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012B1 - Dimensional storage tower - Google Patents

Dimensional storage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012B1
KR100223012B1 KR1019970007522A KR19970007522A KR100223012B1 KR 100223012 B1 KR100223012 B1 KR 100223012B1 KR 1019970007522 A KR1019970007522 A KR 1019970007522A KR 19970007522 A KR19970007522 A KR 19970007522A KR 100223012 B1 KR100223012 B1 KR 10022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pace
tray
dimension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5929A (en
Inventor
시메오 다나카
키요시 이도
켄지 고
Original Assignee
켄지 고
다이이치 기켄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019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15519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0805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3759B2/en
Application filed by 켄지 고, 다이이치 기켄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켄지 고
Publication of KR97006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9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04H6/18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car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Abstract

입체 격납 장치는 복수층으로 구획된 격납 공간 K과, 상기 격납 공간 K에 병설되고 마찬가지로 복수층으로 구획된 승강 공간 S과, 상기 승강 공간 S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리프트(17)를 구비한다. 리프트(17)는 복수의 체인(20), (26)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고 있다. 리프트 체인(26)은 리프트(17)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밸런스 체인(26)은 리프트(17)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한다. 모터(23)에 의해 리프트 체인(26)을 풀어내거나 끌어당김에 따라 리프트(17)는 승강된다.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space K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 lifting space S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K and similarl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nd a lift 17 arranged in the lifting space 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lift 17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a plurality of chains 20 and 26. The lift chain 26 supports the lift 17 to be liftable, and the balance chain 26 keeps the lift 17 substantially horizontal. The lift 17 is lifted as the lift chain 26 is released or pulled by the motor 23.

Description

입체 격납 타워Solid storage tower

본 발명은 입체 주차 장치 등과 같이 승강 가능한 리프트를 구비한 입체 격납 타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having a lift that can be elevated, such as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10도 및 제11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하로 연장된 입체 주차 장치에는 승강 공간 S와, 그 좌우 양측으로 자동차 C를 격납하기 위한 격납 공간 K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공간 S는 복수의 프레임(56)에 의해 구획되고, 격납 공간 K는 자동차 C가 놓여지는 트레이(51)에 의해 구획된다.10 and 11 show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extended vertically, the lifting space S and the storage space K for storing the automobile C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formed. The lifting space S i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frames 56, and the storage space K is partitioned by a tray 51 on which the vehicle C is placed.

트레이(51)는 자동차 C를 격납 공간 K에 대해 입출고시키기 위해, 동일 층에서 격납 공간K와 승강 공간 S 사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52)는 승강 공간 S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서 지지되고 있다. 리프트(52)는 빗살 모양의 포크(55)를 가지고, 마찬가지로 트레이(51)도 빗살 모양의 포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리프트(52)의 포크(55)와 트레이(51)의 포크는 서로 대향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서 서로 짝을 이루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 양자(51), (5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레이(51)와 리프트(52)가 승강 공간 S내에서 마주 스쳐 지나감에 따라 양자 (51), (52) 사이에서 자동차 C의 주고받음이 이루어진다.The tray 51 can move horizontally between the storage space K and the lifting space S in the same floor in order to enter and leave the automobile C with respect to the storage space K. FIG. The lift 52 is supported by being suspended up and down within the lifting space S. FIG. The lift 52 has a comb-shaped fork 55, and likewise the tray 51 has a comb-shaped fork (not shown). The forks 55 of the lift 52 and the forks of the tray 51 face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which is mutually offset by being shif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wo 51 and 52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as the tray 51 and the lift 52 cross each other in the lifting space S, the vehicle C is exchanged between the two 51 and 52.

이 입체 주차 장치는 리프트(52)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로서 윈치(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윈치(53)는 승강 공간 S의 최(最)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윈치(53)로부터 늘어뜨려진 4개의 와이어(54)가 리프트(52)의 전후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윈치(53)가 와이어(54)를 끌어당기거나 풀어내는 것에 의해 리프트(52)는 승강 공간 S내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This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winch 53 as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and moving the lift 52. As shown in FIG. The winch 53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center of the lifting space S, and four wires 54 hanging from the winch 53 are connected to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ft 52, respectively. . Therefore, the lift 52 raises or lowers inside the lifting space S by the winch 53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54.

그러나, 윈치(53)는 최상층에서 이루어지는 자동차 C의 주고받음에 간섭하지 않도록 주차 장치의 정상부라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 주차장치의 전체 높이가 높아진다.However, since the winch 5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igh position of the top part of a parking apparatus so that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exchange of the car C made in the uppermost floor,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value will become high.

여기서, 입체 주차 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4개의 와이어(54)에 대응해서 4개의 윈치를 설치하고, 각 윈치에 의해 대응하는 와이어를 끌어당기거나 풀어내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각 윈치를 승강 공간 S의 네 모퉁이에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상기 윈치를 종래의 주차 장치보다 낮게 배치할수 있고, 윈치는 최상층에서의 자동차 C의 주고받음에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윈치를 구비하는 것은 승강 기구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동시에 각 윈치를 동기해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복잡해진다.Here,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four winche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our wires 54, and the respective wires may be pulled or unrolled by the winches. In this way, each win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the lifting space S, and the said win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lower than the conventional parking apparatus, and a win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the automobile C in the uppermost floor. However, providing a plurality of winche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lifting mechanism, and at the same time, a control circuit for synchronously controlling each winch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 기구를 최대한 낮은 위치에 배치해서 높이를 줄일수 있는 입체 주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by arranging the elevating mechanism at a position as low as possibl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3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5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6도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제7도는 이동중의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in motion.

제8도는 이동후의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the tray after movement.

제9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제10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의 최상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top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11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도이다.11 is an enlarged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12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입체 격납 타워는, 복수층으로 구획된 격납 공간과, 상기 격납 공간과 나란히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복수층으로 구획된 승강 공간과, 상기 승간 공간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리프트를 구비한다. 리프트는 케이블 부재에 의해 매달려서 지지되고 있다. 케이블 부재는 리프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과, 리프트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는 제2지지 케이블을 포함한다. 입체 격납 타워는 제1지지 케이블의 실효 길이를 조절해서 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the lifting spac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torage space and similarl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nd is arranged to be elevated in the space between Equipped with a lift. The lift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a cable member. The cable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cable for supporting the lift in a liftable manner, and a second support cable for keeping the lift substantially horizontal.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is provided with the drive member which adjusts the effective length of a 1st support cable, and moves a lift up and down.

