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60B1 -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60B1
KR950006760B1 KR1019880010706A KR880010706A KR950006760B1 KR 950006760 B1 KR950006760 B1 KR 950006760B1 KR 1019880010706 A KR1019880010706 A KR 1019880010706A KR 880010706 A KR880010706 A KR 880010706A KR 950006760 B1 KR950006760 B1 KR 95000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signal
image data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188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60B1/ko
Publication of KR90000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제1도는 통상의 PIP화면 발생회로.
제2도는 통상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상태도.
제3도는 단일의 필드메모리 사용시의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상태도.
제4도는 4개의 필드메모리로 구성된 메모리부(110)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의 상세회로도.
제6, 7도는 제5도의 각 부분에 대한 타이밍도.
제8, 9도는 본 발명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204 : 제1-4필드메모리 107 : 클럭발생부
100 : 마이콤 108 : A-D변환기
111 : D-A변환기 109 : 데이터제어부
SW1,2 : 제1, 2스위치
본 발명은 픽츄어인픽추인(Picture In Picture : 이하 PIP라함) 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자화면을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PIP기능은 단일의 캐소드-레이-튜브(Cathod-Ray-Tube : 이하 CRT라함)을 통해 하나의 모화면과 상기 모화면중의 일부구간에 할당되는 자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방송용 영상처리기기에 사용되기 시작하여 최근 인테그레이티드 서키드(Integrated Circuit)의 집적도 향상에 의해 민생용 영상기기인 텔리비젼(Telvision)이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Video Tape Recorder : 이하 VTR이라함)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상기 통상의 PIP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의 한예로서 제1도와 같이 구성된 텔리비젼회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튜너 및 중간주파 증폭부(101) 및 음성증폭부(102), 스피커(SP), 신호스위칭부(103), 영상신호처리 및 동기분리 편향부(105), 고압발생 및 편향부(106), CRT드라이버(113), CRT(114)등으로 구성된 부분은 통상의 영상처리회로 구성으로 안테나를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전파되어진 방송신호들중 선택입력하여 중간주파증폭 함으로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음성증폭부(102) 및 신호스위칭부(103)로 출력한다.
그러면 신호스위칭부(103)는 상기 튜너 및 중간주파 증폭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나 외부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처리 및 동기분리 편향부(105)와 동기분리 및 영상신호처리부(104)로 출력한다.
이때 영상신호처리 및 동기분리 편향부(105)는 영상신호를 모화면 동기신호와 모화면 색차신호와 휘도신호 형태로 분리하여 모화면 동기신호는 고압발생 및 편향부 (106)와 클럭발생부(107)로 그리고 모화면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는 신호스위칭 조합부(112)를 통해 CRT드라이버(113)로 출력한다.
그러면 고압발생 및 편향부(106)은 상기 모화면 동기신호에 의해 CRT(114)의 전자빔을 조절하고 CRT드라이버(113)는 전자빔의 발생을 조절함으로서 CRT상에 영상신호의 화상은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동기분리 및 영상신호처리부(104)와 클럭발생부(107), 아날로그-디지탈(Analog-Digital : 이하 A-D라함) 변환기(108), 데이터 제어부(109), 메모리부(110), 디지탈-아날로그(Digital-Analog : 이하 DA라함) 변환기(111), 신호스위칭 조합부(112)로 구성되는 부분은 모화면의 일부구간에 할당되는 자화면을 발생시키는 자화면 발생회로로서 동기분리 및 영상신호 처리부(104)는 영상신호를 자화면 동기신호와 자화면 색차신호와 휘도신호 형태로 분리하여 자화면 동기신호는 클럭발생부(107)로 그리고 자화면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는 A-D변환부(108)로 출력한다.
