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477B1 -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477B1
KR100221477B1 KR1019960042633A KR19960042633A KR100221477B1 KR 100221477 B1 KR100221477 B1 KR 100221477B1 KR 1019960042633 A KR1019960042633 A KR 1019960042633A KR 19960042633 A KR19960042633 A KR 19960042633A KR 100221477 B1 KR100221477 B1 KR 10022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image
period
variab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93A (ko
Inventor
나대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4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47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Vin)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고서 공급되는 샘플링클럭에 동기되어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10)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고서 공급되는 기록클럭(WCK)에 동기되는 기록속도로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기록함과 더불어, 다수의 가변기간단위로 클럭주기가 각각 가변되는 독취클럭(RCK)을 공급받아 상기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독취하는 영상메모리수단(12), 상기 데이터변환수단(10)에 공급되는 샘플링클럭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동기클럭으로서 공급받아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으로부터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신호변환하는 데이터역변환수단(14), 상기 파노라마화면 형태로 신호변환된 영상신호에 따라 다수의 화소단위로 발생되는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AMA구동수단(16), 상기 AMA구동수단(16)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화소단위로 경사변형을 행하여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 형태를 갖는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AMA표시수단(18),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변환수단(10)에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에 기록클럭(WCK)으로서 공급하는 제 1PLL회로부(20), 상기 영상신호(Vin)의 영상주사기간(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각각 클럭주기가 가변되는 가변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에 독취클럭(RCK)으로서 공급하는 가변클럭발생수단(21), 상기 제1PLL회로부(20)으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클럭기간보다 더 좁은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역변환수단(14)에 동기클럭으로서 공급하는 제 2PLL회로부(30), 상기 영상신호(Vin)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 SYNC)를 카운팅한 결과에 따른 카운트치를 출력하는 카운터(32), 상기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가 설정된 설정데이터가 메모리된 데이터메모리수단(34) 및,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의 기록/독취동작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기록/독취인에이블신호(W ENA/R ENA)를 발생함과 더불어, 상기 카운터(32)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 SYNC)의 카운트치를 입력받고서 상기 데이터메모리수단(34)의 설정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가변기간단위마다 타이머(36)에 의해 계시동작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21)이 상기 다수의 분할된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클럭주기가 가변된 클럭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3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PANORAMA SCRE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FOR PROJECTOR}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MA(Actuated Mirror Array)를 채용하여 스크린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스크린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파노라마화면 형태로 구현시키기 위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의 표시를 위한 화상표시장치로는 CRT장치로 대표되는 직시형 화상표시장치와, LCD장치로 대표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바, 그중 직시형 화상표시장치는 R.G.B전자총으로 부터 방사되어 형광패널상에 투영되는 컬러비임의 유동거리에 의해 그 화면치수에 대한 제약이 따르게 되어 화면의 대형화가 곤란하게 되는 반면에, LCD장치는 컬러화상신호에 의해 액정의 배열상태를 가변시켜서 편광시킴에 의해 화상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그 화면에 대한 경박대형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편광패널에 대한 광손실이 발생되어 선명한 화상의 제공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현재에는 이러한 직시형 화상표시장치와 LCD장치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컬러화상신호를 R.G.B컬러성분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R.G.B신호를 컬러화상의 컬러성분을 통해 광로조절한 이후에, 투사렌즈에 의해 확대되는 상태로 스크린상에 화면표시하여 대형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위 "?프로젝터(Projector)"라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는 다수의 AMA를 채용한 AMA장치를 통해 화상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는 바, 그 AMA장치는 예컨대 640 x 480치수의 화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해 그 화소의 수에 대응하는 예컨대 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과, 그 액티브매트릭스기판상에 각 화소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 화소구동소자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신호전압에 따라 경사변형되어 입사광의 변조(즉, 광로조절)를 행하는 액츄에이터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러한 AMA부재 또는 장치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는 텔레비전과 같은 공중파방송수신/재생장치에서 수신/선국된 다수채널의 텔레비전방송신호나, 비디오테이프레코더와 같은 기록매체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비디오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수록된 영상/음성신호를 도입받아 스크린상에 화상으로서 재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그러한 다수채널중에 복수채널의 텔레비전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도입받거나 텔레비전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기록매체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도입받아 주/부영상화면을 갖는 다화면으로서 영상재생시키도록 하는 다화면재생기능(PIP(Pictuer-In-Picture)기능)을 아울러 갖추고 있고, 그 다화면에 따른 영상신호를 스크린상에 2화면으로서 구현하는 2화면재생기능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4:3모드를 갖는 영상신호를 16:9의 화면종횡비로 횡장시켜서 16:9의 화면크기를 갖는 스크린상에 구현함과 더불어, 16:9모드의 영상신호를 영상처리하여 스크린상에 구현토록 하는 와이드화면재생기능도 아울러 갖추고 있다.