이하 제1도-제9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입체 격납 타워를 입체 주차 장치로 구체화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which actualized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of this invention with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apparatu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제1도는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상기 입체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제2도에 있어서 좌측을 주차 장치의 전방이라 하고, 우측을 주차 장치의 후방이라 한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ere, in FIG. 2, the left side is called the front of the parking apparatus, and the right side is called the rear of the parking apparatus.

제2도에서와 같이, 메인 프레임(11A-11D)은 대지의 네 모퉁이에서 각각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승강 프레임(12A-12D)은 메인 프레임(11A-11D)의 안쪽에서 마찬가지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 프레임(12A-12D)에 의해 승강 공간 S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공간의 양측에 있어서, 각 프레임(11A), (11C), (12A), (12C)가 각 프레임(11B), (11D), (12B), (12D)에 의해 각각 격납 공간 K가 구획되어 있다. 각 승강 프레임(12A-12D)은 채널 형태를 이루고, 전방의 승강 프레임(12A, 12B)과 후방의 승강 프레임(12A, 12D)은 개구부를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As in FIG. 2, the main frames 11A-11D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four corners of the earth, respectively. Four lifting frames 12A-12D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imilarly inside the main frame 11A-11D. Lifting space S is partitioned by each lifting frame 12A-12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space, each of the frames 11A, 11C, 12A, and 12C is a storage space K of each of the frames 11B, 11D, 12B, and 12D. It is partitioned. Each lifting frame 12A-12D forms a channel shape, and the front lifting frames 12A, 12B and the rear lifting frames 12A, 12D are arranged with their openings facing each other.

제1도에서와 같이, 승강 공간 S는 자동차 C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간이고, 격납 공간 K는 자동차 C를 격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격납 공간 K는 복수층(이 실시 형태에서는 5층)으로 구획된 격납실 K1을 포함한다. 승강 공간 S의 최하층에는 입출고실 F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출고실 F는 자동차 C의 출입구가 된다.As in FIG. 1, the lifting space S is a spa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automobile C, and the storing space K is a space for storing the automobile C. As shown in FIG. The storage space K contains the storage room K1 partitioned into multiple floors (5 floors in this embodiment). An entrance and exit room F is provided in the lowest floor of the elevation space S, and the entrance and exit room F becomes an entrance and exit of the automobile C.

바닥(32)은 지상과 동일 높이에 있고, 상기 바닥(32)의 좌우 양측에는 포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32 is at the same level as the ground, and forks (not shown) are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32.

제1도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도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롤러 프레임(13)은 전방측 승강 프레임(12A), (12B) 사이 및 후방측 승강 프레임(12C), (12D)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롤러 프레임(13)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제1롤러 프레임(13)은 승강 공간 S를 복수의 층으로 구획한다. 복수의 제1가이드 롤러(14)는 각 층에서 제1롤러 프레임(13)의 대향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pair of first roller frames 13,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nd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in FIG. 2, between the front lifting frame 12A, 12B and the rear side. It is provided between lifting frame 12C and 12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rst roller frames 13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roller frame 13 divides the lifting space S into a plurality of layers.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rollers 14 are rotatably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roller frame 13 in each layer.

복수의 제2 롤러 프레임(15)은 전방측 메인 프레임(11A), (11B)과 승강 프레임(12A), (12B) 사이 및 후방측 메인 프레임(11C), (11D)과 승강 프레임(12C), (12D)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전후의 제2롤러 프레임(15)은 한 쌍을 이룬다. 상기 제2 롤러 프레임(15)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제1롤러 프레임(13)과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롤러 프레임(15)은 격납 공간 K를 복수의 격납실 K1로 구획한다.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16)는 각 층의 격납실 K1에 있어서 제2 롤러 프레임(15)의 대향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 frames 15 are located between the front main frames 11A and 11B and the lifting frames 12A and 12B, and the rear main frames 11C and 11D and the lifting frames 12C. And 12D, respectively, and the front and rear second roller frames 15 form a pair. The second roller frame 15 is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roller frame 13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roller frame 15 divides the storage space K into a plurality of storage rooms K1.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rollers 16 are rotatably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roller frame 15 in the storage chamber K1 of each layer.

리프트(17)는, 프레임(12A-12D)내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18)과, 양 프레임(18)에서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18)을 행해 돌출되는 빗살 모양의 포크(19A), (19B)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32)의 포크는 각 포크(19A), (19B)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서 서로 짝을 이루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The lift 17 is a comb-shaped fork projecting through a pair of frames 18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frames 12A-12D and the frames 18 facing each other on both frames 18. It consists of 19A and 19B. The forks of the bottom 32 are arrang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y are paired with each other by shifting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orks 19A and 19B.

제6도에서와 같이, 리프트 프레임(18)은, 채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강철부재(18a),(18b)와, 상기 강철부재(18a), (18b)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33)로 이루어진다. 포크(19A)는 4개의 강철 부재로 이루어지고, 포크(19B)는 8개의 강철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 강철 부재(18a)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포크 삽입 홀(18c)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퍼(33)에도 포크 삽입 홀(33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lift frame 18 includes a pair of steel members 18a and 18b that form a channel, and a stopper 33 disposed between the steel members 18a and 18b. Is made of. The fork 19A is made of four steel members, and the fork 19B is made of eight steel members. On one side of the steel member 18a, a plurality of fork insertion holes 18c are formed. Similarly, the fork insertion hole 33a is formed in the stopper 33, too.

