동하여 각 시스템들의 운용, 경보수집, 유지관리에 관련한 정보의 원활한 송수신 및 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이때, 상기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럭 구성을 보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고 메세지 핸들링 서비스에 있어서 허브는 네트워크를 횡단하여 해당 연결 포트끼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게 접속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이하 스위칭 허브라 한다)(1)와; 중계 시스템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LAN 인터페이스, 소형 컴퓨터 시스템 정합부 인터페이스 및 TTL 레벨 인터페이스로 외부 블록과 송수신되며, 실시간 운용 시스템이 탑재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NMHK : Network Management System Main Control Hareware Block; 이하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라 한다)(2)와;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내의 경조제어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경보상태를 가시가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람부(ALHK : Alarm Hardware Block; 이하 알람부라 한다)(3)와; 맨 머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시스템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서버급 워크스테이션인 매니저 워크스테이션(Manager W/S; 이하 매니저 워크스테이션이라 한다)(4)과; 외부 시스템과 LAN통신을 지원하는 망 간리 시스템 주 제어부(2)사이에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고, LAN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드웨어블록인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NIHK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Hardware Block; 이하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라 한다)(5)와; 탈장감시에 제공되는 TTL 레벨의 경보정보와 헤드엔드(40')의 동작과 망 운용 감시장치(60') 및 분배장치(20')에 데이터 통신 제어(DCC : Data Communication Control)를 통한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고,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와의 LAN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드웨어 블록인 유지 인터페이스부(MIHK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 이하 유지 인터페이스부라 한다)(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5)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5)에 마더 보드로써 망 관리 마스터 제어보드(5-3), 직렬 입·출력 보드(5-2), 망 운용 이중화 제어보드(5-4)와 같은 도우터-보드들 사이에 정보의 전기적인 안전한 송수신을 도모하여 외부 시스템과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포트들을 제공하는 망 관리 인터페이스 백 보드(NIBB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Back Board)(5-1)와; Rs-232 포트를 16채널 가지고 있으며 망 관리 인터페이스 백 보드(5-1)버스를 통해 수신된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를 RS-232 포트로 처리한 뒤에 해당 외부 시스템에 송신하고, 특정 외부 시스템에 운용, 유지보수 및 경보신호들을 수신한 후 RS-232 프로토콜로 처리하며, 이후 LAN통신을 통해서 중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직렬 입·출력 보드(SIOB : Serial Input Output Board)(5-2)와; 버스 마스터로써 버스 중개기능을 갖고 있으며 중계 시스템으로부터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를 LAN통신으로 수신하여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 뒤 LAN통신을 통해서 중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망 관리 마스터 제어보드(NMCB : Network Management Master Control Board)(5-3)와;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5)의 이중화를 위해 고안된 보드로써 주기적으로 상대방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며 에러상태가 감지되면 동작/대기 상태를 교환시키는 망 운용 이중화 제어보드(NDCB : Network Management Duplication Control Board)(5-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지 인터페이스부(6)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유지 인터페이스부에 마더 보드로써 데이터 통신 채널보드, 탈장 표시 수집 보드, 유지 이중화 제어보드,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와 같은 도우터-보드들 사이에 정보를 전기적으로 안전한 송수신을 도모하며 외부 시스템과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포트들을 제공하는 유지 인터페이스 백보드(MIBB : Maintenance Interface Back Board)(6-1)와;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버스를 통해 수신된 운용 및 유지보스 정보를 D채널용링크 액세스 프로토콜로 처리한 뒤에 해당 외부 시스템에 송신하고 특정외부 시스템에 운용, 유지보수 및 경보신호들을 수신한 뒤에 D채널용 링크 액세스 프로토콜로 처리한 뒤에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를 통해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6-5)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DCCB : Data Communication Channel Board)(6-2)와; 국설내에 있는 시스템들의 각 보드들의 탈장을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보드로써 DC전위 레벨을 수집하여 탈장 보드의 정확한 탈장위치를 메세지화한 뒤에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를 통해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6-5)로 송신하는 탈장 표시 수집 보드(DICB : Disconnection Indicating Collection Board)(6-3)와; 유지 인터페이스부(6)의 이중화를 위해 고안된 보드로써 주기적으로 상대방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며 에러 상태가 감지되면 동작/대시 상태를 스위치 시키는 유지 이중화 제어 보드(MDCB : Maintenance Duplication Control Board)(6-4)와; 버스 마스터로써 버스 중재기능을 갖고 있으며 중계 시스템으로부터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를 LAN통신으로 수신하여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 뒤에 정보를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버스를 통해 해당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6-2)에 송신하고 외부 시스템들의 운용, 유지보스 및 경보 신호들을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6-2)로부터 또는 국설 내에 외부 시스템들의 탈장신호를 수집한 탈장 표시 수집 보드(6-3)로부터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버스를 통해 수신 받아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 뒤 LAN통신을 통해서 중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MMCB : Maintenance Master Control Board)(6-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망 운용 감시 인터페이스 모듈은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은 헤드엔드(40'), 전화국측 종단장치(30'), 분배장치(20'), 댁내 가입자 장치(10') 등과 연동하여 각 장비들의 경보 및 유지관리 관련 데이터들을 처리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블럭으로, 헤드엔드(40') 및 전화국측 종단장치(30')에 존재한다.