이때 A-D변환기(108)은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클럭펄스에 의해 상기 자화면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제어부(10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지탈신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제어부(109)는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자화면 동기신호에 의해 메모리부(110)에 상기 디지탈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모화면의 동기신호에 의해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진 디지탈 데이터를 독출하여 D-A변환부(11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부(109)로부터 디지탈 데이터를 입력하는 D-A변환부(111)는 상기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스위칭 조합부(112)로 출력한다. 그러면 신호스위칭 조합부(112)는 데이터 제어부(109)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D-A변환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처리 및 동기분리 편향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로 구성하는 영상신호의 일부구간에 할당함으로서 PIP화면을 조합한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CRT드라이버(113)로 출력화면 CRT드라이버(113)은 상기 색차신호와 휘도신호에 의해 CRT(114)의 전빔을 조절하여 PIP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PIP화면 발생회로를 통해 하나의 자화면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개의 필드메모리(Field Memory)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PIP화면 중 자화면의 수직해상도(Vertical Resalution)이 나빠지게 된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비월주사 방식은 제2a도와 1펄드의 화면과 제2b도와 같은 2필드의 화면이 합쳐져 제2c도와 한장의 완전한 화면 즉 1프레임(Frame)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필드화면과 2필드화면에는 수직동기신호가 약간의 차이를 갖도록 되어 있어 이로인하여 제3a도와 같이 1필드의 모화면중 2필드의 자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b도와 같이 모화면중 1필드의 자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제3c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화면의 필드가 서로 뒤바뀌어 디스플레이 됨으로서 PIP화면중자화면의 수직해상도가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수직해상도를 개선하기 위해 4개의 필드메모리로 메모리부(110)를 제4도와 같이 구성하여 최적의 해상도를 갖는 PIP화면을 실현하는 방법이 출현되었는데 이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 3필드메모리(201, 203)은 1필드의 디지탈신호 저장용으로 그리고 제2, 4필드메모리(202, 204)는 2필드의 디지탈신호 저장용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제어부(109)는 자화면에 대한 디지탈신호를 필드에 따라 제1, 2필드 메모리(201, 202)에 저장하면서 제3, 4필드메모리(203, 204)에 저장된 디지탈신호를 독출하여 D-A변환부(111)로 출력하고 반대로 자화면에 대한 디지탈신호를 필드에 따라 제3, 4필드메모리(203, 204)에 저장하면서 제1, 2필드메모리(201, 202)에 저장되어진 디지탈신호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D-A변환부(111)로 출력함으로서 자화면이 필드화면이 서로 뒤바뀌지 않도록 함으로서 수직해상도를 개선하였다.
그러나 4개의 필드메모리를 사용하면서 단하나의 자화면을 구성하였을뿐 2개이상의 자화면은 구성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IP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필드메모리의 수에 해당하는 자화면을 발생할 수 있을 멀티자화면 발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110)와 데이터 제어부(109)간의 상세회로도로서, 메모리부(110)는 제4도의 메모리들과 같이 동일용량의 메모리들로 동일부호로 표시하였으며 데이터 제어부(109)는 제1도에서 와는 달리 마이콤(100)으로부터 인가되는 자화면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스위칭 제어신호와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제1-4필드메모리(201-204)를 각각 억세스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으며
제6도는 2개의 자화면 실현시 제5도에 대한 타이밍도로서,
제6도중 MVSYN은 주화면의 수직동기신호이고,
SWCS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이며,
MHSYN은 주화면의 수평동기신호이고,
SRDS는 필드메모리 독출 타이밍도이며,
SVSYN은 자화면의 수직동기신호이고,
SFSWC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이며,
제7도는 4개의 자화면 실현시 제5도에 대한 타이밍도로서
MVSYN은 주화면의 수직동기신호이고,
MHSYN은 주화면의 수평동기신호이고,
SVSYN은 자화면의 수직동기신호이고,
FSWC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이며,
FRDS는 필드메모리 독출 타이밍도이고,
FFSWCS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이며,
제8도는 두개의 자화면 실현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상태도이고,
제9도는 4개의 자화면 실현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상태도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5-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두개의 자화면을 CRT상에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경우를 설명하면 데이터 제어부(109)는 마이콤(100)으로부터 인가되는 두개의 자화면을 실현하라는 자화면수 제어신호에 의해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6도 SVSYN와 같은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중 첫번째 자화면의 수직동기신호의 끝부분부터 두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 끝부분까지의 기간동안 제1스위치(SW1)를 제1필드메모리(201)의 입력포트에 접속하고 두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끝부분부터는 계속해서 제2필드메모리(202)에 제1스위치(SW1)를 접속하도록 제6도 SFSWC와 같은 제1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1스위치(SW1)를 제어하면서 첫번째 자화면 수직주사 기간동안 A-D변환부(10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제1필드메모리(201)에 저장한 다음 두번째 자화면 수직주사 기간부터는 제2필드메모리(202)에 A-D변환부(10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계속 저장한다.