강철 부재(18a)의 포크(19A)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토퍼(33)를 고정시킨 후, 강철 부재(18a), (18b)를 서로 용접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포크(19A), (19B)는 각각 대응하는 포크 삽입 홀(18c)에 삽입되고, 각 포크(19A), (19B)의 선단은 강철 부재(18b)의 내면에 맞닿는다. 포크(19A), (19B)는 강철부재(18b) 및 포크삽입홀(18c)과의 용접 부분으로써 용접 고정된다. 일방의 포크(19A) 중 바깥쪽 2개는 포크 삽입 홀(33a)에 삽입되어 그 선단이 강철 부재(18b)의 내벽에 접한다. 이에 대해 포크(19A) 중 안쪽 2개는 그 선단이 스토퍼(33)에 접한다. 또, 포크(19A)중 안쪽 2개의 길이는 바깥쪽 2개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9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8)의 전단에서 후단에 걸쳐 프레임(18)내에는 포크(19A), (19B)가 진입하지 않는 삽통(揷通)공간 M이 형성된다.After fixing the stopper 3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k 19A of the steel member 18a, the steel members 18a and 18b are fixed to each other by welding. The forks 19A and 19B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fork insertion holes 18c, and the tips of the forks 19A and 19B abut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8b. The forks 19A and 19B are welded and fixed as welding parts with the steel member 18b and the fork insertion hole 18c. Outer two of one fork 19A are inserted into the fork insertion hole 33a so that its tip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steel member 18b. In contrast, the inner two of the forks 19A ar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33. Moreover, the length of the inner two of the forks 19A is set shorter than the outer two.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an insertion space M in which the forks 19A and 19B do not enter is formed in the frame 18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8.

또, 포크(19A) 중 중앙의 2개는 그 외측의 포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17)상에 자동차 C가 놓여졌을 때, 그 차륜은 약간 하강해서 포크(19A)에 의해 홀딩된다. 이와 같이 포크(19A)는 자동차 C의 차륜 정지 역할도 겸한다.Moreover, the center two of the forks 19A are arrange | positioned lower than the fork of the outer side. Accordingly, when the automobile C is placed on the lift 17, the wheel is slightly lowered and held by the fork 19A. Thus, the fork 19A also serves as a wheel stop of the automobile C. FIG.

제5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8)의 전후 양단은, 전방의 승강 프레임(12A), (12B)과 후방의 승강 프레임(12C), (12D)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17)는, 후술하는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 공간 S내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18 are inserted into the front elevating frames 12A and 12B and the rear elevating frames 12C and 12D, respectively. The said lift 17 is comprised so that elevating space S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mechanism mentioned later.

제2도에서와 같이, 자동차 C를 올려놓기 위한 각 트레이(28A), (28B)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포크 프레임(29)과, 각 포크 프레임(29)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채널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레이(28A), (28B)는 그 좌우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한 쌍을 이루는 빗살 모양의 포크(31)를 가지고 있다. 그들 포크(31)는 리프트(17)의 포크(19)와 간섭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가이드 프레임(30)의 홈이 제2가이드 롤러(16)와 끼워 맞추어짐에 따라 각 트레이(28A), (28B)는 제2 롤러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된다. 통상, 상기 트레이(28A), (28B)는 각 층의 격납실 K1에 수용되어 있고, 자동차C를 입고 또는 출고 할 때, 트레이(28A), (28B)는 제2 가이드 롤러(16) 및 제1 가이드 롤러(14)에 의해 안내되어 동일 층에서 격납실K1과 승강 공간 S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2, each tray 28A, 28B for mounting the vehicle C is fixed to a pair of fork frames 29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both ends of each fork frame 29,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a guide frame 30 in the form of a channel. In addition, the trays 28A and 28B have a pair of comb-shaped forks 31 projecting outwar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se forks 31 are shif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orks 19 of the lift 17. As the groove of the guide frame 30 is fitted with the second guide roller 16, each of the trays 28A and 28B is supported by the second roller frame 15. As shown in FIG. Usually, the trays 28A and 28B are housed in the storage room K1 of each floor, and when the car C is put in or shipped out, the trays 28A and 28B are formed of the second guide roller 16 and the first guide. 1 It is guided by the guide roller 14, and move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storage chamber K1 and the lifting space S in the same floor.

상기와 같이 각 트레이(28A), (28B)를 이동시키기 위해, 각 트레이(28A), (28B)의 가이드 프레임(30)의 상면에는 피동부로서의 체인(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인(35)은, 가이드 프레임(30)의 장축 방향(트레이(28A), (28B)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 체인(35)은 가이드 프레임(30)에 있어서 승강 공간 S 근처 부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체인(35)의 길이는 제3, 4회전체인 제1스프로킷(38)과 제2스프로킷(39)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In order to move each tray 28A, 28B as mentioned above, the chain 35 as a driven part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30 of each tray 28A, 28B. The chain 35 is provided along the major axis dir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trays 28A and 28B) of the guide frame 30. In addition, the chain 35 is not provided in the part near the lifting space S in the guide frame 30. The length of the chain 35 is set slightly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1st sprocket 38 and the 2nd sprocket 39 which are 3rd and 4 rotating bodies.

제4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베어링(36), (37)은, 각각 전후 제1 및 제2롤러 프레임(13), (15)의 상면에 위치하고 승강 프레임(12A-12D)측에 치우쳐서 각각 배설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스프로킷(38)은 제1베어링(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스프로킷(39)은 제2 베어링(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4도의 확대한 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은 그 외추측에 형성된 이(齒)(38a), (39a)가 각 트레이(28A), (28B)의 체인(35)에 맞물리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은, 트레이(28A), (28B)가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사이를 이동할 때, 항상 적어도 일방의 스프로킷(38), (39)이 체인(35)에 맞물리는 위치 관계에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36 and 37 ar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first and second roller frames 13 and 15, respectively, and the lifting frame 12A-12D side. It is excreted in bias. The pair of first sprockets 38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bearing 36. The pair of second sprockets 39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bearing 37. As shown in the enlarged circle of FIG. 4,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have teeth 38a and 39a formed on the outer side of each tray 28A,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mesh with the chain 35 of 28B.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always have at least one sprocket 38 and 39 when the trays 28A and 28B move between the storage chamber K1 and the lifting space S. FIG. It is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hich meshes with this chain 35.

제5도에서와 같이, 연동 샤프트(40)는, 전후의 각 제2롤러 프레임(15)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의 회전축 및 연동 샤프트(4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스프로킷(38b), (39b), (40a), (40b)가 고정되어 있다. 단부가 없는 형태를 이루는 구동 체인(41)은, 전방측 및 후방측 각 스프로킷(38b), (39b), (40a), (40b) 사이에 각각 감겨져 있다. 상기 체인(41)은 승강 공간 S에 진입하지 않도록 승강 프레임(12A-12D)의 바깥측에서 감겨져 있다.As in FIG. 5, the interlocking shaft 40 is rotatably supported between each front and rear second roller frame 15.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sprockets 38b, 39b, 40a, 40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al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39 and the interlocking shaft 40, respectively. It is fixed. The drive chain 41 which forms the form without an end is wound between the front sprockets 38b, 39b, 40a, and 40b, respectively. The chain 41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lifting frame 12A-12D so as not to enter the lifting space S. As shown in FIG.