한편, 종래의 통상적인 다화면재생기능이나 와이드화면재생기능을 갖춘 텔레비전과 같은 직시형 화상표시장치에서는 화상표시수단으로서 CRT(Cathode Ray Tube)가 제공되어 있는 바, CRT에 갖추어진 편향코일의 수직/수평편향조정에 의해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화상신호의 주사속도를 조절하여 그 CRT화면상에 파노라마화면이 구현되도록 함에 따라, 보다 다이나믹하고 박진감있는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AMA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경우에는 AMA패널에 갖추어진 다수의 AMA의 경사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광이 투사렌즈에 의해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의 CRT화면상에서 가능한 파노라마화면과 동일한 파노라마효과가 발생된다는 것이 어렵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AMA를 갖춘 AMA패널을 채용하여 스크린상에 화상을 재현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스크린상에 투사되는 영상신호의 데이터처리를 위한 클럭펄스의 클럭주기를 가변시킴에 의해, 데이터처리 결과에 따른 영상신호가 파노라마화면으로서 구현되도록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Vin)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고서 공급되는 샘플링클럭에 동기되어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고서 공급되는 기록클럭(WCK)에 동기되는기록속도로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기록함과 더불어, 다수의 가변기간단위로 클럭주기가 각각 가변되는 독취클럭(RCK)을 공급받아 상기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독취하는 영상메모리수단, 상기 데이터변환수단에 공급되는 샘플링클럭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동기클럭으로서 공급받아 상기 영상메모리수단으로부터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신호변환하는 데이터역변환수단, 상기 파노라마화면 형태로 신호변환된 영상신호에 따라 다수의 화소단위로 발생되는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AMA구동수단, 상기 AMA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화소단위로 경사변형을 행하여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 형태를 갖는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AMA표시수단,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변환수단에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영상메모리수단)에 기록클럭(WCK)으로서 공급하는 제 1PLL회로부, 상기 영상신호(Vin)의 영상주사기간(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각각 클럭주기가 가변되는 가변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메모리수단에 독취클럭(RCK)으로서 공급하는 가변클럭발생수단, 상기 제 1PLL회로부으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클럭기간보다 더 좁은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역변환수단에 동기클럭으로서 공급하는 제 2PLL회로부,상기 영상신호(Vin)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 SYNC)를 카운팅한 결과에 따른 카운트치를 출력하는 카운터, 상기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가 설정된 설정데이터가 메모리된 데이터메모리수단 및,상기 영상메모리수단의 기록/독취동작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기록/독취인에이블신호(W ENA/R ENA)를 발생함과 더불어, 상기 카운터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 SYNC)의 카운트치를 입력받고서 상기 데이터메모리수단의 설정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가변기간단위마다 타이머에 의해 계시동작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이 상기 다수의 분할된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클럭주기가 가변된 클럭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메모리수단에서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제 2PLL회로부로부터의 클럭펄스에 동기적으로 파형정형하여 상기 데이터역변환수단으로 출력하는 D-플립플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은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각각 발생하는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스위칭제어되어 상기 영상신호(Vin)의 각 영상주사기간(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로부터의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상기 영상메모리수단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고속스위칭되는 스위칭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의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는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따른 유효영상기간에 대해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로부터 점차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클럭주기로 가변되고, 가장 좁은간격의 클럭주기로부터 점차적으로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로 가변되어 발생되도록 한다.