한편, 망 운용 감시 인터페이스 모듈은 각 장치에서 입력 되어지는 경보 및 유지관리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화국 내에 존재하는 중계 시스템 블럭으로 전달하며, 경보 및 유지관리 데이터를 받은 중계블럭은 이 데이터를 백업함과 동시에 매니저인 워크스테이션으로 LAN을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데, 중계시스템에 해당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 하드웨어 블럭은 HDD 인터페이스, LAN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중화 구조를 가지고 망 운용 감시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및 매니저 워크스테이션과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이 시스템에는 실시간 운용체제가 탑재 되어지며 워크스테이션과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로 통신을 수행하는데, 처음 통신/영상 통합 접속 시스템이 세트-업(set-up)될 때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는 국설 내에 망동기, 전송 및 전화국측 종단장치(30')시스템들이 초기화 후에 채널선택 등의 운용에 관한 프로그램을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에게 요구하고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는 이들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한 뒤 세트-업되면 완료 신호를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로 보내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내에 정식등록이 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시스템 구성이 추가 및 감소될 때에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고, 유지 인터페이스부(6)는 데이터 통신 제어에 의해 헤드엔드(40') 또는 분배장치(20')와 운용 프로그램을 통신하며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와 동일하 방법으로 운용된다.
그리고, 상기 유지 인터페이스부(6)는 TTL 레벨로 탈장신호를 받아서 어느 위치에 보드가 탈장되었는지와, 데이터 통신 제어에 의해 유지 보수신호를 수집하여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5)는 RS-232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국설 내에 망 동기, 전송 및 전화국측 종단장치(30') 시스템들의 유지보수 신호들을 수집하여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로 송신하여 유지보수를 한다.
따라서, 상기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은 스위칭 허브에 외부 시스템들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특정 가입자의 시스템이 다운되어도 다른 가입자의 송·수신에는 전혀 이상이 없으며, 다른 가입자의 데이터와 상관없이 즉시 자신의 데이터만 처리하므로 전송속도가 빠르고, 프로토콜을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정하여 통신하므로 주 제어부에서 프로토콜을 새로 정합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최대 수백개 까지 연결이 가능하므로 전송 속도, 처리 속도, 신뢰성 및 확장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문형 비디오와 케이블TV의 통합 서비스에서 헤드엔드, 전화국측 종단장치, 중계장치, 가입자 댁내 장치 등과 연동하여 각 장비들의 경보 및 유지관리 관련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망 운용 시스템에서 중계 시스템에 해당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는 이중화 구조를 가지며 워크스테이션과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망 관리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과는 LAN을 통해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로 통신을 수행하므로 정보신호의 신뢰성을 높이며 효율적으로 삼만 가입자를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Claims (10)

  1.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가입자 신호 변화 장치인 가입자 댁내 장치(STB : Set-Top Box)(10')와; 전화국측 종단장치에서 출력한 신호를 각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 입력하기 위한 분배장치(RT : Remote Terminal)(20')와;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국측 종단장치(CT : Central Terminal)(30')와; 케이블TV 서비스를 지원하는 헤드엔드(40')로 노드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2. 전화국측 종단장치(30')와;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는 망 운용 감시장치(OAM : Operation and Magagement)(60')와;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망 지원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레벨1 게이트웨어(70') 및 다수의 비디오 서버(50')로 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화국측 종단장치(30')로 라우팅 시키는 비디오 스위치(80')로 구성된 전화국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산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비디오 스위치(80')에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비디오 서버(50')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4.