제3도에서와 같이, 트레이(28A), (28B)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42A), (42B)는 브레이크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42A), (42B)는 전방측의 제2 롤러 프레임(15)에 있어서 제2 베어링(37)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 구동축에 장착된 스프로킷(42a)을 통해 전방측 구동 체인(41)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42A), (42B)의 구동에 의해 전방측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제2도)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연동 샤프트(40)를 통해 후방측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제2도)도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된다. 그 회전에 의해, 트레이(28A), (28B)는 동일 층에서의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사이를 이동한다. 장력 유지 장치(tensioner)(43)는 각 구동 체인(41)에 접하면서 그들 체인(41)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장력 유지 장치(43)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동 체인(41)의 장력은 조정 가능하다.As in FIG. 3, the motors 42A and 42B for horizontally moving the trays 28A and 28B are made of brake motors. The motors 42A and 42B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earing 37 in the second roller frame 15 on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drive chain through the sprocket 42a mounted on the drive shaft. Meshed with (41).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FIG. 2) on the front side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s 42A and 42B. Thereby, the rear 1st and 2nd sprockets 38 and 39 (FIG. 2) als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via the interlocking shaft 40, and are rotated. By the rotation, the trays 28A and 28B move between the storage chamber K1 and the elevation space S on the same floor. Tensioners 43 impart a predetermined tension to those chains 41 while contacting each drive chain 41.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ension maintaining device 43, the tension of the drive chain 41 can be adjusted.

다음으로, 리프트(17)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the lift 17 will be described.

제4도에서와 같이, 제1밸런스 케이블인 한 쌍의 밸런드 체인(20)은 승강 프레임(12A-12D) 및 프레임(18)에 감겨지는 것에 의해 승강 공간 S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서와 같이, 제1회전체인 가이드 스프로킷(21A)은 각 프레임(18)내부에 있어서 리프트(17)의 전단측인 제1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제2회전체인 가이드 스프로킷(21B)은 각 프레임(18)의 내부에 있어서 리프트(17) 후단측인 제2단부에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balance chains 20, which are the first balance cables, a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ifting space S by being wound around the lifting frames 12A-12D and the frame 18.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the guide sprocket 21A, which is the first rotating body, is rotatably disposed at the first end, which is the front end side of the lift 17, in each frame 18. As shown in Figs. The guide sprocket 21B which is a 2nd rotating body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2nd end part which is the rear end side of the lift 17 in each frame 18. As shown in FIG.

밸런스 체인(20)은 각 프레임(18)의 공간 M에 대략 수평 상태로 관통되고, 가이드 스프로킷(21A), (21B)사이에 걸쳐져 있다. 상기 밸런스 체인(20)의 후단측은 가이드 스프로킷(21B)을 경유하는 것에 의해 상승되고, 그 상단은 후방측 승강 프레임(12C), (12D)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밸런스 체인(20)의 전단측은 가이드 스프로킷(21A)을 경유하는 것에 의해 하강되고, 그 하단은 전방측 승강 프레임(12A), (12B)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balance chain 20 passes through the space M of each frame 18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and spans between the guide sprockets 21A and 21B. The rear end side of the balance chain 20 is raised by way of the guide sprocket 21B,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rear side lift frames 12C and 12D. In addition, the front end side of each balance chain 20 is lowered via the guide sprocket 21A,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ront lifting frames 12A and 12B.

제3도에서와 같이, 카운터 샤프트(22)는, 전방측 승강 프레임(12A), (12B)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승강 프레임(12B)의 상단부에 고정된 승강용 모터(23)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24)은 상기 카운터 샤프트(22)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unter shaft 22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ont lifting frames 12A and 12B, and the lifting motor 23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frame 12B. By rotatio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pair of drive sprockets 24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counter shaft 22.

제5도에서와 같이, 제1지지 케이블인 각 리프트 체인(26)은 대응하는 구동 스프로킷(24)에 감겨져 있다. 리프트 체인(26)의 일단은 리프트(17)의 전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27)가 장착되어 있다.As in FIG. 5, each lift chain 26, which is a first support cable, is wound around a corresponding drive sprocket 24. One end of the lift chain 26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lift 17, and the other end is equipped with a balance weight 27.

여기서, 밸런스 체인(20)은, 주차 장치의 높이에 가이드 스프로킷(21A), (21B) 간의 거리(가로 지르는 거리)를 더한 것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한편, 리프트 체인(26)은, 주차 장치 높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프레임(18)의 전단측이 리프트 체인(26)에 매달려 지지됨으로써, 가이드 스프로킷(21B), 밸런드 체인(20) 및 가이드 스프로킷(21A)의 연계로 상기 프레임(18)의 후단측도 전단측과 거의 같은 높이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리프트(23)는 대략 수평으로 유지된다.Here, the balance chain 20 has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parking device plus the distance (crossing distance) between the guide sprockets 21A and 21B. On the other hand, the lift chain 26 has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parking apparatus. Therefore, the front end side of the frame 18 is supported by being suspended from the lift chain 26, so that the rear end side of the frame 18 is also sheared by linkage of the guide sprocket 21B, the balance chain 20 and the guide sprocket 21A. It i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ide. The lift 23 is thus kept approximately horizontal.

상기 구성에 의해 각 트레이(28A), (28B)는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 사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트레이(28B)의 이동 동작을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ach of the trays 28A and 28B can move horizontally between the storage chamber K1 and the lifting space S. FIG. Here,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tray 28B will be described.