또, 상기 제 1PLL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와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의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클럭주기가 가변되어 발생되는 클럭펄스는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상호 동일한 클럭펄스수로 발생되도록 분주비가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AMA를 채용하여 스크린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샘플링클럭펄스에 동기되는 클럭속도로 샘플링하고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기록클럭에 동기적으로 영상메모리에 기록하고서 다수로 분할되는 가변기간단위마다 클럭주기가 대응되게 가변되는 독취클럭에 동기적으로 영상메모리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독취하고서 그 샘플링클럭펄스의 클럭주기보다 더 좁은 클럭주기로 항상 일정하게 발생되는 동기클럭에 동기적으로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신호변환하고서, 그 신호변환된 영상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AMA패널에 갖추어진 다수의 AMA를 다수의 화소단위로 구동시킴에 의해 스크린상에 그 좌/우측의 영상영역에 따른 화상이 넓게 나타나고 중앙화면으로 갈수록 화상이 조밀하게 나타나는 파노라마화면 형태의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파노라마화면 구현을 위한 클럭펄스의 발생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이 구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DC, 12 : 영상메모리,
14 : DAC, 16 : AMA구동부,
18 : AMA패널, 20 : 제 1PLL회로부,
21 : 가변클럭발생수단, 22 : 제 1분주클럭발생부,
24 : 제 2분주클럭발생부, 26 : 제 3분주클럭발생부,
28 : 스위칭절환부, 30 : 제 2PLL회로부,
32 : 카운터, 34 : 데이터메모리,
36 : 타이머, 38 : 마이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화면구현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10은 스크린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대상으로 되는 영상신호(Vin)를 입력받고서 후술하는 제 1PLL회로부(20)로부터 발생되는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받아 그 샘플링클럭에 동기되는 샘플링속도로 상기 영상신호(Vin)를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2는 후술하는 마이컴(38)으로부터의 기록인에이블신호(W ENA)에 의해 인에이블되고서 후술하는 제 1PLL회로부(20)로부터의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CLK1)를 기록클럭(WCK)으로서 공급받아 그 기록클럭(WCk)에 동기되는 기록속도로 상기 ADC(10)에 의해 데이터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기록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마이컴(38)으로부터의 독취인에이블신호(R ENA)에 의해 인에이블되고서 후술하는 스위칭절환부(28)의 스위칭절환을 통해 공급되는 제 1∼제 3분주클럭발생부(22,24,26)에서 각각 발생되는 예컨대 5등분된 다수의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각각 클럭주기가 가변되는 클럭펄스(CLK2)를 독취클럭(RCK)으로서 공급받아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독취하는 영상라인단위로 데이터를 기록/독취하는 라인메모리로 이루어진 영상메모리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13은 상기 영상메모리(12)로부터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제 2PLL회로부(30)로부터 발생되는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의 펄스기간만큼 지연되어 파형정형을 행하는 D-플립플롭을 나타내고, 14는 상기 D-플립플롭(13)을 통해 파형정형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제 2PLL회로부(30)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샘플링클럭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CLK3)에 동기적으로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신호변환하는 DAC(Digital-Analog Converter)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16은 상기 아날로그변환된 영상신호에 의한 다수의 화소당의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구동동작하는 AMA구동부를 나타내고, 18은 상기 AMA구동부(16)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AMA가 경사변형되고서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 형태의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AMA패널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은 후술하는 마이컴(38)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인에이블(ENA)되어 상기 영상신호(Vin)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소정의 분주비로 PLL동작하여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CLK1)를 생성하여 상기 ADC(10)에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영상메모리(12)에 기록클럭(WCK)으로서 공급하는 제 1PLL회로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1는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각각 발생하는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22,24,26)와, 상기 제어수단(38)에 의해 스위칭제어되어 상기 영상신호(Vin)의 각 영상주사기간(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22,24,26)로부터의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고속스위칭되는 스위칭절환부(28)를 포함하는 