그리고 한편으로 데이터 제어부(109)는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6도 MVSYN와 같은 주화면 수직동기신호의 수직주사 기간중 일부구간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즉 제6도 SRDS중 펄스기간 동안에 클럭 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6도 MHSYN와 같은 주화면 수평동기신호 사이의 수평주사 기간중 일부구간씩을 점유하는 2개의 필드메모리 독출구간을 갖는 제6도 SWCS와 같이 제2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스위치 제어신호중 기수번째 펄스기간 중에는 제2스위치(SW2)를 제1필드메모리(201)의 출력포트에 접속시키고 우수번째 펄스기간 중에는 제2스위치(SW2)를 제2필드메모리(202)에 접속시킴으로서 제1 및 제2필드메모리(201, 202)에 저장되어진 디지탈신호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D-A변환부(111)로 출력한다.
데이터 제어부(109)가 상기와 같이 제1,2필드메모리(201, 202)를 억세스하여 디지탈신호를 D-A변환부(111)로 출력하게 되면 CRT(114)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PIP화상은 제8도와 같이 되는데 제8도중 S1-S6는 제6도중 t1-t6에 의해 결정된 변위로서 제6도중 t1-t6를 조절함으로써 변위 S1-S6도 조절할 수 있으며 제8도중 정지화면과 유동화면의 위치는 저장하는 순서를 바꿈으로 서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로 4개의 자화면을 CRT(114)상에 디스플레이 할 경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컴(100)으로부터 4개의 자화면을 실현하라는 자화면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제어부(109)는 상기 자화면수 제어신호에 의해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7도 SVSYN와 같은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중 첫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라이징 엣지시부터 두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라이징 엣지시까지 제1스위치(SW1)를 제1필드메모리(201)의 입력포트를 접속하고 두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라이징 엣지부터 세번째 라이징 엣지까지는 제1스위칭(SW1)를 제2필드메모리(202)의 입력포트에 접속하며 세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라이징 엣지부터 네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라이징 엣지까지는 제1스위치(SW1)를 제3필드메모리(203)의 입력포트로 접속하고 네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의 라이징 엣지부터는 계속 제1스위치(SW1)를 제4필드메모리(204)에 접속되도록 제7도 FFSWC와 같은 제1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1스위치(SW1)를 제어하면서 첫번째 자화면 수직주사 기간동안에는 A-D변환부(10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제1필드메모리(201)에 저장하고 두번째 자화면 수직주사 기간동안은 A-D변환부(10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제2필드메모리(202)에 저장하며 세번째 자화면 수직주사 기간동안에는 A-D변환부(10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제3필드메로리(203)에 저장하고 네번째 자화면 수직주사기간부터는 A-D변환부(10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제4필드메모리(204)에 계속 저장한다.