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고 메세지 핸들링 서비스에 있어서 허브는 네트워크를 횡단하여 해당 연결 포트끼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게 접속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1)와; 중계 시스템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LAN 인터페이스, 소형 컴퓨터 시스템 정합부 인터페이스 및 TTL 레벨 인터페이스로 외부 블록과 송수신되며 실시간 운용 시스템이 탑재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NMHK : Network Management System Main Control Hardware Block)(2)와;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내의 경조제어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경보상태를 가시가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람부(ALHK : Alarm Hardware Block)(3)와; 맨 머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시스템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서버급 워크스테이션인매니저 워크스테이션(Manager W/S)(4)과; RS232 또는 RS422로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외부 시스템과 LAN통신을 지원하는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사이에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고, LAN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로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드웨어블록인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NIHK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Hardware Block)(5)와; 탈장감시에서 제공되는 TTL 레벨의 경보정보와 헤드엔드(40')의 동작과 망 운용 감시장치(60') 및 분배장치(20')에 데이터 통신 제어(DCC : Data Communication Control)를 통한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고,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와의 LAN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로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드웨어 블록인 유지 인터페이스부(MIHK : Maintenance Interface Hardware Block)(6)로 구성된 망 운용 감시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5)는 도우터-보드들 사이에서 정보의 전기적인 안전한 송수신을 도모하며, 외부 시스템과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포트들을 제공하는 마더보드인 망 관리 인터페이스 백 보드(NIBB :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Back Board)(5-1)와; RS-232포트를 16채널 가지고 있으며 망 관리 인터페이스 백 보드(5-1)버스를 통해 수신된 운용 및 유지보스 정보를 RS-232 포트로 처리한 후, 해당 외부 시스템에 송신하고 특정 외부 시스템에 운용, 유지보수 및 경보신호들을 수신하고, 이후 RS_232 프로토콜로 처리하여 LAN통신을 통해서 중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직렬 입·출력 보드(SIOB : Serial Input Output Board)(5-2)와; 버스 마스터로써 버스 중재기능을 갖고 있으며, 중계 시스템으로부터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를 LAN통신으로 수신하여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 뒤 LAN통신을 통해서 중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망 관리 미스터 제어보드(NMCB : Network Management Master Control Board)(5-3)와; 주기적으로 상대방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며 에러상태가 감지되면 동작/대기 상태를 교환시키는 망 운용 이중화 제어보드(NDCB : Network Management Duplication Control Board)(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인터페이스부(6)는 데이터 통신 채널보드, 탈장 표시 수집보드, 유지 이중화 제어보드,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와 같은 오우터-보드들 사이에 정보의 전기적인 안전한 송수신을 도모하며, 외부 시스템과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포트들을 제공하는 마더보드인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MIBB : Maintenance Interface Back Board)(6-1)와;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버스를 통해 수신된 운용 및 유지 보수 정보를 D채널용 링크 액세스 프로토콜로 처리한 뒤에 해당 외부 시스템에 송신하고, 특정 외부 시스템에 운용, 유지보수 및 경보신호들을 수신한 뒤 D채널용 링크 액세스 프로토콜로 처리하며, 이후 그 특정 외부 시스템에 운용, 유지보수 및 경보신호들을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를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DCCB : Data Communication Channel Board)(6-2)와; 국설내에 있는 시스템들의 각 보드들의 탈장을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보드로써, DC전위 레벨을 수집하여 탈장 보드의 정확한 탈장위치를 메세지화한 뒤에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를 통해 송신하는 탈장 표시 수집 보드(DICB : Disconnection Indicating Collection Board)(6-3)와; 주기적으로 상대방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며 에러 상태가 감지되면 동작/대기 상태를 스위치 시키는 유지 이중화 제어 보드(MDCB : Maintenance Duplication Control Board)(6-4)와; 버스 중재기능을 갖고 있으며 중계 시스템으로부터 운용 및 유지보수 정보를 LAN통신으로 수신하여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 뒤에 정보를 유지 인터페이스 백 보드(6-1)버스를 통해 해당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6-2)에 송신하고, 외부 시스템들의 운용, 유지보스 및 경보 신호들을 데이터 통신 채널 보드(6-2) 또는 국설 내에 외부 시스템들의 탈장신호를 수집한 탈장 표시 수집 보드(6-3)로부터 수신 받아 전송제어/인터네트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 뒤 LAN통신을 통해서 중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유지 마스터 제어 보드(MMCB : Maintenance Master Control Board)(6-5)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7.