제2도에서와 같이, 트레인(28B)가 격납실 K1에 격납된 상태에서는, 제2스프로킷(39)만이 상기 트레이(28B)의 체인(35)에 맞물려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42B)를 제3도의 시계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그 모터(42B)에 연결된 제2스프로킷(39)은 상기 모터(42B)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제1스프로킷(38)은 구동 체인(41) 및 스프로킷(39b), (38b)을 통해 제2 스프로킷(39)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더욱이, 모터(42B)의 구동력은 연동 샤프트(40)를 통해 후방의 스프로킷(38), (39)을 구동한다. 따라서, 트레이(28B)는 맞물림 관계에 있는 제2스프로킷(39)에 의해 승강 공간 S를 향해 수평 이동된다.As in FIG. 2, in a state where the train 28B i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K1, only the second sprocket 39 is engaged with the chain 35 of the tray 28B. By driving the motor 42B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3 in this state, the second sprocket 39 connected to the motor 42B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tor 42B. Similarly, the first sprocket 38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procket 39 through the drive chain 41 and the sprockets 39b and 38b. Moreov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2B drives the sprockets 38 and 39 at the rear via the interlocking shaft 40. Therefore, the tray 28B is horizontally moved toward the lifting space S by the second sprocket 39 in the engaged relationship.

제7도에서와 같이, 트레이(28B)가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 사이의 중간 위치에 다다르면, 제1스프로킷(38)도 체인(35)에 대해 맞물려진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8B)는 양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에 의해 이동력이 부여된다. 트레이(28B)가 더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스프로킷(39)은 트레이(28B)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트레이(28B)는 제1스프로킷(38)의 회전만으로 이동된다. 트레이(28B)가 더 좌측으로 이동해서 제8도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면 트레이(28B)의 이동이 완료된다.As in FIG. 7, when the tray 28B reache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compartment K1 and the lifting space S, the first sprocket 38 is also engaged with the chain 35. Therefore, the tray 28B is given a moving force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If the tray 28B is further moved to the left, the second sprocket 39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tray 28B, so that the tray 28B is moved only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procket 38. When the tray 28B moves further left to reach the position shown in FIG. 8, the movement of the tray 28B is completed.

이 상태에서 트레이(28A)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로킷(38)은 트레이(28B)의 가이드 프레임(30)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가이드 프레임(30)상의 좌측단에는 체인(35)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8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로킷(38)은 체인(35)에 맞물리지 않는다. 이에 대해, 트레이(28A)가 승강 공간 S에 배치된 경우, 트레이(28B)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로킷(38)은 트레이(28A)의 체인(35)에 맞물리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스프로킷(38), (39)은 일방의 트레이(28A 또는 28B)의 이동에만 기여하고, 이동중인 타방의 트레이(28A 또는 28B)에는 간섭하지 않는다.In this state, the first sprocket 38 for horizontally moving the tray 28A is located on the guide frame 30 of the tray 28B. However, since the chain 35 is not provided at the left end on the guide frame 30, the first sprocket 38 for moving the tray 28A does not engage the chain 35. In contrast, when the tray 28A is disposed in the lifting space S, the first sprocket 38 for moving the tray 28B does not engage the chain 35 of the tray 28A. Therefore, the pair of sprockets 38 and 39 contribute only to the movement of one tray 28A or 28B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other tray 28A or 28B being moved.

또, 승강 공간 S에 배치된 트레이(28B)를 격납실 K1에 격납하기 위해서는 모터(42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 모터(42A)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28A)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rotate the motor 42B to a reverse direction, in order to store the tray 28B arrange | positioned in the lifting space S in the storage chamber K1. In addition, by driving the motor 42A, the tray 28A can be moved left or right.

다음으로, 리프트(17)의 승강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17 will be described.

제5도에 있어서, 모터(23)에 의해 리프트 체인(26)이 풀어내지거나 끌어 당겨짐에 따라 리프트(17)의 전단측이 적극적으로 승강되려 한다. 이 전단측의 승강 동작에, 가이드 스프로킷(21A), 밸런스 체인(20) 및 가이드 스프로킷(21B)를 통해 리프트(17)의 후단측이 연동해서 승강된다. 따라서, 리프트(17)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 프레임(12A-12D)에 안내되어 승강 공간 S내를 승강한다.In FIG. 5, as the lift chain 26 is released or pulled by the motor 23, the front end side of the lift 17 is actively raised and lowered. The rear end side of the lift 17 is moved up and down by the guide sprocket 21A, the balance chain 20, and the guide sprocket 21B in this elevating operation on the front side. Therefore, the lift 17 is guided to the elevating frame 12A-12D while maintaining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and the elevating space S is elevated.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입체 주차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C의 입고 및 출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ceipt and exit operations of the automobile C will be described.

[입고 동작][Wearing action]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자동차 C를 입체 주차 장치에 입고시키기 위해 리프트(17)를 바닥(32)의 아래쪽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 C를 입출고실 F내로 들여보내 바닥면(32)상에서 정지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리프트(17)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와 바닥(32)의 포크가 간섭하는 일없이 바닥(32) 위의 자동차 C가 리프트(17)로 포착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lift 17 is placed below the floor 32 to put the automobile C into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this state, the vehicle C is sent into the entry / exit chamber F and stopped on the bottom surface 32. By raising the lift 17 as described above, the car C on the floor 32 is captured by the lift 17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ork 19 of the lift 17 and the fork of the floor 32. .

그리고, 자동차 C를 실은 리프트(17)를 승강 공간 S내에서 상승시키고, 소정의 격납실 K1이 속하는 층보다 위쪽에서 정지시킨다. 그후, 상술한 것과 같이, 격납실 K1내의 트레이(28A), (28B)를 승강 공간 S로 이동시켜서, 트레이(28A), (28B)의 아래쪽이 리프트(17)와 겹치도록 배치한다.Then, the lift 17 on which the vehicle C is loaded is lifted in the elevation space S, and stopped above the floor to which the predetermined storage compartment K1 belongs. 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trays 28A and 28B in the storage chamber K1 are moved to the lifting space S so that the lower sides of the trays 28A and 28B overlap the lift 17.

이 상태에서 리프트(17)를 하강시켜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를 트레이(28A), (28B)의 포크(31)에 대해 비접촉 상태로 통과시킴으로서, 리프트(17)에서 트레이(28A), (28B)로 자동차 C를 주고받게 된다. 자동차 C를 받은 트레이(28A), (28B)를 격납실 K1내로 이동시킴에 따라 자동차 C는 소정의 격납실 K1내에 격납된다.In this state, the lift 17 is lowered to pass the fork 19 of the lift 17 without contact with the forks 31 of the trays 28A and 28B so that the tray 28A is lifted from the lift 17. ), Car C is exchanged with (28B). As the trays 28A and 28B receiving the car C are moved into the storage room K1, the car C i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room K1.