가변클럭발생수단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에서 참조부호 22는 소정의 분주비에 분주되어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제 1분주클럭발생부를 나타내고, 24는 소정의 분주비에 의해 분주되어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보다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제 2분주클럭발생부를 나타내며, 26은 소정의 분주비에 의해 분주되어 상기 제 2분주클럭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제 3분주클럭발생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로 등분한 가변기간을 예컨대 5등분한 가변기간으로 설정하고, 그 5등분한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그 클럭주기가 각각 상이한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제 1∼제 3분주클럭발생부(22,24,26)를 구비하고 있지만, 파로라마화면을 보다 미세하게 화면표시하기 위해 다수로 등분한 가변기간을 5등분 이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분주클럭발생부를 3조 이상으로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참조부호 28은 후술하는 마이컴(38)에 의해 스위칭제어되어 상기 제 1∼제 3분주클럭발생부(22,24,26)로부터 발생되는 각각 클럭주기가 상이한 클럭펄스가 상기 영상신호(Vin)의 영상주사기간(H)중의 유효영상기간을 예컨대 5등분한 가변기간(T1∼T5)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고속 스위칭절환되는 스위칭절환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절환부(28)는 예컨대 5등분한 제 1∼제 5가변기간(T1∼T5)에 대응하여 각각의 클럭주기가 상이한 상기 제 1∼제 3분주클럭발생부(22,24,26)에 대해 순차적으로 고속 스위칭절환하게 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가변기간(T1)에는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로부터 발생되는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출력되도록 하고, 제 2가변기간(T2)에는 상기 제 2분주클럭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로부터의 클럭펄스의 클럭주기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펄스가 출력되도록 하며, 제 3가변기간(T3)에는 상기 제 3분주클럭발생부(26)로부터의 가장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발생되도록 하고, 제 4가변기간(T4)에 있어서는 상기 제 2분주클럭발생부(24)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가 발생되도록 하며, 제 5가변기간(T5)에 있어서는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절환부(28)를 통해 영상주사기간(H)동안 순차적으로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제 1∼제 3분주클럭발생부(22,24,26)의 각 분주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그 제 1∼제 3분주클럭발생부(22,24,26)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펄스수(1∼N)가 상기 제 1PLL회로부(20)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펄스수(1∼N)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또, 참조부호 30은 후술하는 마이컴(38)의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ENA)됨에 따라 소정의 분주비에 의해 PLL동작하여 상기 제 1PLL회로부(20)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클럭주기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CLK3)를 생성하여 상기 D-플립플롭(13)과 DAC(14)에 동기클럭으로서 공급하는 제 2PLL회로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 2PLL회로부(30)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분주클럭발생부(26)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클럭주기와 동일하게 되거나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도록 분주비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2는 상기 영상신호(Vin)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 SYNC)를 입력받아 카운팅하여 카운트치를 출력함과 더불어, 수직동기신호(V SYNC)에 의해 동작이 리세트되는 카운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34는 상기 영상신호(Vin)의 각 영상주사기간(H)에 따른 유효영상기간에 대해 분할되는 예컨대 5등분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가 설정된 설정데이터가 메모리된 데이터메모리를 나타내고, 36은 수정발진자와 같은 클럭펄스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진클럭을 통해 시간을 계시하여 타이밍클럭을 생성하는 타이머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메모리(34)에 설정된 설정데이터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Vin)가 NTSC방식의 신호포맷을 갖는 경우에, 약 63.5??S를 갖는 1영상주사기간(1H)중에 약 1.4μS의 버스트신호(Burst Signal)를 포함한 프런트포치(Front Porch)와, 약 4.8μS의 백포치(Back Porch) 및, 약 4.7μS의 수평동기펄스(H SYNC)와 같은 약 10.7μS +7, -2를 갖는 수평블랭킹기간을 제외한 약 52.8μS -7,+2의 유효영상기간을 예컨대 5등분한 가변기간단위(즉, 각 가변기간단위가 약 10.56??S -1.4,+0.4)가 설정되어 있도록 한다.
또, 참조부호 38은 상기 영상메모리(12)에 영상데이터의 기록/독취를 위한 기록/독취인에이블신호(W ENA/R ENA)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카운터(32)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 SYNC)에 대한 카운트치를 입력받을 때마다 상기 데이터메모리(34)의 설정데이터에 의거하여 예컨대 5등분된 가변기간단위를 상기 타이머(36)의 계시동작을 통해 인식하고서 상기 스위칭절환부(28)를 그 5등분된 가변시간단위에 대응하여 고속 스위칭제어하는 마이컴을 나타낸다.