그리고 한편으로 데이터 제어부(109)는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7도 MVSYN와 같은 주화면 수직동기의 수직주사 기간중 일부구간에 해당하는 두개의 메로리 독출기간을 제7도 FRDS와 같이 설정한 다음 기수번째 펄스기간에 해당하는 동안에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7도 MHSYN와 같은 주화면 수평동기신호 사이의 수평주사 기간중 일부구간씩 점유하는 2개의 필드메모리 독출기간을 갖는 제7도 FSWCS와 같은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스위치 제어신호중 기수번째 펄스기간 중에는 제2스위치(SW2)를 제1필드메모리(201)의 출력포트에 접속시키고 우수번째 펄스기간 중에는 제2스위치(SW2)를 제2필드메모리(202)의 출력포트에 접속시킴으로서 제1 및 제2필드메모리(201, 202)에 저장되어진 디지탈신호를 순차적으로 반복독출하여 A-D변환부(111)로 출력하고, 상기 제7도 FRDS중 우수번째 펄스기간에 해당하는 동안에도 클럭발생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7도 MHSYN와 같은 주화면 수평동기 사이의 수평주사 기간중 일부구간씩 점유하는 2개의 필드메모리 독출기간을 갖는 제7도 FSWCS와 같은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스위칭 제어신호중 기수번째 펄스기간 중에는 제2스위치(SW2)를 제3필드메모리(203)의 출력포트에 접속시키고 우수번째 펄스기간중에 제2스위치(SW2)를 제4필드메모리(204)의 출력포트에 접속시킴으로 제3 및 제4필드메모리(204)에 저장되어진 디지탈신호를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독출하여 D-A변환부(111)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데어터 제어부(109)가 제1-4필드메모리(201-204)를 억세스하여 디지탈신호를 D-A변환부(111)로 출력함으로서 CRT(114)상에는 제9도와 같은 PIP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제9도중 S1-S8는 제7도중 t1-t8에 의해 결정된 변위로서 제7도중 t1-t8을 조절함으로서 변조 S1-S8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9도중 유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위치를 필드메모리의 저장순서를 바꿈으로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자화면의 화상특성은 튜너를 조절하면서 채널에 따른 영상정보를 순차적으로 필드메모리에 저장하면 달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스위치(SW1,SW2)는 다수의 스위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명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드메모리들의 저장타이밍 및 독출타이밍을 조절함으로서 다수의 자화면을 발생할 수 있는 잇점과 자화면에 따른 화상특성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시청자들에게 편리함 및 고기능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4개의 필드메모리를 구비한 PIP화상처리장치의 PIP화면 발생방법에 있어서, 자화면 발생수에 따라 자화면 발생수-1개의 자화면 수직동기신호 동안 자화면 발생부-1개의 필드메모리들에 각각 다른 자화면을 구성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자화면 발생수 다음번째 자화면 수직동기신호부터 유동하는 자화면을 구성하는 화상데이터를 나머지 필드메로리에 저장하는 자화면 화상테이터 저장과정과, 상기 자화면 화상데이터 저장과정으로부터 필드메로리들에 저장되어진 화상데이터를 주화면의 수직주사 기간동안 자화면 발생수/2개의 수직윈도우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수직윈도우 기간중의 수평주사 기간동안 제1, 2평윈도우 기간을 설정한 다음 상기 수평윈도우 기간동안에 해당 필드메로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독출하여 D-A변환기로 출력하는 화상데이터 리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자화면 발생방법.
KR1019880010706A 1988-08-23 1988-08-23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KR95000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706A KR950006760B1 (ko) 1988-08-23 1988-08-23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706A KR950006760B1 (ko) 1988-08-23 1988-08-23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88A KR900004188A (ko) 1990-03-27
KR950006760B1 true KR950006760B1 (ko) 1995-06-22

Family

ID=1927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706A KR950006760B1 (ko) 1988-08-23 1988-08-23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88A (ko) 199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4868B1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video switching processing apparatus
JPH02301383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H05183833A (ja) 表示装置
US57267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wo video pictures simultaneously
JP352605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50006760B1 (ko) 멀티자화면 발생방법
JP3237783B2 (ja) 2画面表示テレビ受信機
KR920002048B1 (ko)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의 자화면 확대 및 축소회로와 방법
JPH0547024B2 (ko)
JP2713699B2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457731B2 (ja) 液晶表示装置
KR0150538B1 (ko) 부화면 모양 변환장치
KR0173699B1 (ko) 와이드 텔레비전의 이중화면 위치가변제어장치
JP3712287B2 (ja) ビデオ画像表示方式
KR10019294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변환장치
KR0173700B1 (ko) 와이드 텔레비전의 이중화면 위치가변제어장치
KR10019294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순차주사변환장치
KR100221477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JPS61208981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100200129B1 (ko) 영상재생시스템의 2화면재생시 화면위치변환장치
JPH0846889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851576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5328245A (ja) 2画面表示テレビ受信機
JPH0698276A (ja) スクロール制御装置
KR910010092B1 (ko)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