[출고 동작][Factory release]

한편, 자동차 C를 입체 주차 장치에서 출고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리프트(17)를 최하층에 배치한 후, 상기 자동차 C가 놓여져 있는 트레이(28A), (28B)를 승강 공간 S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17)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가 트레이(28A), (28B)의 포크(31) 사이를 통과해서 상기 트레이(28A), (28B)에서 리프트(17)로 자동차 C를 주고받게 된다. 자동차 C를 실은 리프트(17)를 그 트레이(28A), (28B)보다 상측에서 일단 정지시키고, 트레이(28A), (28B)를 격납실 K1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리프트(17)가 최하층까지 하강하면,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가 바닥(32)의 포크의 간격을 통과해서 리프트(17)에서 바닥(32)으로 자동차 C를 주고받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 C를 타고 입출고실 F에서 빼냄으로써 출고가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et the automobile C be released from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the lift 17 is first placed on the lowest floor, and then the trays 28A and 28B on which the automobile C is placed are moved to the lifting space S. By raising the lift 17 in this state, the fork 19 of the lift 17 passes between the forks 31 of the trays 28A and 28B and lifts from the trays 28A and 28B. Car C is exchanged with (17). The lift 17 carrying the automobile C is once stopped above the trays 28A and 28B, and the trays 28A and 28B are moved to the storage chamber K1. When the lift 17 descends to the lowest floor, the fork 19 of the lift 17 passes through the fork of the bottom 32 to exchange the car C from the lift 17 to the floor 32. . The delivery is completed by removing the car C from the entrance and exit room F.

이상 상술한 것과 같이, 본실시 형태에서는, 밸런스 체인(20)으로 리프트(17)를 대략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리프트(17)의 전단에 고정된 리프트 체인(26)을 끌어당기거나 풀어냄으로써 상기 리프트(17)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23)를, 최상층에서의 자동차의 주고받음에 간섭하지 않는 승강 공간 S의 측면 쪽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상층에 격납되는 자동차 C와 거의 같은 높이까지 모터(23)의 위치를 낮추어도 상기 모터(23)는 최상층의 자동차C에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체 주차 장치의 전체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출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ft chain 26 is fixed by pulling or unwinding the lift chain 26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lift 17 while keeping the lift 17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balance chain 20. 17) can be elevated. Therefore, the motor 23 can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lifting space S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the automobile in the uppermost floor. As a resul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motor 23 is lowered to almost the same height as the automobile C stored on the uppermost floor, the motor 2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utomobile C on the uppermost floor. Therefore, the overall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an be lowered than in the prior art.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모터(23)로 2개의 리프트 체인(26)을 끌어 당기거나 풀어내고 있다. 따라서 리프트(17)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승강 기구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wo lift chains 26 are pulled or pulled out by one motor 23. Therefore, the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lift 17 can be simplified, and furth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vating mechanism can be reduced.

이 실시 형태에서는, 리프트(17)에 설치되는 포크(19A), (19B)는 프레임(18)의 포크 삽입 홀(18c)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종래의 리프트에서는 복수의 포크를 부착판에 용접 고정하고, 상기 부착판을 프레임의 측면에 용접 고정했었다. 따라서, 그 프레임은 포크를 한쪽에서만 지지하게 되어, 상기 포크 및 부착판 용접시에 자동차 C의 중량을 견디는 부착 강도를 얻으려면 용접부의 용입을 충분히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포크(19A), (19B)의 단부가 강철부재(18b) 및 스토퍼(33)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그 포크(19A), (19B)의 중간 위치가 포크 삽입 홀(18c)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 부분에 그만큼의 용입을 수행하지 않아도 소정의 부착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용접방법으로도 포크(19A), (19B)의 부착 강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orks 19A and 19B provided on the lift 17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fork insertion holes 18c of the frame 18. In this connection, in the conventional lift, a plurality of forks are welded to the attachment plate and the attachment plate is welded to the side of the frame. Therefore, the frame only supported the fork on one side, and sufficient penetration of the welded portion had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obtain an attachment strength that withstands the weight of the automobile C during welding of the fork and the attachment plat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ends of the forks 19A and 19B are welded and fixed to the steel member 18b and the stopper 33,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forks 19A and 19B are fork insertion holes. (18c) It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determined bond strength without performing such penetration in the welded portion. In other words, even with the same welding method,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forks 19A and 19B can be improved than before.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포크 프레임(18)내에 스토퍼(3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8)내에 포크(19A)가 진입하지 않는 삽통 공간 M을 확보한다. 따라서, 높이가 다른 포크(19A)를 프레임(18)내에 삽입해서 고정할 수 있다. 또, 밸런스 체인(20)을 프레임(18)내의 삽통 공간 M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밸런스 체인(20)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프레임(18) 주위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승강 기구의 스페이스를 줄일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33 is provided in the fork frame 18 to secure the insertion space M in which the fork 19A does not enter the frame 18. Therefore, the forks 19A having different heights can be inserted into the frame 18 and fixed. In addition, since the balance chain 20 is fitted in the insertion space M in the frame 18, there is no need to secure a space around the frame 18 for arranging the balance chain 20, thereby reducing the space of the lifting mechanism. have.

그리고,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에서는 트레이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 제12도에 도시한 기구가 사용된다. 제12도에서와 같이, 승강 공간 S내에서 롤러 프레임(61)은 전후에 복수의 제1가이드 롤러(65)를 구비한다. 격납 공간 K내에서 롤러 프레임(62)은 전후에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6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5), (66)는 체인(68)을 통해 각각 모터(67A), (67B)에 연결되고, 각 가이드 롤러(65), (66)는 각각의 모터(67A), (67B)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In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the mechanism shown in FIG. 12 is used to horizontally move the tray. As in FIG. 12, in the lifting space S, the roller frame 61 is equipped with the some 1st guide roller 65 before and behind. In the storage space K, the roller frame 62 is equipped with the some 2nd guide roller 66 back and front.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65, 66 are connected to the motors 67A, 67B, respectively, via a chain 68, and each guide roller 65, 66 is a respective motor 67A. And 67B are driven independently.