이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ADC(10)에 의해 일정한 샘플링속도로 샘플링된 영상신호(Vin)가 영상메모리(12)에 일정한 기록속도로 기록되고 나서, 예컨대 5등분된 가변기간에 대응하는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독취클럭(RCK)에 의해 가변되는 독취속도로 기록된 영상데이터가 독취되면, D-플립플롭(13)을 매개로 DAC(14)에서 상기 ADC(10)에 공급되는 샘플링클럭보다 더 좁은 클럭주기를 갖는 동기클럭에 동기적으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함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좌/우측의 영상영역에 따른 화상이 넓게 나타나고 중앙의 영상영역으로 갈수록 화상이 조밀하게 나타나는 파노라마화면이 형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AMA를 채용하여 스크린상에 투사형의 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그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 1PLL회로부(20)에서는 마이컴(38)의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ENA)되어 항상 일정한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CLK1)를 발생하게 되고, ADC(10)는 상기 제 1PLL회로부(20)로부터의 클럭펄스를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받아서 입력되는 영상신호(Vin)를 그 샘플링클럭에 동기되는 샘플링속도로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
그 다음에, 영상메모리(12)에서는 마이컴(38)으로부터의 기록인에이블신호(W ENA)에 의해 기록동작이 인에이블되고서 상기 제 1PLL회로부(20)로부터의 클럭펄스를 기록클럭(WCK)으로서 공급받아 일정한 기록속도로 상기 데이터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마이컴(38)은 카운터(32)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 SYNC)를 카운팅한 카운트치를 입력받을 때마다 상기 데이터메모리(34)의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예컨대 5등분된 가변기간단위별로 타이머(36)의 계시동작을 통해 인식하고서 스위칭절환부(28)를 그 5등분된 가변기간에 대응하게 고속 스위치절환되도록 스위칭제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절환부(28)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제 1가변기간(T1)에서는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로부터 발생되는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출력되도록 하고, 제 2가변기간(T2)에는 상기 제 2분주클럭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로부터의 클럭펄스의 클럭주기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펄스가 출력되도록 하며, 제 3가변기간(T3)에는 상기 제 3분주클럭발생부(26)로부터의 가장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발생되도록 하는 한편, 제 4가변기간(T4)에는 다시 상기 제 2분주클럭발생부(24)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가 발생되도록 하고, 제 5가변기간(T5)에는 다시 상기 제 1분주클럭발생부(22)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가 발생되도록 고속으로 스위칭절환한다.
한편, 상기 영상메모리(12)는 상기 마이컴(38)으로부터의 독취인에이블신호(R ENA)를 입력받아 독취동작이 인에이블되고서 상기 스위칭절환부(28)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각각 클럭주기가 예컨대 5등분된 가변기간(T1∼T5)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클럭펄스(CLK2)를 독취클럭(RCK)으로서 공급받아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가변된 독취속도로 독취하게 된다.
그 다음에, D-플립플롭(13)에서는 상기 영상메모리(12)로부터 독취속도가 가변되어 독취되는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 2PLL회로부(30)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에 동기되어 파형정형동작을 행하게 되는 바, 상기 제 2PLL회로부(30)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CLK3)는 상기 ADC(10)에 공급되는 샘플링클럭의 클럭주기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즉, 상기 제 3분주클럭발생부(26)에서 발생되는 가장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와 동일하거나 더 좁은 클럭주기)를 갖도록 한다.
그에 따라, DAC(14)에서는 상기 D-플립플롭(13)을 매개로 입력받은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 2PLL회로부(30)로부터의 클럭펄스에 동기적으로 조밀하게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AMA구동부(16)에서는 상기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에 의한 다수의 화소당의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AMA패널(18)에 갖추어진 다수의 AMA를 경사변형시키도록 구동됨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영상영역에 형성되는 화상이 정상적인 화상보다 넓게 나타나고 중앙의 영상영역으로 갈수록 정상적인 화상보다 조밀한 화상이 나타나는 파노라마화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AMA를 채용하여 스크린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영상메모리에 메모리된 영상신호에 대한 독취속도의 가변과 아날로그변환을 조밀한 클럭펄스에 동기적으로 행함에 의해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크린상에 형성되는 투사형 화상을 보다 웅장하고 박진감있게 화면표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시청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5)

  1. 입력되는 영상신호(Vin)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고서 공급되는 샘플링클럭에 동기되어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10)과,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고서 공급되는 기록클럭(WCK)에 동기되는 기록속도로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기록함과 더불어, 다수의 가변기간단위로 클럭주기가 각각 가변되는 독취클럭(RCK)을 공급받아 상기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독취하는 영상메모리수단(12),
    상기 데이터변환수단(10)에 공급되는 샘플링클럭보다 더 좁은 간격의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동기클럭으로서 공급받아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으로부터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신호변환하는 데이터역변환수단(14),
    상기 파노라마화면 형태로 신호변환된 영상신호에 따라 다수의 화소단위로 발생되는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AMA구동수단(16),
    상기 AMA구동수단(16)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화소단위로 경사변형을 행하여 스크린상에 파노라마화면 형태를 갖는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AMA표시수단(18),