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초기에 통신/영상 통합 접속 시스템이 세트-업(set-up)될 때,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는 국설내에 망동기, 전송 및 전화국측 종단장치(30')시스템들이 초기화된 후에 채널선택 등의 운용에 관한 프로그램을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에게 요구하고, 이후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는 이들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한 뒤 세트-업되면 완료 신호를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로 보내며,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내에 정식등록이 되고, 또한 시스템 구성 외의 별도 구성이 추가 및 감소될 경우 상기 방식과 동일하게 처리하며,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유지 인터페이스부(6)는 데이터 통신 제어에 의해 헤드엔드(40') 또는 분배장치(20')와 운용 프로그랭르 통신하고,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와 동일한 방법으로 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비디오와 케이블TV의 통합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방법은, 유지 인터페이스부(6)에서 TTL 레벨로 탈장신호를 받아서 어느 위치에 보드가 탈장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데이터 통신 제어에 의해 유지보수신호를 수집하여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로 송신하고, 망 관리 인터페이스부(5)에서 RS-232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국설 내에 망 동기, 전송 및 전화국측 종단장치(30')시스템들의 유지보수 신호들을 수집하여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2)로 송신하여 유지보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비디오와 케이블TV의 통합 시스템의 운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망 운용 감시 시스템은, 스위칭 허브(1)에 외부 시스템들과 각각 연결되어 있음으로 해서 특정 가입자의 시스템 다운이 다른 가입자의 송·수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비디오와 케이블TV의 통합 접속 시스템의 운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주 제어부는, 이중화 구조를 가지고 망 운용 감시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및 매니저 워크스테이션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19950058477A 1995-12-27 1995-12-27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022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477A KR100225737B1 (ko) 1995-12-27 1995-12-27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477A KR100225737B1 (ko) 1995-12-27 1995-12-27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769A KR970057769A (ko) 1997-07-31
KR100225737B1 true KR100225737B1 (ko) 1999-10-15

Family

ID=1944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477A KR100225737B1 (ko) 1995-12-27 1995-12-27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80B1 (ko) * 1996-12-30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전송시스템의 가입자회선 시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769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290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load sharing and improving fault tolerance in an interactive video distribution system
EP0956713B1 (en) Intelligent service peripheral device
US20030135773A1 (en) Remote sensing of power supply states
CN1182700C (zh) 适用于双向通信设备的状态监控和数据处理系统
CA2518871C (en) Gateway unit
KR100285952B1 (ko) 비대칭가입자라인전송시스템의시스템유지보수장치
US748753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load sharing and improving fault tolerance in an interactive video distribution system
US20070286207A1 (en) Hybrid IP/ATM NT and method of providing hybrid IP/ATM network termination
US6058120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lecommunications components
CN1076910C (zh) 多主站监控系统
KR100225737B1 (ko) 통신/영상 서비스 통합 접속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0310546B1 (ko) 회선단으로부터멀리위치한회선그룹장치를지원하는장치및방법
US7061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mote signaling and call process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38120B1 (ko) 주문형 비디오망의 운영 방법
JP2586573B2 (ja) 回線切替装置
KR100327116B1 (ko) 통신 관리망 기반의 통합 엑세스망 관리자 시스템 및 그를이용한 엑세스망 운용관리 방법
KR100236951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망접속 서브시스템과 운용관리장치간의 호 접속 제어 방법
KR100308065B1 (ko) 전자교환기 집중운용보전 이중화 방법 및 장치
JP2839378B2 (ja) 通信装置の監視方式
KR100258239B1 (ko) 넘버 7 디바이스 분산 제어 장치
KR960016109B1 (ko) 광 케이블 종합유선방송망(catv)용 광대역 분배 서브 시스템에서의 스위치 제어 방법
JPH03234136A (ja) 冗長構成方式
KR20000046378A (ko) 전전자교환기의 개선된 프로세서간 통신장치
KR100284047B1 (ko) 소용량 교환기
JP2970604B2 (ja) 音声蓄積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