이와 같이 종래의 주차 장치에서는, 각 층에 다수의 모터(67A), (67B)를 배치하고 있었다. 또, 횡행 트레이(63A), (63B)를 격납 공간 K와 승강 공간 S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모터(67A), (67B)의 온, 오프 및 회전 방향을 각각 제어해야 되므로 그 제어 회로가 복잡해진다.Thus, in the conventional parking apparatus, many motor 67A, 67B was arrange | positioned in each floor. In order to move the transverse trays 63A and 63B between the storage space K and the lifting space 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n, off and rotation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motors 67A and 67B, respectively, so that the control circuit It gets complicated.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28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의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을 하나의 모터(42A)로 구동하고, 트레이(28B)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의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을 하나의 모터(42B)로 구동한다. 따라서, 모터(42A), (42B)의 수를 대폭으로 줄여서 장치 전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트레이(28A), (28B)에 관한 모터(42A), (42B)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트레이(28A), (28B)는 전후 양단에서 구동되므로, 그들의 수평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and back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for moving the tray 28A are driven by one motor 42A, and the front and back for moving the tray 28B. Drive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39 with one motor 42B. Therefore, the number of motors 42A and 42B can be drastically reduced to reduce the overall cost of the apparatus, and the control of the motors 42A and 42B for the trays 28A and 28B is easy. It can be done. In addition, since the trays 28A and 28B are driven at both front and rear ends, their horizontal movements can be stably performed.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28A), (28B)의 체인(35)과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간의 맞물림 관계에 의해 상기 트레이(28A), (28B)를 수평 이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14), (16)는 프리 롤러(free rollers)여도 되며, 그만큼 롤러(14), (16)의 부착에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14), (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해서 각 롤러 프레임(13), (15)에 설치되는 홀에 대해서도 고정밀도의 가공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공에 관한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rays 28A and 28B are horizontally moved by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ins 35 of the trays 28A and 28B a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have.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14 and 16 may be free rollers, and precision is not required for the attachment of the rollers 14 and 16 by that. Similarly, high precision is also provided for the holes provided in the roller frames 13 and 15 to accommodate bearings (not shown)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14 and 16. Processing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cost concerning processing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이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42A), (42B)는 브레이크 모터로 종동(從動) 회전이 불가능하다. 트레이(28A), (28B)의 체인(35)은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중 어느 것에 항상 맞물린 상태에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로 트레이(28A), (28B)에 외력(예를 들어 지진에 의한 흔들림)이 작용한다고 해도 상기 트레이(28A), (28B)의 불필요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tors 42A and 42B cannot be driven by the brake motor. The chains 35 of the trays 28A and 28B are always in engagement with any of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Therefore, even if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earthquake shake) acts on the trays 28A and 28B for some reason, unnecessary movement of the trays 28A and 28B can be prevented.

또, 상기 실시 형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said embodiment can also be changed as follows.

상기 구동 스프로킷(24)을 각각 별개의 모터로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Each of the drive sprockets 24 may be rotationally driven by a separate motor.

이렇게 하면,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카운터 샤프트(22)를 폐지할 수도 있다. 또, 제1 스프로킷(38)과 제2 스프로킷(39)을 다른 모터로 구동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의 스프로킷(38), (39)과 후방의 스프로킷(38), (39)을 다른 모터로 구동해도 된다.In this way, the counter shaft 22 which occupies space can also be eliminated. In addition, the first sprocket 38 and the second sprocket 39 may be driven by different motors. Similarly, the front sprockets 38 and 39 and the rear sprockets 38 and 39 may be driven by another motor.

상기 체인(3)을 래크로 변경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을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나 윔 등의 기어로 변경해도 된다.The chain 3 may be changed to a rack, a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38 and 39 may be changed to a gear such as a pinion or a pin that meshes with the rack.

상기 체인(35)을 트레이(28A), (28B)의 측면측 또는 이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체인(35)을 트레이(28A), (28B)의 한 곳에만 설치할 수도, 3곳 이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레이(28A)의 체인(35)의 연장선상에 트레이(28B)의 체인(35)이 존재하지 않도록 양자의 배치 관계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chain 3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r the rear surfaces of the trays 28A and 28B. In addition, the chain 35 may be provided in only one place of the trays 28A and 28B, or may be provided in three or more places.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both can also be changed so that the chain 35 of the tray 28B may not exist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chain 35 of the tray 28A.

자동차 C를 주고받을 때, 자동차 C와 함께 트레이(28A), (28B)를 리프트(17)에 실어 각 격납실 K1과 입출고실 F사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When the car C is exchanged, the trays 28A and 28B may be loaded on the lift 17 together with the car C to move between the storage rooms K1 and the entrance / exit chamber F.

일방의 격납 공간 K를 생략하고, 승강 공간 S의 일측에만 격납 공간 K를 형성해도 된다. 자동차 C 이외의 격납물을 격납해도 된다.One storage space K may be omitted, and the storage space K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lifting space S. FIG. You may store things other than automobile C.

Claims (18)