    항상 일정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변환수단(10)에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에 기록클럭(WCK)으로서 공급하는 제 1PLL회로부(20),
    상기 영상신호(Vin)의 영상주사기간(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각각 클럭주기가 가변되는 가변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영상메모리수단(12)에 독취클럭(RCK)으로서 공급하는 가변클럭발생수단(21),
    상기 제 1PLL회로부(20)으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의 클럭기간보다 더 좁은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역변환수단(14)에 동기클럭으로서 공급하는 제 2PLL회로부(30),
    상기 영상신호(Vin)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 SYNC)를 카운팅한 결과에 따른 카운트치를 출력하는 카운터(32),
    상기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가 설정된 설정데이터가 메모리된 데이터메모리수단(34) 및,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의 기록/독취동작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기록/독취인에이블신호(W ENA/R ENA)를 발생함과 더불어, 상기 카운터(32)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 SYNC)의 카운트치를 입력받고서 상기 데이터메모리수단(34)의 설정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가변기간단위마다 타이머(36)에 의해 계시동작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21)이 상기 다수의 분할된 가변기간에 대응하여 클럭주기가 가변된 클럭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3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에서 독취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제 2PLL회로부(30)로부터의 클럭펄스에 동기적으로 파형정형하여 상기 데이터역변환수단(14)으로 출력하는 D-플립플롭(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21)은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를 각각 발생하는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22,24,26)와, 상기 제어수단(38)에 의해 스위칭제어되어 상기 영상신호(Vin)의 각 영상주사기간(H)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가변기간단위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22,24,26)로부터의 각각 상이한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펄스가 상기 영상메모리수단(12)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고속스위칭되는 스위칭절환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21)의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22,24,26)에서 발생되는 클럭펄스(CLK2)는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따른 유효영상기간에 대해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로부터 점차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클럭주기로 가변되고, 가장 좁은간격의 클럭주기로부터 점차적으로 가장 넓은 간격의 클럭주기로 가변되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PLL회로부(20)로부터 발생되는 클럭펄스(CLK1)와 상기 가변클럭발생수단(21)의 다수의 분주클럭발생부(22,24,26)로부터 순차적으로 클럭주기가 가변되어 발생되는 클럭펄스(CLK2)는 영상신호(Vin)의 1영상주사기간(1H)에 대해 상호 동일한 클럭펄스수로 발생되도록 분주비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구현장치.
KR1019960042633A 1996-09-25 1996-09-25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KR10022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33A KR100221477B1 (ko) 1996-09-25 1996-09-25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33A KR100221477B1 (ko) 1996-09-25 1996-09-25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93A KR19980023193A (ko) 1998-07-06
KR100221477B1 true KR100221477B1 (ko) 1999-09-15

Family

ID=1947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33A KR100221477B1 (ko) 1996-09-25 1996-09-25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4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93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857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at different rates
US5166801A (en) Large size display apparatus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JPS60263139A (ja) 画像記録装置
KR100221477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KR10019294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변환장치
KR10022147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배속변환장치
KR100200129B1 (ko) 영상재생시스템의 2화면재생시 화면위치변환장치
KR10019294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순차주사변환장치
KR100252619B1 (ko) 배속컨버터를이용한순차주사방식의고화질전광판장치
KR100203584B1 (ko) 프로젝터의 영상데이터처리장치
KR100192947B1 (ko) 프로젝터의 와이드화면재생장치
KR100239073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상구동장치 확장구조및 화면비 가변재생장치
KR100250679B1 (ko) 프로젝터의 순차주사변환장치
KR100239072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상구동장치 확장구조 및 화면비 가변재생장치
EP0568320B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KR950006760B1 (ko)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KR10018820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외부영상 재생처리장치
KR100280848B1 (ko) 비디오 주사방식 변환회로
JP2548017B2 (ja) 倍速変換装置
KR960001739B1 (ko)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JP2708986B2 (ja) 多画面表示装置
KR100216916B1 (ko) 의사 수평/수직동기신호 발생회로
JPH09258697A (ja) 走査線変換回路
JPH0431892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
JPH05143040A (ja) 映像合成方法および外部同期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