복수층으로 구획된 격납 공간과, 상기 격납 공간에 나란히 형성된 승강 공간과, 상기 승강 공간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격납 공간의 각 층에서 정지 가능하게 한 리프트를 구비한 입체 격납 타워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2줄의 케이블 부재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고, 상기 케이블 부재는 리프트를 승강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과, 상기 리프트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하 양단을 격납 타워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시킨
Figure kpo00002
모양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케이블의 실효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구비한 입체 격납 타워.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comprising a storage spac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 lifting space formed side by side in the storage space, and a lift disposed in the lifting space so as to be liftable and stopped at each floor of the storage space. The lift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at least two rows of cable member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able member including a first support cable for supporting the lift in a liftable manner, and a top and bottom ends for maintaining the lift approximately horizontally. Secur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tainment tower
Figure kpo00002
And a second support cable arranged in a shape, the drive member moving the lift up and down by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단부에는 제1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단부에는 제2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 케이블은 상기 제1단부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한 풀어내거나 끌어당겨 실효 길이의 변경을 허용하는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 케일블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 사이에 결쳐지고, 그 양단이 각각 격납 타워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는 입체 격납 타워.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 ha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end, the first end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first rotating body, the second end The second rotating body is rotatably installed, the first support cable has a fixed end fixed to the first end, and a free end for unwinding or pulling by the drive member to change the effective length, A second support ka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tainment tower,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각 층의 격납 공간에는 격납물을 올려놓기 위한 제1 포크를 가지는 트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동일 층에 있는 격납 공간과 승강 공간 사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리프트는 격납물을 올려놓기 위한 제2 포크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포크는 일방의 이(齒) 부분이 타방의 공간 부분으로 진입해서 서로 접촉하지 않고 짝을 이루는 위치 관계에 있으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포크가 서로 통과해서 이동함으로써, 트레이와 리프트 사이에서 격납물을 주고받는 입체 격납 타워.The storage space of claim 2, wherein a storage space of each floor is provided with a tray having a first fork for placing the storage, and the tray can move horizontally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fting space on the same floor, and the lift And a second fork for placing the containmen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orks are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where one tooth part enters the other space part and is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ray is paired. And the first and second forks move through each other, thereby exchanging containment between the tray and the lif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중공(中空)형을 이루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포크는 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지지 케이블은 상기 프레임내의 공간에 끼워져 통하게 되는 입체 격납 타워.4.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ft comprises a hollow frame, the second fork is supported by the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cable is inserted into the space within the fram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 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입체 격납 타워.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fork is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the frame and is fixed to th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는 삽입된 제2포크의 단부에 맞닿는 스토퍼가 배설되고, 상기 프레임 내에서 그 스토퍼는 제2 지지 케이블을 위한 통로를 확보하는 입체 격납 타워.6.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stopper abuts against an end of the inserted second fork is disposed in the frame, wherein the stopper secures a passageway for a second support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격납 공간과 상기 승강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입체 격납 타워.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ft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는 상기 제2 지지케이블에 대해 맞물리고,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안내하는 입체 격납 타워.3.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are engaged with the second supporting cable and guide the second cabl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케이블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단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입체 격납 타워.3.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support cable extends downwardly from the first end and extends upwardly from the second e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제1포크는 격납 공간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제2포크는 승강 공간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입체 격납 타워.4.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fork installed in the tray extends outward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ork installed in the lift extends inward of the lifting space. 제3-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피동부와, 상기 승강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피동부와 결합 가능한 제3회전체와, 상기 격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피동부와 결합 가능한 제4회전체와, 상기 제3 및 제4회전체를 동시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및 제4회전체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동일 층에 있는 격납 공간과 승강 공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격납 타워.The driven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0, wherein the driven part is formed in the tray and extend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y, the third rotating body is provided in the lifting space, and is coupled to the driven part. A fourth rotating body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driven portion, and a rotating driving member for simultaneously rotating and rotating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The containment tower, by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llows the tray to move between the containment space and the elevation space on the same flo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부재는 하나의 구동원과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그 연결 부재는 상기 구동원, 상기 제3 및 제4회전체를 서로 연결하고, 그 구동원은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양 제3 및 제4 회전체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입체 격납 타워.12. The rotary drive memb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otation drive member includes a drive source and a connection member,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s the drive source,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to each other, and the drive source is positive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for rotating and driving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in the same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트레이의 제1 단부 및 제2단부의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회전체는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의 각각에 설치되는 입체 격납 타워.The three-dimensional storag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driven portion is formed at each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tray, and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are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tow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에 설치된 제3 및 제4회전체와 상기 제2단부에 설치된 제3 및 제4회전체는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은 그 전달 부재를 통해 양 제1 및 제2단부에 설치된 제3 및 제4회전체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입체 격납 타워.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provided at the first end and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provided at the second end are connected through a transmitting member, and the driving source is positively connected through the transmitting member.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ends in the same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공간은 승강 공간의 양측에 병설되고, 일방의 트레이에 대응하는 제3회전체는 타방의 트레이의 피동부에 대해 결합되지 못하는 입체 격납 타워.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space, and the third rotating body corresponding to one tray cannot be coupled to the driven portion of the other tra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의 길이는 상기 제3회전체와 상기 제4회전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긴 입체 격납 타워.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length of the driven part is slightly lon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rotating body and the fourth rotating body. 제11항에 있어서, 동일 층의 격납 공간 및 승강 공간에는 상기 트레이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피동부는 트레이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 격납 타워.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guide roller for supporting the tray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elevation space of the same floor, and the driven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r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제3 및 제4회전체에 대해 맞물리는 입체 주차 장치.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driven portion is engaged with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bodies.
KR1019970007522A 1996-03-07 1997-03-06 Dimensional storage tower KR1002230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50197 1996-03-07
JP05019696A JP3155194B2 (en) 1996-03-07 1996-03-07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JP8-050196 1996-03-07
JP08050197A JP3103759B2 (en) 1996-03-07 1996-03-07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JP8-50197 1996-03-07
JP8-50196 199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929A KR970065929A (en) 1997-10-13
KR100223012B1 true KR100223012B1 (en) 1999-10-01

Family

ID=2639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522A KR100223012B1 (en) 1996-03-07 1997-03-06 Dimensional storage tow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3012B1 (en)
TW (1) TW354348B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929A (en) 1997-10-13
TW354348B (en) 199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8955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lift
KR100223012B1 (en) Dimensional storage tower
JPH11217950A (en) Turn table equipment of parking facility
JPH0818787B2 (en) Overhead conveyor
JP3103759B2 (en)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JP2879191B2 (en) Traveling trolley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JP3062055B2 (en) Elevator for elevator-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JP4329091B2 (en) Parking device traverse drive device
JP3155194B2 (en)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JPH0447114B2 (en)
JPH1018628A (en) Feeder bearing device of multistage parking equipment
JP2004092354A (en) Parking apparatus
JP2019090292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replacement method and replacement mechanical parking device
JPH0762407B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JP2663829B2 (en)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JP2673282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JP2956329B2 (en) Automatic warehouse loading / unloading device
JP4329104B2 (en) Lifting lift structure of parking device
JP2633172B2 (en) Tray-type elevator type multi-story parking device
JPH08158688A (en) Storing system
JP2959330B2 (en) Access device
JP2972483B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JPS6114521Y2 (en)
JP2857310B2 (en) lift device
JPH09221930A (en) Park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